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곤 (발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곤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작곡한 발레 작품이다. 1953년 12월에 작곡을 시작하여 1957년 4월에 완성되었으며, 같은 해 6월 17일 로버트 크래프트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발레는 조지 발란신이 안무했으며, 1957년 12월 1일 뉴욕 시티 발레단에 의해 초연되었다. 이 작품은 스트라빈스키가 12음 기법을 사용한 초기 작품 중 하나이며, 12진법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곤은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 트럼펫, 트롬본, 하프, 피아노, 만돌린, 팀파니, 실로폰 등 다양한 악기로 구성된 대규모 오케스트라를 위해 작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작품 - 시편 교향곡
시편 교향곡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시편 150편을 가사로 사용하고 옥타토닉 음계와 푸가 기법을 활용하며 대규모 합창단과 관현악을 위해 작곡되었다.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작품 - 불새 (발레)
불새는 러시아 민담을 바탕으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작곡하고 미하일 포킨이 안무한 발레 작품으로, 1910년 파리에서 초연되어 스트라빈스키를 세계적인 작곡가로 만들었다. - 발레 작품 - 백조의 호수
백조의 호수는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가 작곡한 4막의 발레 작품으로, 오데트 공주와 지그프리트 왕자의 사랑을 통해 저주가 풀리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흑조 오딜과 백조 오데트의 1인 2역과 백조들의 군무로 유명하다. - 발레 작품 - 호두까기 인형
《호두까기 인형》은 호프만의 소설을 뒤마가 각색한 발레로, 차이콥스키 음악과 프티파 안무로 초연되어 소녀 클라라의 꿈 속 모험과 과자 나라를 배경으로 하며, 현재는 크리스마스 발레로 인기를 얻고 있지만 인종차별적 묘사 논란으로 수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아곤 (발레)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아곤 |
원어 제목 | ἀγών (고대 그리스어) |
창작 정보 | |
장르 | 고전 발레 |
작곡가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무가 | 조지 발란신 |
공연 정보 | |
초연일 | 1957년 12월 1일 |
초연 장소 | 뉴욕 시 음악 및 드라마 센터, 뉴욕 |
초연 단체 | 뉴욕 시티 발레단 |
초연 출연진 | 토드 볼렌더 |
2. 작곡 배경 및 초연
뉴욕 시티 발레단의 링컨 커스틴의 위촉을 받아 스트라빈스키는 1953년 12월에 《아곤》 작곡을 시작했다.[5] 그러나 《딜런 토머스 추모곡》(1954년) 및 《칸티쿰 사크룸》(1955년) 작곡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1956년 8월 베네치아에서 작곡을 재개했지만, 그 사이 스트라빈스키의 음악 어법이 크게 변화하여 이미 작곡한 부분도 수정해야 했다.[6][7] 같은 해 10월부터 다음 달에 걸쳐 혈전증으로 입원하면서 작곡은 다시 중단되었고,[7] 1957년 4월 말에 완성되었다.
1957년 6월 17일, 스트라빈스키의 75세 생일을 기념하는 공연에서 로버트 크래프트의 지휘로 콘서트 형식으로 초연되었다.[8] 발레 초연은 조지 발란신의 안무로 같은 해 12월 1일 뉴욕에서 뉴욕 시티 발레단에 의해 이루어졌다.
2. 1. 초연 당시 캐스팅
무용수 |
---|
토드 볼렌더 |
바바라 밀버그 |
바바라 왈착 |
로이 토비아스 |
조나단 와츠 |
멜리사 헤이든(무용가) |
다이애나 아담스 |
아서 미첼(무용가) |
《아곤》은 스트라빈스키가 음렬주의 기법을 사용한 초기 작품 중 하나로, 두 번째 코다(185마디)에서 12음 음렬을 사용했다. 스트라빈스키는 이전에도 17음 음렬(104–107마디)을 사용하는 등 음렬 기법을 실험했으며, 스케치에서 이 두 음렬 간의 밀접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2]
3. 음악적 특징
중앙 부분에서는 사라방드, 가이야르드, 브랑르와 같은 옛 춤곡 형식을 차용했다. 이는 스트라빈스키에게 17세기 프랑수아 드 로즈의 댄스 교본을 참고하도록 한 커스틴의 영향이었다.[2]
부분적으로 12음 기법이 사용되었지만, 비교적 듣기 쉬운 음악으로 평가받는다. '12'라는 숫자가 작품 전체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되었는데, 12개의 곡이 전주곡과 2개의 간주곡으로 구분되어 3곡씩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용수 역시 12명(남자 4명, 여자 8명)으로 구성되었다.[3]
음렬은 A-G-G♯-F♯-F-E♭-D-C-C♯-B-E-B♭이며, 제11음을 제외하면 인접하는 음끼리 모두 온음 또는 반음의 음정을 갖는다. 특히 처음 10개의 음은 제2음과 제9음을 제외하면 반음과 온음이 교대로 나타나 팔음 음계의 하강형 그 자체이다.[4]
3. 1. 형식
스트라빈스키는 이 발레를 12진법 형식으로 구성했으며, 각 4개의 대규모 섹션은 세 개의 춤으로 구성된다. 전주곡과 두 개의 간주곡은 대규모 섹션 사이에 나타나지만, 그 기능이 휴지적이고 보상적이므로 12부분으로 구성된 디자인에 근본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전주곡과 2개의 간주곡은 거의 같은 내용이다.
파 드 되는 특히 길고 복잡한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후의 2곡은 매우 짧고, 마지막에 처음에 나왔던 특징적인 팡파르가 다시 등장한다.
3. 2. 음렬 기법
스트라빈스키는 이 작품에서 12음 음렬을 사용한 최초의 작품 중 하나였다. 다양한 음렬이 사용되었으며, 육음음형이 독립적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사용된 음렬은 A-G-G♯-F♯-F-E♭-D-C-C♯-B-E-B♭이며, 제11음을 제외하면 인접하는 음끼리 모두 온음 또는 반음의 음정을 갖는다. 특히 처음 10개의 음은 제2음과 제9음을 제외하면 반음과 온음이 교대로 나타나 팔음 음계의 하강형 그 자체이다.[4]
4. 악기 편성
악기군 | 악기 |
---|---|
목관악기 | 피콜로, 플루트 3,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2,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2, 콘트라바순 |
금관악기 | 호른 4, 트럼펫 4, 트롬본 3 (테너 2, 베이스 1) |
타악기 | 팀파니, 톰톰, 실로폰, 캐스터네츠 |
건반악기 | 피아노 |
현악기 | 하프, 만돌린, 현악 5부 |
5. 참고: 이탈리아 공연 (1965)
1965년 이탈리아에서 《아곤》이 공연되었을 때,[1] 스트라빈스키는 만돌린 연주자 주세페 아네다의 연주에 특히 만족했다. 스트라빈스키는 아네다에게 "브라보 만돌리노!"라고 외치며 그를 따라가 축하하고 악수를 했다.[2]
참조
[1]
서적
Stravinsky: The Second Exile (France and America, 1934–1971)
Alfred A. Knopf
[2]
문서
Homans (2011) p.527
[3]
문서
White (1979) pp.490-491
[4]
문서
Straus (2001) p.94
[5]
문서
White (1979) pp.135
[6]
문서
White (1979) pp.491-492
[7]
문서
クラフト(1998) p.213
[8]
문서
White (1979) p.490
[9]
문서
クラフト(1998) p.227
[10]
간행물
50 Years Ago, Modernism Was Given a Name: ‘Ago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7-11-25
[11]
문서
『20世紀ダンス史』pp.354-3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