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제는 문법 범주의 하나로, 동사를 통해 사건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낸다. 모든 언어가 시제를 갖는 것은 아니며, 시간 부사를 사용하여 시간을 표현하는 언어도 있다. 시제는 상(aspect)이나 법(mood)과 복잡하게 얽히기도 하며, 시제, 상, 법이 합쳐진 체계를 갖는 언어도 있다. 언어별로 과거, 현재, 미래를 구분하는 방식이 다르며, 한국어, 일본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시제를 표현하는 방식과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제 - 미래완료
미래완료는 미래 특정 시점까지 완료될 행위를 나타내는 시제로, 여러 언어에서 미래 시제 보조동사와 과거분사의 결합으로 표현되지만 미래 상황에 대한 추측이나 의문을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언어마다 사용법이 다르고 한국어에는 정확히 대응하는 시제가 없어 다양한 표현으로 번역된다. - 시제 - 과거완료
과거완료는 과거 특정 시점 이전에 시작되어 그 시점에 완료되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사건을 나타내는 시제로, 라틴어처럼 동사 활용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영어의 `had + 과거분사`나 한국어의 '-었었-' 어미처럼 조동사와 과거분사를 결합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언어에서는 존재하지 않거나 드물게 사용되기도 한다. - 시간 - 오전
- 시간 - 과거
과거는 이전에 일어난 일, 개인의 경험, 특정 시점 등을 의미하며, 찰스 디킨스의 소설에 등장하고, 철학, 학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교훈을 담고 있는 주제이다. - 문학에 관한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문학에 관한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시제 | |
---|---|
언어학적 개념 | |
설명 | 문법에서 시간적 맥락을 나타내는 표현 |
의미 | 사건이 일어난 시간이나 상태를 나타냄 |
시제 종류 | 과거 현재 미래 |
시제 표현 | 동사 활용 조동사 사용 시간 관련 부사/구 사용 |
동사 활용을 통한 시제 표현 | |
예시 (영어) | 과거: walked 현재: walk 미래: will walk |
예시 (한국어) | 과거: 걸었다 현재: 걷는다 미래: 걸을 것이다 |
시칭 (時称) | |
정의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의 위치를 표시하는 문법 요소 |
언어학적 연구 | 다양한 언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됨 언어 간 비교 연구 대상 |
시제 (時制) | |
정의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의 위치를 표시하는 문법 요소 |
표현 방법 | 동사 어미 변화 보조 동사 사용 시간 부사 사용 |
예시 | 과거 시제 현재 시제 미래 시제 |
한국어 시제 표현 | '-았/었-': 과거 시제 '-는/ㄴ-': 현재 시제 '-겠-': 미래 시제 |
일본어 시제 표현 | '-た': 과거 시제 '-る': 현재 및 미래 시제 |
영어 시제 표현 | 과거: 과거 동사 활용 현재: 현재 동사 활용 미래: will + 동사 원형 |
기타 | |
참고 문헌 | 亀井孝, 河野六郎, 千野栄一 (1995). 言語学大辞典. 6, 三省堂. 635-638. Nordlinger, R. & Sadler, L. (2004). Indefinite articles in Yagaria. Typological Studies in Language 石塚, 智子 (2015). 時間を表す表現からみた日本語とYagaria語の共通点と差異: 動詞に付くテンス形態と時を付す助詞を中心に. [[교토 대학 언어학연구, 34, 123-144.]] Bybee, J. L., & Perkins, R. D. (1994). The evolution of grammar: tense and aspec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Velupillai, V. (2012).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 typolog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4. |
2. 시제와 시간
중국어는 昨天중국어 (어제), 明天중국어 (내일) 등의 시간 부사를 사용하지만 시제가 없는 언어이다. 시제는 단순히 사건의 시간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건을 평가하는 시점을 제시한다.[55]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눌 수 있지만, 모든 언어가 이 세 가지 시제에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52] 예를 들어, 게르만어파의 시제는 비과거와 과거로 나뉘며, 비과거가 현재와 미래를 모두 나타낸다.[54] 일본어, 드라비다어족, 헝가리어[57] 등도 비과거와 과거를 구분한다. 반면, 케추아어를 비롯한 남아메리카의 여러 언어나 유카기르어는 비미래와 미래를 구분한다.[52]
시제는 상이나 법과는 다른 문법 범주이지만, 복잡하게 얽히는 경우가 있다.[52] 상은 동사가 나타내는 사건의 전체, 시작, 중간, 종료 등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며, 법은 화자의 의도나 태도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다.
3. 시제·상·법
동사의 활용에서 시제·상·법이 하나의 체계를 이루는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시제가 풍부한 것은 직설법이며, 다른 법에서는 시제가 적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 영어 등 많은 언어에서 명령법에는 시제가 없다.
시제와 상이 분리되어 있을 때는 상이 동사에 더 가깝다.[52] 다음은 한국어와 영어의 조동사 및 복합 동사에 의한 상의 예시이다. 본동사와 결합되어 있는 것은 상의 표지이지 시제의 표지가 아니다.
4. 과거
많은 언어에서 과거와 비과거를 구분하며, 일부 언어에서는 과거를 더 세분화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콩고어는 오늘 과거, 어제 과거, 원과거의 3시제로 나뉜다.[58]
과거는 문법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완료와 과거는 의미가 가깝다.[58] 프랑스어를 포함한 로망스어는 과거 시제에서는 완망상(perfective)과 비완망상(imperfective)을 구별하지만, 다른 시제에서는 구별하지 않는다. 한국어, 일본어나 영어에서는 시제와 완망·비완망은 독립적이다.
프랑스어 | 영어 | 일본어 | 한국어 | ||||||||||
---|---|---|---|---|---|---|---|---|---|---|---|---|---|
완망 | {{lang|fr|il lut|} | }
시제 | 법 (will) | 상 | 동사 | |
---|---|---|---|---|
완료 | 완망 | |||
-Ø (비과거) -ed (과거) | Ø (단순) will (미래) | Ø (단순) have -en (완료) | Ø (완망) be -ing (비완망) | do |
여기서 -en영어는 과거분사를 나타낸다. 시제, 법(will), 완료상, 완망상이 각각 2가지씩 있으므로, 가장 단순한 do영어부터 가장 복잡한 would have been doing영어까지, 총 24 = 16가지의 시간 표현이 가능하다.
영어는 두 가지 형태소적 시제만 가지고 있다. 바로 현재 시제(또는 비과거 시제) (예: 그는 간다)와 과거 시제(예: 그는 갔다)이다.[26] 비과거 시제는 보통 현재를 가리키지만, 때때로 미래를 가리키기도 한다(예: 버스는 내일 떠난다). 역사적 현재 시제와 같은 특수한 용법에서는 과거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소적 시제는 접미사(걷는다 ~ 걸었다) 또는 어근 변화(노래한다 ~ 노래했다)로 표시된다.
영어 교육에서는 맥락에 따라 다양한 시제-상 조합이 시제로 느슨하게 언급되기도 한다.[27] 마찬가지로 "미래 시제"라는 용어는 때때로 will과 같은 조동사를 사용하여 미래 시점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에 느슨하게 적용되기도 한다.
미래는 과거·현재와 달리 사실이 아니라 예측일 뿐이므로, 법과 깊은 관련이 있다.[43]
영어는 미래 시제가 없지만,[44] 미래를 표현하려면 일반적으로 조동사 will영어을 사용한다. will은 다른 조동사와 함께 쓰이지 않는다. 이 will을 사용한 미래 표현을 미래 시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정확히는 시제가 아니다.
- I '''go''' to school everyday.영어 (나는 매일 학교에 '''간다'''.)
- I '''will go''' to school tomorrow.영어 (나는 내일 학교에 '''갈 것이다'''.)
- I '''can go''' to school everyday.영어 (나는 매일 학교에 '''갈 수 있다'''.)
- I '''can go''' to school tomorrow.영어 (나는 내일 학교에 '''갈 수 있다'''.)
또한 확정적인 미래에는 will영어을 사용하지 않는다.
- Tomorrow '''is''' Sunday.영어 (내일은 일요일'''이다'''.)
9. 4. 기타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대부분의 언어는 두 가지 형태론적 시제(현재 또는 "비과거"와 과거) 또는 세 가지(현재, 과거, 미래) 시제 체계를 갖추고 있다. 시제는 종종 복잡하게 얽힌 시상법 활용 체계의 일부를 형성하며, 조동사를 포함하는 복합 구문을 통해 더 다양한 시제와 상의 조합을 표현할 수 있다.게르만어족(영어 포함)은 형태론적으로 형성된 현재(비과거)와 과거 시제를 가지며, 미래 시제 및 기타 추가적인 형태는 조동사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표준 독일어에서는 복합 과거 ''(Perfekt)''가 대부분의 문맥에서 단순 형태의 과거 시제를 대체하였다.
로망스어족(라틴어에서 유래)은 과거, 현재, 미래의 형태론적 시제를 가지며, 과거에는 추가적인 상의 구별이 있었다. 프랑스어는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단순 형태의 완료 과거 ''(passé simple)''가 대부분 복합 형태 ''(passé composé)''로 대체된 대표적인 언어이다.
아일랜드어를 포함한 켈트어족 언어는 과거, 현재, 미래 시제를 가진다(아일랜드어 활용 참조). 과거는 완료상과 미완료상을 구별하며, 일부 동사는 현재 시제에서도 이러한 구별을 유지한다. 고대 아일랜드어는 과거와 현재 시제에 단순-완료-미완료의 세 가지 상을 구별했다. 반면 현대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과거, 비과거 및 '부정' 시제만 가지며, 'be'(조동사로서의 용법 포함) 동사의 경우 현재 시제도 존재한다.
페르시아어를 포함한 인도이란어족 언어는 과거와 비과거 형태를 가지며, 추가적인 상의 구별이 가능하다. 미래 시제는 조동사를 통해 표현할 수 있지만, 비공식적인 상황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구어체에서는 완료 접미사 '-e'를 과거 시제에 붙여 행위가 추측이나 보고에 의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예: "그가 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가 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와 유사한 특징은 터키어에서도 발견된다. (자세한 내용은 페르시아어 동사 참조)
힌디어(힌디어 및 우르두어), 인도아리아어군 언어는 직설법 완료 과거와 직설법 미래 형태를 가지며, 직설법 현재와 직설법 미완료 과거 활용은 'honā'(be, ~이다) 동사에만 나타난다. 직설법 미래는 미래 가정법 활용(옛 힌디어-우르두어에서 직설법 현재 활용이었던 것)에 미래 접미사 '-gā'를 추가하여 구성하며, 이 접미사는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 어미가 달라진다. '-gā'는 "가다"라는 동사인 'jāna'의 완료 분사 형태에서 유래한다. 직설법 완료 과거와 직설법 미완료 과거의 활용은 분사에서 유래하며(슬라브어족의 과거 시제 형성과 유사함), 대명사 자체가 아니라 대명사가 가리키는 명사의 문법적 수와 성에 일치한다. 완료 과거는 완료상 분사를 겸하고, 미완료 과거 활용은 상 분사와 함께 사용될 때 미완료 과거를 나타내는 보어 역할을 한다. 힌디어-우르두어는 명시적으로 표시되는 시상법 체계를 갖추고 있다. 구문적 힌디어-우르두어 동사 형태(상 동사 형태)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는 상 표지이고 두 번째(보어)는 일반적인 시상 표지이다. 힌디어-우르두어는 세 가지 문법적 상, 즉 ''습관상'', ''완료상'', ''진행상''과 다섯 가지 문법적 법, 즉 ''직설법'', ''추정법'', ''가정법'', ''반실현 조건법'', ''명령법''을 가진다.[28] (''힌디어 동사'' 참조)
슬라브어족에서 동사는 본질적으로 완료상 또는 미완료상이다. 러시아어를 비롯한 일부 슬라브어족 언어에서는 완료상 동사가 과거와 "미래 시제"를 가지는 반면, 미완료상 동사는 과거, 현재, "미래" 시제를 가지며, 이때 미완료상의 "미래"는 대부분 복합 시제이다. 완료상 동사의 "미래 시제"는 미완료상 동사의 현재 시제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남슬라브어군에서는 더 다양한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가리아어는 완료상 및 미완료상 동사 모두에 현재, 과거("미완료" 및 "과거" 모두), "미래 시제"를 가지며, 조동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완료 형태도 존재한다(불가리아어 동사 참조). 그러나 미래 시제는 'hteti'(ще) 동사의 현재 시제 축약형으로 형성되고 단순히 인칭 접미사의 현재 시제 형태를 덧붙이는 방식이므로, 엄밀한 의미의 미래 시제는 아니다. (-m (나), -š (너), -ø (그, 그녀, 그것), -me (우리), -te (너희), -t (그들)).
9. 5. 기타 언어
핀란드어와 헝가리어는 모두 우랄어족에 속하며, 형태론적으로 현재(과거가 아닌 시제)와 과거 시제를 가지고 있다.[1] 헝가리어 동사 ''van''("~이다")은 미래 시제 형태도 가지고 있다.튀르크어 동사는 다양한 상(aspect)과 법(mood)을 가지고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활용된다.
아랍어 동사는 과거와 과거가 아닌 시제를 가지며, 미래 시제는 접두사로 나타낼 수 있다.[1]
라파어의 동사에는 시제, 상, 법을 의미하는 TAM(tense–aspect–mood) 표지가 있으며, 이어서 방향 부사나 지시 부사가 올 수 있다. 표지 중에는 미완료, 진행, 완료라는 세 가지 시제 표지가 있는데, 이는 각각 ‘이전’, ‘현재’, ‘이후’를 의미한다.[30]
토켈라우어는 시제가 없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세 가지 시제 모두에 같은 단어를 사용한다. `E liliu mai au i te Aho Tōnai`라는 구절은 문자 그대로 '돌아오다 / 나 / 토요일에'로 번역되지만, 실제로는 '나는 토요일에 돌아올 것이다'로 해석된다.[31]
우불루-아우아어는 명시적인 시제가 없고, 대신 법, 상(aspect), 시간 구문으로 시제를 나타낸다. 우불루어 화자들은 과거 시제를 나타낼 때, 일어난 사건에 대해 확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법(realis mood)을 사용한다.[32] 어떤 경우에는, 사실법이 현재 시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하는데, 종종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우불루어 화자들은 미래 시제를 나타낼 때 비사실법(irrealis mood)을 사용한다.[32]
몰록어는 시제를 나타내는 조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mii’는 주어의 현재 시제 상태를, ‘aa’는 과거의 다른 상태에서 변화된 현재 시제 상태를, ‘kɞ’는 이미 완료된 것을, ‘pɞ’와 ‘lɛ’는 미래 시제를, ‘pʷapʷ’는 미래 시제에서 가능한 행동이나 상태를, 그리고 ‘sæn/mwo’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33]
참조
[1]
서적
Aspect: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Verbal Aspect and Related Problems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2]
논문
On syntactic tense in Mandarin Chinese
http://ling.umd.edu/[...]
UCLA
2017-01-08
[3]
서적
Temporality: Universals and Variation
Wiley-Blackwell
2014
[4]
학술지
Cross-Linguistic Temporal Reference
2015-01
[5]
참고자료
tempus
[6]
어원사전
tense
[7]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Elsevier
2006
[8]
학술지
The grammatical ingredients of counterfactuality
http://lingphil.mit.[...]
2000
[9]
웹사이트
Prolegomena to a Theory of X-Marking
https://semanticsarc[...]
2020
[10]
서적
Ten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A Form-Function Description of the Grammar of the Modern English Language: Book 1 (Level 7)
Rock Pickle Publishing
2021-11-18
[12]
서적
A Form-Function Description of the Grammar of the Modern English Language: Book 2 (Level 8)
Rock Pickle Publishing
2021-11-18
[13]
서적
Syntax of the Nivkh language: The Amur dialect
John Benjamins Pub. Company
2013
[14]
서적
Studies in the languages of Colombia 5
The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999
[15]
서적
The Evolution of Grammar: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16]
서적
The Fyem language of northern Nigeria (Languages of the world)
LINCOM Europa
1998-01-01
[17]
서적
Adapting and writing language lessons
https://www.liveling[...]
U.S. Foreign Service Institute
2021-07-17
[18]
학술지
Periodic tense markers in the world's languages and their sources.
https://shs.hal.scie[...]
[19]
서적
A sketch grammar of Burarra (Honours thesis)
http://hdl.handle.n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1-07-17
[20]
서적
Proceedings of the LFG 00 Confer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https://web.stanford[...]
CSLI Publications
2021-07-17
[21]
서적
Temporality: Universals and Variation
John Wiley & Sons
[22]
서적
Ten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학술지
Future discourse in a tenseless language
[24]
학술지
Temporal reference in Paraguayan Guaraní, a tenseless language
[25]
간행물
Report and Taxis in Herodotus's Histories: a systemic- functional approach to the description of Ancient Ionic Greek
[26]
서적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2-10
[27]
서적
A Concise Grammar for English Language Teachers
TP Publications
2005
[28]
학술지
Aspect, Tense, and Mood in the Hindi Verb
http://www.jstor.org[...]
1975
[29]
서적
《從〈滬語便商〉所見的老上海話時態》 (Tenses and Aspects? Old Shanghainese as Found in the Book Huyu Bian Shang)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30]
서적
The Language of Rapa Iti: Description of a Language In Change. Diss.
http://ling.hawaii.e[...]
U of Hawaii at Manoa
2021-07-17
[31]
웹사이트
Tau Gana Tokelau
http://www.learntoke[...]
Ministry of Pacific Island Affairs
2017
[32]
서적
Wuvulu Grammar and Vocabulary
http://www.ling.hawa[...]
2017-03-06
[33]
서적
Afféú Fangani 'Join Together': A Morphophonemic Analysis of Possessive Suffix Paradigms and A Discourse-Based Ethnography of the Elicitation Session in Pakin Lukunosh Mortlockese
http://ling.hawaii.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Dissertation
2015-05
[34]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35]
서적
文法の原理
[36]
서적
Essentials of English Grammar
Routledge
[37]
논문
英語の時制現象に関わるSOAの意味役割
https://hdl.handle.n[...]
九州工業大学
[38]
논문
Je t'attendais.型半過去再考
https://doi.org/10.2[...]
日本フランス語学会
[39]
서적
ハンガリー語の文法
大学書林
[40]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41]
논문
英語の時制と現在完了形
https://hdl.handle.n[...]
九州工業大学
[42]
서적
世界言語への視座 —歴史言語学と言語類型論—
三省堂
[43]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44]
웹사이트
Language Log
http://itre.cis.upen[...]
2008-06-13
[45]
간행물
フランス語の隠れたしくみ 17. 時制を支えるふたつのゾーン
http://lapin.ic.h.ky[...]
白水社
[46]
간행물
フランス語の隠れたしくみ 18. 複合過去と単純過去の単純ではない関係
http://lapin.ic.h.ky[...]
白水社
[47]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48]
논문
時制交替と述語 : 「テイル / テイタ」 と 「ル / タ」
https://doi.org/10.1[...]
名古屋大学言語文化部言語文化研究会
[49]
논문
ル/タ、テイルの意味機能試論:認知文法の見地から
https://hdl.handle.n[...]
九州工業大学
[50]
서적
日本語のシンタクスと意味 II
くろしお出版
[51]
서적
日本語の歴史
東京大学出版会
[52]
서적
언어학 대사전
산세이도
[53]
서적
문법의 원리
[54]
서적
Essentials of English Grammar
Routledge
[55]
논문
영어의 시제 현상에 관련되는 SOA의 의미 역할
http://search2.libi.[...]
큐슈 공업대학 정보공학부
[56]
논문
Je t'attendais형반과거 재고
http://lapin.ic.h.ky[...]
2014-10-28
[57]
서적
헝가리어의 문법
대학 서점
[58]
서적
언어학 대사전
산세이도
[59]
논문
영어의 시제와 현재 완료형
http://search2.libi.[...]
큐슈 공업대학 정보공학부
[60]
서적
세계 언어에의 관점—역사 언어학과 언어 유형론—
산세이도
[61]
서적
언어학 대사전
산세이도
[62]
웹사이트
Language Log
http://itre.cis.upen[...]
2008-06-13
[63]
간행물
프랑스어가 숨은 구조 17. 시제를 지지하는 두 존
http://lapin.ic.h.ky[...]
하쿠스이사
2014-10-28
[64]
간행물
프랑스어가 숨은 구조 18. 복합 과거와 단순 과거의 단순하지 않은 관계
http://lapin.ic.h.ky[...]
하쿠스이사
2014-10-28
[65]
서적
언어학 대사전
산세이도
[66]
논문
한국어 시제와 법체계에 대한 연구
http://www.dibrary.n[...]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67]
서적
국어학개론
태학사
[68]
논문
시제 교체와 술어- 「テイル/テイタ」와「ル/タ」 ―
http://www.lang.nago[...]
나고야 대학 언어 문화부 언어 문화 연구회
2014-10-28
[69]
논문
르/타, 테일의 의미 기능 시론: 인지 문법의 견지로부터
http://search2.libi.[...]
큐슈 공업대학 정보공학부
[70]
서적
일본어의 문맥과 의미 II
흑조 출판
[71]
서적
일본어의 역사
도쿄대학 출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