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유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어 유희는 단어의 소리, 의미, 문법 구조를 활용하여 재미를 유발하는 표현 기법이다. 동음이의어, 유사 발음, 어순 도치, 톰 스위프티, 웰러리즘, 스푸너리즘, 말라프로피즘, 이중 의미, 혼성어 등 다양한 기법이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끝말잇기, 수수께끼, 재담 등이 전통적인 언어 유희로, 현대에는 넌센스 퀴즈(아재개그)가 유행한다. 언어 유희는 문학, 대중문화,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창의성, 사회 비판, 번역의 어려움과 관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유희 - 트리올레
트리올레는 프랑스에서 시작된 시 형식으로, 반복과 운율을 중요시하며 중세 시인들과 랭보, 말라르메 등 여러 시인들에 의해 사용되었고, 유럽 여러 언어권과 브라질에서도 발전해 왔다. - 언어 유희 - Strč prst skrz krk
언어 유희 | |
---|---|
개요 | |
유형 | 수사법 |
분야 | 언어학, 문학, 유머 |
특징 | 단어의 다양한 측면을 활용하여 유머, 풍자, 또는 예술적 효과를 창출하는 것 |
종류 | |
언어적 모호성 활용 | 중의성 동음이의어 다의성 |
음운적 유사성 활용 | 두운 각운 반운 음성 상징 |
형태적 변형 활용 | 혼성어 약어 |
의미적 관계 활용 | 말장난 반어법 역설법 |
예시 | |
말장난 | "A bicycle can't stand on its own because it is two-tired." (자전거는 두 바퀴라서 혼자 설 수 없다) |
동음이의어 | "Why don't scientists trust atoms? Because they make up everything!" (왜 과학자들은 원자를 믿지 않을까? 왜냐하면 그것들은 모든 것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
관련 개념 | |
수사법 | 언어를 사용하여 특정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법 |
유머 | 웃음이나 즐거움을 유발하는 것 |
풍자 | 비판적인 시각으로 사회 현상이나 인물을 조롱하는 것 |
문학 | 언어를 사용하여 예술적 가치를 창출하는 창작 활동 |
참고 자료 | |
관련 서적 | The Pun Also Rises: How the Humble Joke Made Civilization Possible by John Pollack Word Play: What Happens When People Talk by Peter Farb |
2. 언어유희의 기법
언어 유희는 다양한 기법을 통해 구현된다.
- 동음이의어를 활용하는 방법[1]
- 비슷한 음운을 활용하는 방법[1]
- 말의 배치를 바꿔서 하는 방법[1]
- 발음의 유사[1]
- 짝 없는 단어: "나는 머리를 잘 손질했고 헝클어졌다."와 같이, 드물거나 오래된 반의어를 의도적으로 사용한다. ( "disheveled"에서 역형성 ).[1]
- 언어전환: 단어의 일반적인 품사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것은 언어의 진화와 함께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지만, 강조 또는 희극적 효과를 위해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명사 ''peace''를 동사로 사용하여 "The thunder would not peace at my bidding."라고 말하는 것[3], 또는 "The little old lady turtled across the street."라고 말하는 것.[1]
언어는 음성, 문자 등 표현(능기)과, 이러한 음성, 문자가 가진 의미 내용(소기)으로 이루어진다. 언어 유희는 기지를 통해 이러한 표현·의미 내용 및 이들 간의 관계를 가공·변성시켜 재미를 이끌어내는 표현상의 연출 중 하나이며, 문장 속 기법부터 완성된 작품까지 내포한 개념이다. 언어 유희는 미세하고 단발적·일시적·순간적인 유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쓸데없는 말이나 말장난과 같은 언어 유희는,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할 때도 있지만, 때와 장소에 따라 혐오감이나 반감을 불러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또한, 언어 유희는 그 지적 유희성·창조성으로 인해, 국어 교육이나 유아 교육 현장에 도입되고 있다.
일본의 언어 유희는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수많은 종류가 있지만, 이들은 종종 언어 유희의 영역을 넘어, 라쿠고의 『쥬게무』나 가부키의 우이로우리와 같은 무대예술로서 전통 예능이나 민속 예능 등에 포함되어 있다.
2. 1. 동음이의어 활용
발음은 같지만 뜻이 다른 단어를 사용하여 중의적인 의미를 만들어 재미를 유발한다. 언어는 음성, 문자 등 표현(능기)과, 이러한 음성, 문자가 가진 의미 내용(소기)으로 이루어진다. 언어 유희는 기지를 통해 이러한 표현·의미 내용 및 이들 간의 관계를 가공·변성시켜 재미를 이끌어내는 표현상의 연출 중 하나이다.2. 2. 유사 발음 활용
비슷한 발음을 가진 단어나 구절을 사용하여 언어유희를 만든다. 언어는 음성, 문자 등 표현(능기)과, 이러한 음성, 문자가 가진 의미 내용(소기)으로 이루어진다. 언어 유희는 기지를 통해 이러한 표현·의미 내용 및 이들 간의 관계를 가공·변성시켜 재미를 이끌어내는 표현상의 연출 중 하나이다.일본어에서의 언어 유희에서는, 표음 문자인 가나의 표현 뒤에 표의 문자인 한자에서의 본래 표기를 얽히게 하여, 숨겨진 유머를 더욱 발휘하는 예도 있다.
2. 3. 어순 도치
문장 성분의 배열 순서를 바꾸어 익숙한 표현을 새롭게 만들어 재미를 준다.2. 4. 톰 스위프티 (Tom Swifty)
톰 스위프티는 부사를 사용하여 상황을 말장난 방식으로 표현하는 유머러스한 글쓰기 기법이다. 예를 들면 "빨리 배 뒤로 가봐." 톰이 엄하게 말했다.[1]2. 5. 웰러리즘 (Wellerism)
언어 화석과 정형구를 사용하여 속담이나 격언을 비틀어 유머를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우리가 그걸 연습해야 할 텐데,"라고 장의사가 관이 차에서 떨어지자 말했다.2. 6. 스푸너리즘 (Spoonerism)
"a block of flats" 대신 "a flock of bats" 또는 "a funny bone" 대신 "a bunny phone"과 같이, 처음 글자나 소리가 우연히, 그리고 종종 유머러스하게 뒤바뀌는 것이다.2. 7. 말라프로피즘 (Malapropism)
말라프로피즘(Malapropism)은 의도적이든 희극적 효과를 위해서든, 어떤 단어를 발음이 비슷한 다른 단어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He is the very pineapple of politeness." 대신 ''pinnacle''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2]2. 8. 이중 의미 (Double entendre)
이중 구속은 여러 의미를 가진 단어나 구절을 유머러스하거나 성적인(또는 둘 다) 결과를 유발하기 위해 모호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이 웨스트(Mae West)의 "결혼은 좋은 제도이지만, 저는 아직 그 제도에 갈 준비가 안 됐어요."[4] 와 그루초 마르크스(Groucho Marx)의 "내가 당신에게 아름다운 몸매를 가졌다고 말하면, 저를 탓하시겠어요?"라는 대사가 있다.[5]2. 9. 혼성어 (Portmanteau)
혼성어는 ''smoke''와 ''fog''를 결합하여 ''smog''를 만드는 것과 같이 두 단어의 일부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이다.[6]3. 한국의 언어유희
한국의 언어유희는 전통적인 것부터 현대적인 것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전통적으로는 끝말잇기, 수수께끼, 재담과 같이 언어를 이용한 놀이가 있었으며, 판소리의 아니리[1]와 같이 전통 예능의 일부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20세기에는 최불암 시리즈와 같은 유머가 유행하기도 하였다. 현대에는 퀴즈 형식의 문답형 말장난이 크게 늘어났는데, 2000년대까지는 '''넌센스 퀴즈''', 2010년대 이후로는 '''아재개그''' 또는 '''아재드립'''이라고 불린다. 이는 쌍방향 소통이 증가하면서 유희 문화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3. 1. 전통 언어유희
한국의 전통 언어유희에는 끝말잇기, 수수께끼, 재담, 판소리의 아니리 등이 있다. 특히, 라쿠고의 '주게무'나 가부키의 '우이로우리'처럼, 전통 예능의 일부로 언어유희가 활용되기도 한다.[1]3. 2. 현대 언어유희
20세기에는 고도의 산업화와 함께 최불암 시리즈, 완득이 시리즈와 같은 유머가 유행했다. 현대에는 퀴즈 형식의 문답형 말장난이 크게 늘어났다. 이는 쌍방향 소통이 증가하면서 유희 문화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2000년대까지는 '''넌센스 퀴즈'''라고 불렸고, 2010년대 이후로는 '''아재개그''' 또는 '''아재드립'''이라고 많이 불린다.3. 3. 세로 드립
각 행의 첫 글자를 이으면 숨겨진 메시지가 나타나는 형식의 언어 유희이다.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유행하고 있다. 절구의 하위 문서인 아이우에오 작문, 세로 읽기 등이 이와 유사한 형태를 띤다.4. 언어유희와 사회
언어 유희는 단순한 재미를 넘어 사회적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4. 1. 언어유희와 창의성
언어 유희는 지적 유희성과 창조성을 지니고 있어 국어 교육이나 유아 교육 현장에 도입되고 있다.[1] 이는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일본어일본어의 언어 유희에서는 표음 문자인 가나의 표현 뒤에 표의 문자인 한자의 본래 표기를 얽히게 하여, 숨겨진 유머를 더욱 발휘하는 예도 있다.
5. 언어유희의 예시
대부분의 작가들은 어느 정도 언어 유희를 하지만, 특정 작가들은 작품에서 언어 유희를 주요 특징으로 삼는 데 특히 열정적이거나 능숙하다. 셰익스피어의 "말장난"은 그를 유명한 말장난꾼으로 만들었다. 제임스 조이스 또한 유명한 언어 유희 작가인데, 그의 ''피네건의 경야''에서 "they were yung and easily freudened"는 "they were young and easily frightened"를 암시하면서 융과 프로이트의 이름에 대한 말장난을 한다.
십자말 풀이는 종종 풀이자를 어렵게 하기 위해 언어 유희를 사용한다. 특히 암호 십자말 풀이는 정교한 언어 유희 체계를 기반으로 한다.
현대 래퍼들도 가사에 언어 유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Childish Gambino의 "III. Life: The Biggest Troll" 103번째 줄 가사인 "H2O plus my D, that's my hood, I'm living in it"이 있다.[6]
기업들은 사업체 이름을 더욱 기억에 남도록 만들기 위해 언어 유희를 활용하기도 한다.
''마리오 파티'' 시리즈는 종종 말장난과 다양한 언어 유희가 담긴 미니 게임 제목으로 유명하다. 예를 들어 "Shock, Drop, and Roll", "Gimme a Brake", "Right Oar Left"가 있다. 이러한 미니 게임 제목은 지역적 차이에 따라 다르며 해당 지역의 문화를 고려한다.
6. 관련 현상
언어 유희는 신조어로 흔히 사용될 수 있다.
언어 유희는 단어 게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단어를 조작하는 것이 핵심인 게임이다. 언어학적 변형에 대해서는 언어 게임도 참조할 수 있다.
언어 유희는 번역가에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곰돌이 푸''에서 한 등장인물이 "issue"라는 단어를 재채기 소리로 오해하는데, "issue"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면 이러한 유사성이 사라진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wordplay
http://www.askoxford[...]
Oxford Dictionaries Online
2013-08-06
[2]
서적
The Rivals
Dover
[3]
서적
King Lear
Dover
[4]
서적
The 2,548 Best Things Anybody Ever Said
Touchstone
[5]
기타
You Bet Your Life
John Guedel Productions
[6]
기타
Scallops hotel – True Nen
https://genius.com/S[...]
2021-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