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쑤기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쑤기미는 농어목 쑤기미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한국, 일본 등 북서태평양 일대에 분포한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연안의 모래진흙에 서식하며 새우, 갑각류 등을 먹는다. 몸길이는 약 20cm이며, 등지느러미 가시에는 독샘이 있다. 한국 민간 신앙에서는 산의 신에게 제물로 바쳐지기도 했으며, 일본에서는 고급 식재료로 사용되어 생선회, 국물 등으로 요리된다. 최근 개체 수 감소로 인해 양식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쑤기미과 - 스톤피쉬
    스톤피쉬는 인도양과 태평양에 서식하며 위장술과 독성을 가진 물고기로, 식용 및 관상어로 이용되나 독성으로 인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어 보호 노력이 요구되고, 문화적으로 은밀함 등을 상징한다.
  • 쑤기미과 - 에스크메이에르 넥수스
    에스크메이에르 넥수스는 얕은 바다 등에 서식하며 윌리엄 N. 에스크메이에르의 이름을 딴 쑤기미과의 어류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 1829년 기재된 물고기 - 볼락
    볼락은 쏨뱅이목 양볼락과의 어류로 한국 남부와 일본 연안에 서식하며 몸 색깔이 다양하고 과거 단일 종으로 취급되었으나 현재는 아카메바루, 시로메바루, 쿠로메바루 3종을 총칭하는 인위 분류군으로 식용 및 낚시 대상어로 이용된다.
  • 1829년 기재된 물고기 - 금눈돔
    금눈돔은 전 세계 아열대 및 온대 해역 심해에 서식하는 저층 회유성 어류의 한 종으로, 상업적으로 어획되지만 육량이 적어 금눈돔에 비해 시장 가치가 낮아 IUCN에 의해 관심대상으로 분류된다.
쑤기미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Inimicus japonicus
Inimicus japonicus
학명Inimicus japonicus (Cuvier, 1829)
화석 범위현재
한국어 이름쑤기미 (오니오코제)
영어 이름Devil stinger, Demon stinger, Goblinfish, Sea Goblin, Spiny devilfish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아강신기아강
상목극기상목
미분류에우페르카리아류
농어목
아목양볼락아목
쑤기미과 (또는 후사카사고과(쏨뱅이과))
아과오니오코제아과
오니오코제속
쑤기미 (I. japonicus)

2. 명칭

쑤기미는 지방마다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통영군 봉암도 일대에서는 쑤기미, 거제도 성포에서는 쑥쑤기미, 여수에서는 쐬미, 통영에서는 창쑤기미 혹은 바다쑤기미, 제주에서는 미역치, 몽금포에서는 범치라고 불린다.[7] 대천에서는 노랑범치라고도 불린다.[8]

정약전의 『자산어보』에서는 손치어 혹은 석어, 중국에서는 노호어(老虎魚), 일본에서는 오니오코제(オニオコゼ, 鬼鰧 혹은 鬼虎魚) 혹은 오코제(オコゼ, 鰧 혹은 虎魚)라고 불린다.[9]

3. 분포 및 생태

쑤기미는 북서태평양 일대에 분포하며, 대한민국 전 연안, 일본 연안, 동중국해, 남중국해에 서식한다.[10] 해외에서는 일본 중부 이남, 동중국해 및 남중국해, 말라야 군도, 인도양 홍해 및 남양 군도, 하와이 등에 서식한다.[11] 일본의 경우 간토(關東) 지방 이남 태평양 일대, 니이가타(新潟) 현 이남 동해 일대 및 동중국해(東中國海) 일대에 분포하는 난류성 어종이다.[12]

연안성 어종으로 내만으로부터 수심 200m까지의 모래진흙에 주로 서식하며, 새우류, 갑각류,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산다.[13] 얕은 바다에 서식하며, 서식 범위는 연안에서 수심 200m까지[2]이다. 저서 생물이며, 보통은 헤엄치지 않고 해저에 숨어 지내며, 수수한 체색을 이용하여 모래나 돌에 의태한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 등을 매복하여 재빨리 포식한다.

4. 형태

몸길이는 약 20cm이며, 몸통은 가늘고 길다. 몸 색깔은 서식 환경에 따라 바뀌는데, 연안에 사는 것은 흑갈색이나 유백색을 띠고, 깊은 곳에 사는 것은 적색이 강하며, 심해에서는 황색을 띤다.[14] 이빨은 없지만 이빨띠가 있으며, 등에는 독이 있는 가시가 있다.[15] 등지느러미는 17개의 가시[15], 16-18개의 가시줄과 5-8개의 연조로 구성된다.[2] 뒷지느러미에는 가시 2개, 배지느러미에는 가시가 1개 있다.[15] 비늘은 없으며 옆줄에는 15-17개의 돌기가 있다.[15]

체색은 갈색 계통이 많지만, 주황색 등 색채 변이가 풍부하다.[4] 입은 위쪽을 향해 있다. 다른 쏨뱅이류처럼 체표에 사마귀나 덩굴 모양의 돌기가 발달하여 피부가 벗겨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3] 이러한 생김새는 "오코(추한 것) + 제(어명 어미)"라는 오코제의 어원이 되었다.[3] 보통 몸길이는 20cm 정도지만, 최대 29cm까지 자란다.[3] 등지느러미 가시에는 독샘이 있어 찔리면 심한 통증을 느낀다.[2] 등지느러미 연조 형태, 지느러미 막의 틈새 모양으로 근연종인 세토오니오코제, 히메오니오코제와 구별할 수 있다.[2]

5. 한국 민간 신앙

쑤기미의 건어물을 산의 신에게 제물로 바치는 풍습이 있었다. 산의 신은 흉하고 질투심이 많은 여신이었지만, 자신보다 흉한 쑤기미의 얼굴을 보면 안심하고 잠잠해진다고 한다.[5]

미나카타 구마구스는 수필 『산의 신은 쑤기미를 좋아한다』에서 이 사실을 언급했다. 와카야마현 남부에는 쑤기미를 산의 신에게 바쳐서 이득을 본 전승이 몇 가지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산 속에서 나무를 벌채했지만 강수량이 적어서 운반할 수 없었을 때, 쑤기미를 바치자 폭우가 내려서 운반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휴가 지방에서는 사냥꾼이 쑤기미를 가지고 다니며 빌면 멧돼지를 잡을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5]

미에현오와세시 야하마 지역 가쓰라야마 산중에서 매년 2월 7일에 열리는 "야마노카미코(山ノ神講)"에서는 산의 신과 바다의 신이 수하의 수를 겨룬 결과, 쑤기미 덕분에 바다의 신이 이겼다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산의 신의 기분을 달래기 위해 쑤기미를 잡아 산의 신에게 보여주는 것으로 풍작을 기원하게 되었다고 한다.

6. 식용

일본 요리에서는 생선회, 가라아게, 국물 등에 이용된다.[2] 매우 맛있을 뿐만 아니라, 먹을 수 있는 부위가 적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고급 어종으로 취급된다.

최근 개체수가 줄어들어, 가가와현 등에서는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7. 쑤기미 양식

일본 요리에서는 생선회, 가라아게, 국물 등에 쑤기미가 이용된다.[2] 매우 맛있을 뿐만 아니라, 먹을 수 있는 부위가 적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고급 어종으로 취급된다.[2]

최근 개체수가 줄어들어, 가가와현 등에서는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2] 서적 日本の海水魚
[3] 웹사이트 "Inimicus japonicus" http://www.fishbase.[...] FishBase 2014-05-13
[4] 웹사이트 全身オレンジ色のオニオコゼが来館者の人気者に 鳥取市の水族館「とっとり賀露かにっこ館」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08-06
[5] 문서 남방전집
[6] FishBase 종
[7] 백과사전 e뮤지엄 제공 네이버 백과사전 '쑤기미' 항목 https://m.terms.nave[...]
[8] 백과사전 두산백과 제공 네이버 백과사전 '쑤기미' 항목 https://m.terms.nave[...]
[9] 백과사전 두산백과 제공 네이버 백과사전 '쑤기미' 항목 https://m.terms.nave[...]
[10] 웹사이트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http://www.nifs.go.k[...]
[11] 백과사전 e뮤지엄 제공 네이버 백과사전 '쑤기미' 항목 https://m.terms.nave[...]
[12] 위키 일본 위키 참조
[13] 웹사이트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http://www.nifs.go.k[...]
[14] 백과사전 e뮤지엄 제공 네이버 백과사전 '쑤기미' 항목 https://m.terms.nave[...]
[15] 백과사전 e뮤지엄 제공 네이버 백과사전 '쑤기미' 항목 https://m.terms.na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