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관 (성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관(성경)은 이스라엘 백성이 배교하여 고난을 받을 때, 야훼가 백성을 구원하고 정의를 확립하기 위해 선택한 지도자를 의미한다. 판관기/사사기에 12명, 사무엘기에 2명(엘리, 사무엘)을 포함하여 총 14명의 판관이 등장하며, 이들은 타 민족의 압박에서 백성을 구원하는 영웅인 대사사와 재판관이나 중재자를 가리키는 소사사로 나뉜다. 판관 시대는 이스라엘 지파가 느슨한 연맹을 형성했던 시기로, 중앙 정부가 존재하지 않았고 위기 상황에서 임시 족장인 판관들이 백성을 이끌었다. 판관기의 역사성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드보라의 노래를 제외하고는 역사적 자료로 사용하기에 문제가 있다는 견해도 있다. 랍비 문학에서는 사사들을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하며, 학문적 통찰력, 율법 준수를 권고하는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부수반 - 포데스타
포데스타는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도시 국가의 최고위 행정관을 지칭하는 용어로, 행정, 사법, 군사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했으며, 도시 내부 갈등 중재를 위해 외부 출신 인사가 임명되기도 했다. - 정부수반 - 삼두정치
삼두정치는 세 사람이 공동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났다. - 판관기 - 다곤
다곤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숭배되었던 신으로, 곡물을 의미하며 메소포타미아에서 엔릴과 동등하게 여겨졌고 가나안 신화에서는 바알의 아버지로 묘사되었으며, 블레셋의 주요 신으로 숭배되었다. - 판관기 - 데릴라
데릴라는 구약성경 사사기에 나오는 삼손의 연인으로, 블레셋인에게 매수되어 삼손의 힘의 근원을 알아내 그의 몰락을 초래한 배신과 유혹의 상징이며,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여러 관점에서 해석된다. - 국가원수 - 포데스타
포데스타는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도시 국가의 최고위 행정관을 지칭하는 용어로, 행정, 사법, 군사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했으며, 도시 내부 갈등 중재를 위해 외부 출신 인사가 임명되기도 했다. - 국가원수 - 총독
총독은 역사적으로 특정 지역이나 식민지를 통치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역할과 권한이 달랐고, 현재는 영연방 왕국 등에서 유지되고 있다.
판관 (성경) | |
---|---|
성경 속 판관 정보 | |
다른 이름 | 쇼페트(로마자: Šōp̄əṭīm) 크리타스(그리스어: κριτάς) |
관련 성경 | 출애굽기 여호수아기 사사기 사무엘기 |
사사 목록 | |
출애굽기 | 모세 |
여호수아기 | 여호수아(재판관으로 명시되지는 않음) |
사사기 | 옷니엘 에훗 삼갈 드보라 기드온 아비멜렉(재판관으로 명시되지는 않음) 돌라 야일 입다 입산 엘론 압돈 삼손 |
사무엘기 상 | 엘리 사무엘 요엘 아비야 |
2. 사사의 역할
판관기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이 배교하여 신의 보복을 받아 고난을 겪을 때, 야훼께서는 백성을 구원하고 정의를 확립하기 위해 사사들을 선택하셨다.[1]
'판관'은 히브리어 ''쇼페트''를 문자적으로 번역한 것이지만, 판관기 12:7–15에 묘사된 직책은 법적 선언을 하는 자리가 아니라 선출되지 않고 세습되지 않는 지도자였다. 사이러스 H. 고든은 쇼페팀이 호메로스의 왕인 ''바실레이스''처럼 싸우고, 토지를 소유하고, 통치하는 귀족의 세습 지도자들 중에서 나왔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쿠건은 그들이 아마도 지파 지도자나 지역 지도자였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신명기 역사가는 그들을 모든 이스라엘의 지도자로 묘사했다. 그러나 말라맛은 텍스트에서 그들의 권위가 자신들의 지역을 넘어 지역 집단이나 지파에 의해 인정받는 것으로 묘사된다고 지적했다.
사사들의 지배 지역은 일부 부족과 그 주변에 한정된 지방 분권적인 형태였으며, 왕정과 달리 세습되지 않았다. 사사는 크게 대사사와 소사사로 나뉜다. 대사사는 타 민족의 압박에서 백성을 구원하는 영웅이고, 소사사는 외적의 공격과 직접 관련이 없는 재판관이나 중재자를 가리킨다.
- '''대사사'''
- 오트니엘 (사사기 3장 7–11절)
- 에훗 (3장 12–30절)
- 바락 (4–5장)
- 드보라 (4–5장)
- 기드온 (6장 1절–8장 32절)
- 입다 (10장 6절–12장 7절)
- 삼손 (13–16장)
- 엘리 (사무엘기)
- 사무엘 (사무엘기)
- '''소사사'''
- 삼갈 (사사기 3장 31절)
- 돌라 (10장 1–2절)
- 야일 (10장 3–5절)
- 입산 (12장 8–10절)
- 엘론 (12장 11–12절)
- 압돈 (12장 13–15절)
3. 사사 목록
판관기(사사기)에는 12명의 사사가 등장하며, 사무엘기(사무엘 상)에 등장하는 사사 2명(엘리, 사무엘)을 포함하면 총 14명이다. 이들은 대사사와 소사사로 구분되기도 한다.
판관 | 구절(판관기) | 지파 | 압제자 | 압제 기간 | 재임 기간 |
---|---|---|---|---|---|
오드니엘 | 3:7~11 | 유다 지파 | 메소포타미아 구산 리사다임 | 8년 | 40년 |
에훗 | 3:12~30 | 베냐민 지파 | 모압 에글론, 암몬, 아말렉 | 18년 | 80년 |
삼갈 | 3:31 | 불레셋 | |||
드보라 | 4:1~5:31 | 베냐민 지파 | 가나안 야빈 | 20년 | 40년 |
기드온 | 6:1~8:28 | 베냐민 지파 | 미디안, 아말렉 | 7년 | 40년 |
아비멜렉 | 9:6 | ||||
돌라 | 10:1~2 | 잇사갈 지파 | 23년 | ||
야이르 | 10:3~5 | 므나쎄 지파(길르앗) | 22년 | ||
입다 | 10:6~12:7 | 므나쎄 지파(길르앗) | 암몬, 불레셋 | 18년 | 6년 |
입산 | 12:8~10 | 유다 지파 | 7년 | ||
엘론 | 12:11~12 | 즈블룬 지파 | 10년 | ||
압돈 | 12:13~15 | 8년 | |||
삼손 | 13:1~16:31 | 단 지파 | 불레셋 | 40년 | 20년 |
엘리 | 삼상 4:18 | 레위 지파 | |||
사무엘 | 레위 지파 | ||||
요엘과 아비야 | 삼상 8:1-5 | 레위 지파 |
히브리 성경에서 모세는 이스라엘의 쇼페트(판관)로 묘사되며, 그의 장인인 미디안 사람 이드로의 조언에 따라 사건을 위임할 다른 사람들을 임명했다.[2]
3. 1. 주요 사사
구분 | 이름 | 성경 | 비고 |
---|---|---|---|
대사사 | 오트니엘 | 사사기 3장 7–11절 | |
대사사 | 에훗 | 사사기 3장 12–30절 | |
대사사 | 바락 | 사사기 4–5장 | |
대사사 | 드보라 | 사사기 4–5장 | |
대사사 | 기드온 | 사사기 6장 1절–8장 32절 | |
대사사 | 입다 | 사사기 10장 6절–12장 7절 | |
대사사 | 삼손 | 사사기 13–16장 | |
대사사 | 엘리 | 사무엘기 | |
대사사 | 사무엘 | 사무엘기 | |
소사사 | 삼갈 | 사사기 3장 31절 | |
소사사 | 돌라 | 사사기 10장 1–2절 | |
소사사 | 야일 | 사사기 10장 3–5절 | |
소사사 | 입산 | 사사기 12장 8–10절 | |
소사사 | 엘론 | 사사기 12장 11–12절 | |
소사사 | 압돈 | 사사기 12장 13–15절 |
3. 2. 그 외 사사
돌라는 잇사갈 지파 출신으로 23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다.[2] 야이르는 므나쎄 지파 출신으로 22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다.[2] 입산은 유다 지파 출신으로 7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고,[2] 엘론은 즈블룬 지파 출신으로 10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다.[2] 압돈은 8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다.[2]아비멜렉은 기드온의 아들로, 세겜에서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내분으로 인해 몰락했다.[4] 요엘과 아비야는 사무엘의 아들들이다.
4. 사사 시대의 역사성 및 연대기
사사 시대의 역사성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케네스 키친은 기원전 1150년에서 1025년 사이에 이스라엘 지파들이 느슨한 연맹을 형성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시기에는 중앙 정부가 없었지만, 위기 상황에서는 '임시' 족장인 '쇼페팀'(판관)들이 백성을 이끌었다.[1]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고대 이스라엘에 그러한 역할이 실제로 존재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판관기의 연대기를 살펴보면, 판관기 11:26에서 입다가 이스라엘이 약 300년 동안 그 땅을 점령했다고 언급한 내용이 나온다. 그러나 일부 판관들의 재임 기간이 서로 겹친다는 점을 고려하면, 판관기에 제시된 모든 숫자를 연속적인 것으로 볼 경우 총 기간은 410년이 된다. 다윗이 이스라엘 전체를 통치하기 시작한 시기를 기원전 1000년으로 가정하면, 판관 시대는 기원전 1510년에 시작되어야 하는데, 이는 정복 시기를 기원전 15세기로 보는 학자들조차 받아들이기 어려운 연대이다.
이러한 연대기적 불일치와 역사적 모호성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판관기의 역사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5. 랍비 문학에서의 사사
랍비 문학에서 사사들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가르친 중요한 인물들로 묘사된다.
옷니엘 (유다)옷니엘은 뛰어난 학문적 통찰력을 가진 인물로, 잊혀진 1,700개의 전통을 회복하고 토라 연구를 장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그는 모세의 후계자로 여겨질 만큼 중요한 인물이었다.[5] 그의 본명은 유다였으며, 옷니엘은 그의 칭호 중 하나였다.[5]
옷니엘은 아도니베섹을 무찌르고 이스라엘 백성이 루스를 점령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5] 루스는 동굴을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는 비밀스러운 도시였는데, 한 주민의 배신 덕분에 이스라엘 백성은 도시를 점령할 수 있었다.[5] 하나님께서는 이 배신자에게 상을 내려 그가 세운 도시는 안전하게 보호받았고, 주민들은 죽음을 맞이하지 않았다고 한다.[5]
옷니엘은 이스라엘 백성이 벌을 받는 원인에 대해 책임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영생을 주셨다고 전해진다.[5] 그는 살아있는 채로 낙원에 들어간 몇 안 되는 사람 중 하나였다.[5]
스불스불은 성전 보물을 모으고 백성에게 율법을 지키도록 권고한 판관으로 기록되어 있다.[5] 그는 실로에 창고를 세우고 백성에게 금과 은을 기부하도록 했는데, 백성은 자발적으로 많은 재물을 바쳤다.[5] 스불은 25년 동안 통치하며 백성에게 하나님을 경외하고 율법을 지키라고 강조했다.
참조
[1]
서적
The Hebrew Bible
[2]
문서
Exodus 18:13–26
[3]
웹사이트
Judges of Ancient Israel
https://www.jewishvi[...]
2021-04-08
[4]
문서
Judges 9:1–57
[5]
서적
The Legends of the Jews
[6]
문서
he shofet
[7]
문서
士師記(口語訳)#4章–5章
[8]
서적
レクラム版 聖書人名小事典
[9]
간행물
사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