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식물성 플랑크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다양한 종류의 미세 조류 및 세균으로 구성된 생물군이다. 규조류, 남세균, 와편모조류 등이 주요 분류군이며, 해양 및 담수 생태계에서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성하고 먹이 그물의 기초를 형성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영양염류와 미량 원소에 의존하며, 광합성 색소를 통해 다양한 파장의 빛을 흡수한다. 기후 변화와 해양 산성화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수산 양식에서 중요한 먹이원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유생물학 - 석회비늘편모류
    석회비늘편모류는 전 세계 해양에 서식하며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코콜리드를 형성하여 코코스피어 외골격을 만들고 해양 생태계에서 탄소 순환과 기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세 조류이다.
  • 부유생물학 - 미세 조류
    미세 조류는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 또는 군체 형태의 조류로, 지구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화학 물질을 생산하고 상업적 용도로 활용된다.
  • 수생생태학 - 삼각주
    삼각주는 강이 운반한 침전물이 하구나 하천 끝에서 쌓여 형성되는 지형으로, 그리스 문자 델타(Δ)와 유사한 형태를 띠며, 하천, 파랑, 조석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수자원, 독특한 생태계로 인간과 생물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수생생태학 - 부영양화
    부영양화는 과도한 영양소 공급으로 수질이 악화되어 식물 성장이 과해지는 현상으로, 인간 활동으로 인해 심화되었으며 조류 대발생, 산소 고갈,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을 초래하므로 영양염류 유입 감소와 농업 및 하수 관리 개선 등 다각적인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
식물성 플랑크톤
개요
다양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현미경 사진
다양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현미경 사진
학명Phytoplankton
어원식물 (Φυτόν, phyton)
떠돌아다니는 (πλαγκτός, planktos)
정의광합성을 하는 플랑크톤 생물체의 총칭
생태적 역할
역할해양 생태계의 1차 생산자
이산화탄소 흡수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생산
먹이 사슬동물성 플랑크톤, 어류, 해양 포유류 등 해양 생물의 먹이
분류
주요 그룹규조류
녹조류
쌍편모조류
남세균 (시아노박테리아)
유글레나류
착편모조류
미크로조아
특징
크기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크기 (대부분)
분포햇빛이 도달하는 수층 (유광층)에 주로 분포
이동스스로 이동 불가능, 해류에 따라 이동
광합성엽록소를 이용하여 광합성 수행
중요성
기후 조절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에 기여
해양 생태계 유지해양 먹이망의 기초를 제공
산소 공급지구 산소의 상당 부분 생산
연구
연구 방법현미경 관찰
분자생물학적 기법
위성 영상 분석
연구 동향종 다양성 및 분포 연구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 연구
해양 생태계 모델링
추가 정보
참고 문헌Annual Review of Marine Science, 12(1), 233–265.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42, 595–612.

2. 유형

식물성 플랑크톤은 매우 다양한 생물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조류,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 와편모충류 등이 주요 그룹에 속한다.[96][92] 이 외에도 다양한 조류 그룹이 식물성 플랑크톤에 포함된다.

시아노박테리아(남세균), 규조류, 편모충류, 녹조류, 석회비늘편모류


코코리토포어, 와편모조류와 같이 광영양뿐만 아니라 먹이를 섭취하는 혼합영양생물도 과거에는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혼합플랑크톤으로 분류된다.[5] 이러한 분류 변화는 플랑크톤 먹이 그물의 기능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7]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에는 약 5,000종이 알려져 있으며,[110] 자원 부족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다양성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는 불분명하다.[111]

2. 1. 주요 분류군

규조류는 가장 흔한 식물성 플랑크톤 중 하나이며, 규산질 껍질을 가지고 있다.[92]

숫자 면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의 가장 중요한 그룹에는 규조류, 남세균, 와편모충류가 포함되지만, 다른 많은 조류 그룹도 해당된다.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은 광합성을 하는 세균으로, 질소 고정 능력을 가진 종도 있다.[96]

와편모조류는 두 개의 편모를 가진 단세포 생물로, 일부 종은 유해 조류 번식을 일으킨다.[114]

편모충류(The dinoflagellate Dinophysis acuta)

3. 생태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기 때문에 해양, 바다, 호수 등 물이 있고 햇빛이 잘 드는 표층 (유광층)에서 서식한다.[99][100] 이들은 전 세계 광합성 활동의 약 절반을 담당하며,[99][100] 해양 및 담수 먹이 그물의 기초를 형성한다. (화학합성은 예외)[99][100]

식물성 플랑크톤은 질산염, 인산염, 규산과 같은 영양염류와 , 망간, 아연과 같은 미량 원소에 의존한다.[108] 이들의 영양 성분은 레드필드 비율에 의해 조절되며, 이는 해양 생태계의 영양 순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용승, 강물 유입, 대륙 풍화, 빙하 용해 등은 식물성 플랑크톤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주요 요인이다.[108] 남극해와 같은 일부 해역에서는 철분 부족으로 인해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이 제한되기도 한다.[108]

대부분의 식물성 플랑크톤 은 광독립영양생물이지만, 일부는 혼합영양생물이고, 색소가 없는 종은 종속영양생물이다.[101][102]

1994년부터 1998년까지 평균적인 지배적 식물성 플랑크톤 유형을 보여주는 시각 자료.
* 빨간색: 규조류 (큰 식물성 플랑크톤, 규산염 필요)

  • 노란색: 편모조류 (다른 큰 식물성 플랑크톤)
  • 녹색: 프로클로로코쿠스 (질산을 사용할 수 없는 작은 식물성 플랑크톤)
  • 청록색: 시네코코쿠스 (다른 작은 식물성 플랑크톤)

불투명도는 탄소 생물량의 농도를 나타낸다. 소용돌이와 필라멘트는 해양의 높은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97][98]]]

3. 1. 해조류와의 관계

일반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과 해조류의 증식은 경쟁 관계에 있다. 비교적 흐름이 잔잔하고 영양염이 충분한 경우, 식물성 플랑크톤이 번식하기 쉽다. 표층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이 번식하면 투명도가 낮아져 해저 등에 서식하는 해조류가 광합성을 할 수 없게 된다.[87] 흐름이 빠르고 영양염이 부족하기 쉬운(식물성 플랑크톤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해조류가 번식하기 쉽다.

4. 다양성

식물성 플랑크톤이라는 용어는 수생 먹이 그물에서 모든 광합성 독립영양 미생물을 포괄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독립영양 생물이 식물인 육상 군집과는 달리, 식물성 플랑크톤은 원생생물 진핵생물세균고세균 원핵생물을 모두 포함하는 다양한 그룹이다. 알려진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 종은 약 5,000종이 있다.[35] 자원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생태적 지위 분화를 제한) 이러한 다양성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는 불분명하다.[36]

수적으로 볼 때, 식물성 플랑크톤의 가장 중요한 그룹은 규조류, 시아노박테리아 및 와편모조류를 포함하지만, 다른 많은 조류 그룹도 존재한다. 한 그룹인 코콜리토포리드는 상당한 양의 다이메틸 설파이드 (DMS)를 지구 대기로 방출하는 데 부분적으로 기여한다. DMS는 산화 환원되어 황산을 형성하며, 주변 에어로졸 입자 농도가 낮은 지역에서 대부분의 경우 증가된 구름 덮개와 구름 알베도를 초래하는 구름 응결 핵의 개체수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소위 CLAW 가설에 따른다.[37][38] 서로 다른 유형의 식물성 플랑크톤은 다양한 생태계 내에서 서로 다른 영양 단계를 지원한다. 사르가소 해나 남태평양 환류와 같은 빈영양 해양 지역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 피코플랑크톤과 나노플랑크톤(피코편모류 및 나노편모류라고도 함)과 같은 작은 크기의 세포가 지배하며, 대부분 시아노박테리아(''프로클로로코쿠스'', ''시네코코쿠스'')와 ''마이크로모나스''와 같은 피코진핵생물로 구성된다. 용승이나 높은 육상 투입이 지배적인 더 생산적인 생태계 내에서 더 큰 와편모조류가 더 지배적인 식물성 플랑크톤이며 생물량의 더 큰 부분을 반영한다.[39]

5. 성장 전략

식물성 플랑크톤은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성장 전략으로 분류된다.


  • 생존자 (Survivors): 질소(N)와 인(P)의 비율(N:P 비율)이 30보다 높다. 자원 획득 능력이 뛰어나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성장을 유지할 수 있다.[45]
  • 번성자 (Bloomers): N:P 비율이 10보다 낮다.[45] 성장 속도가 빨라 자원이 풍부한 환경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지수 성장에 적합하다.
  • 일반주의자 (Generalists): N:P 비율이 레디필드 비와 유사하다. 자원 획득과 성장에 균형을 이루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러한 성장 전략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생존하고 번성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풍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식물성 플랑크톤은 여러 영양소에 결정적으로 의존한다. 이들은 주로 성장에 비교적 많은 양이 필요한 질산염, 인산염 또는 규산과 같은 대량 영양소이다. 표층 해양에서의 이용 가능성은 생물학적 펌프와 깊은 영양소가 풍부한 물의 용승 사이의 균형에 의해 결정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철(Fe), 망간(Mn), 아연(Zn), 코발트(Co), 카드뮴(Cd) 및 구리(Cu)와 같은 미량 금속에도 의존하며, 이는 성장 및 군집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18] 이러한 금속의 제한은 공동 제한 및 식물성 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19][20]

남극해와 같은 해양의 넓은 지역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종종 미량 영양소 의 부족으로 제한된다.[21] 이는 일부 과학자들이 철 비료를 인간이 생산한 이산화탄소 (CO2)가 대기에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옹호하게 했다.[22] 대규모 실험에서는 철(일반적으로 황산철과 같은 염의 형태)을 해양에 첨가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하고 대기 중 CO2를 해양으로 끌어들였다. 그러나 생태계를 조작하는 것에 대한 논란과 철 비료의 효율성 문제로 인해 이러한 실험은 늦춰졌다.[23][24] 해양 과학계는 잠재적인 해양 탄소 제거(mCDR) 접근 방식으로서 철 비료 연구에 대해 여전히 분열된 태도를 보이고 있다.[25][26]

식물성 플랑크톤은 생존을 위해 비타민 B에 의존한다. 해양의 특정 지역은 일부 B 비타민과 그에 상응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7]

인위적인 온난화가 전 세계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은 활발한 연구 분야이다. 수온, 수직적인 층상화 변화, 온도에 따른 생물학적 반응 속도, 대기 중 영양소 공급의 변화는 미래의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28][29]

NAAMES 연구는 오리건 주립 대학교NASA의 과학자들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한 5년간의 과학 연구 프로그램으로, 해양 생태계에서 식물성 플랑크톤 역학이 대기 에어로졸, 구름 및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식물성 플랑크톤 번식지 중 하나인 북대서양의 아북극 지역에 초점을 맞추었다. NAAMES는 연간 식물성 플랑크톤 주기의 특정 단계를 목표로 하여, 번식 형성 시기와 연간 번식 재창조를 유도하는 패턴에 대한 논쟁을 해결하고자 했다. 또한, NAAMES 프로젝트는 식물성 플랑크톤 번식 주기가 구름 형성과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일차 생산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의 양, 크기 및 구성을 조사했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포는 영양염의 분포에도 영향을 받는다. 영양염 중 용존 무기태 물질, 질산염, 인산염, 규산, 미량 금속 원소 등이 필요하며, 이 분포는 육지로부터의 유입이나 비, 해양 심층수 등의 저층수의 용승, 생물 펌프 등의 영향에 의한 것이다. 남극해 등의 HNLC 해역에서는 의 부족이 있다.[88]

7.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식물성 플랑크톤은 생물학적 펌프의 핵심 매개체이다. 변화하는 환경 조건에 대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반응을 이해하는 것은 미래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예측하는 데 필수적이다.[54] 온도, 일사량 및 영양염 농도는 이산화탄소와 함께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리학과 화학량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이다.[54] 식물성 플랑크톤의 화학량론 또는 원소 조성은 해양 먹이 사슬을 통해 영양 품질을 결정하고 에너지 흐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동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인 코페포드, 어류 및 새우와 같은 2차 생산자에게 매우 중요하다.[55] 기후 변화는 식물성 플랑크톤 군집을 크게 재구성하여 영양 단계 연쇄 반응으로 이어져 해양 먹이 그물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해양 내부로 운반되는 탄소량이 변경될 수 있다.[56][52]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위 그림은 해양 1차 생산인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성에 함께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 요인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이러한 모든 요인은 지구 변화로 인해 미래 해양에서 상당한 변화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57] 지구 온난화 시뮬레이션은 해양 온도 상승을 예측하며, 해양 성층화, 순환 및 구름 덮개와 해빙의 변화가 극적으로 변화하여 해양 표면에 대한 광 공급이 증가할 것이다. 또한, 물 기둥의 성층화 증가와 깊은 물에서 표면으로의 영양염 혼합 감소로 인해 해양 산성화 및 온난화와 함께 영양염 공급 감소가 예측된다.[58][52]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며, 유광층이라고 불리는 바다나 호수의 수면에서 생활한다. 광합성을 통해 식물성 플랑크톤은 이산화탄소를 "먹고", 산소를 생성한다. 지구상의 산소 유지에 큰 역할을 하며, 식물 전체의 산소 생산량의 약 절반을 담당하고 있다.[87]

해양의 경우, 해양 생물의 기초 생산을 담당하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투명도는 음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즉, 기초 생산이 높은(수산 자원량이 많은) 바다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많아 녹색 등으로 착색된 바다이며, 투명도는 낮은 바다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포는 영양염의 분포에도 영향을 받는다. 영양염 중 용존 무기태 물질, 질산염, 인산염, 규산, 미량 금속 원소 등이 필요하며, 이 분포는 육지로부터의 유입이나 비, 해양 심층수 등의 저층수의 용승, 생물 펌프 등의 영향에 의한 것이다. 남극해 등의 HNLC 해역에서는 의 부족이 있다.[88] 일반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이 체내로 섭취하는 영양소(레드필드 비)는 원소비로 O:C:N:Si:P:Fe = 212:106:16:15:1:0.001이다. 광합성에 따라 산소와 탄소는 이산화탄소나 물로부터 흡수한다. 또한, 규소는 해수에는 풍부(용존 규산염(SiOH4) 약 2mg/l)하게 있다. 이 때문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번식에 있어서 질소, 인, 철 등이 해수 중에 부족하기 쉽다. 인위적인 영향으로 다양한 배수의 유입이 큰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으며, 때로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대발생을 촉진하여, 그 때문에 투명도가 현저하게 상실되는 것을 적조녹조 등이라고 한다.

8. 식물성 플랑크톤의 역할

식물성 플랑크톤은 해양 먹이 사슬의 기초 생산자로서,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고 상위 영양 단계의 생물에게 에너지를 전달한다.[99][100] 이들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여 지구상의 산소 유지에 큰 역할을 하며, 지구 전체 산소 생산량의 약 절반을 담당한다.[87]

식물성 플랑크톤이 고정한 탄소는 대부분 해양과 담수 생물 먹이 그물의 기반이 된다.[99][100] 예를 들어, 식물성 플랑크톤은 크릴에게 먹히고, 크릴은 다시 수염고래에게 먹히는 먹이 사슬이 존재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대기 중 기체 조성, 무기 영양염 및 미량 원소 순환, 유기 물질의 이동 등 다양한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59] 광합성을 통해 고정된 탄소는 표층 해양에서 빠르게 재활용되거나, 일부는 심해로 이동하여 재광물화와 같은 변환 과정을 거친다.[59]

또한, 식물성 플랑크톤은 미생물 고리에도 기여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해양 먹이 그물의 기초이며, 다른 유기체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먹이를 만들기 때문에 첫 번째 영양 단계를 구성한다. 동물성 플랑크톤과 같은 유기체가 이러한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다른 유기체가 다시 이들을 먹는 방식으로 최고 포식자가 있는 네 번째 영양 단계까지 이어진다. 호흡, 데트리터스 및 용존 유기물로 인해 총 탄소의 약 90%가 영양 단계 사이에서 손실되는데, 이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박테리아가 수행하는 재광물화 과정과 영양염 순환이 효율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다.[60]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하는 동안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한다.[104] 일사량이 너무 높으면 광분해로 인해 죽을 수도 있지만, 다양한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있어 서로 다른 빛의 파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104][105] 식물성 플랑크톤 세포는 성장을 위해 강, 대륙성 풍화작용, 극지방의 해빙수가 녹은 물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는 영양소에 의존하고 용존유기탄소를 바다로 방출한다.[107]

식물성 플랑크톤은 동물성 플랑크톤, 어류 플랑크톤, 그리고 다른 종속영양생물의 먹이가 되기도 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분해되기도 한다.[107] 와편모충류와 같은 일부 식물성 플랑크톤 세포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해류에는 능동적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천천히 침하하여 죽은 세포와 쇄설물로 해저를 비옥하게 만든다.[107]

식물성 플랑크톤은 질산염, 인산염, 규산과 같은 미량영양소에 의존하며, 이들의 가용성은 생물학적 펌프와 영양소가 풍부한 심층수의 용승 사이의 균형에 의해 결정된다.[108] 남극해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철분 부족으로 인해 식물성 플랑크톤이 제한되기도 한다.[108]

9. 인위적 변화

온도 증가에 따른 식물성 플랑크톤 종 풍부도 증가


인간의 활동은 기후 변화, 해양 산성화, 부영양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식물성 플랑크톤 군집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85]

인위적인 온난화는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군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수온 상승, 수직적 층상화 변화, 영양소 공급 변화 등을 통해 미래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28][29] 특히, 해양 산성화는 탄산칼슘 껍질을 가진 코코스피어와 같은 식물성 플랑크톤에게는 치명적이다.[30][31]

지난 세기 동안 전 세계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 밀도가 감소했다는 일부 연구 결과가 있지만,[75] 이는 장기적인 데이터 부족과 방법론적 차이로 인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76][77][78][79] 반면,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했거나,[80] 특정 지역 또는 특정 그룹에서 변화가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81][82]

기후 변화로 인해 210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 증가하면, 일부 식물성 플랑크톤 모델은 종 풍부도 (주어진 지역 내 서로 다른 종의 수) 증가를 예측한다. 이는 해양 온도 상승과 관련이 있다. 또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포 지역이 극지방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해양 생태계와 어업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85]

10. 수산 양식에서의 활용

식물성 플랑크톤은 수산 양식과 해양 양식 모두에서 중요한 먹이원이다. 해양 양식에서는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해수 순환을 통해 유입되지만, 수산 양식에서는 직접 얻어 투입해야 한다. 수역에서 채취하거나 배양할 수 있지만, 채취 방법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윤충류 생산에 사용되며,[61] 윤충류는 다시 다른 유기체를 먹이는 데 사용된다. 또한, 진주, 조개, 대형 조개를 포함한 다양한 수산 양식 연체동물의 먹이로도 사용된다. 2018년 연구에서는 위성에서 얻은 해양 색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 세계 바다에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측면에서 자연 식물성 플랑크톤의 영양 가치를 추정하였고,[62] 식물성 플랑크톤의 칼로리 가치가 해양 지역과 시기에 따라 크게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62][63]

인공적인 조건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을 생산하는 것은 그 자체로 일종의 수산 양식이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다른 양식 생물의 먹이,[61] 수족관의 사육 무척추동물을 위한 영양 보충제 등 다양한 목적으로 배양된다. 배양 규모는 1L 미만의 소규모 실험실 배양에서 상업적 수산 양식을 위한 수만 리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61]

배양 규모에 관계없이 효율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특정 조건이 필요하다. 배양되는 플랑크톤의 대부분은 해양 플랑크톤이며, 비중 1.010~1.026의 해수를 배양 배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물은 생물학적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멸균되어야 하며, 오토클레이브에서 고온 처리하거나 자외선에 노출시켜 멸균한다. 플랑크톤의 성장을 돕기 위해 다양한 비료가 배양 배지에 첨가된다. 또한, 플랑크톤을 부유 상태로 유지하고 광합성을 위한 용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해 배양액을 통기하거나 교반해야 한다. 지속적인 통기 외에도 대부분의 배양액은 정기적으로 수동으로 혼합하거나 교반한다. 빛도 공급되어야 하는데, 조명의 색온도는 약 6,500K가 적절하지만, 4,000K에서 20,000K 이상까지도 사용 가능하다. 빛 노출 시간은 하루 약 16시간이 가장 효율적인 인공 주간 길이이다.[61]

참조

[1] 서적 Introductory Oceanography Academic Internet Publishers
[2] 논문 Phytoplankton in the Tara Ocean 2020-01-03
[3] 논문 Exploration of marine phytoplankton: from their historical appreciation to the omics era
[4] 웹사이트 The Effects of Turbulence on Phytoplankton https://ntrs.nasa.go[...] NTRS 2011-06-16
[5] 논문 The Mixoplankton Database (MDB): Diversity of photo-phago-trophic plankton in form, function, and distribution across the global ocean https://onlinelibrar[...] 2023-02-27
[6] 논문 Mixotrophic protists and a new paradigm for marine ecology: where does plankton research go now? https://academic.oup[...] 2019-07-26
[7] 논문 From webs, loops, shunts, and pumps to microbial multitasking: Evolving concepts of marine microbial ecology, the mixoplankton paradigm, and implications for a future ocean http://dx.doi.org/10[...] 2022-01-21
[8] NASA Modele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Global Ocean https://svs.gsfc.nas[...] 2015-09-30
[9] 웹사이트 MIT Darwin Project https://darwinprojec[...]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0] 논문 Biospheric primary production during an ENSO transition https://escholarship[...] 2001-03-30
[11] 뉴스 NASA Satellite Detects Red Glow to Map Global Ocean Plant Health http://www.nasa.gov/[...] NASA 2009-05-28
[12] 웹사이트 Satellite Sees Ocean Plants Increase, Coasts Greening http://www.nasa.gov/[...] NASA 2014-06-09
[13] 논문 Defining Planktonic Protist Functional Groups on Mechanisms for Energy and Nutrient Acquisition: Incorporation of Diverse Mixotrophic 2016-04-01
[14] 서적 Light and Photosynthesis in Aquatic Ecosystem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5] 논문 Adaptive divergence in pigment composition promotes phytoplankton biodiversity https://www.nature.c[...] 2004-11
[16] 논문 Changes in spectral quality of underwater light alter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https://onlinelibrar[...] 2021
[17] 간행물 Phytoplankton responses to marine climate change–an introduction https://link.springe[...] Springer 2018
[18] 논문 Feedback Interactions between Trace Metal Nutrients and Phytoplankton in the Ocean 2012-06-07
[19] 논문 Global analysis of ocean phytoplankton nutrient limitation reveals high prevalence of co-limitation 2023-08-17
[20] 논문 Processes and patterns of oceanic nutrient limitation https://www.nature.c[...] 2013-09
[21] 논문 The integral role of iron in ocean biogeochemistry https://www.nature.c[...] 2017-03
[22] 뉴스 Recruiting Plankton to Fight Global Warming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5-01
[23] 논문 Iron versus the Greenhouse: Oceanographers Cautiously Explore a Global Warming Therapy
[24] 논문 Next steps for assessing ocean iron fertilization for marine carbon dioxide removal 2024-09-09
[25] 웹사이트 Scientists Will Engineer the Ocean to Absorb More Carbon Dioxide https://www.scientif[...] 2024-10-21
[26] 논문 Predicting and verifying the intende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of large-scale ocean iron fertilization https://www.int-res.[...] 2008-07-29
[27] 웹사이트 Existence of vitamin 'deserts' in the ocean confirmed https://www.scienced[...] 2012-06-23
[28] 논문 Detection of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in satellite records of ocean chlorophyll and productivity
[29] 논문 Projected 21st century decrease in marine productivity: a multi-model analysis
[30] 논문 Evolutionary potential of marine phytoplankton under ocean acidification 2013-11-25
[31] 논문 Adaptive evolution of a key phytoplankton species to ocean acidification 2012-04-08
[32] 논문 Large-scale shifts in phytoplankton groups in the Equatorial Pacific during ENSO cycles 2011-03-04
[33] 논문 Influence of El Niño Southern Oscillation phenomenon on coastal phytoplankton in a mixohaline ecosystem on the southeastern of South America: Río de la Plata estuary http://sedici.unlp.e[...] 2015-09-15
[34] 논문 Influence of El Niño Southern Oscillation phenomenon on coastal phytoplankton in a mixohaline ecosystem on the southeastern of South America: Río de la Plata estuary http://sedici.unlp.e[...] 2015-09-15
[35] 서적 Manual on Harmful Marine Microalgae Unesco
[36] 논문 The Paradox of the Plankton
[37] 논문 Oceanic phytoplankton, atmospheric sulphur, cloud albedo and climate
[38] 논문 The case against climate regulation via oceanic phytoplankton sulphur emissions https://zenodo.org/r[...]
[39] 논문 The trophic roles of microzooplankton in marine systems
[40] 서적 James Johnstone Memorial Volume University Press of Liverpool
[41] 논문 Marine microorganisms and global nutrient cycles
[42] 논문 Influence of atmospheric pollution on nutrient limitation in the ocean
[43] 서적 Ecological Stoichiometry: The Biology of Elements from Molecules to the Biosphe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4] 논문 Phytoplankton growth and stoichiometry under multiple nutrient limitation
[45] 논문 Optimal nitrogen-to-phosphorus stoichiometry of phytoplankton
[46] 간행물 "Student's tutorial on bloom hypotheses in the context of phytoplankton annual cycles"
[47] 논문 The North Atlantic Aerosol and Marine Ecosystem Study (NAAMES): Science Motive and Mission Overview 2019-03-22
[48] 논문 The Ocean's Vital Skin: Toward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Sea Surface Microlayer 2017-05-30
[49] 논문 Resurrecting the Ecological Underpinnings of Ocean Plankton Blooms 2014-01-03
[50] 웹사이트 NAAMES: Science - Objectives https://web.archive.[...] Langley Research Center, NASA 2020-06-06
[51] 간행물 "Global pattern of phytoplankton diversity driven by temperature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52] 논문 Living in a high CO2world: Impacts of global climate change on marine phytoplankton
[53] 논문 Phytoplankton as Key Mediators of the Biological Carbon Pump: Their Responses to a Changing Climate
[54] 논문 Marine phytoplankton stoichiometry mediates nonlinear interactions between nutrient supply, temperature, and atmospheric CO2
[55] 논문 Interactive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and Nitrogen-Limitation on the Diatom Phaeodactylum tricornutum
[56] 논문 Phytoplankton adapt to changing ocean environments
[57] 논문 Productivity of aquatic primary producers under global climate change
[58] 논문 Response of ocean ecosystems to climate warming
[59] 서적 YOUMARES 9 - the Oceans: Our Research, Our Future
[60] 서적 Biologic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http://worldcat.org/[...] Elsevier Science 1997-05-16
[61] 문서 McVey, James P., Nai-Hsien Chao, and Cheng-Sheng Lee. CRC Handbook of Mariculture Vol. 1 : Crustacean Aquaculture. New York: CRC Press LLC, 1993.
[62] 논문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in the world oceans from satellite ocean colour 2018-02-12
[63] 뉴스 Nutrition study reveals instability in world's most important fishing regions https://phys.org/new[...]
[64] 논문 Climate-mediated dance of the plankton
[65] 논문 Marine phytoplankton and the changing ocean iron cycle
[66] 논문 Importance of iron for plankton blooms and carbon dioxide drawdown in the Southern Ocean
[67] 논문 Mesoscale Iron Enrichment Experiments 1993-2005: Synthesis and Future Directions https://pure.rug.nl/[...] 2020-10-29
[68] 논문 Revaluating ocean warming impacts on global phytoplankton
[69] 논문 Annual boom–bust cycles of polar phytoplankton biomass revealed by space-based lidar
[70] 논문 Climate-driven trends in contemporary ocean productivity
[71] 논문 Elevated CO2 enhances nitrogen fixation and growth in the marine cyanobacterium Trichodesmium
[72] 논문 Contrasting effects of rising CO2 on primary production and ecological stoichiometry at different nutrient levels https://pure.knaw.nl[...]
[73] 논문 Temperature dependence of CO2-enhanced primary production in the European Arctic Ocean
[74] 논문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Microorganisms and climate change
[75] 논문 Global phytoplankton decline over the past century
[76] 논문 Does blending of chlorophyll data bias temporal trend?
[77] 논문 A measured look at ocean chlorophyll trends https://zenodo.org/r[...]
[78] 논문 Is there a decline in marine phytoplankton?
[79] 논문 Boyce et al. Reply
[80] 논문 Bridging ocean color observations of the 1980s and 2000s in search of long-term trends
[81] 논문 Trends in Ocean Colour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 from 1889 to 2000, Worldwide
[82] 논문 Recent decadal trends in global phytoplankton composition
[83] 웹사이트 Sea Ice Index https://nsidc.org/da[...] 2020-10-30
[84] 논문 Microbial growth in the polar oceans – role of temperature and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85] 논문 Major restructuring of marine plankton assemblages under global warming 2021-09-01
[86] 서적 Introductory Oceanography Prentice Hall College
[87] 웹사이트 NASA Earth Observatory - Satellite sees ocean plants increate http://earthobservat[...]
[88] 뉴스 Recruiting Plankton to Fight Global Warming https://www.nytimes.[...] 2007-05-01
[89] 간행물 Harmful algal blooms: a global overview UNESCO
[90] 논문 The paradox of the plankton
[91] 서적 Introductory Oceanography Academic Internet Publishers
[92] 간행물 "Phytoplankton in the Tara Ocean" 2020-01-03
[93] 간행물 "The Effects of Turbulence on Phytoplankton" https://ntrs.nasa.go[...] NTRS 2011-06-16
[94] 웹사이트 Modele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Global Ocean https://svs.gsfc.nas[...] 2015-09-30
[95] 간행물 "Genomic Insights into Marine Microalgae"
[96] 웹사이트 "What are phytoplankton" https://earthobserva[...]
[97] 웹인용 Hyperwall: Modele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Global Ocean https://svs.gsfc.nas[...] 2022-04-27
[98] 웹인용 MIT Darwin Project {{!}} Modeling Marine Microbes https://darwinprojec[...] 2022-04-27
[99] 웹인용 NASA - NASA Satellite Detects Red Glow to Map Global Ocean Plant Health https://www.nasa.gov[...] 2022-04-27
[100] 웹인용 NASA - Satellites See Ocean Plants Increase, Coasts Greening https://www.nasa.gov[...] 2022-04-27
[101] 저널 Phytoplankton in the Tara Ocean https://www.annualre[...] 2022-04-27
[102] 저널 Defining Planktonic Protist Functional Groups on Mechanisms for Energy and Nutrient Acquisition: Incorporation of Diverse Mixotrophic Strategies https://www.scienced[...] 2016-04-01
[103] 저널 Phytoplankton Responses to Marine Climate Change – An Introduction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104] 서적 Light and Photosynthesis in Aquatic Ecosystem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05] 저널 Adaptive divergence in pigment composition promotes phytoplankton biodiversity https://www.nature.c[...] 2004-11
[106] 저널 Changes in spectral quality of underwater light alter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https://onlinelibrar[...] 2021-09
[107] 저널 Phytoplankton Responses to Marine Climate Change – An Introduction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108] 뉴스 Recruiting Plankton to Fight Global Warming https://www.nytimes.[...] 2007-05-01
[109] 저널 Iron versus the Greenhouse https://www.jstor.or[...] 1995
[110] 간행물 Harmful algal blooms: a global overview https://unesdoc.unes[...] Unesco 2003
[111] 저널 The Paradox of the Plankton https://www.semantic[...] 1961
[112] 저널 Oceanic phytoplankton, atmospheric sulphur, cloud albedo and climate https://www.nature.c[...] 1987
[113] 저널 The case against climate regulation via oceanic phytoplankton sulphur emissions https://www.nature.c[...] 2011
[114] 저널 The trophic roles of microzooplankton in marine systems https://academic.oup[...] 20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