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곤 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곤 국제공항은 미얀마의 주요 국제공항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RAF 밍갈라돈으로 사용되었다. 1947년 캘커타 광역 공항청이 영국 공군 기지 부지에 건설했으며, 현대화 과정을 거쳐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터미널(T1, T2, T3)을 운영하며, 다양한 국제선 및 국내선 노선을 제공한다. 2019년에는 활주로 이탈 사고 등 여러 사건이 발생했으며, 양곤 버스 서비스(YBS)를 통해 시내 접근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공항 - 만달레이 국제공항
만달레이 국제공항은 미얀마 만달레이 남쪽에 위치하며, 1999년에 개항하여 4,267m 활주로와 연간 300만 명 수용 가능한 터미널을 갖추고 있으며, 2024년 7월 기준 여러 국내외 노선을 운항한다. - 미얀마의 공항 - 네삐도 국제공항
네삐도 국제공항은 2012년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 개항한 국제공항으로, 활주로 1본과 터미널을 갖추고 연간 35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동남아시아 허브 공항으로 육성 계획을 가지고 있지만, 2023년 군부의 군사적 거점으로 활용되어 논란이 되었다. - 양곤의 건축물 - 마하반둘라 다리
- 양곤의 건축물 - 술레 파고다
술레 파고다는 미얀마 양곤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몬 양식의 파고다로, 부처의 머리카락 유물을 모시고 있으며, 과거에는 강력한 나트의 고향이었고, 19세기 이후 도시 계획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민주화 운동의 시위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양곤 국제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영어 이름 | Yangon International Airport |
위치 | 밍갈라돈 11021, 양곤, 양곤 구, 미얀마 |
IATA 코드 | RGN |
ICAO 코드 | VYYY |
개항 | 1947년 |
운영자 | Yangon Aerodrome Co., Ltd |
소유주 | 미얀마 연방 공화국 정부 |
공항 종류 | 공공 |
도시 | 양곤 |
허브 공항 | 밍갈라 항공 서비스 에어 탄루윈 미얀마 국민 항공 미얀마 항공 국제 |
웹사이트 | yangonairport.aero |
지리 정보 | |
고도 | 33m (109ft)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번호 | 03/21 |
활주로 길이 | 3,414m (11,201ft) |
활주로 표면 | 아스팔트 |
통계 (2018년) | |
총 승객 수 | 6,104,854 명 (증가) |
국제선 승객 수 | 3,930,590 명 (증가) |
이미지 | |
![]()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 비행장은 RAF 밍갈라돈(RAF Mingaladon)으로 불렸으며, 여러 전투기 부대의 작전 기지로 사용되었다.[1]
- 제60 비행대 RAF (1941년 2월 ~ 1942년 2월) 브리스톨 블레넘 I 운용
- 제67 비행대 RAF (1941년 10월 ~ 1942년 3월) 브루스터 버팔로 및 호커 허리케인 II 운용
- 제135 비행대 RAF (1942년 1월 ~ 2월) 호커 허리케인 II 운용
- 제681 비행대 RAF (1945년 6월 ~ 9월)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운용
- 중국 공군의 제1 미국 의용군 (플라잉 타이거즈) 제3 비행대, 커티스 P-40 운용[1]
이외에도 버마 항공 본부 통신 비행대 RAF, 네덜란드령 동인도 항공 본부 통신 비행대 RAF, 제221 집단 통신 비행대 RAF 등의 부대가 주둔했다. 또한 드 해빌랜드 타이거 모스와 웨스트랜드 리샌더를 장비한 버마 의용 공군의 통신 비행대가 있었고, 비행장에 대한 대공 지원은 제12 버마 소총대에서 제공했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은 밍갈라돈 공습을 포함하여 버마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1942년까지 수적으로 열세였던 연합군은 후퇴했고 일본군은 비행장을 점령했다.[1] 밍갈라돈은 이후 일본군에 의해 사용되었고, 방콕에 주둔한 일본 폭격기는 보름달이 뜨면 밍갈라돈으로 이동했다. 델리의 무선 실험 센터에 있던 영국군은 BULBUL을 해독하여 일본 공습을 예측할 수 있었다. 한 번은 연합군 야간 전투기가 "모두 격추했고, 밤새 밍갈라돈 공군 기지가 잃어버린 아이들을 찾고 있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2]
양곤 국제공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7년, 캘커타 광역 공항청이 이전 영국 공군 밍글라돈 기지 부지에 건설했다. 한때 동남아시아 최고이자 해당 지역의 주요 공항으로 여겨졌으나, 싱가포르 창이 공항, 쿠알라룸푸르 세팡, 방콕 수완나품, 자카르타 수카르노 하타 등 새로운 초대형 허브 공항들이 건설되면서 시설이 노후화되었다.
2012년 11월, 콘도르 항공은 보잉 767 기종으로 프랑크푸르트행 계절편 운항을 시작했다. 양곤발 항공편은 푸껫에서 경유했지만, 도착편은 직항이었다.[3][4] 콘도르 항공은 첫 시즌 종료 후 해당 노선을 중단했다.[5] 2016년 초에는 공항 수용 능력이 연간 600만 명의 승객으로 확대되었다. 현재 양곤에서 약간 떨어진 훨씬 더 넓은 부지에 새롭고 더 큰 공항인 한타와디 국제공항을 건설할 계획이 있다.
2003년 4월에 현대화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새로운 터미널과 3,414m로 확장된 활주로가 건설되었다.[6]
싱가포르의 CPG Corporation의 공항 개발 부서에서 설계한 새로운 터미널은 아시아 월드(Asia World)에 의해 1,330만 달러의 비용으로 건설되었다.[7] 이 터미널은 동시에 900명의 도착 승객과 900명의 출발 승객을 처리할 수 있다.[8] 이 디자인은 IATA 서비스 표준을 충족하며 3,000만 싱가포르 달러의 비용으로 ICAO 안전 및 보안 표준을 준수한다. 다른 주목할 만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8]
- 혼잡을 줄이기 위해 도착 및 출발 승객을 위한 별도의 층
- 통합 체크인 시스템을 갖춘 자동 수하물 처리 시스템
- 4대의 보잉 747기를 처리할 수 있는 4개의 항공교
- 정부 관리 및 사업가 전용 라운지
- 340대 차량을 위한 공간이 있는 2층 주차장
2011년 6월, 정부는 공항을 40% 확장하고 연간 수용 능력을 270만 명에서 380만 명으로 늘릴 계획을 발표했다.[9] 2012년에 이미 연간 270만 명의 수용 능력을 초과하여 310만 명을 수용했으며,[10] 2014년에는 400만 명을 수용했다.[11] 이러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국제선 및 국내선 터미널이 건설되었고, 2016년 말 완공되어 [http://yangonairport.aero 양곤 국제공항]은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11]
2013년,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이 아시아 월드의 계열사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에 새로운 국내선 터미널 건설 및 공항 에이프런 확장을 위해 수여되었다.[10]
새로운 국제선 터미널(T1)은 2016년 3월에 개장했으며, 기존 국제선 터미널은 T2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국내선 터미널(T3)은 2016년 12월 5일에 개장했다.
2. 1. RAF 밍갈라돈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 비행장은 RAF 밍갈라돈(RAF Mingaladon)으로 불렸으며, 여러 전투기 부대의 작전 기지로 사용되었다.[1]- 제60 비행대 RAF (1941년 2월 ~ 1942년 2월) 브리스톨 블레넘 I 운용
- 제67 비행대 RAF (1941년 10월 ~ 1942년 3월) 브루스터 버팔로 및 호커 허리케인 II 운용
- 제135 비행대 RAF (1942년 1월 ~ 2월) 호커 허리케인 II 운용
- 제681 비행대 RAF (1945년 6월 ~ 9월)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운용
- 중국 공군의 제1 미국 의용군 (플라잉 타이거즈) 제3 비행대, 커티스 P-40 운용[1]
이외에도 버마 항공 본부 통신 비행대 RAF, 네덜란드령 동인도 항공 본부 통신 비행대 RAF, 제221 집단 통신 비행대 RAF 등의 부대가 주둔했다. 또한 드 해빌랜드 타이거 모스와 웨스트랜드 리샌더를 장비한 버마 의용 공군의 통신 비행대가 있었고, 비행장에 대한 대공 지원은 제12 버마 소총대에서 제공했다.
2. 2. 일본군 점령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은 밍갈라돈 공습을 포함하여 버마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1942년까지 수적으로 열세였던 연합군은 후퇴했고 일본군은 비행장을 점령했다.[1] 밍갈라돈은 이후 일본군에 의해 사용되었고, 방콕에 주둔한 일본 폭격기는 보름달이 뜨면 밍갈라돈으로 이동했다. 델리의 무선 실험 센터에 있던 영국군은 BULBUL을 해독하여 일본 공습을 예측할 수 있었다. 한 번은 연합군 야간 전투기가 "모두 격추했고, 밤새 밍갈라돈 공군 기지가 잃어버린 아이들을 찾고 있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2]2. 3. 양곤 국제공항으로의 전환
양곤 국제공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7년, 캘커타 광역 공항청이 이전 영국 공군 밍글라돈 기지 부지에 건설했다. 한때 동남아시아 최고이자 해당 지역의 주요 공항으로 여겨졌으나, 싱가포르 창이 공항, 쿠알라룸푸르 세팡, 방콕 수완나품, 자카르타 수카르노 하타 등 새로운 초대형 허브 공항들이 건설되면서 시설이 노후화되었다.2012년 11월, 콘도르 항공은 보잉 767 기종으로 프랑크푸르트행 계절편 운항을 시작했다. 양곤발 항공편은 푸껫에서 경유했지만, 도착편은 직항이었다.[3][4] 콘도르 항공은 첫 시즌 종료 후 해당 노선을 중단했다.[5] 2016년 초에는 공항 수용 능력이 연간 600만 명의 승객으로 확대되었다. 현재 양곤에서 약간 떨어진 훨씬 더 넓은 부지에 새롭고 더 큰 공항인 한타와디 국제공항을 건설할 계획이 있다.
2. 4. 현대화
2003년 4월에 현대화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새로운 터미널과 3,414m로 확장된 활주로가 건설되었다.[6]싱가포르의 CPG Corporation의 공항 개발 부서에서 설계한 새로운 터미널은 아시아 월드(Asia World)에 의해 1,330만 달러의 비용으로 건설되었다.[7] 이 터미널은 동시에 900명의 도착 승객과 900명의 출발 승객을 처리할 수 있다.[8] 이 디자인은 IATA 서비스 표준을 충족하며 3,000만 싱가포르 달러의 비용으로 ICAO 안전 및 보안 표준을 준수한다. 다른 주목할 만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8]
- 혼잡을 줄이기 위해 도착 및 출발 승객을 위한 별도의 층
- 통합 체크인 시스템을 갖춘 자동 수하물 처리 시스템
- 4대의 보잉 747기를 처리할 수 있는 4개의 항공교
- 정부 관리 및 사업가 전용 라운지
- 340대 차량을 위한 공간이 있는 2층 주차장
2011년 6월, 정부는 공항을 40% 확장하고 연간 수용 능력을 270만 명에서 380만 명으로 늘릴 계획을 발표했다.[9] 2012년에 이미 연간 270만 명의 수용 능력을 초과하여 310만 명을 수용했으며,[10] 2014년에는 400만 명을 수용했다.[11] 이러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국제선 및 국내선 터미널이 건설되었고, 2016년 말 완공되어 [http://yangonairport.aero 양곤 국제공항]은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11]
2013년,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이 아시아 월드의 계열사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에 새로운 국내선 터미널 건설 및 공항 에이프런 확장을 위해 수여되었다.[10]
새로운 국제선 터미널(T1)은 2016년 3월에 개장했으며, 기존 국제선 터미널은 T2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국내선 터미널(T3)은 2016년 12월 5일에 개장했다.
3. 터미널
2014년 8월, 기존 국내선 터미널을 철거하고 국제선 항공편을 처리할 새로운 6층 규모의 터미널 1 건설이 시작되었다.[12] 2016년 3월 12일에 개통식이 열렸으며, 터미널 1 개장 이후 양곤 국제공항은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이전 270만 명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터미널 1이 개장한 후, 이전 국제선 터미널은 "터미널 2"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3] 이 건물은 싱가포르의 CPG Corporation에서 설계했으며, 아시아 월드 컴퍼니에서 건설하여 1330만 미국 달러가 소요되었다. 이 터미널은 동시에 900명의 도착 승객과 900명의 출발 승객을 처리할 수 있다.
터미널 2는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위해 2018년 7월에 폐쇄되었다. 현재 모든 국제선 항공편은 터미널 1에서 운항된다.
터미널 3은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되며, 2016년 12월 5일에 개장하여 2014년 8월에 철거된 구 국내선 터미널을 대체했다.[14]
의장대 건물은 터미널 3이 완공될 때까지 임시 국내선 터미널로 사용되었다. 이 건물은 터미널 1과 터미널 2 사이의 연결 통로를 건설하기 위해 철거되었다.
3. 1. 터미널 1 (국제선)
2014년 8월, 기존 국내선 터미널을 철거하고 국제선 항공편을 처리할 새로운 6층 규모의 터미널 1 건설이 시작되었다.[12] 2016년 3월 12일에 개통식이 열렸으며, 터미널 1 개장 이후 양곤 국제공항은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이전 270만 명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3. 2. 터미널 2 (구 국제선, 현재 폐쇄)
터미널 1이 개장한 후, 이전 국제선 터미널은 "터미널 2"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3] 이 건물은 싱가포르의 CPG Corporation에서 설계했으며, 아시아 월드 컴퍼니에서 건설하여 1330만 미국 달러가 소요되었다. 이 터미널은 동시에 900명의 도착 승객과 900명의 출발 승객을 처리할 수 있다.
터미널 2는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위해 2018년 7월에 폐쇄되었다. 현재 모든 국제선 항공편은 터미널 1에서 운항된다.
3. 3. 터미널 3 (국내선)
터미널 3은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되며, 2016년 12월 5일에 개장하여 2014년 8월에 철거된 구 국내선 터미널을 대체했다.[14]
3. 4. 의장대 건물 (구 VIP 터미널)
의장대 건물은 터미널 3이 완공될 때까지 임시 국내선 터미널로 사용되었다. 이 건물은 터미널 1과 터미널 2 사이의 연결 통로를 건설하기 위해 철거되었다.4. 운항 노선
(국제선)
(국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