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11번째 왕으로, 기원전 359년부터 기원전 338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시리아 반란 진압에 기여하고, 아버지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는 이집트를 재정복하고 서부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는 등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말년에 환관 바고아스에게 독살되었다. 그의 묘소는 페르세폴리스에 있으며, 이집트 재정복과 페르세폴리스 건축 사업을 통해 강력한 군사 지도자이자 정복자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38년 사망 - 이소크라테스
이소크라테스는 기원전 4세기 아테네에서 수사학 학교를 설립하여 영향력을 행사한 고대 그리스의 수사학자이자 교육자, 작가로, 실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중시하는 수사학 교육을 통해 많은 제자를 배출했으며, 수사학을 철학적 사고와 윤리적 책임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능력으로 보았다. - 기원전 338년 사망 - 상앙
상앙은 위나라 출신의 법가 사상가이자 진나라의 개혁가로, 효공의 신임을 얻어 법률 제도를 개혁하여 능력주의를 강조하고 중앙집권화 및 군사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혜문왕에 의해 처형당했다. - 이집트 제31왕조의 파라오 - 다리우스 3세
다리우스 3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베소스에게 살해당하여 아케메네스 왕조를 멸망시킨 인물이다. - 이집트 제31왕조의 파라오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4세 아르세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4세 아르세스는 기원전 338년부터 336년까지 페르시아 제국을 통치한 아케메네스 왕조의 군주로, 불안정한 통치와 바고아스에 의한 암살로 페르시아 제국 쇠퇴를 가속화했다. - 살해된 기원전 4세기 군주 - 필리포스 2세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으로, 군사적 재능과 외교적 수완으로 마케도니아를 그리스 최강의 국가로 만들고 그리스 대부분을 정복하여 패권을 장악했으며, 군사 개혁과 정복 활동, 코린토스 동맹 결성으로 그리스 패권을 확립하고 페르시아 원정을 계획했으나 암살당했다. - 살해된 기원전 4세기 군주 - 다리우스 3세
다리우스 3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베소스에게 살해당하여 아케메네스 왕조를 멸망시킨 인물이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
다른 이름 | 오쿠스 |
페르시아어 표기 | اردشیر |
고대 페르시아어 표기 | 𐎠𐎼𐎫𐎧𐏁𐏂𐎠 |
그리스어 표기 | Ὦχος (Ochos) Ἀρταξέρξης (Artaxerxes) |
![]() | |
통치 | |
칭호 | 페르시아의 샤한샤 이집트의 파라오 |
재위 기간 | 기원전 359/8년 – 기원전 338년 |
선임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
후임 | 아르세스 |
이집트 파라오 재위 기간 | 기원전 340/39년 – 기원전 338년 |
이집트 선임 | 넥타네보 2세 |
이집트 후임 | 아르세스 |
개인 정보 | |
출생명 | 오쿠스 |
사망일 | 기원전 338년 8월/9월 |
매장지 | 페르세폴리스 |
자녀 | 아르세스 |
왕조 | |
왕가 | 아케메네스 왕조 |
아버지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
어머니 | 스타테이라 |
종교 | 조로아스터교 |
2. 이름
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고대 페르시아어에 따르면 페르시아 왕 이름의 그리스어 형태로,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의 세 명의 왕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 페르시아어 원형은 아르타크샤사(''Arta-xšassa'' - : 명사 어간 형태)로 ‘하늘의 법칙에 속하는 나라의 주인’을 의미한다.[1] 그리스어 표기에서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왕 이름인 ''크세르크세스''(원형은 크샤야 야르은으로 “장사, 남자를 지배하는 자”를 의미한다)에 접두사를 붙인 파생형 인명과 오인되기 쉽다.[3]
아르타크세르크세스la는 라틴어로, 그리스어 ''아르타크세르크세스''(Αρταξέρξης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고대 페르시아어 ''Artaxšaçā''("진리를 통해 통치하는 자")에서 파생되었다.[2] 그의 개인 이름은 ''오쿠스''(그리스어: Ὦχοςgrc ; 바빌로니아어: 𒌑𒈠𒋢 )였다.[2]
다른 언어로는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2]
- 엘람어: ''Ir-tak-ik-ša-iš-ša'', ''Ir-da-ik-ša-iš-ša''
- 아카드어: ''Ar-ta-ʾ-ḫa-šá-is-su''
- 중세 페르시아어: ''Ardaxšēr''
- 신 페르시아어: ''Ardašīr''
3. 생애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왕자 시절부터 군사적 재능을 보였다. 기원전 368년부터 기원전 358년까지 시리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기원전 359년에 즉위한 후에는 왕위를 위협할 수 있는 형제들을 제거했다.[5]
즉위 직후, 카스피해 연안의 카두시이 족을 토벌하고 왕국 서부의 사트라프들과 전투를 벌였다.[3] 기원전 351년에는 이집트를 공격하여 예루살렘, 시리아, 페니키아, 키프로스까지 세력을 넓혔으나, 기원전 348년에 예루살렘과 시리아를, 기원전 342년에는 이집트를 다시 페르시아의 지배하에 통합시켰다.
이러한 군사적 성공은 그리스인들의 페르시아에 대한 행동을 제한했고, 그리스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 2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와의 연합을 모색하기도 했다.
그러나 기원전 338년 말,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환관 출신 장관 바고아스에게 아들들과 함께 독살당하고 페르세폴리스의 묘소에 안장되었다.[10] 바고아스는 아르세스를 왕위에 올렸으나, 아르세스 또한 바고아스에게 살해당했다. 왕족 중에서는 다리우스 3세만이 유일하게 살아남아, 아케메네스 왕조는 사실상 멸망하게 되었다.
3. 1. 초기 생애 및 즉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와 그의 아내 스타테이라 사이에서 태어난 적자였다.[3] 왕자 시절부터 군 지휘관으로서 재능을 발휘하여 기원전 368년에서 기원전 358년까지 시리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4] 기원전 359년에 아버지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즉위와 동시에 왕위를 위협할 우려가 있는 형제들을 몰살시켰다.[5]3. 2. 통치 및 군사 원정
기원전 359년 아버지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즉위 직후 카스피해 연안의 카두시이족을 토벌하고, 서부 지역에서 반란을 일으킨 사트라프들과 맞서 싸웠다.[3]기원전 356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서부 아나톨리아의 모든 사트라프(총독)들에게 용병 부대를 해산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사트라프들의 힘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모든 사트라프는 그의 명령을 따랐지만, 헬레스폰투스 프리지아의 사트라프 아르타바조스 2세는 반란을 일으켰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아우토프라다테스등의 사트라프를 보내 반란을 진압하게 했으나, 아르타바조스는 아테네와 테베의 지원을 받아 이들을 격파했다. 결국 아르타바조스는 마케도니아 왕국으로 망명했다.[4]
기원전 351년, 이집트 원정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집트 패배 직후, 페니키아, 아나톨리아, 키프로스는 페르시아의 지배에서 독립을 선언했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카리아의 왕자 이드리에우스에게 키프로스 반란 진압을 맡겼고, 이드리에우스는 이를 성공시켰다.[4]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시돈을 상대로 반격을 시작하여, 시리아의 사트라프 벨레시스와 킬리키아 사트라프 마자이오스에게 시돈을 침공하고 페니키아인들을 감시하라고 명령했다.[5] 그러나 두 사트라프는 시돈의 왕 테네스에게 패배했다.[4]

이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33만 명의 군대를 직접 이끌고 시돈으로 진격했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의 군대는 보병 30만 명, 기병 3만 명, 삼단 노선 300척, 수송선 또는 보급선 500척으로 구성되었다.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지원을 거부했지만, 테베, 아르고스, 아나톨리아의 그리스 도시에서 온 1만여 명의 그리스 지원군을 얻었다.
테네스는 페르시아 왕에게 사면을 요청하고 도시 방어선 안으로 들였으나, 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그를 처형하고 도시를 불태웠다. 이 과정에서 4만 명이 사망했다.[4] 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폐허를 투기꾼들에게 높은 가격에 팔았고, 테네스는 나중에 처형되었다.[7] 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반란을 지지한 유대인들을 히르카니아로 보냈다.[8][9]
기원전 342년, 이집트를 재정복하고 페르시아의 지배하에 두었다.
3. 3. 이집트 재정복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직접 33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시돈으로 진격했다. 이 군대는 보병 30만 명, 기병 3만 명, 삼단 노선 300척, 수송선 또는 보급선 500척으로 구성되었다. 군대를 모은 후, 그리스인들의 지원을 구했으나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지원을 거부했다. 그러나 테베 중무장 호플리테스 1천 명, 아르고스인 3천 명, 아나톨리아의 그리스 도시들(아이올리아인, 이오니아인, 도리아인)에서 온 6천 명을 얻는 데 성공했다. 이 그리스 지원군은 수적으로 1만 명을 넘지 않아 소규모였지만, 이집트 출신 그리스 용병들과 함께 원정의 성공에 큰 영향을 주었다.아르타크세르크세스가 접근하자 테네스는 자신의 사면을 받기 위해 시돈의 주요 시민 100명을 페르시아 왕에게 넘기고 도시 방어선 안으로 인도했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100명의 시민들을 창으로 꿰뚫었고, 500명이 더 자비를 구걸하러 나오자 같은 운명을 내렸다. 이후 시돈은 불에 타 무너졌고, 4만 명이 화재로 사망했다.[4] 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투기꾼들에게 폐허를 높은 가격에 팔았고, 그들은 재를 파헤쳐 보물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계산했다.[6] 테네스는 나중에 아르타크세르크세스에 의해 처형되었다.[7] 또한, 반란을 지지한 유대인들을 카스피해 남쪽 해안의 히르카니아로 보냈다.[8][9]
3. 4. 말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이집트 정복 이후,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 발생한 반란을 진압하며 통치를 강화했다. 이오니아와 리키아 지역에서 페르시아의 영향력을 회복하고, 에게 해와 지중해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했다.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의 세력 확장에 대응하여 페르시아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기원전 356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헬레스폰투스 프리지아의 사트라피에서 아르타바조스 2세를 해임하려 했고, 이는 아르타바조스의 반란으로 이어졌다. 아르타바조스는 아테네와 테베의 지원을 받았으나, 결국 반란은 진압되었고 아르타바조스는 마케도니아로 도망쳤다.[10]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이집트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기원전 342년 이집트를 다시 페르시아의 지배하에 두는 데 성공했다. 이집트 정복 이후 도시 성벽을 파괴하고 약탈을 통해 상당한 양의 부를 얻었으며, 높은 세금을 부과하여 이집트가 다시 반란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했다.
3. 4. 1. 바고아스의 암살 기도
기원전 338년 말,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환관 출신 장관 바고아스에게 아들들과 함께 독살되어 페르세폴리스의 묘소에 묻혔다.[10] 바고아스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의 아들 아르세스를 왕위에 앉혔으나, 아르세스 역시 바고아스에게 독살당했다. 이러한 왕족 학살에서 다리우스 3세만이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이로써 아케메네스 왕조는 사실상 멸망했다.4. 유산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뛰어난 군사 지도자이자 정복자로 평가받는다. 특히 기원전 342년 이집트를 재정복한 것은 그의 주요 업적 중 하나이다.[4] 이집트는 알렉산더 대왕에게 정복되기 전까지 페르시아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이집트 정복 이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제국 내 반란을 효과적으로 진압하고, 로도스의 멘토와 바고아스 같은 유능한 장군들을 등용하여 제국을 안정시켰다.[4]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페르세폴리스에서는 새로운 건축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는 서른두 개의 기둥 홀, 자신의 궁전, 만국문과 백주 기둥 홀을 연결하는 군사 도로, 미완성 정문 등 다양한 건축물을 건설하거나 확장했다.[1]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바빌론 궁전도 이 시기에 확장되었다.[20]
5. 가족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와 그의 아내 스타테이라의 아들이었다.[12] 그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여러 아들 중 적자였으며, 그의 형제로는 다리우스와 아리아스페스가 있었다.[12]
그는 또한 다음과 결혼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rtaxerxes III PersianEmpire.info History of the Persian Empires
https://web.archive.[...]
2008-03-02
[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Judah
https://archive.org/[...]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
서적
A History of Discoveries at Halicarnassus, Cnidus & Branchidæ
https://archive.org/[...]
Day & son
[4]
웹사이트
Artaxerxes III Ochus ( 358 BC to 338 BC )
https://web.archive.[...]
2008-03-02
[5]
서적
Who's Who in the Age of Alexander the Great: Prosopography of Alexander's Empi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
[6]
웹사이트
Phœnicia under the Persians
https://web.archive.[...]
Longmans, Green
2008-03-10
[7]
EB1911
[8]
웹사이트
The Legend Of Gog And Magog
https://web.archive.[...]
2008-03-10
[9]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The Greek Text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Wm. B. Eerdmans Publishing
[10]
서적
Jahrbuch für Numismatik und Geldgeschichte
https://books.google[...]
R. Pflaum.
2002
[11]
웹사이트
Persian Period II
https://web.archive.[...]
2008-03-06
[12]
웹사이트
Chapter V: Temporary Relief
https://web.archive.[...]
2008-03-01
[13]
웹사이트
Philip of Macedon Philip II of Macedon Biography
http://historyofmace[...]
2008-03-07
[14]
웹사이트
The Achaemenians, Zoroastrians in Transition
https://web.archive.[...]
2008-03-05
[15]
웹사이트
i. Mithra In Old Indian And Mithra In Old Iranian
http://www.iranica.c[...]
2008-03-05
[16]
웹사이트
The Origins Of Mithraism
http://www.sacred-te[...]
2008-03-05
[17]
웹사이트
Silver tetradrachm of Artaxerxes III
http://www.britishmu[...]
2018-03-24
[18]
웹사이트
The Period of Jewish Independence
http://www.infidels.[...]
2008-03-10
[19]
웹사이트
The Book of Judith
https://web.archive.[...]
2008-03-10
[20]
서적
The Illustrated Dictionary & Concordance of the Bibl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21]
서적
Women in Ancient Persia, 559–331 BC
Oxford University Press
[22]
문서
Curtius Rufus 3.13.13
[23]
웹사이트
Artaxerxes III
http://www.iranicaon[...]
2019-07-14
[24]
웹인용
Artaxerxes III Ochus
http://www.livius.or[...]
2008-03-01
[25]
서적
Achaemenid Inscriptions (کتیبههای هخامنشی)
Shiraz Navid Publ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