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이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누어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타림 분지에서 알레비 무슬림 사이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압달', '아이니', '아이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어휘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되었지만 문법은 위구르어와 유사하다. 아이누어는 주로 아이누인 남성들이 외부인에게 비밀 대화를 위해 사용하며, 문자는 널리 사용되지 않고 위구르 아랍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아이누어는 페르시아어 화자들이 위구르어에 동화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혼합 언어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접촉 - 고유어
고유어는 특정 언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어휘를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객관주의적 및 주관주의적 접근 방식의 차이로 인해 정의와 분류 기준이 다양하며, 언어 순화 운동과 같은 사회적 요인과도 관련되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한 개념이다. - 언어 접촉 - 기층 언어
기층 언어는 특정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언어 체계로, 어휘, 음운, 문법 등에 영향을 주며, 프랑스어의 골어 영향처럼 상층 언어와의 관계 속에서 언어 변화와 크리올 언어 형성에 관여한다. - 튀르크어족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튀르크어족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애이누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애이누어 |
고유어 이름 | , |
언어 정보 | |
사용 국가 | 중국 |
사용 지역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사용자 | 애이누 |
사용 인구 | 12,000명 (2017년) |
언어 계통 | |
어족 | 알타이어족 |
어파 | 튀르크어족 |
분파 | 카를루크어파 |
문자 체계 | |
문자 | 아랍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aib |
Glottolog | ainu1251 |
Glottolog 이름 | Ainu (China) |
기타 | |
![]() | |
![]() |
2. 명칭
아이누어는 '''압달'''(Abdal), '''아이니'''(Aini), '''아이누'''(Ainu, Aynu), '''에이니'''(Eyni), '''에이누'''(Eynu)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4] 위구르어 자료에서는 보통 '''압달'''(ئابدال)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러시아어 자료에서는 ''에이누''(Эйну|에이누ru), ''아이누''(Айну|아이누ru), ''압달''(Абдал|압달ru) 등으로 표기하고, 중국어 자료에서는 ''아이누''(艾努|아이누중국어)로 표기한다. 아이누인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에이누'''(ئەينۇ)라고 부른다.
애이누어는 위구르어 문법 체계를 따르지만, 어휘는 대부분 페르시아어에서 차용했다는 특징이 있다.[10] 이는 애이누어가 원래 이란어군에 속했다가 오랜 기간을 거쳐 튀르크어족으로 변화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0] 애이누어 어휘는 단순어, 파생어, 합성어 세 가지 방식으로 형성된다. 파생어 접사는 위구르어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노년층은 주로 페르시아어 접사를, 젊은 층은 위구르어 파생 어휘와 접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11]
3. 분포
아이누어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타림 분지 남부에 분포한다.[15] 과거 아이누어 화자들은 "아브달"이라 불리며 차별받았으나, 현재는 대부분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며 주변 마을과의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15] 이들은 평소에는 위구르어를 사용하며, 외부인이 왔을 때 비밀어인 아이누어를 사용한다.[15]
터키와 우즈베키스탄 등 다른 지역에서도 터키어와 페르시아어가 혼합된 유사한 언어 변종이 사용되며, 이 언어 사용자들 역시 "압달"이라고 불린다.[8]
4. 언어적 특징
4. 1. 음운
아이누어의 음소는 위구르어와 같다.[15]
thumb
4. 1. 1. 자음
아이누어에는 22개의 자음 음소가 있다.
/j/는 구개음이다. 셀의 왼쪽에 있는 음소는 무성음이고, 오른쪽에 있는 음소는 유성음이다.
4. 1. 2. 모음
thumb모음 음소는 8개이며, 장단을 구별한다.
- aain, ɛain, eain, iain, øain, yain, oain, uain
4. 2. 문법
아이누어의 문법은 위구르어와 같으며, 기능어도 위구르어의 것이지만, 내용어는 주로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다. 이 때문에 위구르어 화자는 아이누어를 이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아이누어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의 정해진 문구를 국제 음성 기호(IPA)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15]- kalaŋ kɛslɛː hɛs voldi|칼랑 케슬레 헤스 볼디und soχunni kɛmtɛː qilaili|소훈니 켐테 킬라일리und (훌륭한 사람들이 나타났다. 입을 조심하자.)
이에 대응하는 위구르어 문장은 다음과 같다.
- ʧoŋ adɛmlɛː pɛjdaː voldi|총 아뎀레 페이다 볼디und søzni az qilaili|쇠즈니 아즈 킬라일리und (〃)
비교해 보면, 다른 것은 내용어뿐이며, 문법과 기능어는 같다.[15]
아이누어 | 위구르어 | 의미 |
---|---|---|
kalaŋ|칼랑und | ʧoŋ|총und | 크다 |
kɛs|케스und | adɛm|아뎀und | 사람 |
lɛː|레und | 복수 | |
hɛs|헤스und | pɛjdaː|페이다und | 있다* |
vol|볼und | 되다* | |
di|디und | 과거 시제 | |
soχun|소훈und | søz|쇠즈und | 말 |
ni|니und | 대격 | |
kɛmtɛː|켐테und | az|아즈und | 적게 |
qilaili|킬라일리und | 하자 |
- 「있다」와「되다」로 「나타나다」를 의미한다.
4. 3. 숫자
아이누어 숫자는 완전히 페르시아어이다. 그러나 서수 형용사는 위구르어 접미사 `-(I)ncI`를 추가하여 만들어진다.[12]영어 | 아이누어 | 페르시아어 | 위구르어 |
---|---|---|---|
하나 | yek | yek | bir |
둘 | du | du | ikki |
셋 | si | se | üç |
다섯 | pence | penc | peş |
열 | deh | deh | on |
스무 | bist | bist | yigirme |
영어 | 아이누어 | 페르시아어 | 위구르어 |
---|---|---|---|
첫 번째 | 예킨지 | 예크 | 비르 |
두 번째 | 두린지 | 두붐 | 이킨치 |
세 번째 | 시린지 | 시붐 | 위친지 |
다섯 번째 | 펜진지 | 펜춤 | 베신지 |
열 번째 | 데힌지 | 데훔 | 오닌치 |
스무 번째 | 비스틴지 | 비스툼 | 이르민치 |
5. 사용
아이누어는 주로 아이누인 남성들이 외부인에게 자신들의 대화를 숨기기 위해 사용하는 비밀 언어의 역할을 한다.[9] 아이누어를 사용하지 않는 외부인과는 위구르어를 사용하며, 자신의 말을 숨길 필요가 없을 때는 집에서도 위구르어를 사용한다.[9]
아이누어 사용 지역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타림 분지 남부에 산재해 있다. 화자는 과거 "아브달"이라고 불리며 차별받던 사람들이었으며, 주변 마을과의 통혼은 드물었지만, 현재는 대부분이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며, 주변 마을과의 차이는 거의 없어졌다.[15] 이들은 평소에는 위구르어를 사용하며, 외부인이 왔을 때 일종의 비밀어인 아이누어를 사용한다.[15]
6. 문자
아이누어는 비밀스러운 특성과 사용 지역에서 공적인 지위가 없다는 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는 문자 체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표기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일반적으로 위구르 아랍 문자를 사용한다.
7. 성립 과정
아이누어 화자는 원래 페르시아어 화자였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누어는 어휘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것이 대부분이면서도 문법 구조는 위구르어라는 언어이다.[16] 위구르어에 동화되는 과정에 있는 일종의 혼합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inu (China)
https://glottolog.or[...]
[2]
논문
Documenting Eynu: A Case Study of Language Contact
https://repository.u[...]
2020
[3]
문서
2001
[4]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Volume 2, Part 1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1996
[5]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Modern Chinese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6]
서적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Routledge
2004
[7]
학위논문
Mummy Dearest: Questions of Identity in Modern and Ancient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https://arminda.whit[...]
Whitman College
2012
[8]
서적
The Mixed Language Debate: Theoretical and Empirical Advances
Mouton de Gruyter
[9]
문서
2001
[10]
서적
Àinǔyǔ yánjiū
Minzu chubanshe
2011
[11]
논문
Xīnjiāng Àinǔrén de yǔyán
1982
[12]
간행물
TARIM HAVZASI ABDALLARININ GİZLİ DİLİ: EYNUCA
[13]
문서
The Ejnu language
Walter de Gruyter
1996
[14]
문서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2008-06-28
[15]
문서
少数言語をめぐる 10 の旅
三省堂
[16]
문서
アイデンティティと言語変容 : チュルク化のプロセスをおって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