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보레 1700은 1972년부터 1976년까지 GM코리아에서 홀덴 오스트레일리아의 CKD 키트를 사용하여 제작 및 판매한 자동차 모델이다. 1967년에 출시된 홀덴 토라나를 기반으로 하며, 5도어 스테이션 왜건 형태로 판매되었다. 1698cc 4기통 엔진을 탑재했으며, 한국 시장에서 총 8,105대가 생산되었지만, 높은 세금, 연료 소비, 한국 도로에 부적합한 서스펜션으로 인해 판매 부진을 겪었다. 1976년에는 카미나로 개량되었고, 1978년에는 단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GM코리아의 차종 - 새한 레코드 새한 레코드는 새한자동차에서 생산한 자동차 모델이며, 1.9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여 레코드와 레코드 로얄 두 가지 트림으로 출시되었다.
1967년 도입된 자동차 - 토요타 센추리 토요타 센추리는 1967년에 출시되어 3세대에 걸쳐 생산된 일본의 고급 세단으로, V8, V12 엔진을 거쳐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2023년에는 SUV 모델이 추가되었다.
1967년 도입된 자동차 - 쉐보레 카마로 쉐보레 카마로는 제너럴 모터스에서 생산하는 후륜구동 스포츠카로, 포드 머스탱과 경쟁하며 머슬카 시장을 이끌었고, 트랜스포머 시리즈에서 범블비 차량으로 등장하여 인지도를 높였다.
쉐보레의 차종 - 쉐보레 올란도 쉐보레 올란도는 GM의 델타 II 플랫폼 기반 전륜구동 MPV로, 2010년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되어 2011년 국내에 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과 군산공장 폐쇄로 단종되었고, 이후 중국 시장에서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지만 국내에는 출시되지 않았다.
쉐보레의 차종 - 쉐보레 서버번 쉐보레 서버번은 1935년 출시되어 12세대에 걸쳐 생산된 풀사이즈 SUV로, 초기에는 목재 부품을 사용한 8인승 스테이션 왜건이었으나 현재는 3열 시트와 V8 엔진을 탑재하여 경찰차, 구급차, 미국 정부 기관 등에서 널리 활용된다.
최초의 토라나 모델인 HB 시리즈는 1967년 5월, 기존 HA 시리즈 복스홀 비바를 대체하기 위해 호주 시장에 출시되었다. HB 토라나는 기본적으로 영국 복스홀 비바 HB 모델을 기반으로 했으나, 호주 시장의 요구에 맞춰 라디에이터 그릴, 헤드램프 등 일부 디자인과 사양이 변경되었다. 초기 모델은 2도어 세단 형태로, 1,159cc 4기통 엔진과 4단 수동 변속기를 기본으로 장착했다. 3단 자동 변속기와 전륜 디스크 브레이크는 선택 사양이었다.
출시 이후 몇 차례 개선이 이루어졌다. 1967년 10월에는 당시 F1 월드 챔피언이었던 잭 브라밤 경의 이름을 딴 고성능 '브라밤 토라나' 옵션이, 1968년 초에는 성능을 개선한 "시리즈 70" 엔진이 추가되었다.
1968년 9월에는 '69 토라나'로 불리는 개선 모델(HB 시리즈 II)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부터는 호주 현지에서 생산된 차체 패널이 사용되었으며, 라인업에 4도어 세단 모델이 추가되는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또한 충돌 안전성을 높인 스티어링 칼럼과 이중 회로 브레이크 시스템이 기본으로 적용되었다.
HB 토라나는 1969년 말까지 생산되었으며, 총 생산량은 36,561대(수입 패널 16,318대, 현지 생산 패널 20,243대)였다.
2. 1. 모델 종류 (HB)
1967년 5월, 호주 시장에서 HA 시리즈 복스홀 비바를 대체하기 위해 출시된 첫 토라나 모델은 HB 시리즈 복스홀 비바 HB를 약간 개선한 것이었다. 기본적으로 2도어 세단 차체에 12인치(305mm) 휠, 56마력(bhp) 1.2리터 4기통 엔진과 4단 수동 기어박스를 장착했다. 3단 자동 변속기는 선택 사양이었다.
홀든 토라나 (HB) S 2도어
홀든 HB 토라나는 토라나, 토라나 S, 토라나 SL 세 가지 모델로 판매되었는데, 이는 당시 더 큰 모델이었던 HR 홀든 세단의 표준, 스페셜, 프리미어 등급과 유사한 구성이었다.
1967년 10월에는 유명 레이싱 드라이버 잭 브라밤 경을 기념하여 '스포츠' 모델인 브라밤 토라나가 출시되었다. 브라밤 토라나는 트윈 기화기 장착과 배기 시스템 개선을 통해 출력을 79마력(bhp)으로 높였다. 또한 더 넓은 휠, 파워 보조 전면 디스크 브레이크, 검은색 차체 장식, 고유의 '브라밤' 배지 등이 특징이었다. 이 옵션은 토라나 S 또는 토라나 SL 수동 변속기 모델에서만 선택 가능했다.
1968년 초에는 출력을 69마력(bhp)으로 높인 "시리즈 70" 엔진 옵션이 추가되었다. 이 엔진에는 파워 보조 전면 디스크 브레이크가 기본으로 적용되었고, 자동 변속기 옵션은 이 엔진에만 제공되었다.
1968년 9월에는 '69 토라나'(HB 시리즈 II)가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호주 현지에서 생산된 차체 패널을 사용했으며, 4도어 세단 모델이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충돌 방지 스티어링 칼럼, 새로운 계기판과 스티어링 휠 등 현지 부품이 적용되었다. 이중 회로 브레이크가 기본 사양이 되었으나, 파워 보조 전면 디스크 브레이크는 여전히 56마력 기본 엔진 모델에서는 선택 사양이었다. 이때 브라밤 토라나는 토라나 S 2도어 세단을 기반으로 한 독립 모델(옵션 XS5)이 되었으며, 고유한 배지와 검은색 장식, 스포츠 스티어링 휠, 추가 계기판 등을 갖추었다.
HB 토라나는 1969년 말까지 생산되었다.
3. 2세대 (LC/LJ/TA, 1969-1975)
홀덴 토라나의 2세대 모델은 1969년부터 1975년까지 생산되었으며, LC, LJ, TA의 세 가지 주요 시리즈로 구성된다.
1969년 10월에 출시된 LC 시리즈는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으로 등장했다. 4기통 엔진 모델과 6기통 엔진 모델을 모두 제공했으며, 6기통 모델은 더 긴 휠베이스(4기통 2430mm, 6기통 2540mm)와 더 큰 엔진을 수용하기 위한 공격적인 전면부 디자인이 특징이었다.[2] 고성능 모델인 GTR과 특히 모터스포츠 참가를 위해 개발된 GTR XU-1 모델이 출시되어 호주 모터스포츠계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LC 토라나는 1969년 ''휠스 매거진''의 올해의 차로 선정되기도 했다.
1972년 2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LJ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외관 디자인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6기통 모델은 당시 더 큰 모델이었던 홀덴 HQ 시리즈와 유사한 모습을 갖게 되었다. 엔진 라인업에도 변화가 있었으며, GTR XU-1 모델은 더욱 강력해진 엔진으로 1972년 배서스트 500 마일 레이스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등 모터스포츠에서의 성공을 이어갔다. LJ 시리즈는 대한민국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1972년부터 GM코리아에서 CKD(반조립 제품) 방식으로 도입하여 '시보레 1700'이라는 이름으로 생산 및 판매했기 때문이다.[7]
마지막으로 TA 시리즈는 1974년 2월에 출시되었다. 이는 4기통 LJ 모델을 기반으로 전면 그릴 등을 변경한 페이스리프트 버전이었다. 새로운 중형급 LH 토라나가 6기통 및 8기통 모델을 대체하게 되면서, 4기통 모델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약 11개월간 짧게 생산된 후 1975년에 단종되었다.[12]
3. 1. 모델 종류 (LC)
홀덴 토라나 LC 시리즈는 1969년 10월에 출시되었으며,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었다.[2] 기본적으로 2도어 및 4도어 세단 형태로 제공되었으며, 엔진은 4기통 또는 6기통 중에서 선택할 수 있었다. 6기통 모델은 4기통 모델보다 휠베이스가 길고(2540mm vs 2430mm), 더 큰 엔진을 수용하기 위해 앞부분 디자인이 달랐다.[2]
GTR 모델은 2도어 스포츠 모델로, 이전 HB 시리즈의 브라밤 토라나를 계승하며 고유한 '2600S' 6기통 엔진을 탑재하여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1971년 7월 이후 생산된 마지막 GTR 차량에는 더 커진 '2850S' 엔진이 장착되었다. GTR XU-1 모델은 1970년 8월에 등장한 고성능 버전이다. 홀덴과 해리 피르스의 홀덴 딜러 팀이 협력하여 개발했으며, 호주의 투어링카 레이스, 특히 배서스트 500 마일 레이스에서 당시 강력한 경쟁자였던 포드 팔콘 GT-HO와 경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160마력의 출력을 내는 3.0L(186 입방인치) 6기통 엔진과 3개의 제니스-스트롬버그 CD-150 기화기, 고성능 부품, 강화된 4단 수동 변속기를 장착했다.[4] 외관상으로는 전면 에어댐과 후면 스포일러, 넓은 스틸 휠, 디스크 브레이크 등이 특징이었다. GTR XU-1은 유리한 출력 대 중량비 덕분에 도로와 트랙 모두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홀덴 모나로 GTS 350을 대체하여 홀덴의 주력 레이스카로 활약하며 많은 투어링카 및 랠리 이벤트에서 우승했다.
LC 토라나는 1969년 ''휠스 매거진''의 올해의 차로 선정되었으며, 총 74,627대가 생산되었다.[5]
3. 2. 모델 종류 (LJ)
(선택 사양: 1.6L OHC 4기통 → 1.8L OHC 4기통 (1972년 후반 1.6L 엔진이 1.8L(1760cc)로 변경됨))
1200 모델의 상위 트림
토라나 S
2도어 / 4도어
2.25L OHV 6기통 2.85L OHV 6기통
6기통 엔진 기본 모델
토라나 SL
4도어
2.85L OHV 6기통
6기통 고급 모델
토라나 GTR
2도어
3.3L (202 cu in) OHV 6기통
스포츠 모델
토라나 GTR XU-1
2도어
3.3L (202 cu in) OHV 6기통 (고성능 튜닝)
고성능 레이싱 모델, 190마력(bhp) 출력[4][6]
토라나 1200: 가장 기본적인 모델로, 2도어 세단 형태에 1.2리터 복스홀 OHV 4기통 엔진을 탑재했다.
토라나 디럭스: 2도어 또는 4도어 세단 형태로 제공되었으며, 1.3리터 복스홀 OHV 4기통 엔진이 기본이었다. 선택 사양으로 1.6리터 OHC 엔진(복스홀 공급)을 제공했으나, 1972년 후반에 이 엔진은 1.8리터(1760cc) OHC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토라나 S/SL: 6기통 엔진을 탑재한 모델로, 2.25리터(138 cu in) 또는 2.85리터(173 cu in) OHV 6기통 엔진을 사용했다. S 모델은 2도어와 4도어, SL 모델은 4도어로 제공되었다.
토라나 GTR: 2도어 스포츠 모델로, 홀덴 HQ 시리즈에도 사용된 3.3리터(202 cu in) OHV 6기통 엔진을 탑재했다.
토라나 GTR XU-1: GTR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레이싱 모델이다. 3.3리터 6기통 엔진을 튜닝하여 출력을 190마력(bhp)까지 높였고[4][6], 3개의 제니스-스트롬버그 기화기, 강화된 4단 수동 변속기 등을 장착했다. 이 모델은 1972 하디-페로도 500 레이스에서 피터 브록이 운전하여 우승하며 명성을 얻었다.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시보레 1700은 이 LJ 토라나를 기반으로 했으나, 엔진은 오펠 레코드 B에 사용된 1.7리터(1698cc) 4기통 엔진을 탑재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 3. 대한민국 생산 모델 (LJ 기반)
대한민국에서 홀덴 토라나 LJ 모델은 1972년 9월부터 GM코리아에서 '''시보레 1700'''이라는 이름으로 생산 및 판매되었다. 홀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CKD (Complete Knock Down, 반조립 제품) 키트를 공급받아 조립하는 방식이었다.[7] 원본 토라나 LJ와는 달리 5도어 스테이션 왜건 모델도 함께 판매되었다. 엔진은 당시 GM코리아에서 함께 생산하던 오펠 레코드 B에 사용되던 1,698cc 4기통 엔진을 탑재했다.
시보레 1700은 대한민국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총 8,105대 생산에 그쳤다.[8] 판매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는 당시 대한민국의 자동차세 시스템이 지목된다. 배기량 1,500cc를 기준으로 세금이 크게 높아지는 구조였기 때문에 1,700cc급 엔진을 탑재한 시보레 1700은 세금 부담이 컸다. 또한 연료 소비량이 많다는 인식과 당시 한국의 도로 사정에 맞지 않는 서스펜션도 판매 부진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경영난을 겪던 GM코리아는 1976년 산업은행과 GM의 합작 형태인 새한자동차로 변경되었다. 판매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1976년, 새한자동차는 시보레 1700을 개량하여 '''새한 카미나'''(세단)와 '''새한 캬라반'''(왜건)을 출시했다. 특히 왜건 모델은 새로운 디자인의 그릴과 4등식 헤드램프를 적용하고 일부 부품을 오펠 모델의 것으로 변경하는 등 변화를 주었다. 하지만 기존의 시보레 1700 모델도 병행 판매되다가 1978년 카미나와 함께 단종되었다.
카미나에는 연비 개선과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오펠에서 직수입한 1,492cc 소형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 엔진은 최고 출력 66PS를 냈고, 세단 모델의 최고 속도는 140km/h였다.[10] 그러나 현대자동차나 기아의 경쟁 모델에 비해 여전히 경쟁력이 부족하여 2년간 992대 판매에 그치며 판매량 반등에는 실패했다.[9] 1,700cc 엔진을 그대로 사용한 왜건 모델인 '''새한 캬라반'''은 1976년 1월부터 1979년 3월까지 총 966대가 판매되었다. 1976년 4월에는 캬라반을 기반으로 한 구급차 모델도 출시되었다.
시보레 1700과 새한 카미나의 실질적인 후속 모델은 1977년에 출시된 새한 제미니이다. 제미니는 이스즈 제미니를 기반으로 배지 엔지니어링된 모델이었으며, 카미나에 사용되었던 1,492cc 오펠 엔진이 탑재되었다.[11]
4. 3세대 (LH/LX/UC, 1974-1980)
1974년부터 1980년까지 생산된 3세대 토라나는 이전 모델보다 차체가 커진 중형차로, LH, LX, UC 세 가지 시리즈로 출시되었다. 이 세대는 완전히 새로운 차체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동시대의 오펠 레코드 D나 복스홀 빅터 FE와 유사한 크기와 외형을 가졌다. LH 시리즈 (1974-1976)는 4도어 세단 형태로 처음 등장했으며, 4기통, 6기통, V8 엔진 등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었다.[13] 특히 5L V8 엔진을 탑재한 SL/R 5000 모델과 이를 기반으로 배서스트 1000 경주를 위해 제작된 한정판 고성능 모델 L34 옵션이 주목받았다.[15] L34는 모터스포츠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LX 시리즈 (1976-1978)는 LH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원형 헤드라이트 적용 등 외관이 변경되었고 3도어 해치백 모델이 추가되었다. 1976년 11월부터 4기통 엔진 모델은 홀덴 선버드(Sunbird)라는 별도 이름으로 분리되었다.[17][18] 또한 핸들링 개선을 위한 '래디얼 튜닝 서스펜션'(RTS)이 도입되었고, 고성능 옵션으로 L34를 계승한 A9X가 제공되었다. UC 시리즈 (1978-1980)는 3세대의 마지막 모델로, 디자인이 현대화되었으나 V8 엔진 라인업과 스포츠 모델(SL/R)이 단종되었다. 6기통 엔진만 운영되었으며, 이후 홀덴 코모도어의 등장으로 1980년에 단종되었다.
4. 1. 모델 종류 (LH)
1974년 3월, 이전 모델보다 커진 중형 LH 시리즈 토라나가 4도어 세단 형태로 출시되었다.[13] 이는 완전히 새로운 토라나 차체를 적용한 첫 모델이었으며, 동시대의 오펠 레코드 D나 복스홀 빅터 FE와 유사한 크기와 외형을 가졌다.
LH 시리즈는 동일한 차체에 4기통, 6기통, V8 엔진 등 다양한 엔진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13] 엔진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구분
엔진명
형식
배기량 (cc)
비고
4기통
오펠 CIH 엔진
I4
1,897
6기통
홀덴 레드 2250
OHV I6
2,262
수출용 (저압축)
홀덴 레드 2850
OHV I6
2,835
홀덴 레드 3300
OHV I6
3,298
V8
홀덴 253
OHV V8
4,143
홀덴 308
OHV V8
5,044
SL/R 5000 전용
주요 모델 및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SL/R 5000: 5,044cc V8 엔진을 탑재한 스포츠 세단 모델이다.[15]
L34: SL/R 5000을 기반으로 배서스트 경주를 위해 특별 제작된 고성능 모델이다. 단 263대만 한정 생산되었으며, 더 높은 압축비의 엔진과 강화된 부품, 레이싱용 휠과 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온 방식의 휠 아치 확장이 특징이었다.[15] L34는 호주 투어링 카 레이싱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나 내구성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 피터 브록과 브라이언 섐슨 조(1975년), 밥 모리스와 존 피츠패트릭 조(1976년)가 L34로 배서스트 1000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Plus 4: 1974년 9월 출시된 모델로, 판매가 부진했던 4기통 모델의 판매 증진을 위해 도입되었다. 4단 수동 변속기, 스포츠 계기판, 전면 디스크 브레이크가 기본 사양이었다.[16]
G-Pak: 1975년 2월 출시된 모델로, 3,298cc 6기통 엔진을 탑재했다. Plus 4와 마찬가지로 4단 수동 변속기, 스포츠 계기판, 전면 디스크 브레이크를 갖췄다.[16]
LH 토라나는 필리핀에 "홀덴 1900"이라는 이름으로 수출되었으며,[14] 뉴질랜드에서도 조립 생산되었다. 뉴질랜드에서는 초기 6기통 모델이 소량 생산되었으나, 제1차 석유 파동 이후 시행된 세금 정책으로 인해 1.9리터 4기통 모델 위주로 생산되었다. 현지 사양의 Plus 4 모델도 제작되었다.
프로토타입으로 왜건과 해치백 모델이 제작되었으나 양산되지는 않았다. LH 토라나는 1976년까지 총 70,184대가 생산되었다.
4. 2. 모델 종류 (LX)
약간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LX 시리즈가 1976년 2월에 출시되었다. 외관상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LH의 사각형 헤드라이트가 원형 헤드라이트로 교체되었고, 측면 창틀이 차체 색상에서 검은색으로 변경되었으며, 전면 홀덴 배지가 확대된 것이다. 기존 4도어 세단 외에 3도어 해치백 차체가 추가되었지만, 1897cc 오펠 CIH 엔진은 새로운 해치백 스타일에는 제공되지 않았다.
출시 직후인 1976년 7월, LX는 새로운 ADR27A 배출가스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엔진 개조를 거쳤다. 이로 인해 엔진 성능이 감소했으며, 출력은 (호주의 미터법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제 와트(kW) 단위로 표시됨)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엔진
변경 전 출력
변경 후 출력
173 / 2.85L I6
118hp
58kW
202 / 3.3L I6
135hp
64kW
253 / 4.2L V8
185hp
83kW
308 / 5L V8
240hp
126kW
LX 토라나가 출시되었을 때는 4기통, 6기통, V8 엔진을 선택할 수 있었다. 1976년 11월[17], 4기통 토라나는 개량되어 홀덴 LX 선버드(Sunbird)로 재출시되었다.[18] 새로운 배출가스 규제를 반영하여, 오펠에서 공급받은 엔진의 출력은 102hp에서 96hp로 감소했다.[19] 이 시점부터 모든 4기통 모델은 선버드로, 6기통 또는 8기통 모델은 토라나로 판매되었다. 초기 LX 시리즈 선버드는 4단 수동 변속기와 3단 자동 변속기를 갖춘 단일 트림으로 출시되었다. 토라나와 비교하여 약간의 트림 차이가 있었는데, 특히 (세로 바가 있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독특한 크롬 휠 커버가 눈에 띄었다. 4도어 세단과 3도어 해치백으로 판매되었으며, 이는 단명했던 4기통 LX 토라나와는 다른 점이다.[20]
선버드의 출시는 홀덴이 자사 자동차 라인업에 핸들링 패키지를 추가하려는 첫 번째 시도와 동시에 이루어졌다. '래디얼 튜닝 서스펜션'(RTS)의 도입은 LX 선버드 세단과 해치백, 그리고 LX 토라나에서 시작되었다.
LX 시리즈에는 고성능 모델도 존재했다. SL/R 5000 모델은 5L V8 엔진을 탑재한 스포츠 세단이었으며, SS는 해치백 기반의 스포츠 모델이었다. 특히, 배서스트 레이스를 위한 고성능 옵션인 A9X가 LX 시리즈에서 제공되었는데, 이는 SL/R 5000 및 SS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A9X는 LH 시리즈의 L34 옵션을 계승하여 레이스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4. 3. 모델 종류 (UC)
1978년 3월 출시된 UC 토라나는 이전 모델과 비교해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가장 큰 특징은 V8 엔진 라인업이 사라지고 스포츠 모델인 SL/R 트림이 단종된 점이다. 대신 UC 시리즈는 전면부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다듬고, 완전히 새로운 대시보드 디자인을 적용했다.[23] 엔진은 2.85리터와 3.3리터 홀덴 '레드' 6기통 두 가지 중 선택할 수 있었으며, 장비 수준에 따라 두 가지 트림으로 제공되었다.
홀덴 토라나 (UC) SL 해치백
홀덴 선버드 (UC) 세단
UC 토라나 SL 모델에는 포드 코티나와 경쟁하기 위한 '딜럭스 팩' 옵션이 제공되었다. 이 패키지에는 라미네이트 윈드스크린, 틴팅 처리된 측면 및 후면 유리창, 간헐식 와이퍼, 라디오/카세트 플레이어, 직물 시트, 스포츠 계기판, 범퍼 오버라이더 등이 포함되었다. 비록 V8 엔진은 기본 라인업에서 제외되었지만, 공장 승인 딜러 옵션으로 터보차저 모델인 UC SL/T가 소량 생산되기도 했다. 주로 뉴사우스웨일스주 서튼스(Suttons) 딜러를 통해 주문되었으며, 총 33대가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홀덴 선버드 역시 UC 사양으로 업데이트되었다. UC 토라나와 차체를 공유하며 1.9리터 4기통 엔진을 얹고 세단 및 해치백 모델로 판매되었다. 초기 UC 선버드에는 이전과 동일한 오펠 CIH 엔진이 사용되었으나, 이후 모델에는 호주에서 생산된 1,892cc 홀덴 스타파이어 4기통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 스타파이어 엔진은 기존 홀덴 6기통 엔진을 기반으로 축소 개발한 것이었다. UC 선버드는 베이스(수동 변속기 전용), SL, SL/E의 세 가지 트림으로 판매되었으며, 특히 뉴질랜드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23]
UC 시리즈는 사각형 헤드램프와 더 매끄러워진 전면 디자인이 특징이었다. 그러나 1978년 11월 VB 코모도어가 출시되면서 UC 토라나/선버드의 입지는 점차 줄어들었다. 홀덴 내부에서도 코모도어와 크기가 너무 비슷하다는 평가가 나왔고, 경쟁 모델 대비 노후화된 설계 역시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결국 해치백 모델은 1979년에 단종되었고, 세단 모델 역시 1980년 9월 생산을 마지막으로 단종되었다.[23] 이후 4기통 중형차 자리는 1982년 출시된 홀덴 카미라가 계승했다. UC 시리즈 토라나와 선버드는 총 55,000대 이상 생산되었다.[24]
토라나 GTR-X는 LC 시리즈 토라나를 기반으로 1970년에 설계된 컨셉트 카이다. 홀덴은 1970년대 초 이 차량의 양산을 진지하게 고려했다. 조 쉐만스키와 필립 즈무드가 디자인한 이 차는 FR 레이아웃의 2도어 쿠페 형태를 가졌다.
GTR-X는 해치백 스타일의 후면 접근 방식을 가진 쐐기형 유리섬유 차체가 특징이었으며, 프로토타입은 LC 토라나 GTR XU-1의 기계 부품을 사용했다. 엔진은 3049cc '레드' 직렬 6기통 엔진 또는 4143cc '253' V8 엔진 탑재가 고려되었다. 외형은 마세라티 캄신이나 포르쉐 924 같은 당대의 상징적인 스포츠카와 유사했다. 차량 무게는 1043kg이었고, 최고 속도는 210km/h에 달했다. 만약 양산되었다면, GTR-X는 홀덴 최초로 4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착한 차량이 되었을 것이다.
홀덴은 홍보 브로셔를 통해 "길고 매끄러운 후드는 낮고 쐐기형 그릴로 강조되며, 차체 라인은 뒤로 갈수록 솟아올라 높은 테일 라이트로 이어진다. 숨겨진 헤드라이트, 날카로운 앞 유리 경사, 움푹 들어간 주차등 및 방향 지시등, 매립형 주유구 및 도어 핸들로 단순미를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홀덴은 GTR-X 개발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고, 브로셔, 사진, 홍보 영상까지 제작하며 양산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당시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 규모를 고려할 때 높은 생산 비용을 정당화하기 어려워 결국 양산되지 못했다.
현재까지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프로토타입은 단 한 대이다. 원래 흰색이었으나 1970년대 중반 은색으로 도색되었다가, 2003년 제너럴 모터스 기술 센터에서 열린 디자인 75주년 기념행사를 위해 원래 색상과 사양으로 복원되었다. 이 차량은 현재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버드우드에 있는 국립 자동차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외에 미완성 상태의 주황색 GTR-X 차체가 개인에게 소장되어 있다는 정보도 있으나 확인되지 않았다.
=== 토라나 미스테르 (1977) ===
1977년, 시트 제조사 레카로(Recaro)는 1977년 시드니 모터쇼 출품을 위해 토라나 LX SS 해치백을 기반으로 한 컨셉트 카 '미스테르'(Mystere)를 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레카로 호주 지사장 데이비드 본스와 마케팅 이사 로빈 럭이 주도했으며, 디자인과 제작은 피터 아르카디판의 아르카디판 오토모티브가 담당했다.
미스테르는 '몬자' 스타일의 전면부와 기존 LX 해치백보다 355mm 짧아진 후면부가 특징이었다. 엔진은 5044cc '308' V8 엔진을 탑재했고, 4단 수동 변속기와 결합되었다. 가장 큰 특징은 실내였는데, 레카로는 차량 외장 색상과 맞춘 독특한 녹색 가죽을 특별 주문하여 모든 시트를 마감했다.
레카로는 미스테르를 한정 생산할 계획도 가지고 있었으나, GMH(홀덴)의 기계적 보증 문제와 높은 제작 비용(특히 가죽 인테리어)으로 인해 목표 가격인 15,000달러를 맞추기 어려워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
미스테르는 단 한 대만 제작되었으며, 현재 멜버른의 한 자동차 애호가가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토라나 TT36 (2004) ===
2004년, 홀덴은 밝은 핑크색("맨젠타")의 중형 후륜구동 컨셉트 카인 토라나 TT36을 공개했다. TT36은 트윈 터보, 3.6리터 V6 엔진을 의미한다. 이 프로젝트는 원래 'XP54'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는데, 이는 홀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54에서 진행된 실험적 프로젝트임을 나타낸다. 이완 킹스버리가 디자인한 이 5도어 해치백 모델은 제너럴 모터스의 새로운 제타 플랫폼을 기반으로 했으며, 2006년에 출시된 홀덴 VE 코모도어의 디자인 방향을 미리 보여주는 역할을 했다.
홀덴 엔지니어들은 알로이텍 190 V6 엔진에 두 개의 KO4 와너 터보차저, 공랭식 인터쿨러, 가변 밸브 타이밍 기술을 적용하고 압축비를 9.0:1로 낮춰, 최고 출력 280kW와 최대 토크 480Nm 이상(1600rpm부터 90% 발휘)을 달성했다. 변속기는 6단 수동 변속기가 장착되었다.
TT36 프로토타입은 제작된 후 여러 차례 버드우드의 국립 모터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6. 제원 (1세대 HB, 한국어 문서 기준)
wikitext
구분
내용
전장
4386mm
전폭
1600mm
전고
1354mm
축거
2540mm
윤거 (전)
1316mm
윤거 (후)
1290mm
승차정원
5명
구동형식
후륜 구동
변속기
수동
구분
1.7 가솔린 엔진
연료
가솔린
배기량
1698cc
최고출력
79ps / 5,600rpm
최대토크
13.0kg*m / 3,500rpm
연비
14.5km/L (수동)
7. 모터스포츠
홀덴 토라나는 호주 모터스포츠 역사, 특히 투어링카 레이싱과 랠리 분야에서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홀덴 딜러 팀(HDT)과 같은 팀들은 토라나를 기반으로 강력한 경주용 차량을 개발하여 포드의 팔콘 모델과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1970년, LC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모델 LC GTR XU-1이 등장했다. 이 모델은 당시 호주 모터스포츠의 최고봉으로 여겨지던 배서스트 1000 레이스(당시 명칭 하디-페로도 500)에서 강력한 경쟁자였던 포드 팔콘 GT-HO에 대항하기 위해 개발되었다.[4] 160hp의 3리터 6기통 엔진과 경량 차체를 바탕으로 뛰어난 출력 대 중량비를 가졌으며, 다양한 투어링카 및 랠리 이벤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초기 배서스트 1000 레이스에서는 포드에게 연이어 우승을 내주었다.
1972년 등장한 LJ 시리즈의 LJ GTR XU-1은 더욱 강력해진 190hp의 3.3리터 엔진과 개선된 변속기를 탑재했다. 특히 '배서스트 스페셜' 옵션은 최고 속도를 135mph까지 끌어올렸다.[4][6] 이러한 성능 향상을 바탕으로, LJ GTR XU-1은 1972년 배서스트 1000에서 피터 브록에 의해 첫 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이후 이어질 토라나의 배서스트 성공 신화의 시작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주요 우승 기록 참조)
HDT는 홀덴 V8 엔진을 탑재한 GTR XU-1 프로토타입(종종 GTR XU-2로 잘못 불림)을 개발하여 그룹 B 스포츠 세단 레이싱에 투입하기도 했다. 300hp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했지만, 1972년 호주 사회를 강타한 이른바 '슈퍼카 공포(Supercar scare)' 논란으로 인해 양산 계획은 무산되었다. 당시 언론과 정치권의 압력으로 홀덴을 비롯한 제조사들은 고성능 '배서스트 스페셜' 모델 개발을 중단해야 했다.
1974년 출시된 중형 LH 시리즈에서는 마침내 V8 엔진이 탑재된 LH SL/R 5000 모델이 등장했다. 배서스트 1000 공략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L34 옵션은 더 강력한 엔진과 부품, 그리고 레이스용 광폭 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온 휠 아치 플레어를 특징으로 했다.[15] L34 옵션은 1975년과 1976년 배서스트 1000 우승에 기여했다. (자세한 내용은 #주요 우승 기록 참조) 다만, V8 엔진 개발 과정에서 Repco의 다이노 테스트를 고집한 홀덴의 결정으로 인해 초기에는 오일 순환 문제로 인한 잦은 엔진 고장을 겪기도 했다.
1977년 LX 시리즈에서는 L34 옵션을 계승 및 발전시킨 A9X 옵션이 도입되었다. A9X는 개선된 후륜 차동 장치(샐즈베리 10-볼트)와 4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기본으로 장착했으며, 보그 워너 슈퍼 T10 4단 변속기를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다. 또한 LX 시리즈부터는 핸들링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래디얼 튜닝 서스펜션(RTS)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고성능 모델들의 활약, 특히 배서스트 1000에서의 연이은 성공을 통해 홀덴 토라나는 호주 모터스포츠의 아이콘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7. 1. 주요 우승 기록
홀덴 토라나는 호주 모터스포츠, 특히 배서스트 1000 레이스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1972년: 약간 젖은 노면 상태에서 열린 1972 하디-페로도 500 레이스에서 HDT의 경량 LJ 토라나 GTR XU-1 모델로 피터 브록이 약 804.67km 거리를 단독으로 주행하며 강력한 경쟁 차량이었던 포드 팔콘 GT-HO 페이즈 III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4][6] 이는 '피터 퍼펙트'와 토라나 전설의 시작이자, 배서스트 레이스에서 토라나가 기록한 총 다섯 번의 우승 중 첫 번째였다.
1975년: LH 토라나 SL/R 5000 모델에 적용된 L34 옵션 차량으로 피터 브록과 브라이언 섐슨(Brian Sampson) 조가 배서스트 1000 투어링 카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1976년: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L34 옵션이 적용된 LH 토라나 SL/R 5000 모델로 밥 모리스와 존 피츠패트릭(John Fitzpatrick) 조가 배서스트 1000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참조
[1]
간행물
Automobil Revue '70
Hallwag AG
1970-03-12
[2]
서적
100 years of GM in Australia
2002
[3]
웹사이트
LC specifications
http://www.qtcc.org.[...]
2013-11-30
[4]
웹사이트
Torana GTR XU1
https://hotrod.gregw[...]
Hot Rods Down Under
2020-09-10
[5]
서적
Aussie Cars
1986
[6]
웹사이트
Holden Torana LJ Technical Specifications
https://www.uniqueca[...]
Unique Cars & Parts
2020-09-10
[7]
간행물
韓國 自動車 廣告寫眞의 變遷에 관한 硏究
http://data.adic.co.[...]
Central Media College, Newspaper Broadcasting Institute
1992
[8]
웹사이트
Chevrolet 1700
http://autocade.net/[...]
JY&A Media
2009-10-17
[9]
웹사이트
Camina (1976–8)
http://autocade.net/[...]
JY&A Media
2009-10-17
[10]
웹사이트
애니카 자동차문화 축제
http://carlnc.milest[...]
2007-11-08
[11]
웹사이트
Saehan Gemini
http://autocade.net/[...]
JY&A Media
2009-10-17
[12]
서적
100 years of GM in Australia
2002
[13]
웹사이트
Holden Torana LH Technical Specifications
http://www.uniquecar[...]
2013-12-06
[14]
웹사이트
Holden 1900 brochure cover – Philippines market
https://www.flickr.c[...]
2014-10-14
[15]
간행물
1975 Holden Torana SL/R5000 – The Contender
http://www.classicca[...] [16]
웹사이트
Holden Torana (LH Torana)
http://www.goauto.co[...]
John Mellor Pty
2013-12-06
[17]
웹사이트
Holden Torana LX Technical Specifications
http://www.uniquecar[...]
2010-11-26
[18]
문서
The Holden Heritage - Eight Edition
[19]
서적
World Cars 1977
The Automobile Club of Italy/Herald Books
1977
[20]
문서
Holden Sunbird sales brochure T232 of March 1978
[21]
간행물
Australia Muscle Car
[22]
웹사이트
'Holy grail' Aussie muscle car set to break records at auction
https://www.9news.co[...]
2021-06-22
[23]
문서
Aussie Cars
1987
[24]
서적
Aussie Cars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