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 마르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베르 마르케는 1875년 프랑스 보르도에서 태어난 화가이다. 앙리 마티스와 절친한 사이였으며, 22세에 귀스타브 모로의 문하생으로 들어가 함께 만국박람회 장식화를 제작하는 등 교류하며 그림을 연마했다. 마르케는 바다, 항구 등 해변 풍경을 주로 그렸으며, 야수파 화가들과 함께 전시했으나 덜 격렬한 색채를 사용했다. 그는 1907년부터 파리와 유럽, 북아프리카를 오가며 작업했으며, 특히 알제리와 베네치아의 풍경을 즐겨 그렸다. 마르케는 현대 회화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풍경화가로 평가받으며, 194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수파 화가 - 앙드레 드랭
프랑스 화가이자 조각가인 앙드레 드랭은 야수파 운동의 주요 인물로서, 강렬한 색채와 대담한 표현으로 주목받았으나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협력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야수파 화가 - 모리스 드 블라맹크
모리스 드 블라맹크는 프랑스 화가로, 야수파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빈센트 반 고흐의 영향을 받아 강렬한 색채와 거친 붓 터치를 특징으로 하는 작품을 제작했다. - 보르도 출신 - 프랑수아 모리아크
프랑수아 모리아크는 보르도 지방의 풍물을 배경으로 개인, 가정, 신앙, 욕망 간의 갈등을 다룬 소설을 통해 심리 소설가로서 입지를 다진 프랑스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평론가이며, 노벨 문학상과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상했고 레지스탕스 운동 참여 및 사회, 정치적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 보르도 출신 - 로자 보뇌르
로자 보뇌르는 프랑스의 사실주의 화가이자 조각가로, 동물화가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니베르네의 쟁기질》과 《말 시장》 등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고,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으며, 인습에 얽매이지 않는 삶을 살았다. - 프랑스의 화가 - 장 아르프
장 아르프는 프랑스-독일계 예술가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콜라주, 부조, 조각 등의 작품 활동을 했으며, 베네치아 비엔날레 그랑프리 등을 수상했다. - 프랑스의 화가 - 폴 들라로슈
폴 들라로슈는 프랑스의 역사 화가로, 파리 국립미술학교에서 수학하고 살롱전에 데뷔하여 역사적 사건을 묘사한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국립미술학교 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알베르 마르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피에르-알베르 마르케 |
출생일 | 1875년 3월 27일 |
출생지 | 보르도, 지롱드, 프랑스 |
사망일 | 1947년 6월 14일 |
사망지 | 라 프레트-쉬르-센, 발-도아즈,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경력 | |
분야 | 회화 |
사조 | 야수파 |
사사 | 귀스타브 모로 |
훈련 | 에콜 데자르 데코라티프 에콜 데 보자르 |
2. 생애
1875년 보르도에서 태어난 알베르 마르케는 마티스와 함께 모로의 문하생이 되면서 화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마티스와는 절친한 친구 사이로, 1900년 만국박람회 장식화를 공동 제작하고 같은 전람회에 작품을 출품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바다, 항구 등 해변 풍경화를 주로 그렸으며, 나이가 들면서 인적이 드문 고요한 풍경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르케는 격렬한 색채를 사용하는 대신, 대담한 색조를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구축했다. 그의 그림은 단조로운 색채로 덮여 있지만, 때로는 중후한 뉘앙스가 드러나 몽롱한 슬픔을 자아내기도 한다. 포비슴 운동 이후, 마르케는 구성을 더욱 순수하게 다듬어 견고하고 균형 잡힌 작품을 창작했다.
1907년 말부터 파리에 머물며 마티스와 함께 도시 풍경 연작을 그렸는데, 마티스가 강렬한 색상을 사용한 반면, 마르케는 회색빛 노란색, 회색빛 보라색, 파란색을 선호했다. 또한, 마르케는 전통적인 원근법을 사용하면서도 색상과 구도를 통해 평면성을 강조하는 독자적인 기법을 선보였다.
1907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파리 스튜디오와 유럽 해안, 북아프리카를 오가며 작업했다. 특히 알제와 알제리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바다와 배뿐만 아니라 해안 도시의 빛과 생동감 넘치는 삶을 화폭에 담았다. 나폴리와 베네치아에도 깊은 인상을 받아 바다와 배를 그리며 물 위의 빛을 강조했는데, 인상주의 화가와는 다른 기법으로 물을 표현하여 독창성을 드러냈다.
마르케는 일본의 호쿠사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인물을 단순화하고 서예적으로 묘사했다. 마티스는 "내가 호쿠사이를 볼 때 마르케가 생각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고 언급하며 그의 화풍을 높이 평가했다.[4]
마르케는 담낭 발작과 암으로 1947년 6월 14일 라프레트쉬르센에서 갑작스럽게 생을 마감했다.
2. 1. 초기 생애
1875년 보르도에서 태어났다. 1890년 파리로 이사하여 장식 미술 학교에서 수학하였고, 이 곳에서 앙리 마티스를 만났다. 두 사람은 한동안 룸메이트로 지내며 서로의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1892년부터는 상징주의 예술가였던 귀스타브 모로 밑에서 국립 미술 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다.[1]이 시기에 마르케는 살롱 데 쟁데팡당에 그림을 전시하였다. 비록 많은 그림을 팔지는 못했지만, 파리의 예술계는 그의 작품을 주목하게 되었다. 초기 작품은 야수파적 접근 방식을 보였는데, 그는 드로잉을 훌륭하게 제어하고 빛에 반응하며 강렬한 색조와 약한 색조를 모두 사용하였다. 마르케와 마티스는 이미 1898년에 아르큐에유와 룩셈부르크 정원에서 함께 그림을 그리며, 훗날 야수파 스타일로 불리게 되는 순수한 색상을 사용하였다.[1]
2. 2. 야수파(포비슴) 시기
알베르 마르케는 1875년 보르도에서 태어났다. 22세 때 마티스와 함께 귀스타브 모로의 문하생이 되었다. 마티스와는 절친한 사이였으며, 1900년 만국박람회의 장식화를 공동 제작하고 같은 전람회에 작품을 출품하기도 했다. 그러나 마티스가 활발한 성격이었다면 마르케는 조용한 성격이었다고 한다.마르케는 초기부터 바다, 항구 등 해변 풍경화를 주로 그렸으며, 이러한 경향은 나이가 들면서 인적이 드문 고요한 풍경을 선호하는 취향으로 이어졌다. 뒤피가 축제의 생생한 분위기를 표현한 반면, 마르케는 넓은 하늘, 언덕, 모래 등의 색면 구성을 중시했다.
마르케는 격렬한 색채를 사용한 전형적인 야수파 화가라기보다는, 색조의 대담함 때문에 야수파로 분류된다는 견해도 있다. 그의 그림은 단조로운 색채로 덮여 있지만, 때로는 중후한 뉘앙스가 드러나 몽롱한 슬픔을 느끼게 한다. 야수파 운동 이후, 마르케는 구성을 더욱 순화하여 견고하고 균형 잡힌 작품을 창작했다. 그는 현대 회화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풍경화가로 기억된다.
1905년 살롱 도톤[2] 전시에 참여했을 때, 그의 그림은 앙리 마티스, 모리스 드 블라맹크, 앙드레 드랭 등의 화가들과 함께 전시되었다. 그는 마티스와 평생 친구가 되었다.[3]
마르케는 다른 야수파 화가들보다 덜 밝고 격렬한 색상을 사용했고, 보색을 혼합하여 만든 덜 강렬한 톤을 강조하여 회색이 아닌 항상 색상으로 사용했다.
2. 3. 독자적인 화풍
알베르 마르케는 1875년 보르도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장식화가를 지망했으나 22세 때 마티스와 함께 모로의 문하생이 되었다. 마티스와는 절친한 사이였으며, 1900년 만국박람회의 장식화를 함께 제작하고 같은 전람회에 작품을 출품하며 그림 실력을 키웠다. 하지만 마티스가 활발한 성격이었다면 마르케는 차분한 성격으로, 둘은 성격 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마르케는 일찍부터 바다, 항구 등 해변 풍경을 주로 그렸으며, 나이가 들면서 인적이 드문 고요한 분위기를 더해 자신만의 화풍을 확립했다. 뒤피가 축제의 생생한 즐거움을 표현한 풍경화를 그린 반면, 마르케는 넓은 하늘, 언덕, 모래 등의 색면 구성을 통해 조화로운 분위기를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마르케는 강렬한 색채를 사용한 포브(야수파) 화가라기보다는, 대담한 색조를 사용했기에 포비스트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의 그림은 단조로운 색채로 덮여 있지만, 때로는 중후한 뉘앙스가 드러나 몽롱한 슬픔을 느끼게 한다. 포비슴 운동 이후, 마르케는 구성을 더욱 순수하게 다듬어 견고하고 균형 잡힌 작품을 창작했다. 그는 현대 회화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풍경화가로 기억된다.
1907년 말, 그는 파리에 머물면서 마티스와 함께 도시 풍경 연작을 그리는 데 집중했다. 마티스가 강렬한 색상을 사용한 반면, 마르케는 회색빛 노란색, 회색빛 보라색, 파란색을 선호했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근본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검은색은 주로 나무 줄기나 서예적으로 표현된 사람들, 매우 밝은 노란색이나 주황색 거리 및 보도와 대비되는 강렬한 색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마르케는 전통적인 원근법을 사용했지만, 그의 색상과 구도는 직사각형을 계속해서 언급하며 서예로 평면을 나누는 특징을 보였다.
1907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마르케는 파리 스튜디오와 유럽 해안, 북아프리카의 여러 지역을 오가며 작업했다. 특히 알제와 알제리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그의 여행에서 바다와 배뿐만 아니라 알제와 같은 해안 도시의 빛과 생동감 넘치는 삶을 화폭에 담았다.
마르케는 유럽 도시 중에서도 나폴리와 베네치아에 깊은 인상을 받아 바다와 배를 그리며 물 위의 빛을 강조했다. 그는 인상주의 화가와는 다른 기법을 사용하여 물을 환상적인 원근법 없이 단순한 톤의 넓은 영역으로 표현했으며, 배는 다른 평면으로 나타나도록 묘사했다. 그의 베네치아 석호 풍경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물은 그림 평면에 직각을 이루고, 큰 배는 정확한 톤의 반사로 공간감을 표현하며 떠다니는 듯한 느낌을 준다. 1920년대 그의 색상은 마티스와 매우 유사해졌다. 마르케는 생생한 색상 대비와 함께 정확하게 관찰된 색조, 단순한 드로잉으로 바다의 파도를 묘사하여 평화로운 움직임의 장면을 연출했다. 인물들은 매우 단순화되어 일본의 시조 양식 작품과 유사하게 서예적으로 그려졌다. 마티스는 "내가 호쿠사이를 볼 때 마르케가 생각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호쿠사이의 모방이 아니라 그와의 유사성을 의미합니다"라고 말했다.[4]
독일과 스웨덴 여행 중에도 그는 평소 선호하던 주제인 강과 바다 풍경, 항구와 배, 도시 풍경을 그렸다. 그는 경력 전반에 걸쳐 종종 수년 후에도 같은 주제로 돌아가 빛의 미묘한 차이를 기록했다. 그는 몇몇 초상화를 그렸고, 1910년과 1914년 사이에는 사창가에서 일련의 누드[3]를 그렸으며, 레즈비언 연인에 대한 작품의 삽화를 준비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많은 풍경화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5][6]
2. 4. 말년과 죽음
마르케는 주로 풍경화를 그리며 보다 자연주의적인 스타일을 추구했다.[3] 1907년 말부터 파리에 머물며 마티스와 함께 도시 풍경 연작을 그렸다. 마티스가 강렬한 색을 사용한 반면, 마르케는 회색빛 노란색, 회색빛 보라색, 파란색을 선호했다. 검은색은 강렬한 대비를 위해 사용되었고, 마르케는 전통적 원근법을 사용하면서도 색상과 구도로 평면성을 강조했다.1907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마르케는 파리와 유럽 해안, 북아프리카 등지를 오가며 작업했다. 특히 알제리와 튀니지를 자주 방문하여 바다, 배, 해안 도시의 풍경을 그렸다. 그는 유럽 도시 중에서도 나폴리와 베네치아를 좋아하여 물 위의 빛을 강조한 그림을 남겼다. 그의 베네치아 석호 풍경은 단순한 톤과 넓은 영역으로 물을 표현하고, 배를 다른 평면에 배치하여 공간감을 부여하는 독특한 기법을 보여준다.
마르케는 일본의 호쿠사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인물을 단순화하고 서예적으로 묘사했다. 마티스는 "내가 호쿠사이를 볼 때 마르케가 생각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고 언급했다.[4]
마르케는 독일과 스웨덴을 여행하며 강과 바다 풍경, 항구와 배, 도시 풍경을 그렸다. 그는 같은 주제를 반복해서 그리며 빛의 미묘한 차이를 포착했다. 그는 초상화와 누드화도 그렸지만, 풍경화가로서 가장 잘 알려져 있다.[5][6]
마티스와 달리 마르케의 작품에는 뚜렷한 변화 시기가 없다. 그는 마티스와 서로의 작품에 대해 토론하며 영향을 주고받았다. 마르케는 담낭 발작과 암으로 1947년 6월 14일 라프레트쉬르센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3. 주요 작품 및 특징
알베르 마르케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작품명 | 제작 연도 | 소장처 |
---|---|---|
노트르담 후진 | 1902년 | 아이치 현 미술관 |
포르트=베르사유의 설경 | 1904년 | 국립 서양 미술관 |
겨울 태양, 파리 | 1904년 | 폴라 미술관 |
툴롱 항구의 풍경 | 초기 작품 | 도쿄 후지 미술관 |
파리, 루브르 강변 | 1906년 | 야마자키 마작 미술관 |
파리, 카루젤 광장 | 1910년 | 폴라 미술관 |
앉아있는 나부 | 1912년 | 국립 서양 미술관 |
붉은 배경의 나부 | 1913년 | 군마 현립 근대 미술관 |
마르세유 항구 | 1916년 | 오하라 미술관 |
안개의 리브누브, 마르세유 | 1918년 | 우에하라 근대 미술관 |
레 사블 도론느 | 1921년 | 국립 서양 미술관 |
알제의 영사관 | 1921년 | 폴라 미술관 |
라 쇼메의 집들 | 1921년 | 야마자키 마작 미술관 |
알제리 항구 | 1924년경 | 폴라 미술관 |
작은 배=온다유 | 1926년 | 메나드 미술관 |
생장 드 뤼즈 항구 | 1927년 | 야마자키 마작 미술관 |
붉은 요트, 오디엘느 | 1928년 | 시마네 현립 미술관 |
파리, 생 루이 섬의 끝 | 1928년 | 나가시마 미술관 |
불로뉴 쉬르 메르의 안개 | 1930년 | 손나이 미술관 |
불로뉴=쉬르=메르 항구의 풍경 | 1930년 | 폴라 미술관 |
테렘리의 길 | 1930-32년경 | 폴라 미술관 |
베니스의 아침 | 1936년 | 가마쿠라 오타니 기념 미술관 |
알제 항구 | 1938년 | 마루누마 예술의 숲 |
퐁뇌프와 사마리텐 | 1940년 | 히로시마 미술관 |
알제 항구 르 샹폴리옹 | 1944년 | 야마자키 마작 미술관 |
알제 항구 | 1942년 | 마쓰오카 미술관 |
툴롱 항구 | 불명 | 마쓰오카 미술관 |
3. 1. 대표작
- Le Pont Saint-Michel|생 미셸 다리프랑스어 (1908년), 그르노블 미술관 소장
- La place de la Trinité|파리의 트리니테 광장프랑스어 (1911년경), 에르미타주 미술관 소장
4. 한국과의 관계
현재까지 알베르 마르케의 작품 중 한국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은 확인되지 않는다.
4. 1. 한국 미술관 소장 작품
알베르 마르케의 작품 중 한국의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다음은 일본의 미술관들이 소장하고 있는 알베르 마르케의 작품 목록이다.작품명 | 제작 연도 | 소장 미술관 | 비고 |
---|---|---|---|
노트르담 후진 | 1902년 | 아이치 현 미술관 | |
https://collection.nmwa.go.jp/P.1991-0004.html 포르트=베르사유의 설경 | 1904년 | 국립 서양 미술관 | |
겨울 태양, 파리 | 1904년 | 폴라 미술관 | |
http://www.fujibi.or.jp/collections/works.html?id=1963 툴롱 항구의 풍경 | 초기 작품 | 도쿄 후지 미술관 | |
파리, 루브르 강변 | 1906년 | 야마자키 마작 미술관 | |
파리, 카루젤 광장 | 1910년 | 폴라 미술관 | |
http://collection.nmwa.go.jp/artizeweb/search_7_detail.do;jsessionid=3432ACB26B4D84ECACB1C8F062FC55C7 앉아있는 나부 | 1912년 | 국립 서양 미술관 | |
붉은 배경의 나부 | 1913년 | 군마 현립 근대 미술관 | |
마르세유 항구 | 1916년 | 오하라 미술관 | |
안개의 리브누브, 마르세유 | 1918년 | 우에하라 근대 미술관 | |
https://collection.nmwa.go.jp/P.1959-0126.html 레 사블 도론느 | 1921년 | 국립 서양 미술관 | |
알제의 영사관 | 1921년 | 폴라 미술관 | |
라 쇼메의 집들 | 1921년 | 야마자키 마작 미술관 | |
알제리 항구 | 1924년경 | 폴라 미술관 | |
작은 배=온다유 | 1926년 | 메나드 미술관 | |
생장 드 뤼즈 항구 | 1927년 | 야마자키 마작 미술관 | |
붉은 요트, 오디엘느 | 1928년 | 시마네 현립 미술관 | |
파리, 생 루이 섬의 끝 | 1928년 | 나가시마 미술관 | |
불로뉴 쉬르 메르의 안개 | 1930년 | 손나이 미술관 | |
불로뉴=쉬르=메르 항구의 풍경 | 1930년 | 폴라 미술관 | |
테렘리의 길 | 1930-32년경 | 폴라 미술관 | |
베니스의 아침 | 1936년 | 가마쿠라 오타니 기념 미술관 | |
http://marunuma-artpark.co.jp/collection/0910.html 알제 항구 | 1938년 | 마루누마 예술의 숲 | |
퐁뇌프와 사마리텐 | 1940년 | 히로시마 미술관 | |
알제 항구 르 샹폴리옹 | 1944년 | 야마자키 마작 미술관 | |
알제 항구 | 1942년 | 마쓰오카 미술관 | |
툴롱 항구 | 불명 | 마쓰오카 미술관 |
5. 평가 및 영향
영국의 화가 존 맥린은 "그의 색채 감각, 밝고 어두움, 채도, 무게는 놀라울 따름이다"라고 평가했다.[7]
마르케는 미국의 화가 릴랜드 벨과 그의 아내 루이자 마티아스도티르에게 존경받았다. 그는 또한 벨의 동시대인인 알 크레쉬와 가브리엘 라더만에게도 존경받았다. 벨과 라더만은 모두 여러 미국 미술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기 때문에, 젊은 미국 구상 화가들에게 마르케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데 영향을 미쳤다.[8]
참조
[1]
서적
Le Fauvisme
Hazan
1956
[2]
간행물
Catalogue des ouvrages de peinture, sculpture, dessin, gravure, architecture et art décoratif, Société du Salon d'automne 1905
https://archive.org/[...]
archive.org
[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Art
OUP
1988
[4]
서적
Unknown Matis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5]
간행물
Gazette des beaux-arts, 1912/01 (A54,T7)-1912/06
http://gallica.bnf.f[...]
Gallica BnF
[6]
간행물
Gazette des beaux-arts, 1913/01 (A55,T9)-1913/06
http://gallica.bnf.f[...]
Gallica BnF
[7]
간행물
Euan Uglow
Salander-O'Reilly Galleries, Inc., New York
1993-12-02/1993-12-31
[8]
간행물
Expressionists, Concentric and Eccentric
Artforum
1969-02
[9]
웹사이트
Notice ''WorldCat''
https://www.worldcat[...]
[10]
문서
戸籍上では27日だが、父が届出を忘れたため1日ズレてしま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