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셀 지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셀 지파는 성경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하나로,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 이후 갈릴래아 서쪽에 땅을 배정받았다고 전해진다. 이 지역은 비옥한 토지로 올리브유 생산으로 유명했으며, 모세의 축복과 같은 기록을 통해 부유함을 묘사하기도 한다. 이스라엘 왕국 분열 후 북이스라엘 왕국에 속했으며, 기원전 723년 신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왕국의 일원으로 여겨졌다. 신약성경에서는 예언자 안나의 아버지, 요한계시록에서는 구원받을 이스라엘 지파 중 하나로 언급된다. 고고학적 증거와 성경 기록을 통해 아셀 지파의 영역과 역사적 배경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스라엘 연합 정치에 미친 영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 레위 지파
    레위 지파는 야곱의 아들 레위의 자손으로, 이스라엘 민족의 종교적 의례와 관련된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며 성막과 성전 봉사, 율법 교육 등을 담당하고 다른 지파와 달리 토지를 분배받지 못하고 백성들의 십일조로 생활하며 이스라엘 전역에 흩어져 거주했으며, 야훼와의 특별한 언약을 맺은 존재로 묘사되고 상징으로는 아론의 지팡이가 있다.
  •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 유다 지파
    유다 지파는 야곱의 넷째 아들 유다의 후손으로 구성된 이스라엘 지파이며, 유다 왕국을 형성하고 메시아 예수가 배출되었으며, 바빌론 유수 이후 유대인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아셀 지파
지도 정보
아셀 지파의 영역이 지도 상단 좌측에 연두색으로 그려져있다.
아셀 지파의 영역이 지도 상단 좌측에 연두색으로 그려져있다.
기본 정보
이름아셀 지파
원어 (히브리어)אָשֵׁר
로마자 표기’Ašer
의미행복한 자
문화 정보
지역서아시아
이전이집트 신왕국
이후이스라엘 왕국

2. 성경에서

여호수아기에 따르면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가나안을 점령한 뒤, 아셀 지파는 가나안 땅을 상속받는 지파 중 하나였다. 성서학자 케네스 키친은 이 사건을 기원전 1200년으로 추정했고,[16] 기원전 1500년경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17] 그러나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여호수아기에 기록된 가나안 정벌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다고 본다.[18][19][20]

성경에서 아셀 지파는 갈릴래아 서쪽 땅을 배정받았는데,[21] 이 지역은 가나안에서 기온이 낮고 강우량이 많아 가장 비옥한 곳이었다. 초원, 숲, 과수원 등이 많아 아셀 지파는 올리브유로 유명했던 것으로 묘사된다.[22] 모세의 축복에는 이러한 모습이 잘 나타나는데, 본문비평학자들을 포함한 역사학자들은 이 부분이 후대에 아셀 지파의 부유함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으로 본다.[23]

기원전 1050년경 이스라엘 왕국이 성립되기 전까지 아셀 지파는 느슨한 이스라엘 부족 연맹의 일부였다. 당시 이스라엘에는 중앙 정부가 없었기 때문에 민족적인 위기 상황에는 판관들이 백성을 이끌었다.[24] 블레셋의 위협이 커지자 이스라엘 부족들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군주제를 형성하기로 결정했고, 아셀 지파는 사울을 초대 왕으로 하는 새로운 왕국에 합류했다. 사울이 죽은 후, 유다 지파를 제외한 모든 지파들은 사울 가문에 충성하여 그의 아들 이스보셋을 왕으로 모셨다.[25] 그러나 이스보셋이 죽은 뒤, 아셀 지파도 다른 이스라엘 지파들과 함께 유다 왕 다윗을 왕으로 삼았다.[26]

기원전 930년경 다윗의 손자 르호보암이 즉위하자 가나안 북부 지파들은 다윗 왕가에서 갈라져 북이스라엘 왕국을 형성했다. 아셀 지파 역시 여기에 속했는데, 기원전 723년경 신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나라가 멸망하고 추방될 때까지 왕국의 일원이었다.[26]

신약성경 누가복음 2장에는 예언자 안나의 아버지가 아셀 지파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2. 1. 가계도

아셀
colspan="1" |colspan="1" |colspan="1" |colspan="1" |colspan="1" |하두라
임나이쉬바이쉬위브리아세라(딸)
colspan="3" |헤벨말기엘


3. 역사

여호수아기에서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가나안을 점령한 뒤 아셀 지파는 가나안 땅을 상속받는 지파 중 하나로 등장한다. 성경에서는 아셀이 갈릴래아 서쪽의 땅을 배정받았다고 기록하는데,[21] 이 지역은 가나안 땅 가운데서도 기온이 낮고 강우량이 많아 가장 비옥한 부분으로, 초원과 숲, 과수원 등이 많아 올리브유로 유명했던 것으로 묘사된다.[22]

모세오경을 통해 아셀 지파의 영역을 분명하게 특정하기는 어렵다. 어떤 구절에서는 아셀 지파의 것으로 묘사된 성읍이, 다른 구절에서는 다른 지파의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그 성읍들이 다른 지파의 땅 사이에 흩어져있기도 하다. 아마도 페니키아의 영향권 안에 아셀 지파가 놓여있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다른 이스라엘 지파들과 상당히 단절된 상태에서 형성된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바락의 지휘 아래 시스라가 이끄는 하솔의 군대와 이스라엘 지파가 전투를 벌일 때 아셀 지파는 참여하지 않았다.[28]

비판적인 학자들은 아셀 지파가 이후에도 이스라엘 연합에 명목상으로 동참하기는 했지만, 연합의 정치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고 보기도 한다.[28] 그 근거로 르우벤 지파, 가드 지파와 함께 아셀 지파 출신으로 명시되는 인물이 성경에서 어느 순간 이후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과 역대상 27장에서 다른 지파의 지휘관이 모두 언급될 때 가드 지파와 아셀 지파만 언급되지 않는 점을 들기도 한다.

요한계시록 7장에서도 종말에 구원받을 이스라엘 지파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

3. 1. 고고학적 관점

세티 1세람세스 2세 때의 기록에서, 성경에서 묘사된 아셀 지파의 영역에 '아세루'라는 집단이 거주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27]

3. 2. 이스라엘 통일 왕국 시대

여호수아기에서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가나안을 점령한 후, 아셀 지파는 가나안 땅을 상속받는 지파 중 하나로 등장한다. 성서학자 케네스 키친은 이 정복 시기를 기원전 1200년경으로 추정했지만,[16] 기원전 1500년경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17] 그러나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여호수아기의 가나안 정복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다고 본다.[18][19][20]

성경에 따르면, 아셀 지파는 갈릴래아 서쪽 땅을 분배받았다.[21] 이 지역은 가나안에서 기온이 낮고 강우량이 많아 가장 비옥한 곳으로, 초원, 숲, 과수원이 많아 아셀 지파는 올리브유로 유명했던 것으로 묘사된다.[22] 모세의 축복에는 이러한 모습이 잘 나타나는데, 역사학자들은 이 부분이 후대에 아셀 지파의 부유함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으로 본다.[23]

여호수아가 가나안 땅을 정복한 이후 기원전 1050년경 이스라엘 왕국이 성립되기 전까지, 아셀 지파는 느슨한 이스라엘 부족 연맹의 일원이었다. 당시 이스라엘에는 중앙 정부가 없었기 때문에 민족적 위기 상황에는 판관들이 백성을 이끌었다.[24] 블레셋의 위협이 커지자 이스라엘 부족들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군주제를 형성하기로 결정했고, 아셀 지파는 사울을 초대 왕으로 하는 새로운 왕국에 합류했다. 사울이 죽은 후에도 유다 지파를 제외한 모든 지파들은 사울 왕가에 충성하며 그의 아들 이스보셋을 왕으로 섬겼다.[25] 그러나 이스보셋이 죽은 후, 아셀 지파는 다른 이스라엘 지파들과 함께 유다 왕 다윗을 다시 왕국의 왕으로 추대했다.[26]

3. 3. 북이스라엘 왕국과 그 이후

여호수아기에서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가나안을 점령한 뒤, 아셀 지파는 가나안 땅을 상속받는 지파 중 하나로 등장한다. 성서학자 케네스 키친은 이 정벌 사건을 기원전 1200년경으로 추정했지만,[16] 기원전 1500년경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17] 그러나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여호수아기에 묘사된 가나안 정복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다고 본다.[18][19][20]

여호수아가 가나안 땅을 정복한 이후 기원전 1050년경 이스라엘 왕국이 성립되기 전까지, 아셀 지파는 느슨한 이스라엘 부족 연맹의 일부였다. 당시 이스라엘에는 중앙 정부가 없었기 때문에 민족적인 위기가 닥치면 판관들이 백성을 이끌었다.[24] 블레셋의 위협이 커지자 이스라엘 부족들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군주제를 형성하기로 결정했고, 아셀 지파는 사울을 초대 왕으로 하는 새로운 왕국에 합류했다. 사울이 죽은 후, 유다 지파를 제외한 모든 지파들은 사울 가문에 충성하여 그의 아들 이스보셋을 왕으로 모셨다.[25] 그러나 이스보셋이 죽은 뒤, 아셀 지파도 다른 이스라엘 지파들과 함께 유다 지파의 왕 다윗을 왕국의 왕으로 삼았다.[26]

기원전 930년경 다윗의 손자인 르호보암이 즉위하자 가나안 북부 지파들은 다윗 왕조에서 갈라져 북이스라엘 왕국을 형성했고, 아셀 지파 역시 여기에 속했다. 아셀 지파는 기원전 723년경 신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고 추방될 때까지 왕국의 일원으로 여겨졌다.[26]

고대 이스라엘 왕국 분열 후에는 북이스라엘 왕국에 소속되었다.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한 후에는 남유다 왕국히스기야 왕의 치세에 예루살렘 성전에서 열린 유월절에 아셀 지파의 대표가 참가했다.

신약성경 누가복음 2장에는 예언자 안나의 아버지가 아셀 지파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신약 시대에는 아기 예수님을 만난 여자 예언자 안나는 아셀 지파 출신으로 소개되어 있다.

4. 영역

모세오경을 통해 아셀 지파의 영역을 분명하게 특정하기는 어렵다. 어떤 구절에서는 아셀 지파의 것으로 묘사된 성읍이, 다른 구절에서는 다른 지파의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그 성읍들이 다른 지파의 땅 사이에 흩어져있기도 하다. 아마도 페니키아의 영향권 안에 아셀 지파가 놓여있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다른 이스라엘 지파들과 상당히 단절된 상태에서 형성된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바락의 지휘 아래 시스라가 이끄는 하솔의 군대와 이스라엘 지파가 전투를 벌일 때 아셀 지파는 참여하지 않았다.[28]

비판적인 학자들은 아셀 지파가 이후에도 이스라엘 연합에 명목상으로 동참하기는 했지만, 연합의 정치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고 보기도 한다.[28] 그 근거로 르우벤 지파, 가드 지파와 함께 아셀 지파 출신으로 명시되는 인물이 성경에서 어느 순간 이후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곤 한다. 또한 역대상 27장에서 다른 지파의 지휘관이 모두 언급될 때 가드 지파와 아셀 지파만 언급되지 않는 점을 들기도 한다.

400px


토라에서 지파의 정확한 경계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심지어 아셀 지파가 연속된 영토를 가지고 있었는지조차 불확실하다.[12] 성경에 따르면 아셀 지파에게 할당되었고, 그 위치가 확인된 장소들은 콤팩트하고 잘 정의된 지파 지역이라기보다는 흩어진 정착지의 분포인 것으로 보인다.[12] 아마도 그 영토가 페니키아가 통치하던 지역에 있었기 때문인지, 아셀 지파는 역사 전반에 걸쳐 이스라엘의 다른 지파들과 상당히 단절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바락시스라가 관련된 전쟁에서처럼, 가나안 족과 다른 지파들 사이의 토라에 묘사된 적대 행위에 거의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2]

비평적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아셀 지파가 이스라엘 지파 연합의 일부와 관련된 특정 씨족으로 구성되었지만, 정치 체제에 편입되지 않았다고 결론 내린다.[12] 이를 뒷받침하는 또 다른 증거는, 아셀 지파가 르우벤 지파 및 갓 지파(또한 분리됨)와 함께 정복 이후 어떤 사람도 이름으로 확인되지 않은 유일한 지파라는 점이다. 또한 아셀 지파와 갓 지파는 역대기상 27장에 나오는 지파 수장 명단에 언급되지 않은 유일한 지파이다.

약속의 땅에서의 상속지는 갈릴리 산지의 서쪽 비탈에서 서쪽으로 뻗어 지중해에 닿았고, 남쪽으로는 카르멜 산 정상에서 북쪽으로는 티로시돈 부근까지 이르는 평지였다. 동쪽은 스불론 지파와 납달리 지파의 상속지, 남쪽은 므낫세 지파의 상속지와 경계를 접했다. 아셀 지파의 상속지로부터 게르솜 지파의 레위인에게 4개의 도시와 그 방목지가 주어졌다.

참조

[1]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2] 논문 The Date of the Conquest https://biblicalstud[...] 1990
[3] 서적 The Face of Old Testament Studies: A Survey of Contemporary Approaches Baker Academic 2004-10-01
[4] 서적 Jewish Studies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Volume 1: Biblical, Rabbinical, and Medieval Studies BRILL
[5]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17
[6] 성경
[7] 문서 REDIRECT
[8] 성경
[9] 문서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10] 성경
[11] 성경 https://www.biblegat[...]
[12] 문서 Jewish Encyclopedia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Israel Scarecrow Press 2004
[14] 웹사이트 Biblehub http://biblehub.com/[...]
[15] 서적 From tragedy to triumph: the politics behind the rescue of Ethiopian Jew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6]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17] 논문 The Date of the Conquest https://biblicalstud[...] 1990
[18] 서적 The Face of Old Testament Studies: A Survey of Contemporary Approaches Baker Academic 2004-10-01
[19] 서적 Jewish Studies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Volume 1: Biblical, Rabbinical, and Medieval Studies BRILL
[20]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17
[21] 성경
[22] 문서 Jewish Encyclopedia 1901–1906 http://www.jewishenc[...]
[23] 문서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24] 문서 판관기
[25] 성경
[26] 문서 사무엘기, 열왕기, 역대기
[27] 문서 A Dictionary of the Bible, Volume IV, Part II
[28] 문서 Jewish Encycl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