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곤 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곤 국제공항은 미얀마의 주요 국제공항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RAF 밍갈라돈으로 사용되었다. 1947년 캘커타 광역 공항청이 영국 공군 기지 부지에 건설했으며, 현대화 과정을 거쳐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터미널(T1, T2, T3)을 운영하며, 다양한 국제선 및 국내선 노선을 제공한다. 2019년에는 활주로 이탈 사고 등 여러 사건이 발생했으며, 양곤 버스 서비스(YBS)를 통해 시내 접근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공항 - 만달레이 국제공항
    만달레이 국제공항은 미얀마 만달레이 남쪽에 위치하며, 1999년에 개항하여 4,267m 활주로와 연간 300만 명 수용 가능한 터미널을 갖추고 있으며, 2024년 7월 기준 여러 국내외 노선을 운항한다.
  • 미얀마의 공항 - 네삐도 국제공항
    네삐도 국제공항은 2012년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 개항한 국제공항으로, 활주로 1본과 터미널을 갖추고 연간 35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동남아시아 허브 공항으로 육성 계획을 가지고 있지만, 2023년 군부의 군사적 거점으로 활용되어 논란이 되었다.
  • 양곤의 건축물 - 마하반둘라 다리
  • 양곤의 건축물 - 술레 파고다
    술레 파고다는 미얀마 양곤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몬 양식의 파고다로, 부처의 머리카락 유물을 모시고 있으며, 과거에는 강력한 나트의 고향이었고, 19세기 이후 도시 계획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민주화 운동의 시위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양곤 국제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영어 이름Yangon International Airport
위치밍갈라돈 11021, 양곤, 양곤 구, 미얀마
IATA 코드RGN
ICAO 코드VYYY
개항1947년
운영자Yangon Aerodrome Co., Ltd
소유주미얀마 연방 공화국 정부
공항 종류공공
도시양곤
허브 공항밍갈라 항공 서비스
에어 탄루윈
미얀마 국민 항공
미얀마 항공 국제
웹사이트yangonairport.aero
지리 정보
고도33m (109ft)
활주로 정보
활주로 번호03/21
활주로 길이3,414m (11,201ft)
활주로 표면아스팔트
통계 (2018년)
총 승객 수6,104,854 명 (증가)
국제선 승객 수3,930,590 명 (증가)
이미지
양곤 국제공항 터미널 1
양곤 국제공항 터미널 1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 비행장은 RAF 밍갈라돈(RAF Mingaladon)으로 불렸으며, 여러 전투기 부대의 작전 기지로 사용되었다.[1]


  • 제60 비행대 RAF (1941년 2월 ~ 1942년 2월) 브리스톨 블레넘 I 운용
  • 제67 비행대 RAF (1941년 10월 ~ 1942년 3월) 브루스터 버팔로 및 호커 허리케인 II 운용
  • 제135 비행대 RAF (1942년 1월 ~ 2월) 호커 허리케인 II 운용
  • 제681 비행대 RAF (1945년 6월 ~ 9월)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운용
  • 중국 공군의 제1 미국 의용군 (플라잉 타이거즈) 제3 비행대, 커티스 P-40 운용[1]


이외에도 버마 항공 본부 통신 비행대 RAF, 네덜란드령 동인도 항공 본부 통신 비행대 RAF, 제221 집단 통신 비행대 RAF 등의 부대가 주둔했다. 또한 드 해빌랜드 타이거 모스와 웨스트랜드 리샌더를 장비한 버마 의용 공군의 통신 비행대가 있었고, 비행장에 대한 대공 지원은 제12 버마 소총대에서 제공했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은 밍갈라돈 공습을 포함하여 버마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1942년까지 수적으로 열세였던 연합군은 후퇴했고 일본군은 비행장을 점령했다.[1] 밍갈라돈은 이후 일본군에 의해 사용되었고, 방콕에 주둔한 일본 폭격기는 보름달이 뜨면 밍갈라돈으로 이동했다. 델리의 무선 실험 센터에 있던 영국군은 BULBUL을 해독하여 일본 공습을 예측할 수 있었다. 한 번은 연합군 야간 전투기가 "모두 격추했고, 밤새 밍갈라돈 공군 기지가 잃어버린 아이들을 찾고 있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2]

양곤 국제공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7년, 캘커타 광역 공항청이 이전 영국 공군 밍글라돈 기지 부지에 건설했다. 한때 동남아시아 최고이자 해당 지역의 주요 공항으로 여겨졌으나, 싱가포르 창이 공항, 쿠알라룸푸르 세팡, 방콕 수완나품, 자카르타 수카르노 하타 등 새로운 초대형 허브 공항들이 건설되면서 시설이 노후화되었다.

2012년 11월, 콘도르 항공은 보잉 767 기종으로 프랑크푸르트행 계절편 운항을 시작했다. 양곤발 항공편은 푸껫에서 경유했지만, 도착편은 직항이었다.[3][4] 콘도르 항공은 첫 시즌 종료 후 해당 노선을 중단했다.[5] 2016년 초에는 공항 수용 능력이 연간 600만 명의 승객으로 확대되었다. 현재 양곤에서 약간 떨어진 훨씬 더 넓은 부지에 새롭고 더 큰 공항인 한타와디 국제공항을 건설할 계획이 있다.

2003년 4월에 현대화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새로운 터미널과 3,414m로 확장된 활주로가 건설되었다.[6]

싱가포르의 CPG Corporation의 공항 개발 부서에서 설계한 새로운 터미널은 아시아 월드(Asia World)에 의해 1,330만 달러의 비용으로 건설되었다.[7] 이 터미널은 동시에 900명의 도착 승객과 900명의 출발 승객을 처리할 수 있다.[8] 이 디자인은 IATA 서비스 표준을 충족하며 3,000만 싱가포르 달러의 비용으로 ICAO 안전 및 보안 표준을 준수한다. 다른 주목할 만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8]

  • 혼잡을 줄이기 위해 도착 및 출발 승객을 위한 별도의 층
  • 통합 체크인 시스템을 갖춘 자동 수하물 처리 시스템
  • 4대의 보잉 747기를 처리할 수 있는 4개의 항공교
  • 정부 관리 및 사업가 전용 라운지
  • 340대 차량을 위한 공간이 있는 2층 주차장


2011년 6월, 정부는 공항을 40% 확장하고 연간 수용 능력을 270만 명에서 380만 명으로 늘릴 계획을 발표했다.[9] 2012년에 이미 연간 270만 명의 수용 능력을 초과하여 310만 명을 수용했으며,[10] 2014년에는 400만 명을 수용했다.[11] 이러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국제선 및 국내선 터미널이 건설되었고, 2016년 말 완공되어 [http://yangonairport.aero 양곤 국제공항]은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11]

2013년,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이 아시아 월드의 계열사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에 새로운 국내선 터미널 건설 및 공항 에이프런 확장을 위해 수여되었다.[10]

새로운 국제선 터미널(T1)은 2016년 3월에 개장했으며, 기존 국제선 터미널은 T2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국내선 터미널(T3)은 2016년 12월 5일에 개장했다.

2. 1. RAF 밍갈라돈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 비행장은 RAF 밍갈라돈(RAF Mingaladon)으로 불렸으며, 여러 전투기 부대의 작전 기지로 사용되었다.[1]

  • 제60 비행대 RAF (1941년 2월 ~ 1942년 2월) 브리스톨 블레넘 I 운용
  • 제67 비행대 RAF (1941년 10월 ~ 1942년 3월) 브루스터 버팔로 및 호커 허리케인 II 운용
  • 제135 비행대 RAF (1942년 1월 ~ 2월) 호커 허리케인 II 운용
  • 제681 비행대 RAF (1945년 6월 ~ 9월)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운용
  • 중국 공군의 제1 미국 의용군 (플라잉 타이거즈) 제3 비행대, 커티스 P-40 운용[1]


이외에도 버마 항공 본부 통신 비행대 RAF, 네덜란드령 동인도 항공 본부 통신 비행대 RAF, 제221 집단 통신 비행대 RAF 등의 부대가 주둔했다. 또한 드 해빌랜드 타이거 모스와 웨스트랜드 리샌더를 장비한 버마 의용 공군의 통신 비행대가 있었고, 비행장에 대한 대공 지원은 제12 버마 소총대에서 제공했다.

2. 2. 일본군 점령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은 밍갈라돈 공습을 포함하여 버마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1942년까지 수적으로 열세였던 연합군은 후퇴했고 일본군은 비행장을 점령했다.[1] 밍갈라돈은 이후 일본군에 의해 사용되었고, 방콕에 주둔한 일본 폭격기는 보름달이 뜨면 밍갈라돈으로 이동했다. 델리의 무선 실험 센터에 있던 영국군은 BULBUL을 해독하여 일본 공습을 예측할 수 있었다. 한 번은 연합군 야간 전투기가 "모두 격추했고, 밤새 밍갈라돈 공군 기지가 잃어버린 아이들을 찾고 있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2]

2. 3. 양곤 국제공항으로의 전환

양곤 국제공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7년, 캘커타 광역 공항청이 이전 영국 공군 밍글라돈 기지 부지에 건설했다. 한때 동남아시아 최고이자 해당 지역의 주요 공항으로 여겨졌으나, 싱가포르 창이 공항, 쿠알라룸푸르 세팡, 방콕 수완나품, 자카르타 수카르노 하타 등 새로운 초대형 허브 공항들이 건설되면서 시설이 노후화되었다.

2012년 11월, 콘도르 항공은 보잉 767 기종으로 프랑크푸르트행 계절편 운항을 시작했다. 양곤발 항공편은 푸껫에서 경유했지만, 도착편은 직항이었다.[3][4] 콘도르 항공은 첫 시즌 종료 후 해당 노선을 중단했다.[5] 2016년 초에는 공항 수용 능력이 연간 600만 명의 승객으로 확대되었다. 현재 양곤에서 약간 떨어진 훨씬 더 넓은 부지에 새롭고 더 큰 공항인 한타와디 국제공항을 건설할 계획이 있다.

2. 4. 현대화

2003년 4월에 현대화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새로운 터미널과 3,414m로 확장된 활주로가 건설되었다.[6]

싱가포르의 CPG Corporation의 공항 개발 부서에서 설계한 새로운 터미널은 아시아 월드(Asia World)에 의해 1,330만 달러의 비용으로 건설되었다.[7] 이 터미널은 동시에 900명의 도착 승객과 900명의 출발 승객을 처리할 수 있다.[8] 이 디자인은 IATA 서비스 표준을 충족하며 3,000만 싱가포르 달러의 비용으로 ICAO 안전 및 보안 표준을 준수한다. 다른 주목할 만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8]

  • 혼잡을 줄이기 위해 도착 및 출발 승객을 위한 별도의 층
  • 통합 체크인 시스템을 갖춘 자동 수하물 처리 시스템
  • 4대의 보잉 747기를 처리할 수 있는 4개의 항공교
  • 정부 관리 및 사업가 전용 라운지
  • 340대 차량을 위한 공간이 있는 2층 주차장


2011년 6월, 정부는 공항을 40% 확장하고 연간 수용 능력을 270만 명에서 380만 명으로 늘릴 계획을 발표했다.[9] 2012년에 이미 연간 270만 명의 수용 능력을 초과하여 310만 명을 수용했으며,[10] 2014년에는 400만 명을 수용했다.[11] 이러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국제선 및 국내선 터미널이 건설되었고, 2016년 말 완공되어 [http://yangonairport.aero 양곤 국제공항]은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11]

2013년,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이 아시아 월드의 계열사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에 새로운 국내선 터미널 건설 및 공항 에이프런 확장을 위해 수여되었다.[10]

새로운 국제선 터미널(T1)은 2016년 3월에 개장했으며, 기존 국제선 터미널은 T2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국내선 터미널(T3)은 2016년 12월 5일에 개장했다.

3. 터미널

터미널 1


터미널 1


2014년 8월, 기존 국내선 터미널을 철거하고 국제선 항공편을 처리할 새로운 6층 규모의 터미널 1 건설이 시작되었다.[12] 2016년 3월 12일에 개통식이 열렸으며, 터미널 1 개장 이후 양곤 국제공항은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이전 270만 명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터미널 1이 개장한 후, 이전 국제선 터미널은 "터미널 2"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3] 이 건물은 싱가포르의 CPG Corporation에서 설계했으며, 아시아 월드 컴퍼니에서 건설하여 1330만 미국 달러가 소요되었다. 이 터미널은 동시에 900명의 도착 승객과 900명의 출발 승객을 처리할 수 있다.

터미널 2는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위해 2018년 7월에 폐쇄되었다. 현재 모든 국제선 항공편은 터미널 1에서 운항된다.

2017년의 터미널 3


터미널 3은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되며, 2016년 12월 5일에 개장하여 2014년 8월에 철거된 구 국내선 터미널을 대체했다.[14]

의장대 건물은 터미널 3이 완공될 때까지 임시 국내선 터미널로 사용되었다. 이 건물은 터미널 1과 터미널 2 사이의 연결 통로를 건설하기 위해 철거되었다.

3. 1. 터미널 1 (국제선)



2014년 8월, 기존 국내선 터미널을 철거하고 국제선 항공편을 처리할 새로운 6층 규모의 터미널 1 건설이 시작되었다.[12] 2016년 3월 12일에 개통식이 열렸으며, 터미널 1 개장 이후 양곤 국제공항은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이전 270만 명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3. 2. 터미널 2 (구 국제선, 현재 폐쇄)



터미널 1이 개장한 후, 이전 국제선 터미널은 "터미널 2"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3] 이 건물은 싱가포르의 CPG Corporation에서 설계했으며, 아시아 월드 컴퍼니에서 건설하여 1330만 미국 달러가 소요되었다. 이 터미널은 동시에 900명의 도착 승객과 900명의 출발 승객을 처리할 수 있다.

터미널 2는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위해 2018년 7월에 폐쇄되었다. 현재 모든 국제선 항공편은 터미널 1에서 운항된다.

3. 3. 터미널 3 (국내선)



터미널 3은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되며, 2016년 12월 5일에 개장하여 2014년 8월에 철거된 구 국내선 터미널을 대체했다.[14]

3. 4. 의장대 건물 (구 VIP 터미널)

의장대 건물은 터미널 3이 완공될 때까지 임시 국내선 터미널로 사용되었다. 이 건물은 터미널 1과 터미널 2 사이의 연결 통로를 건설하기 위해 철거되었다.

4. 운항 노선

(국제선)방콕/수완나품, 방콕/돈므앙, 푸껫, 쿠알라룸푸르, 싱가포르, 하노이, 호치민, 쿤밍, 광저우, 타이베이/타오위안, 서울/인천, 다카, 델리, 가야, 콜카타, 두바이T1미얀마 국영 항공
(국제선)방콕/수완나품, 치앙마이, 쿠알라룸푸르, 싱가포르, 다카, 가야, 쿤밍, 서울/인천T1에어아시아쿠알라룸푸르T1에어 인디아델리T1방콕 항공방콕/수완나품T1중국 국제항공베이징 수도T1중화항공타이베이/타오위안T1중국 동방항공상하이 푸둥, 쿤밍T1중국 남방항공광저우T1대한항공서울/인천T1말레이시아 항공쿠알라룸푸르T1녹 에어방콕/돈므앙T1싱가포르 항공싱가포르T1타이 에어아시아방콕/돈므앙T1타이 항공방콕/수완나품T1



2023년 6월 현재[37][38]

4. 1. 국제선



양곤 국제공항에서는 여러 항공사가 다양한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2020년 이후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많은 정기편이 운휴, 감편, 노선 변경되었다.

미얀마 국제항공은 광저우, 방콕(수완나품), 서울(인천)[40], 씨엠립, 싱가포르, 쿠알라룸푸르, 프놈펜, 무안, 청두 등지로 운항하며, 계절편으로는 가야로 가는 노선을 운항한다.[28] 에어바간은 치앙마이, 무안, 푸껫으로, 에어만달레이는 치앙마이로 운항한다.

대한항공은 서울(인천) 노선을 운항한다.

중국국제항공은 베이징(수도)와 난닝으로,[15] 중국남방항공은 광저우로,[18] 중국동방항공은 베이징(수도)와 쿤밍으로[17] 운항한다.

전일본공수는 도쿄(나리타)로 운항하며, 중화항공은 타이페이(도원)으로 운항한다.

말레이시아 항공과 에어아시아는 쿠알라룸푸르로 운항한다.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은 다카로, 베트남 항공과 제트스타 퍼시픽 항공은 하노이로 운항한다.

실크에어, 제트스타 항공, 싱가포르 항공은 싱가포르로 운항한다.

타이 항공, 타이 에어아시아, 방콕 항공은 방콕(수완나품)으로 운항한다. 타이 에어아시아와 미얀마 국제항공방콕(돈므앙)으로도 운항한다.[19]

에어 인디아는 콜카타와 델리로[16] 운항한다.

아주르 항공은 블라디보스토크로 운항한다.

미얀마 항공 국제선은 첸나이,[20] 치앙마이,[21] 델리, 다카,[22] 두바이, 광저우, 하노이,[23] 호치민 시티,[23] 콜카타, 쿠알라룸푸르, 만달레이, 노보시비르스크,[24] 프놈펜, 푸껫,[25] 서울–인천,[26] 싱가포르, 타이페이–타오위안,[27] 비엔티안 노선과 계절별 노선인 가야[28] 노선을 운항한다.

2023년 6월 현재, 여러 항공사들이 양곤 국제공항에서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37][38]

4. 2. 국내선

(국내선) | 다웨이, 헤호/Heho영어 (), (),켕퉁 (),차우퓨, 라쇼 (), 로이코 (), 만달레이, 미에이크, 미치나 (), 냥우 (), 시트웨 (), 타치렉 (), 탄드웨 ()

| T3

| 미얀마 국영 항공
(국내선) | 보우핀/Bokepyin영어, 다웨이, (), 코타웅/Kawthaung영어 (), 켕퉁 (), 차우퓨, 라쇼 (), 로이코 (), 마궤 (), 만달레이, 몰라먀잉 (), 미에이크, 미치나 (), 네피도, 시트웨 (), 탄드웨 ()

| T3

| 에어 KBZ | 다웨이, 헤호/Heho영어 (), (), 켕퉁 (), 차우퓨, 라쇼 (), 로이코 (), 냥우 (), 시트웨 (), 타치렉 (), 탄드웨 () | T3

| 에어 탄루윈 | 다웨이, 헤호/Heho영어 (), 라쇼 (), 만달레이, 몰라먀잉 (), 미에이크, 냥우 (), 시트웨 (), 타치렉 (), 탄드웨 () | T3

| 만 야다나르폰 항공/Mann Yadanarpon Airlines영어 | 다웨이, 헤호/Heho영어 (), 라쇼 (), 로이코 (), 만달레이, 시트웨 () | T3

}}

5. 교통 통계

wikitable

'''2024년 7월 6일 기준, 양곤 출발 노선별 주간 운항 횟수'''[30]
순위목적지주간 운항 횟수
1방콕–수완나품60
2만달레이33
3방콕–돈므앙28
4싱가포르–창이28
5바간–냥우22
6헤호22
7다웨이20
8쿠알라룸푸르–국제14
9쿤밍–창수이11
10난닝9



연도승객 수전년 대비 증감운항 횟수화물
(톤)
20165,454,18870,307
20175,916,5978.48%78,076
20186,104,8543.18%
출처: 양곤 국제공항[31]


5. 1. 연도별 이용객 수

(톤)20165,454,18870,30720175,916,5978.48%78,07620186,104,8543.18%출처: 양곤 국제공항[31]


6. 사건 및 사고

7. 접근 교통

양곤 버스 서비스(YBS)는 양곤 국제공항과 양곤 중앙역 사이 13개의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공항 셔틀 버스 노선을 운행한다.[35] 버스는 양곤 국제공항, 8마일, 나와데, 카바에 파고다, 라니, 한미팃, 슈웨곤다인, 바한 3가, 캭타잉, 야우클란 및 술레 파고다에 정차한다. 돌아오는 여정의 정류장에는 술레, 양곤 기차역, 동물원, 바한 3가, 슈웨곤다인, 라니, 카바에 파고다, 나와데, 8마일 및 공항이 포함된다.[35] 요금은 500 이다.[35]

YBS 셔틀 버스

참조

[1] 웹사이트 Mingaladon Airfield https://worldofwarpl[...]
[2] 서적 The Emperor's Codes: Bletchley Park and the breaking of Japan's secret ciphers Bantam Press 2000
[3] 웹사이트 Condor to Start Siem Reap and Yangon Service in W12 http://airlineroute.[...] 2023-09-02
[4] 웹사이트 Condor to fly to Yangon in November https://www.ttgasia.[...] 2023-09-02
[5] 웹사이트 Flight plan Winter 2013/14 https://www.condor.c[...] 2023-09-02
[6] 뉴스 Yangon airport completes runway extension https://www.mmtimes.[...] 2008-07-28
[7] 뉴스 Yangon International Airport opens new terminal https://www.monsters[...] 2007-07-25
[8] 뉴스 Yangon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put into service after renovation https://english.peop[...] 2007-05-25
[9] 뉴스 Government reveals plan to expand Yangon International Airport https://www.mmtimes.[...] 2012-03-05
[10] 뉴스 Myanmar Air Services Grow Rapidly Despite Safety Record https://www.nytimes.[...] 2013-10-22
[11] 뉴스 A 2015 finish planned for first part of Yangon airport expansion https://www.mmtimes.[...] 2014-02-02
[12] 웹사이트 Terminal 1 http://yangonairport[...]
[13] 웹사이트 Terminal 2 http://yangonairport[...]
[14] 웹사이트 လေဆိပ် https://asiaworldcom[...]
[15] 웹사이트 Mainland Chinese Carriers NS23 International / Regional Network – 23APR23 https://www.aerorout[...] 2023-04-24
[16] 웹사이트 Air India Flight AI236 (AIC236)–Delhi (DEL) to Yangon (RGN)-22 Feb 2023 https://flightaware.[...]
[17] 웹사이트 China Eastern NW22 International / Regional Operations – 16OCT22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2-10-21
[18] 웹사이트 China Southern / Xiamen Airlines NW22 International / Regional Operations – 16OCT22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2-10-21
[19] 웹사이트 MYANMAR AIRWAYS INTERNATIONAL ADDS BANGKOK DON MUEANG FROM MID-JUNE 2023 https://www.aerorout[...] 2023-06-02
[20] 웹사이트 MYANMAR AIRWAYS INTERNATIONAL ADDS REGULAR CHENNAI FLIGHTS IN NS23 https://www.aerorout[...] 2023-04-13
[21] 웹사이트 Myanmar Airways International Adds Chiang Mai Service in 2Q24 https://www.aerorout[...] 2024-02-28
[22] 웹사이트 MAI to expand Chiang Mai, Vientiane, Dhaka flights in April - Global New Light Of Myanmar https://www.gnlm.com[...] 2024-03-10
[23] 웹사이트 Hãng hàng không tư nhân lớn nhất Myanmar sắp có mặt tại Việt Nam https://www.baogiaot[...] 2022-08-19
[24] 뉴스 MAI Suspends Mandalay – Novosibirsk in April 2024 https://www.aerorout[...] 2024-04-06
[25] 웹사이트 Myanmar Airways International Adds Phuket Service in late-Sep 2022 https://www.aerorout[...] 2022-08-30
[26] 웹사이트 미얀마국제항공(8M) 12월 4일 인천- 양곤 취항으로 편리해지는 미얀마 하늘길 http://www.ttlnews.c[...]
[27] 웹사이트 Myanmar Airways International Resumes Taipei Service in Jan 2023 https://www.aerorout[...] 2022-12-06
[28] 웹사이트 Myanmar Airways International to commence Yangon-Gaya service https://centreforavi[...] 2023-07-08
[29] 웹사이트 Thai Airways International Yangon Service Changes From mid-July 2023 https://www.aerorout[...] 2023-07-11
[30] 웹사이트 Live Flight Tracker - Real-Time Flight Tracker Map https://www.flightra[...]
[31] 웹사이트 Built for 20 million MPPA, Yangon International Airport welcomed 5.92 million passengers to round off 2017 http://yangonairport[...]
[32] 웹사이트 Accident description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2016-03-13
[33] 웹사이트 Biman Airlines Plane Skids Off Runway in Yangon, Myanmar https://www.nytimes.[...] 2019-05-08
[34] 웹사이트 Yangon airport runway closed temporarily after a plane nose wheel breaks https://www.mizzima.[...] 2019-08-11
[35] 웹사이트 YBS Airport Shuttle commences in Yangon - Global New Light Of Myanmar http://www.globalnew[...] 2018-07-06
[36] 뉴스 ミャンマー新空港、供用開始4年延期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5-08-28
[37] 웹사이트 International Flight Schedule https://yangonairpor[...]
[38] 웹사이트 ヤンゴン国際空港 飛行機時刻表 https://transit.navi[...]
[39] 뉴스 Shuttle buses to run from Yangon airport to railway station https://www.mmtimes.[...] Myanmer Times 2018-06-22
[40] 뉴스인용 미얀마국제항공, 12월 4일 인천~양곤 신규 취항 http://www.tourtimes[...] 투어타임즈 2019-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