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은 1866년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태어난 러시아 제국의 귀족으로, 니콜라이 2세의 조언자 역할을 했다. 그는 해군 장교로 복무하며 항공 분야를 개척했고, 1910년에는 항공 전문학교를 설립했다. 1894년 알렉산드르 3세의 딸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과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프랑스로 망명하여 회고록을 집필했다. 1933년 프랑스에서 사망했으며, 프리메이슨 활동을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대공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러시아 대공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가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가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트빌리시 출신 - 세르게이 비테
세르게이 율리예비치 비테는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이자 총리로서 러시아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시베리아 횡단철도 건설, 금본위제 도입, 포츠머스 조약 체결, 1905년 혁명 당시 개혁 촉구 등 격동기 러시아 정치·경제 상황에 깊숙이 관여한 인물이다. - 트빌리시 출신 - 뤼카 므케이제
뤼카 므케이제는 프랑스의 유도 선수로,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동메달,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각각 1회씩 획득했다.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66년 4월 13일 |
출생지 | 트빌리스, 트빌리스 현, 캅카스 총독부,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933년 2월 26일 |
사망지 | 빌라 생트 테레즈, 로크브륀카프마르탱, 프랑스 |
매장지 | 시미티에르 드 로크브륀카프마르탱 |
배우자 |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1894년 8월 6일 결혼) |
자녀 |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표도르 알렉산드로비치 니키타 알렉산드로비치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 로스티슬라프 알렉산드로비치 바실리 알렉산드로비치 |
아버지 |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 |
어머니 | 체칠리에 폰 바덴 |
가문 |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조 |
신분 | |
칭호 | 러시아 대공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
2. 생애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은 러시아 제국의 황족으로, 니콜라이 1세의 손자이자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과 올가 표도로브나 대공녀의 아들이다. 1866년 트빌리시에서 태어났으며, 애칭은 "산드로"(Sandro)였다.
어린 시절부터 해군을 동경하여 러시아 제국 해군 장교가 되었고, 일본 제국과 브라질 제국을 방문하는 등 일찍부터 군 경력을 쌓았다. 1894년에는 알렉산드르 3세 황제의 장녀인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과 결혼하여 슬하에 6남 1녀를 두었다. 이 결혼으로 니콜라이 2세 황제의 매형이 되었으며, 황제의 가까운 조언자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러시아 해군력 강화에 주력하여 1895년부터 태평양 함대 강화 계획을 추진했고, 러일 전쟁 이후에는 해군참모본부 창설과 함대 재편성, 신형 전함 건조를 주장했다. 또한 러시아 군사 항공 분야의 선구자로서 1910년 세바스토폴 인근에 항공 학교를 설립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에는 러시아 제국 공군 사령관 및 감사관을 역임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제정이 붕괴되자 프랑스로 망명하여 파리 등지에 거주했다. 망명 생활 중 ''예전의 대공'' (Once a Grand Duke), ''언제나 대공'' (Always a Grand Duke) 등의 회고록을 집필하여 제정 러시아 말기 황실 생활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또한 에티오피아 제국의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와 교류하고 고고학 연구에 몰두하기도 했으며, 프리메이슨 활동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7][8]
1933년 프랑스 로크브륀-카프-마르탱에서 사망했으며, 니콜라이 1세의 마지막 생존 직계 손자였다.
2. 1. 초기 생애

1866년 러시아 제국의 트빌리시 현 (오늘날의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과 올가 표도로브나 대공녀(바덴의 체칠리에) 사이의 6남 1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니콜라이 1세의 막내아들이었다. 그는 주로 "산드로"(Sandro)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어린 시절부터 해군에 입대하고 싶어 했으나 부모의 반대에 부딪혔다. 하지만 사촌인 알렉산드르 3세 황제의 중재 덕분에 러시아 제국 해군 장교가 될 수 있었다. 1885년 해군사관학교 사관후보생 과정을 졸업한 이후 러시아 제국 해군 장교로 복무했다. 젊은 시절 러시아 제국을 대표하여 일본 제국을 친선 방문했으며, 1887년에는 브라질 제국을 방문했다. 브라질 방문 중 16세의 현지 소녀와 첫 로맨스를 경험하기도 했다.[1]

1894년 8월 6일(구력 7월 25일), 사촌 알렉산드르 3세 황제의 장녀인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과 결혼했다. 이 결혼으로 그는 니콜라이 2세 황제의 매형이 되었으며, 니콜라이 2세의 가까운 조언자 역할을 수행했다. 알렉산드르는 니콜라이 2세에게 비판을 포함한 조언을 했으며, 이는 황제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고 전해진다. 그의 회고록에 따르면, 니콜라이 2세에 대한 영향력을 두고 알렉산드라 황후와 갈등을 겪었으며, 러시아 내 반유대주의가 만연하고 있다는 자신의 견해를 니콜라이 2세와 공유하려 했다고 한다.

알렉산드르와 크세니야는 부모 세대처럼 슬하에 6남 1녀를 두었다. 같은 세대의 황족 중에서는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과 함께 유이하게 아들을 여섯 명 이상 두었다.
-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공주 (1895–1970)
-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1897–1981)
- 표도르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1898–1968)
- 니키타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1900–1974)
-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1901–1980)
- 로스티슬라프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1902–1978)
- 바실리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1907–1989)
러시아 혁명 이전, 알렉산드르 대공은 프랑스, 특히 비아리츠[2]와 코트다쥐르에서 휴가를 보내는 것을 즐겼다. 그의 형인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대공[3]은 1908년 칸에 있는 칼튼 호텔 건설에 재정적 지원을 하기도 했다.
2. 2. 혼인과 가정
알렉산드르는 1894년 8월 6일(구력 7월 25일), 사촌인 알렉산드르 3세 황제의 장녀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과 결혼했다. 이 결혼으로 그는 차르 니콜라이 2세의 매형이자 가까운 조언자가 되었다. 알렉산드르의 비판을 포함한 조언은 니콜라이 2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고 전해진다. 그의 회고록에 따르면, 니콜라이 2세에 대한 영향력을 두고 알렉산드라 황후와 갈등을 겪었으며, 당시 러시아 내에 만연했던 반유대주의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니콜라이 2세와 공유하려 했다고 한다.
알렉산드르와 크세니야는 아버지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처럼 슬하에 6남 1녀, 총 7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는 같은 세대의 러시아 황족 중에서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과 함께 아들을 여섯 명 이상 둔 드문 경우였다.
이름 | 출생 | 사망 |
---|---|---|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공주 | 1895년 | 1970년 |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 1897년 | 1981년 |
표도르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 1898년 | 1968년 |
니키타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 1900년 | 1974년 |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 1901년 | 1980년 |
로스티슬라프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 1902년 | 1978년 |
바실리 알렉산드로비치 공자 | 1907년 | 1989년 |
러시아 혁명 이전, 알렉산드르 대공은 프랑스, 특히 비아리츠[2]와 코트다쥐르에서 휴가를 보내는 것을 좋아했는데, 그의 형인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대공은 1908년 칸에 있는 칼튼 호텔 건설 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3]
2. 3. 해군 경력
1885년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사관 후보생(мичман|미치만ru) 계급을 받았다.[5] 이후 러시아 제국 해군에 입대하여 복무하며 항해에 참여했고, 일본 제국과 브라질 제국을 친선 방문하기도 했다.1891년부터 러시아의 연례 간행물인 ''군함'' (Военные флоты|보옌니예 플로티ru)의 창간을 주도하고 1906년까지 편집을 맡았다.[5] 1895년에는 태평양 함대의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5] 이듬해인 1896년부터는 해군 아카데미의 해군 과학 수업에서 해군 전술 이론과 해군 게임을 가르치는 교관으로 활동했다.[5][16]
1901년부터 1902년까지 흑해 함대 소속의 전함 ''로스티슬라프'' 함장을 맡았고,[5][16] 1903년에는 흑해 함대의 하급 기함 장교(함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5][16] 이와 병행하여 1901년부터 1905년까지 상선 및 항구와 관련된 여러 위원회의 수석 감독관이자 의장을 역임했다. 이 직책을 통해 상업 해운의 발전, 새로운 항만의 건설 및 장비 확충, 상선 선원의 훈련, 장거리 해운 노선 개설, 해상 무역 관련 법률 개선 등에 기여했다.[5][16]
러일 전쟁(1904년-1905년) 기간에는 자원 봉사 함대의 보조 순양함(무장 상선 선단)을 감독하는 지휘관을 맡았다.[5][16] 전쟁 이후에는 해군참모본부 창설에 주력하며 함대의 재편성과 신형 전함 건조의 필요성을 강력히 주장했다.[5][16] 또한 자신의 발의로 무역 항해 및 항만 총국을 창설하여 총국장을 맡았으며, 1904년에는 의연금으로 함대를 강화하기 위한 특별위원회의 위원장에도 취임했다.[16]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장거리 수송 노선 확보, 상선 항해 훈련 강화, 신규 항만 건설 등에 기여했다.[16] 1909년에는 중장으로 진급했다.[5][16]
알렉산드르는 해군력 강화뿐만 아니라 항공력의 중요성에도 주목하여, 1910년 세바스토폴 교외에 항공 전문학교(항공대 사관학교)를 설립했다.[16]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러시아 제국 공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1916년 12월에는 공군 총감(감사관)에 취임했다.[16]
2. 4. 항공 분야 개척
알렉산드르 대공은 러시아 군사 항공의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항공 전력의 충실에도 힘을 기울여 1910년 세바스토폴 교외에 항공대 사관학교를 창설했다[16] .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제정 러시아 공군 사령관을 맡았고, 1916년 12월에는 공군 총감(야전 감찰관)에 취임했다[16] .2. 5. 러시아 혁명과 망명
러시아 혁명 이전, 알렉산드르는 형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대공과 함께 프랑스의 비아리츠나 코트다쥐르에서 휴가를 보내는 것을 즐겼다. 1908년에는 칸에 호텔 카를통(Hôtel Carlton)을 건립하는 과정에서 재정적인 지원을 하기도 했다.[17][18]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자, 알렉산드르의 삶은 크게 바뀌었다. 그는 1918년 12월, 장남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공작과 임신 중이던 며느리 엘리자베타 디 사소 루포와 함께 크림 반도를 떠나 망명길에 올랐다.[4] 당시 크림 반도에는 많은 로마노프 황족들이 피신해 있었다. 그의 아내 크세니야와 장모인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태후, 그리고 그의 다른 아들들과 로마노프 황족들은 이듬해인 1919년 영국 전함 말보로호(HMS Marlborough)에 의해 구조되어 크림 반도를 탈출했다.
망명 후 알렉산드르는 주로 프랑스 파리에 거주하며 회고록을 집필했다. 그의 회고록 Once a Grand Dukeeng(예전의 대공, 1933년 파라 & 라인하트(Farrar & Rinehart) 출판)과 Always a Grand Dukeeng(언제나 대공)은 제정 러시아 말기의 황실과 궁정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받는다. 회고록에서 그는 니콜라이 2세에 대한 황후 알릭스(헤센)의 정치적 영향력에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했으며, 니콜라이 2세가 혁명에 저항하기 위해 군대를 동원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혁명 이전 러시아 사회에 만연했던 반유대주의적 시각을 자신도 가지고 있었음을 인정했다.
알렉산드르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황태자였던 하일레 셀라시에(당시 이름 라스 타파리 마콘넨)와 교류하며 그의 초대를 받아 에티오피아를 방문하기도 했다. 또한 고고학에 깊은 관심을 가져 여러 차례 탐사를 진행하기도 했다.[5][16]
그의 자녀들은 모두 작위를 가진 비왕족 러시아 귀족과 결혼했다. 알렉산드르는 로마노프 가문의 귀천상혼 규정을 완화해 달라고 니콜라이 2세에게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결국 딸 이리나 공주만이 황제의 정식 허락을 받고 결혼할 수 있었다. 장남 안드레이 공작은 1918년 6월 크림 반도의 얄타에서 결혼했는데,[4] 이때 니콜라이 2세와 그의 가족은 예카테린부르크에 감금된 상태였으며, 한 달여 뒤 볼셰비키에 의해 살해되었다.
알렉산드르는 1933년 2월 26일 프랑스 로크브륀-카프-마르탱에서 사망했으며, 그곳에 묻혔다. 그는 니콜라이 1세의 직계 손자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 그의 아내 크세니야는 1960년 영국 햄프턴 코트 궁전에서 사망했다.

3. 유산 및 평가
(내용 없음)
3. 1. 프리메이슨 활동
알렉산드르는 "신비주의적인 프리메이슨"이자 영적인 인물이었으며, 스스로를 장미십자회원과 필라레테스라고 칭했다. 그는 1907년 이후부터 1917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프리메이슨 "대공 로지" 회원이었다.[6][7] 또한 1910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필라레테스 의식을 연구하는 "해군 로지"를 창립했다.[6][7] 세르코프의 백과사전에 따르면, 그는 1910년부터 1919년까지 스웨덴 의례를 따르는 "카르마" 로지의 마스터로 활동했다.[8]4. 자녀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대공은 부인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대공녀와의 사이에서 1녀 6남을 두었다.
이름 | 생년 | 몰년 | 비고 |
---|---|---|---|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유수포바 | 1895년 | 1970년 | 펠릭스 유수포프와 결혼하여 딸 1명을 둠. |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 1897년 | 1981년 | 두 번 결혼하여 아들 2명, 딸 1명을 둠. |
표도르 알렉산드로비치 | 1898년 | 1968년 | 이리나 팔레이 공주와 결혼하여 아들 1명을 둠. |
니키타 알렉산드로비치 | 1900년 | 1974년 | 마리아 보론초바다시코바 여백작과 결혼하여 아들 2명을 둠. |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 | 1901년 | 1980년 | 두 번 결혼하여 첫 번째 부인 마리나 골레니시체바쿠투조바 여백작과의 사이에서 딸 1명을 둠. |
로스티슬라프 알렉산드로비치 | 1902년 | 1978년 | 세 번 결혼하여 첫 번째 부인 알렉산드라 골리치나 공녀와의 사이에서 아들 1명, 두 번째 부인 앨리스 에일켄과의 사이에서 아들 1명을 둠. |
바실리 알렉산드로비치 | 1907년 | 1989년 | 나탈리아 골리치나 공주와 결혼하여 딸 1명을 둠. |
니콜라이 2세는 황족들이 귀천상혼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알렉산드르 대공의 자녀 대부분은 로마노프 왕조가 무너질 때까지 결혼하지 못했다. 로마노프 왕조 시절 니콜라이 2세의 허락을 받고 결혼한 자녀는 장녀 이리나뿐이었다. 장남 안드레이는 1918년 6월 12일 얄타에서 결혼했는데, 이때는 니콜라이 2세가 이미 퇴위하여 예카테린부르크에 감금된 상태였다.
참조
[1]
서적
Once a Grand Duke
Read & Company History
[2]
웹사이트
Alexander Mikhailovich of Russia in the history of the Hotel du Palais, 1910
http://thegrandhotel[...]
Grand Hotels of the World
[3]
웹사이트
Michael Mikhailovich of Russia in the history of the Hotel Carlton
http://thegrandhotel[...]
Grand Hotels of the World
[4]
서적
My Father and His Family
[5]
간행물
Russian Imperial Navy
http://www.ihst.ru/p[...]
Moscow
[6]
서적
Люди и ложи. Русские масоны XX столетия
[7]
문서
B. I. Nikolaevsky Collection, Hoover Institution Archives
[8]
서적
Русское масонство 1731–2000.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ROSSPEN
[9]
서적
Statesmen of the Russian Empire, 1802-1917
Dimitri Bulanin
[10]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11]
서적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12]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1918
[13]
간행물
พระราชทาน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 ที่ประเทศยุโรป
http://www.ratchakit[...]
1898-01-22
[14]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15]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16]
간행물
Russian Imperial Navy
http://www.ihst.ru/p[...]
Moscow
[17]
웹사이트
Alexander Mikhailovich of Russia in the history of the Hotel du Palais, 1910
http://thegrandhotel[...]
Grand Hotels of the World
2016-09-24
[18]
웹사이트
Michael Mikhailovich of Russia in the history of the Hotel Carlton
http://thegrandhotel[...]
Grand Hotels of the World
2016-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