맨위로가기

시베리아아이벡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베리아아이벡스는 크고 튼튼한 체격의 염소로, 수컷은 뿔이 크고 암컷보다 크며, 중앙 및 북부 아시아, 아프가니스탄, 중국, 인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몽골, 파키스탄, 러시아 등지에 서식한다. 주로 수목 한계선 이상의 고산 지역에 살며, 풀과 나뭇가지를 먹고 산다. 번식기는 10월 말부터 1월 초까지이며, 임신 기간은 약 170~180일이다. 시베리아아이벡스는 아종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인도 육군의 라다크 스카우트 연대와 돌궐 제국의 아시나 왕조에서 문화적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6년 기재된 포유류 - 듀공
    듀공은 바다소목 듀공과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얕은 바다에서 해초를 먹고 악어, 범고래, 상어 등이 천적이며, 과거 사냥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76년 기재된 포유류 - 구아나코
    구아나코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이 원산인 낙타과 동물로, 라마의 조상으로 추정되며 고급 직물 재료로 사용되는 털을 가지고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만 아르헨티나에서는 보호받고 있다.
  • 파키스탄의 포유류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파키스탄의 포유류 - 야크
    야크는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고산 환경에 적응한 육중한 체격의 소속 포유류이며, 젖, 털, 고기 등을 얻기 위해 몽골과 티베트 등지에서 가축화되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전통 축제나 관광 상품으로도 활용된다.
  • 영양아과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영양아과 - 스프링복
    스프링복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영양으로, 등 중앙의 피부 주름, 잎을 주식으로 하는 점, 프롱킹이라는 도약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징 동물로도 활용된다.
시베리아아이벡스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상태준위협 (NT)
상태 기준IUCN3.1
상태 참고Reading, R. Michel, S. Suryawanshi, K. & Bhatnagar, Y.V. 2020. Capra sibiric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42398A22148720. https://dx.doi.org/10.2305/IUCN.UK.2020-2.RLTS.T42398A22148720.en.
학문적 분류
염소속 (Capra)
시베리아아이벡스 (C. sibirica)
명명자팔라스, 1776
분포
시베리아아이벡스의 분포도
기타 정보
독일 베를린 동물원의 암컷과 수컷
독일 베를린 동물원의 암컷과 수컷

2. 외형

시베리아아이벡스 무리


시베리아아이벡스는 크고 튼튼한 체격의 염소이며, 개체별 크기 차이가 크다. 수컷의 어깨 높이는 88cm에서 110cm 사이이며, 몸무게는 60kg에서 130kg 사이이다. 암컷은 수컷보다 눈에 띄게 작아서, 키는 67cm에서 92cm 사이이고 몸무게는 34kg에서 56kg 사이이다. 코는 일자형이고 목은 짧으며 등은 곧다. 수컷은 목이 특히 두껍고 근육질이지만 암컷은 그렇지 않다. 암수 모두 턱수염을 가지고 있지만, 수컷의 턱수염이 더 길고 뚜렷하며 암컷 중에는 턱수염이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암수 모두 꼬리 아래에 지름 약 3cm 크기의 냄새샘을 가지고 있다.[5][6]

초목이 거의 없거나 없는 산에서 위장한 시베리아아이벡스


암컷의 은 비교적 작고 회갈색이며 평균 길이는 27cm 정도이다. 다 자란 수컷의 뿔은 검은색이며 일반적으로 약 115cm까지 자라지만, 매우 큰 경우에는 148cm에 이르기도 한다. 암수 모두 뿔에 매년 성장을 나타내는 동심원 모양의 고리가 있으며, 수컷의 뿔 앞면에는 큰 가로 능선이 있다. 뿔의 정확한 모양은 개체마다 상당히 다르다.[6]

인도 라다크 카르길 근처의 암컷 시베리아아이벡스


털색은 짙은 갈색에서 밝은 황갈색까지 다양하며, 붉은빛을 띠는 개체도 있다. 일반적으로 등 중앙에서 꼬리까지 어두운 털 줄무늬가 있으며, 일부 수컷은 겨울철 등에 안장 모양의 반점을 가지기도 한다. 몸 아랫부분은 색이 더 옅다. 겨울에는 다 자란 수컷의 털색이 훨씬 어두워지며 흰색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암컷과 새끼는 일반적으로 다 자란 수컷보다 색이 밋밋하며, 등 아래 줄무늬가 없는 경우도 있다. 시베리아아이벡스는 보통 4월에서 7월 사이에 털갈이를 하여 더 옅은 색의 여름 털로 바뀌며, 이 털은 일 년 내내 자라면서 점차 어두워져 12월경에는 완전한 겨울 털 상태가 된다.[6]

2. 1. 아종

일부 전문가들은 시베리아아이벡스를 아종 구분 없이 단형종으로 간주하기도 하지만,[15][7] 다른 연구자들은 몸길이, 뿔 크기, 털색의 차이를 근거로 하여[16][6] 다음과 같이 4개의 아종으로 분류한다.

학명일반명주요 서식지
Capra sibirica sibirica시베리아아이벡스 또는 알타이아이벡스[8]사얀산맥
Capra sibirica alaiana톈산아이벡스[8]알라이산맥
Capra sibirica hagenbecki고비아이벡스 또는 몽골아이벡스[8]서부 몽골
Capra sibirica sakeen히말라야아이벡스[8]파미르산맥, 서부 히말라야산맥, 인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3. 생태

시베리아아이벡스는 주로 수목 한계선 이상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계절에 따라 서식 고도를 달리한다.[6] 이들은 풀, 사초, 나무의 잔가지 등을 먹고 살며, 특히 여름철에는 염분이 있는 곳을 찾아 염분을 섭취하기도 한다.[6] 보통 5~30마리 정도의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성별에 따라 무리가 분리되는 경우가 많다.[6][9] 주요 포식자로는 히말라야늑대, 설표 등이 있다.[6]

번식기는 늦가을부터 겨울까지이며, 수컷들은 경쟁을 통해 암컷을 차지한다.[6] 임신 기간은 약 170~180일이며,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6] 야생에서의 평균 수명은 암컷이 수컷보다 길어 최대 17년에 달한다.[6]

자세한 번식 과정과 행동 양식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번식

수컷의 발정기는 10월 말부터 1월 초까지 이어진다.[6] 이 시기 수컷은 암컷을 유혹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쏟으며, 발정기가 끝날 무렵에는 먹이 섭취 부족으로 쇠약해지는 경우도 흔하다.[6] 구애 행동은 30분 이상 지속될 수 있으며, 서로 핥아주거나 의례적인 자세를 취하고, 암컷이 소변을 보면 수컷이 플레멘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6] 수컷들은 발정기 동안 우위를 점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데, 뒷다리로 일어서서 뿔을 세게 부딪히는 방식으로 싸운다.[6]

임신 기간은 170일에서 180일 사이이며,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6] 하지만 약 14% 정도는 쌍둥이를 낳기도 하며, 드물게 세 마리를 낳는 경우도 보고된다.[6]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약 3kg 정도이며, 태어난 후 첫 1년 동안 매우 빠르게 성장한다.[6] 뿔은 태어난 지 약 3~4주가 지나면 보이기 시작한다.[6] 새끼는 생후 8일째부터 풀을 먹기 시작하지만, 생후 1개월이 되어서야 규칙적으로 풀을 뜯어 먹으며, 6개월이 지나야 완전히 젖을 뗀다.[6]

수컷은 생후 18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하지만, 완전히 성체가 되기까지는 9년 정도 걸린다.[6] 암컷은 태어난 지 2년째 되는 해에 처음으로 번식할 수 있다.[6] 야생에서의 평균 수명은 수컷이 약 10년, 암컷은 최대 17년이다.[6] 사육 환경에서는 최대 22년까지 살 수 있다는 기록이 있다.[6]

3. 2. 행동

시베리아아이벡스는 보통 높은 고도에 서식하며, 때로는 초목선과 수목 한계선보다 훨씬 높은 곳에서도 발견된다. 겨울에는 먹이를 찾아 더 낮은 경사면으로 내려오고, 더운 날씨에는 수목 한계선 근처를 찾기도 하지만 숲이 우거진 지역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날씨가 서늘해지면 다시 고산 서식지로 돌아가는 것을 선호한다. 눈이 많이 내릴 때는 눈을 파서 아래에 있는 풀을 찾아 먹는다.

주된 먹이는 고산 풀과 이다. 봄과 여름에는 풀과 사초가 식단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겨울에는 키 큰 풀과 함께 사시나무, 가문비나무, 노간주나무, 버드나무와 같은 나무의 잔가지와 바늘을 더 많이 먹는다. 여름에는 염분 섭취를 위해 염분이 있는 곳을 자주 방문한다. 무리의 크기는 지역 개체군에 따라 다르며, 보통 5마리에서 30마리 정도가 일반적이다. 발정기 동안에는 무리가 훨씬 더 커질 수 있다. 발정기 외에는 대부분 암컷 또는 수컷만으로 이루어진 단성 무리를 이루지만, 일부 혼성 무리는 일년 내내 유지되기도 한다. 무리는 하루의 많은 시간을 풀을 뜯으며 보내고, 한 장소에서 한 시간 이상 머문 뒤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6]

수컷과 암컷은 먹이 장소, 무리 크기, 안전을 위한 행동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무리는 성별이나 먹이의 양에 따라 나뉘기도 하지만, 암수가 섞인 무리도 존재한다. 먹이가 풍부한 시기에는 자원 경쟁이 줄어들어 무리의 크기가 더 커지는 경향이 있다.[9] 암컷과 수컷, 그리고 혼성 무리 간의 먹이 중복은 겨울에는 늘어나지만 여름에는 줄어든다.[10] 암컷은 새끼의 건강과 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물가 근처에 더 자주 머물고, 영양분이 풍부한 식물이 있는 고도 주변에 흩어져 생활하며, 포식자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는다.[11][12]

시베리아아이벡스의 주요 포식자로는 히말라야늑대, 승냥이, 설표, 불곰 등이 있다. 어린 아이벡스는 스라소니, 여우, 독수리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4. 분포

시베리아아이벡스는 대부분 수목 한계선 이상, 가파른 경사면과 바위사면 지역에 서식한다. 서식지는 고산 초원과 반사막 지역 등이 혼합된 곳이다. 고비 사막에서는 해발 700m 정도로 낮은 언덕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여름에는 주로 해발 2000m에서 5000m 사이에서 발견된다. 겨울에는 더 낮은 고도로 내려오며, 때로는 드문드문 숲이 있는 경사면으로 이동하기도 한다.[6] 타지키스탄에서는 계절별 온도 및 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과 같은 기후 요인이 아이벡스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13]

대부분의 시베리아아이벡스는 중앙아시아와 북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주요 서식 국가는 아프가니스탄, 서부 및 북부 중국 (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서부 인도, 동남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동부 우즈베키스탄, 몽골, 북부 파키스탄, 남중부 러시아이다.[3] 1978년에는 미국 뉴멕시코의 캐나디안 강 협곡에 40마리의 시베리아아이벡스가 도입되어 소규모 개체군이 형성되었다.[6]

5. 문화적 상징

인도 육군의 라다크 스카우트 연대는 시베리아아이벡스를 마스코트로 사용한다. 돌궐 제국의 아시나 왕조는 시베리아아이벡스를 그들의 탐가에 사용했다.

참조

[1] 간행물 Capra sibirica 2020
[2] 학술지 Common names of the Asiatic ibex superspecies at a turning point in its taxonomy and management 2023-03-03
[3] 학술지 Capra sibirica: Reading, R., Michel, S., Suryawanshi, K. & Bhatnagar, Y.V.: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42398A22148720 https://www.iucnredl[...] 2020-01-04
[4] 학술지 Genetic evidence for allopatric speciation of the Siberian ibex Capra sibirica in India https://www.int-res.[...] 2020-05-14
[5] 웹사이트 Capra sibirica. http://www.ultimateu[...] 2004
[6] 학술지 Capra sibirica
[7] 문서
[8] 서적 Bovids of the World: Antelopes, Gazelles, Cattle, Goats, Sheep, and Relativ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4-12
[9] 학술지 Grouping patterns and social organization in Siberian ibex (Capra sibirica): feeding strategy matters 2019-04
[10] 학술지 Die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sexually dimorphic ungulates: a case study on Siberian ibex https://doi.org/10.1[...] 2020
[11] 학술지 Different environmental requirements of female and male Siberian ibex, Capra sibirica 2021-03-16
[12] 학술지 Vigilance behaviour in Siberian ibex (Capra sibirica): Effect of group size, group type, sex and age https://www.scienced[...] 2020-01-01
[13] 학술지 Response of Asiatic ibex (Capra sibirica)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14] 간행물 Capra sibirica
[15] 문서
[16] 저널 Capra sibir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