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절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절로는 997년 오월이 송나라에 항복한 후 설치된 행정 구역이다. 당나라 시기 절동도와 절서도를 아울러 지칭하는 이름으로, 오월의 영토와는 일부 차이를 보였다. 1074년 절동로와 절서로로 분할되었다가 다시 합쳐졌고, 1160년대에 영구적으로 분리되었다. 남송 시기에는 항저우를 중심으로 절동로와 절서로로 나뉘어 관할 구역을 형성했다. 양절서로는 9개의 현과 6개의 부, 양절동로는 8개의 현과 5개의 부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로 - 하북서로
하북서로는 송나라 시대에 설치된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정부, 상주, 중산부 등 여러 지역을 관할하며 각 지역은 역사적 배경과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경제, 문화, 군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송나라의 로 - 하북동로
하북동로는 송나라와 금나라 시대에 현재의 허베이성 일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송나라 시대에는 여러 주와 부가 설치되어 군사적 역할과 공납물을 담당했으며, 금나라 시대에는 하간부가 중심지로 기능하며 일부 행정 구역 명칭과 관할에 변화가 있었다. - 저장성의 역사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 저장성의 역사 - 동진
동진은 317년 사마예가 건국하여 약 100년간 이어진 남조 왕조로, 내란과 외침, 강남 호족과의 갈등 속에서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강남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유유에 의해 멸망했다. - 장쑤성의 역사 - 동진
동진은 317년 사마예가 건국하여 약 100년간 이어진 남조 왕조로, 내란과 외침, 강남 호족과의 갈등 속에서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강남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유유에 의해 멸망했다. - 장쑤성의 역사 - 남당
남당은 오대십국 시대 강남을 중심으로 서지고(이병)가 건국하여 당을 계승했다는 명분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경과 이유 시대에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후주와 송의 압력으로 쇠퇴하여 송에 멸망,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양절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량저 회로 |
로마자 표기 | Liangzhe Lu |
대체 이름 모듈 | 량저 회로(兩浙路) |
시작 | 997년 (송나라) |
종료 | 1160년대 (송나라) |
계승 | 량저 서 회로 량저 동 회로 |
인구 (1102년) | 약 1천만 명 |
인구 (1162년) | 약 1천 1백만 명 |
본부 | 항저우 |
2. 역사
997년, 오월(907–978)의 국왕 전숙이 자신의 왕국을 송나라에 항복한 지 약 19년 후에 양절로가 설립되었다. 양절(兩浙)이라는 이름은 758년에 설립되어 나중에 오월이 통치하게 된 당나라(618–907)의 두 순찰구인 절동도와 절서도를 가리킨다. 양절로는 오월의 영토와 동일하지는 않았으며, 남당의 옛 상주, 윤주 등이 포함되었으나 복주는 포함되지 않았다.
1074년 절동로와 절서로로 나뉘었지만 곧 다시 합쳐졌고, 1076년과 1077년 사이 잠시 분리된 후 1160년대에 영구적으로 분리되었다. 1127년 정강의 변 이후, 조구(고종)는 항주에 송나라를 재건했고, 1129년 임안부로 개명했다.
2. 1. 양절로의 성립과 분할
양절로는 997년에 설립되었으며, 이는 오월(907–978)의 국왕 전숙이 자신의 왕국을 송나라에 항복한 지 약 19년 후였다. 양절(兩浙; "두 절")이라는 이름은 758년에 모두 설립되었고 나중에 오월에 의해 통치된 두 개의 당나라(618–907) 순찰구인 절동도와 절서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양절로는 오월의 영토와 동일하지 않았다. 여기에는 남당의 옛 상주, 윤주와 같은 군이 포함되었지만, 복주는 포함되지 않았다.1074년, 양절로는 절동로와 절서로로 나뉘었지만 곧 다시 합쳐졌다. 1076년과 1077년 사이에 잠시 분리된 후, 양절로는 1160년대에 영구적으로 두 개로 분리되었다. (1127년, 정강의 변 이후, 조구(고종)는 항주에 송나라를 재건했고, 1129년에 이곳을 임안부로 개명했다.)
2. 2. 남송 시기 양절로
997년, 오월(907년~978년)의 국왕 전숙이 자신의 왕국을 송나라에 항복한 지 약 19년 후에 양절로가 설립되었다. 양절(兩浙)이라는 이름은 758년에 설립되어 나중에 오월이 통치하게 된 두 개의 당나라(618년~907년) 순찰구인 절동도와 절서도를 가리킨다. 양절로는 오월의 영토와 동일하지는 않았다. 양절로에는 남당의 옛 상주, 윤주와 같은 군이 포함되었지만, 복주는 포함되지 않았다.1074년, 양절로는 절동로와 절서로로 나뉘었지만 곧 다시 합쳐졌다. 1076년과 1077년 사이에 잠시 분리된 후, 1160년대에 영구적으로 두 개로 분리되었다. (1127년 정강의 변 이후, 조구(고종)는 항주에 송나라를 재건했고, 1129년에 이곳을 임안부로 개명했다.)
3. 행정 구역
양절로는 크게 양절서로와 양절동로로 나뉜다.
양절서로에는 임안부, 평강부, 진강부, 호주, 상주, 취주, 엄주, 수주가 있었다.
- 평강부(平江府): 쑤저우 시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으로, 원래 소주였으나 1113년 평강부로 승격되었다. 오현, 장주현 등 6개 현을 관할했다.[1]
- 진강부(鎭江府): 전장 시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으로, 원래 윤주였으나 1113년 진강부로 승격되었다. 단도현, 단양현 등 3개 현을 관할했다.[1]
- 취주(衢州): 취저우 시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으로, 신안군이라는 군명을 가지고 있었다. 서안현 등 5개 현을 관할했으며, 1253년 공자의 후손들이 정착하여 남종가문이 형성되었다.[1]
- 엄주(嚴州): 항저우 시 젠더 시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으로, 원래 목주였으나 1121년 엄주로 바뀌었고, 1265년 건덕부로 승격되었다. 건덕현, 순안현 등 6개 현을 관할했다.[1]
- 수주(秀州): 자싱 시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으로, 1195년 가흥부로 승격되었다. 가흥현, 화정현 등 4개 현을 관할했다.[1]
양절동로에는 월주, 무주, 명주, 온주, 대주, 처주 6개의 주가 있었다.
- 무주(婺州): 진화 시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으로, 동양군이라는 군명을 가지고 있었다. 금화현, 의오현 등 7개 현을 관할했다.
- 명주(明州): 닝보 시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으로, 봉화군이라는 군명을 가지고 있었고, 1194년 경원부로 승격되었다. 고려와 송나라 간 주요 민간 교류 거점이었다. 은현, 봉화현 등 6개 현을 관할했다.
- 대주(臺州): 타이저우 시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으로, 임해군이라는 군명을 가지고 있었다. 임해현, 황암현 등 5개 현을 관할했다.
- 처주(處州): 리수이 시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으로, 진운군이라는 군명을 가지고 있었다. 여수현, 용천현 등 6개 현을 관할했다.
3. 1. 양절서로(兩浙西路)
994년(송 태종 순화 5년), 영해군절도(寗海軍節度)로 고쳐졌다가 1107년(송 휘종 대관 원년) 사부(師府)로 승격되었다. 1127년(송 고종 건염 원년) 양절서로안무사가 항주, 호주, 엄주, 수주의 4주를 관할하게 되었다. 1129년(송 고종 건염 3년) 수도로 선정되면서 항주에서 '''임안부(臨安府)'''로 승격되었다. 1135년(송 고종 소흥 5년), 병마검할이 서로안무사를 겸하게 되었다. 숭녕연간에는 203,574호 296,615명을 거느렸으며, 릉, 등나무로 만든 종이를 공납으로 바쳤다. 9현을 두었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전당현 | 錢唐縣 | 항저우시 | 望 | 염감이 있다. |
인화현 | 仁和縣 | 望 | 양나라의 전강현(錢江縣)이었으나 979년(송 태종 태평흥국 4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소흥연간에 전당현과 함께 적급(赤)으로 현급이 조정되었다. | |
여항현 | 余杭縣 | 항저우 시 위항 구 | 望 | |
임안현 | 臨安縣 | 항저우 시 린안 구 | 望 | 양전유가 의금군(衣錦軍)으로 고쳤다가 979년 순화군(順化軍)으로 고쳤고 임안현으로 복구했다. 980년(송 태종 태평흥국 5년) 군을 폐지했다. 정강의 변 이후 1129년 본현의 이름을 따 항주가 임안부로 승격되었고 남송의 수도가 되었다. |
부양현 | 富陽縣 | 항저우 시 푸양 구 | 緊 | |
어잠현 | 於潛縣 | 항저우 시 린안 구 어잠진 | 緊 | |
신성현 | 新城縣 | 항저우 시 푸양 구 신등진 | 上 | 양나라가 신등현(新登縣)으로 개명했으나 979년 신성현으로 복구했다. 994년 남신장(南新場)을 현으로 승격시켰으나 1072년(송 신종 희녕 5년) 남신현을 진으로 격하해 신성현으로 재통합했다. |
염관현 | 鹽官縣 | 자싱 시 하이닝 시 사교진 | 上 | |
창화현 | 昌化縣 | 항저우 시 린안 구 창화진 | 中 | 979년 당산현(唐山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복구했다. 자계염장(紫溪鹽場)이 있다. |
군명은 오군이다. 978년(송 태종 태평흥국 3년), 평강군절도(平江軍節度)로 고쳤다. 1113년(송 휘종 정화 3년) 소주(蘇州)에서 평강부(平江府)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152,821호 448,312명을 거느렸다. 칡, 사상자(蛇床子), 백석지(白石脂), 꽃이 그려진 자리를 공납으로 바쳤다. 6현을 두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오현 (쑤저우 시) | 吳縣 | 쑤저우 시 | 望 | |
장주현 | 長洲縣 | 望 | ||
곤산현 | 昆山縣 | 쑤저우 시 쿤산 시 | 望 | |
상숙현 | 常熟縣 | 쑤저우 시 창수 시 | 望 | |
오강현 | 吳江縣 | 쑤저우 시 우장 구 | 緊 | |
가정현 | 嘉定縣 | 상하이 시 자딩 구 | 上 | 1222년(송 영종 가정 15년) 곤산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군명은 단양군이며 진강군절도(鎭江軍節度)가 파견되었다. 975년(송 태조 개보 8년) 진강군절도로 고쳤고 1113년 윤주(潤州)에서 진강부로 승격되었다. 1129년(송 고종 건염 3년) 수(帥)가 파견되었다. 1130년(송 고종 건염 4년)대사에게 연강안무(沿江安撫)의 직을 겸하게 했고 절강안무는 임안으로 옮겨졌다. 숭녕연간에는 63,657호 164,566명을 거느렸다. 황제를 위한 질좋은 비단, 견수자, 은제품이 생산되었으며 몽계필담의 저자 심괄이 살았다. 3현을 두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단도현 | 丹徒縣 | 전장 시 | 緊 | 천산채(圌山砦)가 있다. |
단양현 | 丹陽縣 | 전장 시 단양 시 | 緊 | 1072년(송 신종 희녕 5년) 연릉현을 진으로 격하해 통폐합했다. |
금단현 | 金壇縣 | 창저우 시 진탄 시 | 緊 |
상급주로 군명은 오흥군이다. 1034년(송 인종 경우 원년) 소경군절도(昭慶軍節度)가 파견되었다. 1225년(송 이종 보경 원년) 안길주(安吉州)로 개명되었다. 숭녕연간에는 162,335호 261,698명을 거느렸다. 백령, 칠기를 공납으로 바쳤다. 6현을 두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오정현 | 烏程縣 | 후저우 시 | 望 | |
귀안현 | 歸安縣 | 望 | 982년(송 태종 태평흥국 7년) 오정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
안길현 | 安吉縣 | 후저우 시 안지 현 진가장일대 | 望 | |
장흥현 | 長興縣 | 후저우 시 창싱 현 | 望 | |
덕청현 | 德淸縣 | 후저우 시 더칭 현 | 緊 | |
무강현 | 武康縣 | 후저우 시 더칭 현 대하구(對河口)저수지일대 | 上 | 978년 항주에서 본주로 내속되었다. |
군명은 비릉군이다. 군사가 파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165,116호 246,909명을 거느렸다. 백령, 사(紗), 자리를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진릉현 | 晉陵縣 | 창저우 시 | 望 | |
무진현 | 武進縣 | 望 | ||
의흥현 | 宜興縣 | 우시 시 이싱 시 | 望 | 태평흥국 초에 당나라 의흥현(義興縣)에서 개명되었다. |
무석현 | 無錫縣 | 우시 시 | 望 |
상급주로 군명은 신안군이며 군사가 파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107,903호 288,858명을 거느렸다. 면, 등나무로 만든 종이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으며 1253년 송나라 조정과 함께 월남한 공자의 후손중 공단우휘하의 공씨가문 인사들이 본주에 정착해 취저우 문묘를 만들었으며 이들이 훗날 공자의 후손가문중 일부인 남종가문이 되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서안현 | 西安縣 | 취저우 시 | 望 | 1253년 구주공묘가 세워졌다. |
예현현 | 禮賢縣 | 취저우 시 장산 시 | 緊 | 남송대에 강산현(江山縣)에서 개명했다. |
용유현 | 龍遊縣 | 취저우 시 룽유 현 | 上 | 1121년(송 휘종 선화 3년) 용구현(龍丘縣)에서 영천현(盈川縣)으로 개명했다가 소흥초에 지금이름으로 개명했다. |
신안현 | 信安縣 | 취저우 시 창산 현 | 中 | 1267년 상산현(常山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목주(睦州)에는 군사가 파견되었다. 1119년 목주에 건덕군절도가 추가되었다. 1121년, 주명을 엄주(嚴州)로 고쳐 수안군(遂安軍)의 군액을 받았다. 1265년 엄주에서 건덕부(建德府)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82,341호 107,521명을 거느렸다. 백령, 대나무로 만든 자리를 공납으로 바쳤다. 6현을 두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건덕현 | 建德縣 | 항저우 시 젠더 시 매성진 | 望 | |
순안현 | 淳安縣 | 항저우 시 춘안 현 서. 지금은 수몰되었다. | 望 | 청계현(靑溪縣)이었는데, 인화초에 순화(淳化縣)으로 개명되었다가 남송대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동려현 | 桐廬縣 | 항저우 시 퉁루 현 | 上 | 978년 항주에서 내속되었다. |
분수현 | 分水縣 | 항저우 시 퉁루 현 분수진 | 中 | |
수안현 | 遂安縣 | 항저우 시 춘안 현 강가진 동쪽. 지금은 수몰되었다. | 中 | |
수창현 | 壽昌縣 | 항저우 시 젠더 시 수창진 | 中 |
1117년 가화군(嘉禾郡)이라는 군명을 받았다. 1195년(송 영종 경원 원년), 효종의 생가에 기인하여 수주(秀州)에서 '''가흥부(嘉興府)'''로 승격되었다. 1208년(송 영종 가정 원년), 기존의 군사가 아닌 가흥군절도(嘉興軍節度)가 파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122,813호 228,676명을 거느렸다. 4현을 두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가흥현 | 嘉興縣 | 자싱 시 | 望 | |
화정현 | 華亭縣 | 상하이 시 쑹장 구 | 緊 | |
해염현 | 海鹽縣 | 자싱 시 하이옌 현 | 上 | 염감, 사요염장(沙腰鹽場), 노력염장(蘆瀝鹽場)이 있다. |
숭덕현 | 崇德縣 | 자싱 시 둥샹 구 숭복진일대 | 中 |
3. 2. 양절동로(兩浙東路)
양절동로에는 월주, 무주, 명주, 온주, 대주, 처주 6개의 주가 있었다.월주는 대도독부로 회계군이라는 군명을 가지고 있었으며 진동군절도가 파견되었다. 1107년(송 휘종 대관 원년) 사부로 승격되었다가 1131년(송 고종 소흥 원년) 소흥부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279,306호 367,390명을 거느렸고 종이, 경용사, 월릉을 공납으로 바쳤다. 8개의 현을 두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회계현 | 會稽縣 | 사오싱 시 | 望 | |
산음현 | 山陰縣 | 望 | ||
승현 | 嵊縣 | 사오싱 시 성저우 시 | 望 | 1121년 섬현에서 개명 |
제기현 | 諸暨縣 | 사오싱 시 주지 시 | 望 | 용천일은갱이 있음 |
여요현 | 余姚縣 | 닝보 시 위야오 시 봉산가도 | 望 | |
상우현 | 上虞縣 | 사오싱 시 상위 구 풍혜진 일대 | 望 | |
소산현 | 蕭山縣 | 항저우 시 샤오산 구 | 緊 | |
신창현 | 新昌縣 | 사오싱 시 신창 현 | 緊 | 1172년 풍교진이 의안현으로 분리되었다가 1174년 폐지 |
무주는 상급주로 군명은 동양군이었다. 990년(송 태종 순화 원년) 보녕군절도로 고쳐졌다. 숭녕연간에는 134,080호 261,678명을 거느렸고 등나무로 만든 종이와 솜을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을 두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금화현 | 金華縣 | 진화 시 | 望 | |
의오현 | 義烏縣 | 진화 시 이우 시 | 望 | |
영강현 | 永康縣 | 진화 시 융캉 시 | 緊 | |
무의현 | 武義縣 | 진화 시 우이 현 | 上 | |
포강현 | 浦江縣 | 진화 시 푸장 현 | 上 | |
난계현 | 蘭溪縣 | 진화 시 란시 시 | 望 | |
동양현 | 東陽縣 | 진화 시 둥양 시 | 望 |
명주는 군명이 봉화군이었고, 960년 봉국군절도가 추가되었다. 1107년 상급주로 승격되어 연해제치사가 설치되었다. 1114년 절동안무사절제사가 제사를 겸했다가 1117년 복귀했다. 1163년 복구되었고, 1174년 위혜헌왕이 자선을 베푼 것을 기려 장사, 사마가 파견되었다. 1194년(송 광종 소희 5년) 명주에서 경원부로 승격되었다. 고려와 송나라 간 주요 민간 교류 거점이었다. 숭녕연간에는 116,140호 221,007명을 거느렸고, 릉, 고려에서 수입한 한산모시, 오징어골을 공납으로 바쳤다. 6현을 두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은현 | 鄞縣 | 닝보 시 | 望 | |
봉화현 | 奉化縣 | 닝보 시 펑화 시 | 望 | |
자계현 | 慈溪縣 | 닝보 시 츠시 시 동남 | 上 | |
정해현 | 定海縣 | 닝보 시 전하이 구 | 上 | |
상산현 | 象山縣 | 닝보 시 샹산 현 | 下 | |
창국현 | 昌國縣 | 저우산 시 딩하이 구 | 下 | 1073년 은현에서 분리, 소흥연간에 망급으로 격상 |
온주는 군명이 영가군이었고 978년 군사주로 강등되었다. 1117년 응도군절도가 파견되었다. 1129년 군액이 폐지되었다. 1265년(송 도종 함순 원년) 온주에서 이안부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119,640호 262,710명을 거느렸고, 상어가죽과 견강지를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영가현 | 永嘉縣 | 원저우 시 | 緊 | 룽완 구 지역에 영가염장이 있었음 |
평양현 | 平陽縣 | 원저우 시 핑양 현 | 望 | 천부염장이 있었음 |
이안현 | 里安縣 | 원저우 시 뤼안 시 | 緊 | 쌍수염장이 있었음 |
낙청현 | 樂淸縣 | 원저우 시 웨칭 시 | 上 | 당나라 낙성현이었으나 양전유가 개명 |
대주는 상급주로 군명이 임해군이었고 군사가 파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156,792호 351,955명을 거느렸고 사향, 금가루를 섞은 옻, 상어가죽을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임해현 | 臨海縣 | 타이저우 시 린하이 시 | 望 | |
황암현 | 黃岩縣 | 타이저우 시 황옌 구 | 望 | 우포염장, 두독염장이 있었음 |
영해현 | 寧海縣 | 닝보 시 닝하이 현 | 緊 | |
천대현 | 天臺縣 | 타이저우 시 톈타이 현 | 上 | |
선거현 | 仙居縣 | 타이저우 시 셴쥐 현 | 上 | 당나라 낙안현이었으나 양전유가 영안현으로, 1007년 지금의 이름으로 고침 |
처주는 상급주로 군명이 진운군이었고 군사가 파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108,523호 160,536명을 거느렸고 면과 황련을 공납으로 바쳤다. 6현을 두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여수현 | 麗水縣 | 리수이 시 롄두 구 연성진 | 望 | |
용천현 | 龍泉縣 | 리수이 시 룽취안 시 | 望 | 도검 제작으로 유명, 1121년 검천현으로 개명되었다가 1131년 복귀, 고정일은장이 있음 |
송양현 | 松陽縣 | 리수이 시 쑹양 현 | 上 | 양전유가 장송현, 전원관이 백룡현, 999년 여수현으로 개명 |
수창현 | 遂昌縣 | 리수이 시 쑤이창 현 | 上 | 영풍은장이 있었음 |
진운현 | 縉雲縣 | 리수이 시 진윈 현 | 上 | |
청전현 | 靑田縣 | 리수이 시 칭톈 현 | 中 | |
경원현 | 慶元縣 | 리수이 시 칭위안 현 | 中 | 1197년 용천현 송원향에서 분리 신설 |
참조
[1]
논문
Thought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opulation of China
[2]
서적
Song Shi
http://zh.wikisource[...]
[3]
서적
《송사》 권88 지리지 4 양절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