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흐마드 이븐 한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흐마드 이븐 한발은 8세기 이슬람 학자이자 한발리 학파의 창시자이다. 바그다드에서 태어나 하디스 연구에 평생을 바쳤으며, 이라크, 히자즈, 예멘, 시리아 등지를 여행하며 학문을 익혔다. 그는 꾸란이 창조된 것이 아니라는 교리를 옹호하다가 박해를 받기도 했다. 그의 저서 『무스나드』는 수니파에서 신빙성이 높은 하디스집으로 존중받고 있으며, 그의 사상은 이슬람 율법과 신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80년 출생 - 규봉종밀
    규봉종밀은 당나라 승려이자 화엄종 제5대 조사이며 하택종의 제7대 조사로, 교선일치를 주장하고 돈오점수를 수행론으로 제시했으며, 한국 불교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855년 사망 - 로타리우스 1세
    로타리우스 1세는 경건왕 루트비히의 장남으로 공동 황제에 책봉되어 이탈리아를 통치하고, 베르됭 조약으로 중프랑크 왕국을 세웠으나, 사후 왕국이 분할 상속되어 카롤링거 왕조 몰락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름은 로트링겐 지방의 지명으로 남아있다.
  • 855년 사망 - 교황 레오 4세
    교황 레오 4세는 847년부터 855년까지 재위하며 사라센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로마 성벽을 보수하고 오스티아 해전에서 승리했으며, 파괴된 성당들을 재건하고 세 차례의 시노드를 소집했다.
  • 수니파 이맘 - 이븐 타이미야
    이븐 타이미야는 1263년 시리아에서 태어나 다마스쿠스에서 활동한 중세 이슬람 학자이며, 몽골의 침입, 수피즘, 이단에 대한 비판과 이슬람 율법의 문자적 해석을 강조했으며, 1328년 감옥에서 사망했다.
  • 수니파 이맘 - 말리크 이븐 아나스
    말리크 이븐 아나스는 8세기 메디나에서 활동한 이슬람 법학자이자 신학자로, 《무왓타》 저술을 통해 말리키 법학파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순나 강조와 높은 도덕적 기준으로 무슬림 공동체를 이끌었다.
아흐마드 이븐 한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이맘
이름아흐마드 이븐 한발
본명아부 압드 알라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이븐 한발 이븐 힐랄 이븐 아사드 이븐 이드리스 이븐 압드 알라 이븐 하이얀 알샤이바니 알두흘리
출생780년 11월 (히즈라력 164년 라비 알아왈)
출생지바그다드, 압바스 왕조 (현재의 이라크)
사망855년 8월 2일 (히즈라력 241년 라비 알아왈 12일) (74–75세)
사망지바그다드, 압바스 왕조 (현재의 이라크)
종교이슬람
종파수니
신조아타리
법학독립 (한발리 학파의 시조)
관심 분야법학
신학
하디스
금욕주의
직업학자
법학자
신학자
전통주의자
주요 사상한발리 학파
자녀압드 알라
살리흐
시대이슬람 황금기 (초기 압바스 왕조)
지역압바스 왕조
이름 정보
ism (이름)Ahmad (아흐마드)
ism-ar (아랍어 이름)أَحْمَد
nasab (가계)Ibn Muḥammad ibn Ḥanbal ibn Hilāl ibn Asad ibn Idrīs ibn ʿAbd Allāh ibn Ḥayyān (이븐 무함마드 이븐 한발 이븐 힐랄 이븐 아사드 이븐 이드리스 이븐 압드 알라 이븐 하이얀)
nasab-ar (아랍어 가계)ٱبْن مُحَمَّد بْن حَنْبَل بْن هِلَال بْن أَسَد بْن إِدْرِيس بْن عَبْد ٱللَّٰه بْن حَيَّان
kunya (쿠냐)Abu ʿAbd Allāh (아부 압드 알라)
kunya-ar (아랍어 쿠냐)أَبُو عَبْد ٱللَّٰه
nisba (니스바)Al-Shaybānī al-Dhuhlī (알-샤이바니 알-두흘리)
nisba-ar (아랍어 니스바)ٱلشَّيْبَانيّ ٱلذُّهْلِيّ
학문적 영향
영향을 준 인물수프얀 이븐 우야이나
압드 알라 이븐 알-무바라크
압드 알-라자크 알-사나아니
아부 사우르
알-샤피이
이샤크 이븐 라후야
영향을 받은 인물모든 한발리 학파 추종자
이븐 쿠다마
이븐 타이미야
이븐 알 카이임
아부 바크르 알-칼랄
이븐 쿠자이마
알-하산 이븐 알리 알-바르바하리
압둘 카디르 길라니
이븐 라자브
이븐 바타 알-우크바리
이븐 만다
이븐 무플리흐
압드 알-가니 알-마크디시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와하브
디야 알-딘 알-마크디시
무함마드 이븐 알-우사이민
주요 저서
저서우스울 알-순나
알-아사미 와-알-쿠나
알-아슈리바
알-주흐드
파다일 알-사하바
알-무스나드
리살라 피 알-살라 리-아흘 알-키블라

2. 생애

아흐마드 이븐 한발은 780년 바그다드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바스라 출신의 아랍 바누 훌 부족이었다.[22] 아버지는 아바스 왕조 군대의 장교였고, 할아버지는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사라프스를 다스렸다.[22]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읜 이븐 한발은 어머니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했다. 아버지가 남긴 부동산으로 소액의 임대 수입을 얻을 수 있었다.[24][25] 그는 지식 탐구와 여행에 몰두했기 때문에 40세가 되어서야 결혼했다.[27]

이븐 한발은 바그다드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하디스 전승 연구를 위해 이라크, 히자즈, 예멘, 시리아 등지를 여행했다. 그는 특히 바스라메카를 자주 방문했다. 795년부터 799년까지 바그다드에서 후샤임 빈 바시르(Hushaym b. Bashīr|후샤임 빈 바시르ar)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아부 유수프의 강의에도 참여했다. 799년 이후에는 수피안 빈 우야이나(Sufyān b. ‘Uyayna|수피안 빈 우야이나ar)가 그를 이끌었다. 이븐 한발은 무함마드 이븐 이드리스 알샤피이와 809년에 바그다드에서 만났지만, 그의 제자는 아니었다.

압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마문은 학자들이 무타질라파 교리를 받아들이도록 압박했는데, 이븐 한발은 이를 거부하여 바그다드에 투옥되었다.[35] 알무타심 치세에는 매질을 당하기도 했지만, 바그다드에서 큰 소동이 일어나 석방되었다.[35] 알와티크 치세에는 바그다드에서 추방되었다가 알무타와킬 즉위 후에야 돌아올 수 있었다.

이븐 한발은 855년 바그다드에서 사망했으며,[37] 그의 장례에는 수만 명의 사람들이 참석했다.

2. 1. 출생과 가계

아흐마드 이븐 한발은 780년 11월(히즈라력 164년 라비 알 아왈 달)에 바그다드에서 태어났다.[20][21] 그의 아들 압둘라의 증언에 따르면, 아흐마드는 "나는 아버지께서 164년 라비 알 아왈 달에 태어나셨다고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다"고 전했다.[20][21]

이븐 한발의 가문은 바스라 출신의 아랍 바누 훌 부족이었다.[22] 그의 아버지 무함마드 빈 한발은 아바스 왕조 군대의 장교로 호라산에서 복무하다가 가족과 함께 바그다드에 정착했다.[22] 그의 할아버지 한발 빈 힐랄은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사라프스를 다스렸고, 아바스 왕조를 지지하는 혁명 운동에 초기부터 참여한 인물이었다.

역사가들은 그의 출생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린다. 투르크메니스탄마리에 위치한 메르브에서 태어났다는 설과, 그의 어머니가 메르브에서 그를 임신한 채 바그다드로 와서 그곳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있다. 후자의 의견이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20][23]

이븐 한발은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었다. 그의 아버지는 30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고, 이후 어머니가 아버지의 유족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그를 키웠다.[24] 아버지는 바그다드에 거주용 부동산과 소액의 임대 수입을 제공하는 부동산을 남겼다.[24][25] 이븐 카시르는 "그의 부동산 수입은 매달 17 디르함이었고, 그는 그것을 가족을 위해 썼으며, 알라의 자비를 구하고, 묵묵히 보상을 바라며 그것에 만족했다"고 언급했다.[26]

2. 2. 유년 시절과 교육

이븐 한발은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슬하에서 성장했다. 그의 아버지는 바그다드에 부동산을 남겨 소액의 임대 수입을 얻을 수 있었다.[24][25] 이븐 카시르는 이븐 한발의 부동산 수입이 매달 17 디르함이었다고 전한다.[26]

이븐 한발은 40세가 되어서야 결혼했는데, 이는 그가 지식 탐구와 여행에 몰두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27] 그의 첫 번째 부인은 "아바사 빈툴 파들"로, 아들 "살리흐"를 낳았다.[28] 이븐 한발은 그녀와 30년 동안 의견 충돌이 없었다고 회고했다. 그녀가 사망한 후, "라야나"와 결혼하여 아들 "압둘라"를 낳았다.[28] 그는 또한 "후슨"이라는 첩을 통해 여러 자녀를 두었다.[28][29][30] 그의 아들들 중 살리흐와 압둘라는 법학에 뛰어났으며, 사이드는 쿠파의 판사가 되었다.[28][29][30]

이븐 한발의 가문은 아랍 부족 라비아족의 바누 샤이반에 속한다. 그의 조부 한발 빈 힐랄은 사라프스를 다스렸고, 아버지 무함마드 빈 한발은 호라산 군에 속해 있었다. 이븐 한발은 780년 바그다드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그가 3세 때 사망했다.

이븐 한발은 바그다드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795년경부터 하디스 전승 연구를 위해 이라크, 히자즈, 예멘, 시리아 등지를 여행했다. 그는 특히 바스라메카를 자주 방문했다.

이븐 한발은 많은 학자들과 교류하며 가르침을 받았다. 795년부터 799년까지 바그다드에서 후샤임 빈 바시르(Hushaym b. Bashīr|후샤임 빈 바시르ar)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아부 유수프의 강의에도 참여했다. 799년 이후에는 수피안 빈 우야이나(Sufyān b. ‘Uyayna|수피안 빈 우야이나ar)가 그를 이끌었다. 이븐 한발은 무함마드 이븐 이드리스 알샤피이와 809년에 바그다드에서 만난 적이 있지만, 그의 제자는 아니었다.

2. 3. 결혼과 가족

이븐 한발은 40세가 되어서야 결혼했는데, 이는 그가 지식 탐구와 여행으로 오랫동안 고향을 떠나 있었기 때문이다. 이븐 알자우지는 "그는 지식에 매우 열정적이었습니다. 그는 지식을 얻기 위해 멀리 여행했고, 그것을 얻는 데 오랜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는 거기서 원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돈을 버는 일이나 결혼에 몰두하지 않았습니다."라고 언급했다.[27]

그의 첫 번째 부인은 바그다드 교외 출신의 아랍인 여성인 "아바사 빈툴 파들"이었다. 이븐 한발은 그녀와 30년(혹은 일부 기록에 따르면 20년) 동안 함께 살면서 아들 "살리흐"를 낳았다. 그녀는 살리흐의 어머니라는 뜻의 "움무 살리흐"로 불렸다. 이븐 한발은 "우리가 함께한 30년(혹은 20년) 동안, 우리는 한 번도 의견 충돌이 없었습니다."라고 말했다.[28] 그녀가 사망한 후, 이븐 한발은 "움무 압둘라 라야나 빈투 우마"(간단히 "라야나"로 알려짐)와 결혼하여 아들 "압둘라"를 낳았다. 라야나는 외눈이었지만, 이븐 한발은 그녀의 종교적인 헌신에 감명받아 결혼했다. 기록에 따르면 그들은 7년 동안 함께 지냈다.[28]

이븐 한발은 또한 "후슨"이라는 을 두었는데, 그녀는 딸 "자이나브"를 낳았고, 그 후 쌍둥이 "알하산"과 "알후세인"을 낳았지만 이들은 곧 사망했다. 그 후 후슨은 "알하산"과 "무함마드"를 낳았고, 그 다음 "사이드"를 낳았다. 그의 아들들 중 살리흐와 압둘라는 법학에 뛰어났으며, 사이드는 나중에 쿠파의 판사가 되었다.[28][29][30]

2. 4. 학문적 활동과 박해

이븐 한발은 압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마문의 미흐나(Mihna)에 소환되었는데, 알마문은 학자들이 무타질라파 교리를 받아들이도록 압박함으로써 자신의 종교적 권위를 확립하려 했다.[36] 무타질라파는 꾸란이 창조되었다고 주장한 반면, 이븐 한발은 꾸란이 창조되지 않았다는 전통적인 수니파 신앙을 옹호했다.[36]

이븐 한발은 무타질라 교리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알마문 치세 동안 바그다드에 투옥되었다.[35] 알마문의 후계자인 알무타심 치세 중의 한 사건에서 이븐 한발은 의식을 잃을 때까지 매질을 당했지만, 이 사건은 바그다드에서 큰 소동을 일으켰고 알무타심은 그를 석방해야 했다.[35] 알무타심의 죽음 이후 알와티크가 칼리프가 되어 선임자들의 무타질라 교리 강요 정책을 지속했으며, 이븐 한발을 바그다드에서 추방했다. 알와티크가 죽고 그의 형제인 알무타와킬이 즉위한 후에야 이븐 한발은 바그다드로 돌아올 수 있었는데, 알무타와킬은 전통적인 수니파 신앙에 훨씬 더 관대했다.

새로운 칼리프 무타심은 이단 심문 (미흐나)을 폐지하려고 했지만, "국가의 체면을 유지하기 위해"라는 무타질라파 법관장의 의견을 받아들여 이븐 한발을 불러들였다고 한다.[36] 히즈라력 219년 라마단 달에 칼리프 앞에서 이븐 한발은 꾸란이 만들어진 것이라고 믿는 것을 완강하게 거부하고, 채찍질을 받았다. 그리고 2년간 투옥되었다. 출옥 후에도 무타심 치세 동안 자택에 은거하며, 개인적인 하디스 교수에 머물렀다. 다음 대 와시크의 치세 동안도 마찬가지였으며, 그 다음 알무타와킬의 즉위(847년) 이후에 공적인 자리에 모습을 드러냈다.

2. 5. 말년과 죽음

이븐 한발은 무타와킬의 즉위(847년) 이후에 다시 공적인 자리에 모습을 드러냈다.[37] 그는 히즈라력 241년 1 라비 달(서기 855년 7월)에 병이 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바그다드에서 사망했다.[37] 율리우스력 환산으로 75세였다.[37] 그의 장례에는 수만 명의 사람들이 참석했으며, 수천 명의 유대교도와 기독교도가 그날 개종했다고 전해진다.

3. 사상과 신념

이븐 한발은 압바스 왕조 칼리프 알마문이 학자들에게 무타질리파 교리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한 미흐나에 저항한 것으로 유명하다. 수니파 전통에 따르면, 이븐 한발은 칼리프의 강요에 맞서 꾸란이 창조되지 않았다는 믿음을 굳건히 지켰다.[36]

이븐 한발은 꾸란에 제시된 신의 정의를 절대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는 신이 유일하고 절대적이며, 피조물과 비교할 수 없다고 믿었다.[6] 그는 신의 속성, 예를 들어 듣기, 보기, 말하기 등을 문자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신성한 텍스트를 적절하게 해석할 권한을 가진 사람은 소수라고 믿었다.[6]

이븐 한발은 독립적인 추론(이즈티하드)을 선호하고 맹목적인 추종(타클리드)을 거부했다. 그는 타클리드를 다신교(시르크)에 비유하며, 전승의 사슬이 확실하더라도 맹목적으로 다른 사람의 견해를 따르는 것을 경계했다. 또한 이슬람 율법의 다양한 학파(마드하브) 간의 법적 견해 차이를 존중했다.[77]

이븐 한발은 무함마드를 통한 중재(타와수울)를 지지했다.[52] 또한 수피즘(이슬람 신비주의)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으며,[56] 유물의 힘을 믿고, 종교적 숭배를 통해 유물로부터 축복을 구하는 것을 지지했다.[13]

3. 1. 신학

이븐 한발은 압바스 왕조 칼리프 알마문이 학자들에게 무타질리 교리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한 미흐나에 저항한 것으로 유명하다. 수니파 전통에 따르면, 이븐 한발은 칼리프의 강요에 맞서 꾸란이 창조되지 않았다는 믿음을 굳건히 지킨 대표적인 학자였다.[36] 이러한 그의 입장은 한발 학파가 법학뿐만 아니라 신학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이븐 한발은 무타질리 교리를 거부하여 알마문 시대에 바그다드에 투옥되었다. 알마문의 후계자인 알 무타심 시대에는 매질을 당해 의식을 잃기도 했지만, 이 사건은 바그다드에서 큰 소동을 일으켜 석방되었다.[35] 알 무타심 사후 알 와티크가 칼리프가 되면서 무타질리 교리 강요 정책이 지속되었고, 이븐 한발은 바그다드에서 추방되었다. 알 와티크 사후 그의 형제인 알 무타와킬이 즉위하면서 이븐 한발은 바그다드로 돌아올 수 있었는데, 알 무타와킬은 전통적인 수니파 신앙에 훨씬 더 관대했다.

3. 1. 1. 신에 대한 관점

이븐 한발은 꾸란에 제시된 신의 정의를 절대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는 신이 유일하고 절대적이며, 피조물과 비교할 수 없다고 믿었다.[6] 그는 신의 속성, 예를 들어 듣기, 보기, 말하기 등을 문자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신성한 텍스트를 적절하게 해석할 권한을 가진 사람은 소수라고 믿었다.[6]

3. 1. 2. 꾸란에 대한 관점

이븐 한발은 꾸란이 창조되지 않은 신의 말씀이라고 믿었다. 그는 꾸란을 글자, 단어, 표현, 아이디어를 모두 포함하는 살아있는 실체로 이해했다.[36] 그는 의 완벽한 정의를 꾸란에 제시된 것으로 이해했으며, 신에 대한 올바른 믿음은 이슬람 경전에서 신이 자신에 대해 묘사한 것을 믿는 것이라고 주장했다.[5]

이븐 한발은 신의 속성에 대해 듣기, 보기, 말하기, 전능, 의지, 지혜, 부활의 날에 신자들이 보는 것 등 모든 일반적인 신의 속성은 문자적으로 "실재"(ḥaqq)로 긍정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신의 손, 얼굴, 옥좌, 편재성, 부활의 날에 신자들이 보는 것 등 "모호한"(mutas̲h̲ābih) 속성은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했다.[5]

이븐 한발은 외형적으로 의인화된 묘사가 있는 경전의 구절을 무흐카마트(명확한) 구절로 취급하여 문자적 의미만을 인정했다.[7] 그는 신에 대한 ''꾸란''과 예언적 진술의 문자적 의미를 주장했지만, 신념주의자가 아니었으며 해석학적 활동에 참여할 의향이 있었다.[8]

3. 1. 3. 타클리드(Taqlid)에 대한 관점

이븐 한발은 독립적인 추론(이즈티하드)을 선호하고 맹목적인 추종(타클리드)을 거부했다. 그는 타클리드를 다신교(시르크)에 비유하며, 전승의 사슬이 확실하더라도 맹목적으로 다른 사람의 견해를 따르는 것을 경계했다.

3. 2. 법학

이븐 한발은 무프티울라마가 이즈티하드(독립적인 법률 해석)를 할 때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보았다.[75] 그는 자카리야 이븐 야흐야 알-다리르와의 대화에서 무프티가 되려면 50만 개의 하디스를 암송해야 한다고 말했다.[75] 이는 법학에 정통하지 않은 무프티들의 독립적인 추론을 반대한 것이다.[75]

이븐 한발은 독립적인 추론(이즈티하드)을 선호했지만, 맹목적인 추종(타클리드)은 시르크(다신교)에 비유하며 강하게 비판했다.[50][51] 그는 신의 말씀을 거부하면 의심이 생겨 파멸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51]

3. 2. 1. 사적 해석에 대한 비판

이븐 한발은 사적 해석을 강력하게 반대했으며, 종교 학자만이 거룩한 텍스트를 적절하게 해석할 자격이 있다고 주장했다.[6] 이븐 한발에게 귀속된 신조 중 하나는 "모든 시대와 예언자 사이의 간격 (''파트라'')에서 훌륭한 자질을 가진 학자들을 높이신 하나님께 찬양을 드립니다. 그들은 길을 잃은 자에게 (올바른 길로) 돌아오라고 외칩니다."[6]라고 시작하며, 이 신조는 "개인적인 판단 (''라으'')의 사용을... 법학의 근거로서 명시적으로 반대한다."[6]

3. 3. 윤리

이븐 한발은 이슬람 율법의 다양한 학파(마드하브) 간의 법적 견해 차이를 존중했다.[77] 한발 학파의 후대 학자인 이븐 아킬과 이븐 타이미야에 따르면, 이븐 한발은 모든 마드하브를 옳다고 여겼으며, 법학자가 자신의 견해를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는 것을 혐오했다.[78] 이븐 한발의 제자인 이샤크 이븐 바흘룰 알-안바리가 법적 차이점에 대한 책을 엮어 '견해 차이의 핵심'이라고 이름 붙였을 때, 이븐 한발은 대신 그 책의 이름을 '관용의 책'이라고 짓도록 조언했다.[79]

3. 3. 1. 중재(Intercession)에 대한 관점

이븐 한발은 무함마드를 통한 중재(타와수울)를 지지했다. 아부 바크르 알-마르와지는 그의 저서 《만사크》에서 이븐 한발이 모든 기도를 할 때 무함마드를 통해 타와수울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오, 신이여! 저는 자비의 선지자이신 당신의 선지자 무함마드를 통해 당신께 나아갑니다. 오, 무함마드여! 저는 당신과 함께 제 주님께 나아가 제 소원을 이루고자 합니다."라는 문구를 사용했다고 전한다.[52] 이 기록은 개인적인 기도의 맥락에서 법학 문제로 많은 후기 한발 학파 작품에서 반복된다.[53] 예를 들어, 이븐 쿠다마는 그의 《와시야》에서 소원을 얻기 위해 이것을 권장한다.[54] 마찬가지로, 이븐 타이미야는 그의 저서 《카이다 필-타와수울 왈-와시일라》에서 모든 개인적인 기도에서 무함마드의 중재가 바람직하다는 한발리 파트와를 인용하며, 알-마르와지의 《만사크》에서 "이맘 아흐마드와 경건한 선조들의 무리"에 귀속시킨다.[55]

3. 3. 2. 신비주의(Mysticism)에 대한 관점

이븐 한발은 수피즘(이슬람 신비주의)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수피들을 존경하고 그들에게 친절함과 관대함을 보였으며, 마루프 카르키를 포함한 초기 수피 성인들과 교류했다.[56] 카디 아부 야알라는 그의 『타바카트』에서 이븐 한발이 수피들에 대해 "지식이 그들을 앉게 했다"라고 말했다고 전한다.[58]

이븐 한발의 『무스나드』에는 아브달에 관한 하디스 보고서가 많이 있는데, 아브달은 40명의 주요 성인으로, 그 수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며 한 명이 죽으면 다른 사람으로 대체된다고 한다.[13] 이븐 한발은 마루프 카르키를 아브달 중 한 명으로 명시적으로 식별하며 "그는 대리 성인 중 한 명이며, 그의 간구는 응답받는다"라고 말했다.[59] 또한 이븐 한발은 초기 금욕주의 성인 발가벗은 비쉬르와 그의 여동생을 칭찬하고, 신비적인 질문을 가진 사람들을 비쉬르에게 보냈다고 한다.[60][61] 그는 초기 수피들에 대해 "나는 그들보다 더 나은 사람들을 알지 못한다"라고 말했다.[62] 그의 아들 살리흐는 금욕주의자나 수행자가 방문할 때마다 아버지가 자신을 불러 그를 보게 했으며, 아버지가 자신이 그렇게 되기를 바랐다고 말했다.[59]

후즈위리는 이븐 한발에 대해 "그는 독실함과 경건함으로 구별되었다... 모든 종파의 수피들은 그를 축복받은 자로 여긴다... 그는 이집트의 둘-눈, 비쉬르 알-하피, 사리 알-사카티, 마루프 카르키 등과 같은 위대한 셰이크들과 교류했다."라고 썼다.[64] 이븐 알-자우지는 이븐 한발의 기적 수행자로서의 재능과 그의 무덤의 축복을 언급했다.[65][66] 이븐 한발의 시신은 부패하지 않음의 기적으로 축복받은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븐 알-자우지는 그의 시신이 부패하지 않았고 수의는 온전했다고 전했다.[67]

일부 학자들은 이븐 한발이나 그의 학파가 수피즘에 반대했다는 인식이 편향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한발 학파가 다른 어떤 학파보다 수피즘을 공격했다는 증거가 없으며, 초기 몇 세기 동안 일부 주요 수피들이 한발파 법학 학파를 따랐다고 지적한다.[68] 12세기 무렵, 한발주의와 수피즘의 관계는 매우 밀접해져서 압둘 카디르 지라니와 같은 저명한 한발리 법학자는 동시에 유명한 수피였으며, 그가 창시한 카디리야는 현재까지 가장 널리 퍼진 수피 교단 중 하나이다.[68] 이븐 쿠다마, 이븐 알-자우지, 이븐 카이임 알-자우지야와 같은 후기 한발리 작가들도 압둘 카디르 지라니의 교단에 속해 있었고 수피즘을 공개적으로 비난하지 않았다.[68]

3. 3. 3. 유물(Relics)에 대한 관점

학자들은 이븐 한발이 유물의 힘을 믿고, 종교적 숭배를 통해 유물로부터 축복을 구하는 것을 지지했다고 언급한다.[13] 이븐 한발은 "예언자의 머리카락이 들어 있는 ... 소매 안의 ... 지갑"을 자주 가지고 다녔다고 전해진다.[13]

이븐 알 자우지는 이븐 한발의 아들 압둘라 이븐 아흐마드 이븐 한발이 전한, 아버지의 유물에 대한 헌신을 다음과 같이 회상하는 전통을 소개한다. "나는 아버지가 예언자의 머리카락을 가져다가 입 위에 놓고 그것에 입맞춤하는 것을 보았다. 아마도 그는 그것을 눈 위에 올려놓고 물에 담갔다가 치료를 위해 그 물을 마시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69]

이븐 한발은 축복을 얻기 위해 무함마드의 그릇(기술적으로 "2급" 유물)에서 물을 마셨고,[69] 무함마드의 신성한 민바르에 손을 대고 입맞춤하는 것을 허용되고 경건한 행위로 여겼다.[70] 그는 나중에 자신이 소유한 무함마드의 머리카락을 "각 눈에 하나씩, 그리고 혀에 하나" 묻어달라고 명령했다.[13]

수피 학자 지브릴 하다드는 알-다하비의 보고서를 인용하여 이븐 한발이 "예언자의 유물로부터 축복을 구하곤 했다"고 전한다.[18] 알-다하비는 이븐 한발의 무함마드 머리카락에 대한 헌신에 대한 보고서를 인용하면서, ''타바룩'' 즉 성스러운 유물로부터 축복을 구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강하게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지금 이맘 아흐마드를 비난하는 비평가는 어디 있는가? 압드 알라[이븐 한발의 아들]가 아버지에게 무함마드의 설교단 손잡이를 만지고 그의 방 벽을 만지는 사람들에 대해 묻자, 그는 '나는 거기에 아무런 해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는 것도 확실하게 확립되어 있다. 신께서 우리와 당신을 반대자들의 의견과 이단으로부터 보호하시기를!"[71]

아들 압둘라가 메디나에 있는 무함마드의 무덤을 만지고 입맞춤하는 것이 정당한지에 대해 묻자, 이븐 한발은 이 두 행위 모두 신성한 법에 따라 허용된다고 승인했다고 한다.[72][73]

4. 저작

이븐 한발은 무함마드 이븐 야흐야 알-카탄으로부터 "어떤 사람이 ḥadīth에 있는 모든 ''루크사'' [예외 조항]를 따른다면, 그는 부정한 자가 될 것이다(''fāsiq'')"라고 전했다.[76] 이는 무함마드의 위조된 전승이 많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75]

이븐 알-나딤의 ''피흐리스트''에는 다음과 같은 책들이 언급되어 있다.


  • ''우술 아스-수나'': "예언자 전통의 근본(신념에서)"
  • ''아스-수나'': "예언자 전통(신념에서)"
  • ''키타브 알-일랄 와 마르파트 알-리잘'': "숨겨진 결함이 있는 내러티브와 (하디스의) 인물들에 대한 지식의 책"
  • ''키타브 알-마나시크'': "하지 의식의 책"
  • ''키타브 알-주흐드'': "금욕의 책"
  • ''키타브 알-이만'': "믿음의 책"
  • ''키타브 알-마사일'': "피크 문제"
  • ''키타브 알-아쉬리바'': "음료의 책"
  • ''키타브 알-파다일 사하바'': "동료들의 덕"
  • ''키타브 타아 알-라스울'': "메신저에게 복종하는 책"
  • ''키타브 만수크'': "폐지의 책"
  • ''키타브 알-파라'이'': "의무의 책"
  • ''키타브 알-라드 '알라 알-자나디카 와'알-자흐미야'': "이단자와 자흐미테에 대한 반박"
  • ''타프시르'': "해설"
  • ''무스나드 아흐마드 이븐 한발''


이븐 한발은 한발 학파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지만, 9세기의 저명한 하디스 학자이기도 했다. 그가 평생 수집한 하디스는 아들과 제자들이 집성하여 『무스나드』(Musnad)로 편찬되었다. "무스나드"는 하디스집의 한 형식으로, 하디스를 동료별로 배열한 것이다.

하디스는 본문과 전승 경로를 함께 기억하며, 무스나드는 전승 경로 구분을 의도하여 신빙성에 관계없이 같은 계열의 전승 정보를 모을 수 있다. 특정 하디스 검색은 전문가가 아니면 어렵지만, 법학자나 하디스 학자 등에게 유용하다. 이븐 한발의 『무스나드』는 수니파에서 신빙성이 매우 높은 하디스집으로 존중받는다.

5. 평가와 영향

아흐마드 이븐 한발은 이슬람 율법과 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하디스 학자이자 법학자로서, 수니파 이슬람의 4대 법학파 중 하나인 한발리파를 창시했다.[80] 그의 사상과 가르침은 중세 이슬람 세계를 넘어 현대에 이르기까지 무슬림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발리파는 여전히 중요한 법학파로 남아있다.

압둘 카디르 길라니는 무슬림이 이븐 한발의 신념에 따르지 않고서는 알라의 진정한 왈리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80] 야흐야 이븐 마인은 이븐 한발이 자신의 업적에 대해 자랑한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80] 이맘 샤피이는 "아흐마드는 여덟 분야의 이맘이다. 그는 '하디스', 법학, '알-쿠란, 알-루가, 알-순나, 알-주흐드, 알-와라크, 알-파크'의 이맘이다"라고 말했다.[86] 알-다하비는 이븐 한발의 법학적 지위가 알-라이스 이븐 사드, 말리크 이븐 아나스, 알-샤피이, 아부 유수프와 같다고 언급한다.[87]

무함마드 이븐 자리르 알-타바리는 이븐 한발을 법학자로 여기지 않고 예언자적 전통의 전문가라고 묘사했다.[81] 그러나 이는 당시의 맥락에서 보아야 하는데, 이븐 한발의 학파는 아직 초기 단계였고 다른 학파에 비해 많은 사람들에게 따르지 않았으며, 학생들은 알-타바리의 학파와 갈등을 겪었다.[82] 이븐 압드 알-바르는 그의 저서에 이븐 한발을 포함시키지 않았지만,[84] "그는 아흐 알-하디스의 마드하브의 피크에서 매우 강력하며, 아흐 알-하디스의 '울라마'의 이맘이다"라고 말하며 이븐 한발의 법학을 칭찬했다.[85]

이븐 한발은 자말 앗딘 알-미지의 분류에 따르면 하디스의 '알 하피즈' 칭호를 받았다고 전해지며, 이븐 하자르 알-아스칼라니는 이븐 한발이 생전에 최소 75만 개의 하디스를 암기했다고 인정했다. 이는 무하마드 알-부카리와 무슬림 이븐 알-하ajjaj(각각 30만 개), 아부 다우드 알-시지스타니(50만 개)보다 많은 수치이다.[88] 아부 주르아 알-라지는 이븐 한발이 100만 개의 ''하디스''를 암기했으며, 그중 70만 개가 법학과 관련 있다고 언급했다.[86] 알-타바라니에 따르면, 이븐 한발은 말리크 이븐 아나스, 야흐야 이븐 마인 등과 함께 '아미르 알-무으미닌 알-하디스'의 반열에 올랐다.[88]

이븐 한발은 한국의 이슬람 학계와 신학계에서도 연구되고 있으며, 그의 사상과 업적은 한국 무슬림들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의 전통주의 신학과 율법에 대한 헌신은 한국 이슬람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مناهج أئمة الجرح والتعديل http://www.ibnamin.c[...] Ibnamin.com 2010-03-21
[2] 서적 Fifty key figures in Islam Taylor & Francis
[3] 서적 The History of Persia
[4]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Persia from the Earliest Times Until Firdawsh
[5] 간행물 Ahmad b. Hanbal
[6] 간행물 Aḥmad b. Ḥanbal 2024-10
[7] 논문 Aspects of the Creed of Imam Ahmad IBN Hanbal: A Study of Anthropomorphism in Early Islamic Discourse http://www.jstor.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1-05
[8] 논문 Aspects of the Creed of Imam Ahmad IBN Hanbal: A Study of Anthropomorphism in Early Islamic Discourse http://www.jstor.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1-05
[9] 서적 Islamic Theology, Philosophy and Law: Debating Ibn Taymiyya and Ibn Qayyim al-Jawziyya Walter De Gruyter
[10] 논문 Writings on Disability in Islam: The 16th Century Polemic on Ibn Fahd's "al-Nukat al-Ziraf" 2005/2006
[11] 문서 1st ed., Cairo 1311; new edition by Aḥmad S̲h̲ākir in publ. since 1368/1948
[12] 문서 ''Manāḳib'', pp. 33–36; ''Tard̲j̲ama'', pp. 13–24
[13] 논문 The Ḥanābila and the Early Sufis, Arabica Brill
[14] 서적 ''Manaqib al-Imam Ahmad''
[15]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16] 논문 On the Origins of Wahhābism 1992-07
[17] 논문 The Ḥanābila and the Early Sufis, Arabica Brill
[18]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19]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https://referencewor[...] Brill 2021-11-05
[20] 서적 Ibn Hanbal – his life and his era – his jurisprudential opinions
[21] 서적 The Virtues of Imam Ahmad ibn Hanbal
[22] 간행물 Aḥmad B. Ḥanbal Brill Academic Publishers
[23] 서적 The Virtues of Imam Ahmad ibn Hanbal by Ibn al-Jawzi
[24] 서적 Ibn Hanbal – his life and his era – his jurisprudential opinions by Abu Zahra
[25] 서적 The Four Imams by Mustafa al-Shaka'a
[26] 서적 Ibn Hanbal – his life and his era – his jurisprudential opinions by Abu Zahra
[27] 서적 The Virtues of Imam Ahmad ibn Hanbal by Ibn al-Jawzi
[28] 웹사이트 The wives of Imam Ahmad ibn Hambal (rahimahullah) https://hadithanswer[...] HadithAnswers.com 2024-01-15
[29] 서적 The Four Imams by Mustafa Al-Shakaa
[30] 문서 Manaqib al-Imam Ahmad ibn Hanbal by Ibn al-Jawzi, Chapter Sixty-Two: Mentions the Number of His Wives, pp. 402–05, Chapter Sixty-Three Mantions His Concubines, pp. 406–08, and Chapter Sixty-Four Mentions the Number of His Children, pp. 409–10.
[31] 웹사이트 Biography of Imam Ahmad Bin Hanbal https://www.islamicf[...] 2024-05-14
[32] 서적 The Paradoxical Kingdom: Saudi Arabia and the Momentum of Reform Columbia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Jurisprudence and Law – Islam http://veil.unc.edu/[...] Reorienting the Vei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09
[34] 서적 Theology and Creed in Sunni Islam: The Muslim Brotherhood, Ash'arism, and Political Sunnism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20-10-15
[35] 웹사이트 Imaam Ahmad ibn Hanbal https://web.archive.[...]
[36] 서적 Tajalli Wa-Ru'ya: A Study of Anthropomorphic Theophany and Visio Dei in the Hebrew Bible, the Qur'an and early Sunni Isl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2008
[37] 문서 Siyar A'lam al-Nubala
[38] 문서 Siyar A'lam al-Nubala
[39]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2007
[40] 서적 Kashf al-Mahjub
[41] 문서 The Virtues of Imam Ahmad ibn Hanbal by Ibn al-Jawzi, Chapter Seventy-Nine: In Mention of His Illness
[4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slam Scarecrow Press
[43] 웹사이트 Imam Ahmed bin Hanbal Shrine: Dargah Of: Imam Abu Abdullah Ahmed bin Mohammed bin Hanbal (Rahimahu Allahu Ta'ala) http://dargahinfo.co[...] Dargahinfo.com 2020-07-13
[44] 웹사이트 Imam Ahmed bin Hanbal Shrine: Imam Abu Abdullah Ahmed bin Mohammed bin Hanbal (Rahimahu Allahu Ta'ala) http://dargahinfo.co[...] Dargahinfo.com 2020-07-13
[45] 웹사이트 من مراقد بغداد واضرحتها - ملاحق جريدة المدى اليومية http://almadasupplem[...] Al-Mada Supplements 2012-12-02
[46] 간행물 دليل الجوامع والمساجد التراثية والأثرية Sunni Endowment Office
[47] 간행물 الدليل السياحي للأضرحة والمراقد في العراق Sunni Endowment Office, Department of General Sunni Shrines
[48] 학술지 Aspects of the Creed of Imam Ahmad IBN Hanbal: A Study of Anthropomorphism in Early Islamic Discourse http://www.jstor.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1-05
[49] 학술지 Aspects of the Creed of Imam Ahmad IBN Hanbal: A Study of Anthropomorphism in Early Islamic Discourse http://www.jstor.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1-05
[50] 서적 Rethinking Salafism: The Transnational Networks of Salafi ʿUlama in Egypt, Kuwait, and Saudi Arabia Oxfo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Fath al-Majeed: Sharh Kitab al-Tawhid Dar al Manarah
[52]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2007
[53]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2007
[54] 서적 Wasiyya al-Muwaffaq Ibn Quduma al-Maqdisi
[55]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2007
[56] 문서 Aḥmad b. Ḥanbal
[57] 문서 Ahmad b. Hanbal
[58]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2007
[59]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2007
[60] 서적 Friends of God: Islamic Images of Piety, Commitment, and Servanthoo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61] 서적 Kashf al-Majhub Brill 1911
[62] 문서 al-Ghiza al-Albab
[63] 서적 Al-Wabil al-Sayyib min al-Kalim al-Tayyib Islamic Texts Society 2000
[64] 서적 Kashf al-Majhub Brill 1911
[65] 서적 The Life of Ibn Hanbal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6
[66] 문서 Manāqib al-imām Aḥmad, ed. ʿĀdil Nuwayhiḍ 1973
[67] 서적 The Life of Ibn Hanbal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6
[68] 서적 Introduction to Sufism: The Inner Path of Islam World Wisdom 2010
[69] 서적 The Life of Ibn Hanbal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6
[70] 문서 Al-'Ilal wa Ma'rifat Ar-Rijal
[71] 서적 Siyar
[72] 서적 Al-'Ilal wa Ma'rifat Ar-Rijal
[73] 서적 Logical Analysis Of Wahhabi Beliefs https://books.google[...] Rafed Books 2022-04-13
[74] 서적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Islamic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2007
[76] 서적 Al-'Ilal wa-Ma'rifat al-Rijāl Mu'assasat al-Risāla 1983
[77]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2007
[78]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2007
[79] 서적 The Four Imams and Their Schools Muslim Academic Trust 2007
[80] 서적 Foundations of the Sunnah
[81] 서적 Irshad
[82] 서적 Al-Madkhal Al-Mufassal
[83] 서적 Al-Sadah Al-Hanabilah wa Ikhtilafatuhum Ma'a Al-Salafiyah Al-Mu'ashirah fi al-'Aqidah wa al-Fiqh wa al-Tasawwuf Dar al-Nur al-Mubin Li al-Nashr wa al-Tawzi
[84] 간행물 This Day I have Perfected Your Religion For You: A Zahiri Conception of Religious Authority
[85] 서적 Al-Intiqa
[86] 서적 Tabaqat al-Hanabilah Dar al-Ma'rifah
[87] 서적 Siyar a'lam al-nubala
[88] Dr. Ensiklopedia Imam Syafi'i https://books.google[...] Jakarta Islamic Centre 2021-12-17
[89] 문서 Entire bibliography is taken from Holtzman, Livnat, "Aḥmad b. Ḥanbal", in: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Edited by: Kate Fleet, Gudrun Krämer, Denis Matringe, John Nawas, Everett Rowson
[90] 문서 Ahmad b. Hanb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