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르미타주 봉사활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20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300주년 기념 축제를 계기로 미하일 코주호프스키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학생, 노동자, 외국인 등 다양한 국적과 연령대의 사람들이 참여하며, 에르미타주 미술관 운영 지원, 문화유산 보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제 교류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2013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청년 정책 평의회로부터 '가장 효과적인 봉사 활동 프로그램'으로 표창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원봉사 단체 - 유엔자원봉사단
    유엔자원봉사단(UNV)은 개발도상국의 기술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1970년 설립된 유엔 산하 기구로서, 국제 자원봉사 서비스의 영향을 받아 매년 1만 명의 자원봉사자를 동원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온라인 자원 봉사 서비스와 2030 지속 가능한 개발 의제 달성에도 기여한다.
  • 자원봉사 단체 - 한국자원봉사협의회
    한국자원봉사협의회는 자원봉사 활성화와 전문성 강화를 목표로 다양한 단체들을 회원으로 두고, 이사회를 통해 사업 계획을 심의하며, 교육, 연구, 정보 제공, 단체 협력 등 여러 활동을 통해 자원봉사 발전에 기여하는 단체이다.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문화 - 교향곡 7번 (쇼스타코비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가 작곡한 교향곡 7번은 "레닌그라드 교향곡"이라고도 불리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 작곡되어 전쟁의 참혹함과 소련 국민의 용기를 담아낸 4악장 구성의 곡이다.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문화 - 카잔 대성당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카잔 대성당은 안드레이 보로니힌이 설계하여 1811년 완공된 러시아 정교회 성당으로, 나폴레옹 전쟁 승리 기념관이자 상트페테르부르크 교구의 중심 대성당이다.
  • 에르미타시 박물관 - 겨울 궁전
    겨울 궁전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바로크 양식 궁전으로, 1732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황제의 공식 거처였으며 현재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의 주요 건물이다.
  • 에르미타시 박물관 - 루앙의 센강 (모네)
    클로드 모네가 그린 "루앙의 센강"은 화창한 날 루앙 부두에 정박한 범선들과 센강에 비춰지는 풍경을 묘사한 54 x 65.5cm 크기의 작품으로,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에르미타주 봉사활동
개요
명칭에르미타주 봉사활동
원어 명칭Volunteer Service of the State Hermitage
유형비영리 단체
목표에르미타주 미술관 지원
문화유산 보존 및 홍보
자원봉사 문화 확산
역사
설립 연도1997년
설립 배경에르미타주 미술관의 국제적 교류 확대
자원봉사를 통한 사회 공헌
조직
주요 활동미술관 안내 및 교육 프로그램 지원
문화유산 보존 활동 지원
국제 교류 프로그램 지원
자원봉사자 교육 및 훈련
참여 대상일반 시민, 학생, 전문가 등 누구나 참여 가능
참여 방법에르미타주 봉사활동 웹사이트 또는 직접 방문을 통해 신청 가능
특징
문화유산 보존에르미타주 미술관의 소장품 보존 및 관리 지원
문화유산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국제 교류해외 미술관 및 문화기관과의 협력
국제 자원봉사 프로그램 운영
사회 공헌자원봉사를 통한 사회적 책임 실천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
관련 정보
웹사이트에르미타주 봉사활동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20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300주년 기념 축제를 준비하면서, 미하일 코주호프스키는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을 만들자고 제안했다.[3] 그의 노력으로 에르미타주에서 개인이 참가할 수 있는 봉사활동이 150종류가 생겨났다.[1][3] 2003년 5월 23일에는 봉사자들이 빨간색 유니폼을 입고 봉사활동을 시작했다.[4] 새롭게 생긴 관할 부서인 만큼,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아직 개발이 되고 있는 중이다.[5]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상트페테르부르크 300주년 기념 축제의 준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에르미타주 미술관은 기념 축제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주민과 공식 초청객을 위한 많은 행사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트를 실현하기에는 미술관 단독의 힘으로는 불가능했다. 그때 에르미타주 미술관을 돕겠다고 제안한 사람들의 의지를 미술관 측에서 받아들이면서 봉사활동이 시작되었다.

2003년 1월, 상트페테르부르크 300주년 기념 축제를 위해 미하일 코주호프스키/Михаи́л Кожухо́вскийru 씨가 기념 축제 준비를 돕는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학생들을 포함한 봉사 단체 그룹을 창설할 것을 운영 측에 제안한 것이 시작이었다. 그 결과 기념 축제 프로그램에 150명의 봉사자가 모였다.[1] 2003년 5월 23일, 봉사 단체 그룹이 붉은색 제복을 입고 에르미타주에 처음 입관하여 가능한 모든 지원을 했다. 이후 코주호프스키(Kozhukhovskij) 씨는 새로운 봉사 단체의 책임자로 임명되어 특별 프로그램 등을 담당하는 역할을 맡아 지금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봉사 단체 설립 초기부터 이 봉사 단체는 에르미타주의 다양한 부서와 협력하여 에르미타주 미술관뿐만 아니라 더 넓은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3년, 에르미타주 미술관 봉사 단체 창설 10주년을 맞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행정부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의 봉사 정신 발전에 기여한 점을 언급했다. 이에 따라 201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정부의 청년 정치 위원회에서 관할하는 봉사 단체 표창부, "봉사 포럼 2013"이 창설되었다. 2013년 11월 23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가장 우수한 봉사자들을 표창하는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에르미타주 미술관 봉사 단체는 "효과적인 봉사 활동" 콩쿠르에서 《지역 행사 실행》 부문으로 노미네이트되었다. 제1 훈장과 왕자 동상이 봉사 단체 코디네이터인 코주호프스키(Kozhukhovskij) 씨에게 수여되었다.

2015년 8월, 에르미타주 미술관 봉사 단체가 감독하던 특별 프로그램 부서는 역사, 정보 서비스 관련 부서로 변경되었으며, 그 지도자로는 코주호프스키가 임명되었다.

2. 1. 설립 배경

20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300주년 기념 축제를 준비하면서, 미하일 코주호프스키는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을 만들자고 제안했다.[3] 그의 노력으로 에르미타주에서 개인이 참가할 수 있는 봉사활동이 150종류가 생겨났다.[1][3] 2003년 5월 23일에는 봉사자들이 빨간색 유니폼을 입고 봉사활동을 시작했다.[4] 새롭게 생긴 관할 부서인 만큼,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아직 개발이 되고 있는 중이다.[5]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상트페테르부르크 300주년 기념 축제의 준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에르미타주 미술관은 기념 축제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주민과 공식 초청객을 위한 많은 행사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트를 실현하기에는 미술관 단독의 힘으로는 불가능했다. 그때 에르미타주 미술관을 돕겠다고 제안한 사람들의 의지를 미술관 측에서 받아들이면서 봉사활동이 시작되었다.

봉사 단체 설립 초기부터 이 봉사 단체는 에르미타주의 다양한 부서와 협력하여 에르미타주 미술관뿐만 아니라 더 넓은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3년, 에르미타주 미술관 봉사 단체 창설 10주년을 맞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행정부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의 봉사 정신 발전에 기여한 점을 언급했다. 이에 따라 201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정부의 청년 정치 위원회에서 관할하는 봉사 단체 표창부, "봉사 포럼 2013"이 창설되었다. 2013년 11월 23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가장 우수한 봉사자들을 표창하는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에르미타주 미술관 봉사 단체는 "효과적인 봉사 활동" 콩쿠르에서 《지역 행사 실행》 부문으로 노미네이트되었다. 제1 훈장과 왕자 동상이 봉사 단체 코디네이터인 코주호프스키(Kozhukhovskij) 씨에게 수여되었다.

2015년 8월, 에르미타주 미술관 봉사 단체가 감독하던 특별 프로그램 부서는 역사, 정보 서비스 관련 부서로 변경되었으며, 그 지도자로는 코주호프스키가 임명되었다.

2. 2. 미하일 코주호프스키의 역할

미하일 코주호프스키/Михаи́л Кожухо́вскийru는 상트페테르부르크 300주년 기념으로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을 만들자고 제안했다.[3] 그의 노력으로 에르미타주에서 개인이 참가할 수 있는 150종류의 봉사활동이 생겨났다.[4] 2003년 23일, 붉은색 유니폼을 입은 자원봉사자들이 봉사활동을 시작했다.[4] 새롭게 생긴 관할 부서인 만큼,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아직 개발이 진행 중이다.[5]

2. 3. 초기 활동

20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300주년 기념 축제를 준비하면서, 미하일 코주호프스키는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3] 그의 제안으로 에르미타주에서 개인이 참가할 수 있는 150종류의 봉사활동이 생겨났다.[3][1] 2003년 5월 23일에는 봉사자들이 빨간색 유니폼을 입고 봉사활동을 시작했다.[4]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상트페테르부르크 300주년 기념 축제 준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에르미타주 미술관은 기념 축제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많은 행사가 개최되었다. 미술관은 이러한 프로젝트를 위해 사람들의 도움을 받기로 결정했고, 이를 계기로 봉사활동이 시작되었다.

봉사 단체 설립 초기부터 에르미타주의 다양한 부서와 협력하여 에르미타주 미술관뿐만 아니라 더 넓은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3년, 에르미타주 미술관 봉사 단체 창설 10주년을 맞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행정부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의 봉사 정신 발전에 기여한 점을 언급했다. 2013년 11월 23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가장 우수한 봉사자들을 표창하는 시상식이 개최되었고, 에르미타주 미술관 봉사 단체는 "효과적인 봉사 활동" 콩쿠르에서 《지역 행사 실행》 부문으로 노미네이트되었다.

2015년 8월, 에르미타주 미술관 봉사 단체가 감독하던 특별 프로그램 부서는 역사, 정보 서비스 관련 부서로 변경되었으며, 그 지도자로는 코주호프스키가 임명되었다.

3. 조직 구성 및 현황

이 프로그램에는 학생, 노동자, 러시아인, 외국인 등 다양한 봉사자들이 참여하여 함께 작업을 진행한다.[6] 젊은이들도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출신 국가는 러시아, 스위스, 미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 루마니아, 튀르키예, 레바논, 브라질, 대한민국, 아일랜드 등 매우 다양하다.[6] 일본도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출신 국가에 포함된다.[2] 각 지원자는 봉사 활동 및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증명서를 받을 수 있으며, 이 증명서는 버스 운전사, 거미학자, 댄서, 번역가 등 자원 봉사 서비스가 필요한 직업에 지원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6] 실제로 에르미타주 자원 봉사자들은 언어학자, 미술가, 저널리스트, 교사, 엔지니어 외에도 버스 운전사, 생물학자, 무용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2]

봉사 활동 프로그램은 새로운 봉사자를 지속적으로 모집하고 있으며, 학생, 사회인, 러시아인, 외국인 등 다양한 연령층의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량에 맞는 과제를 선택하여 에르미타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3. 1. 구성원의 다양성

에르미타주 봉사활동 프로그램은 다양한 봉사자들이 참가했다. 학생들과 노동자, 러시아인과 외국인들과 젊은이들이 함께 작업을 하게 된다.[6] 각 지원자는 시간을 바쳐서 한 활동과 프로젝트에 대한 증명서를 받을 수 있다.[6]

현재 지원자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오는 사람들의 인종은 러시아, 스위스, 미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 루마니아, 튀르키예, 레바논, 브라질, 대한민국, 아일랜드 및 여러 국가가 있다.[6][2]

멤버 중에는 언어학자, 미술가, 저널리스트, 교사, 엔지니어, 버스 운전사, 생물학자, 무용가 등 다양한 전문 분야를 가진 사람들이 있다.[2]

3. 2. 팀 운영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봉사자들이 참가했다. 학생들과 노동자, 러시아인과 외국인들과 젊은이들이 함께 작업을 하게 된다. 현재 지원자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오는 사람들의 인종은 러시아, 스위스, 미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 루마니아, 튀르키예, 레바논, 브라질, 대한민국, 아일랜드 및 여러 국가가 있다.[6] 각 지원자는 시간을 바쳐서 한 활동과 프로젝트에 대한 증명서를 받을 수 있다. 그들이 어디에 가든 그 증명서는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자원 봉사 서비스가 요구되는 직업에는 버스 운전사, 거미학자,댄서, 번역가 등이 있다. 에르미타주 자원 봉사자들은 나중에 에르미타주를 떠나서 여러 곳에서 활동하고 있다.

봉사 활동 프로그램은 새로운 봉사 멤버를 끊임없이 맞이하고 있다.

멤버는 학생, 사회인, 러시아인, 외국인 등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신의 형편에 맞춰 적합한 과제를 선택하여 에르미타주 전체의 발전을 위해 함께 일하고 있다.

현재 멤버들의 출신 국가는 러시아, 미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 루마니아, 튀르키예, 레바논, 브라질, 대한민국, 일본 등 매우 다양하다.[2] 멤버 중에는 언어학자, 미술가, 저널리스트, 교사, 엔지니어, 그리고 에르미타주의 문화 영역과 반드시 관련이 없는 버스 운전사, 생물학자, 무용가 등 다양한 전문 분야를 가진 사람들이 있다.

4. 주요 활동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최소 3가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매달 40~60시간 봉사해야 증명서를 받을 수 있다. 봉사자는 방문객 접수, 관리, 티켓 관리 등에서 에르미타주를 지원한다. 또한, 연구 부서의 연구 지원, 보존품, 복원품 관리, 분류 등도 담당한다. 그 외에도 외국어 문헌 번역, 외국어 강좌, 비서 업무 및 긴급 업무 수행, 전시회, 연극 및 콘서트, 특별 프로그램 운영 등도 수행한다.

봉사자들은 방문객 접수 부서, 동유럽, 시베리아 고고학 연구 부서, 고대 그리스 로마 부서, 마케팅 부서, 특별 이벤트 부서, 현대 예술 부서, 극장 부서, 홍보 부 등에서 활동한다. 국제 세미나 및 국제 회의 등에 참여하기도 하며, 다양한 방면에서 에르미타주 미술관을 지원한다.

봉사자들은 문화·역사 유산을 보호하는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WHY (World Heritage & Youth - 세계 유산 & 청년) 프로젝트에서는 트란바이 박물관, 로프신스키 궁전 보호, 오프친스키 곶의 오프타 센터 거리 건설에서의 구호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봉사 서비스 활동에는 젊은이들의 문화 유산에 대한 관심 유도, 문화 유산 보존에 대한 책임감 양성에 관한 개인 발의 프로젝트의 실현도 포함된다. 이 중 문화 교육 프로그램 '''«팔미라: 생명을 불어넣다/Пальмира: Вдыхая жизнь!ru»''' 프로그램은 가장 성공을 거둔 것으로, 역사 및 문화 기념물의 파괴적이고 합리적인 파괴에 젊은이들의 주의를 돌리기 위한 3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묶은 것이었다.

다음은 봉사 멤버가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의 예이다.


  • 접수 및 경비: 에르미타주 방문객을 맞이하고, 티켓을 확인하고 정보를 제공한다.
  • 과학 프로젝트 지원: 미술관 소장품 목록 작성, 보존 및 수리, 유적유물 발굴, 소장품 분류 및 관리.
  • 미술관이 발행하는 잡지 준비.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 개발 및 멀티미디어 사업 구상.
  • 세미나 및 국제 회의 지원.
  • 번역 작업.
  • 외국어 강좌, 좌담회 개설.
  • 전시품 이동 지원.
  • 전시회 설치.


봉사 활동은 창의성을 발휘하고, 젊은이들을 현대 문화 유산 문제에 참여시키며, 그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목표를 둔 계획의 실현을 포함한다.

4. 1. 미술관 운영 지원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최소 3가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매달 40~60시간 봉사해야 증명서를 받을 수 있다. 봉사자는 방문객 접수, 관리, 티켓 관리 등에서 에르미타주를 지원한다. 또한, 연구 부서의 연구 지원, 보존품, 복원품 관리, 분류 등도 담당한다. 그 외에도 외국어 문헌 번역, 외국어 강좌, 비서 업무 및 긴급 업무 수행, 전시회, 연극 및 콘서트, 특별 프로그램 운영 등도 수행한다.

봉사자들은 방문객 접수 부서, 동유럽, 시베리아 고고학 연구 부서, 고대 그리스 로마 부서, 마케팅 부서, 특별 이벤트 부서, 현대 예술 부서, 극장 부서, 홍보 부 등에서 활동한다. 국제 세미나 및 국제 회의 등에 참여하기도 하며, 다양한 방면에서 에르미타주 미술관을 지원한다.

봉사자들은 문화·역사 유산을 보호하는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WHY (World Heritage & Youth - 세계 유산 & 청년) 프로젝트에서는 트란바이 박물관, 로프신스키 궁전 보호, 오프친스키 곶의 오프타 센터 거리 건설에서의 구호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봉사 서비스 활동에는 젊은이들의 문화 유산에 대한 관심 유도, 문화 유산 보존에 대한 책임감 양성에 관한 개인 발의 프로젝트의 실현도 포함된다. 이 중 문화 교육 프로그램 '''«팔미라: 생명을 불어넣다/Пальмира: Вдыхая жизнь!ru»''' 프로그램은 가장 성공을 거둔 것으로, 역사 및 문화 기념물의 파괴적이고 합리적인 파괴에 젊은이들의 주의를 돌리기 위한 3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묶은 것이었다.

다음은 봉사 멤버가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의 예이다.

  • 접수 및 경비: 에르미타주 방문객을 맞이하고, 티켓을 확인하고 정보를 제공한다.
  • 과학 프로젝트 지원: 미술관 소장품 목록 작성, 보존 및 수리, 유적유물 발굴, 소장품 분류 및 관리.
  • 미술관이 발행하는 잡지 준비.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 개발 및 멀티미디어 사업 구상.
  • 세미나 및 국제 회의 지원.
  • 번역 작업.
  • 외국어 강좌, 좌담회 개설.
  • 전시품 이동 지원.
  • 전시회 설치.

4. 2. 문화유산 보존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봉사자들은 매달 40~60시간씩 최소 3가지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증명서를 받을 수 있다. 활동은 방문자 안내, 박물관 재고 관리, 보존 복원, 고고학적 발굴 지원, 출판물 준비, 멀티미디어 디자인 프로젝트 개발, 세미나 및 국제 컨퍼런스 지원, 번역 작업, 외국어 교육, 유물 전시회 지원 등 다양하다.

세계 문화 유산에 청소년의 참가를 촉진하는 것도 주요 목표 중 하나이며, 봉사자들은 다양한 프로그램 및 컨퍼런스에서 문화 보존을 옹호하는 활동을 한다. 예를 들어, 옥타센터 건설을 토론을 통해 반대하여 도시의 미와 전통을 위해 도심에 10층 이상의 건물을 지을 수 없도록 제한을 만들었다.

봉사 활동은 창의성을 발휘하고, 젊은이들을 현대 문화 유산 문제에 참여시키며, 그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목표를 둔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남서쪽에 위치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인 롭샤의 궁전과 정원 앙상블 보존 프로젝트는 봉사 활동 서비스의 첫 번째 기획이었다.

"World Heritage&Youth(세계유산과 젊은이)"는 봉사 활동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WHY"라는 프로젝트 명칭은 "왜 현대 젊은이들에게 문화유산 보존이 중요한가"라는 문제 의식을 담고 있다. 봉사자와 문화유산 보존 전문가들은 고고학자, 역사학자, 활동가 등과 함께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적은 더 많은 젊은이들을 문화유산 보존에 참여시키고, 과거 유산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것이다.

4. 3.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봉사활동은 창의성을 발휘하고, 젊은이들을 현대 문화 유산 문제에 참여시키며, 그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목표를 둔 계획을 실현한다.

2009년부터 시작된 "World Heritage&Youth(세계유산과 젊은이)" (WHY) 프로젝트는 젊은 세대에게 전통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WHY"는 "왜 현대 젊은이들에게 문화유산 보존이 중요한가"라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한 프로젝트명이다. 봉사자와 문화유산 보존 분야의 전문가들은 고고학자, 역사학자, 활동가 등과 함께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더 많은 젊은이들을 문화유산 보존에 참여시키고, 그들의 관심을 과거 유산으로 유도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로사톰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서머 스쿨은 "WHY"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매년 콘테스트 수상자를 대상으로 개최된다. 2~4주 동안 세계 각지에서 온 젊은이들은 에르미타주 미술관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문화 유산 분야 전문가 및 미술관 관장 등과 면담하며, 유적 발굴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젊은이들은 문화 유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모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할 수 있다.

매년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자선 행사도 개최된다. 이 행사에서는 미술관에 전시된 문화재를 탐험하는 "보물 찾기" 게임을 통해 전 세계의 역사와 문화를 접할 수 있다. 2009년 2월에는 "스키타이 민족의 날" 행사가 개최되어 참가자들이 스키타이 문화와 알타이 지역 유목민의 문화를 접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2005년부터는 에르미타주 미술관 부속 NMO "School Center"와 공동으로 정보 과학 분야 학생 교육을 위한 콘테스트를 개최하고 있다. 콘테스트는 CG, 파워포인트 등 멀티미디어, 플래시·GIF 애니메이션, 영상의 4가지 카테고리 중 하나를 사용한 작품을 출품할 수 있다. 6세부터 17세를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하며, 우수한 작품은 미술관에 설치된 모니터에 전시된다.

4. 4. 국제 교류

에르미타주 봉사활동 증명서를 받기 위해서는 최소 3가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매달 40~60시간 봉사해야 한다.

다음은 활동의 예시이다.

  • 인사: 에르미타주 방문자 확인, 티켓팅 및 정보 제공 (가이드) 등 환영 지원
  • 과학적인 프로젝트 돕기: 박물관 재고 관리, 보존 복원, 고고학적 발굴, 분류 및 관리된 아티팩트 등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사용
  • 박물관 출판물 준비 및 대응
  • 멀티미디어 디자인 프로젝트 만들기와 개발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
  • 세미나 개최 및 국제 컨퍼런스 돕기
  • 위키백과 번역, 웹사이트 번역 등 번역 작업
  • 외국어 교육 및 대화 그룹 운영
  • 유물 전시회 지원
  • 박물관 프로젝트 지원


봉사 활동은 창의성을 발휘하고, 젊은이들을 현대 문화 유산 문제에 참여시키며, 그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목표를 둔다.

5. 수상 경력

2013년 11월 23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청년 정책 평의회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에서 봉사 활동 프로그램을 기념하는 축전을 개최했다. 이 축전은 젊은이들의 봉사 활동을 장려하고 시민, 공공 기관, 회사의 봉사 활동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었다.

150개 단체가 참여한 경연 대회에서 에르미타주 봉사 활동 프로그램은 "가장 효과적인 봉사 활동 프로그램" 부문에서 "도시 행사 실행"에 대한 표창을 받았다. 봉사 활동 프로그램 책임자인 미하일 코즈콥스키는 상장과 "어린 왕자" 동상을 수여받았다.

5. 1. 수상 내용

2013년 11월 23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청년 정책 평의회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에서 봉사 활동 프로그램을 기념하는 축전을 개최했다. 이 축전은 젊은이들의 봉사 활동을 장려하고 시민, 공공 기관, 회사의 봉사 활동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었다.

150개 단체가 참여한 경연 대회에서 에르미타주 봉사 활동 프로그램은 "가장 효과적인 봉사 활동 프로그램" 부문에서 "도시 행사 실행"에 대한 표창을 받았다. 봉사 활동 프로그램 책임자인 미하일 코즈콥스키는 상장과 "어린 왕자" 동상을 수여받았다.

6. 기타

2013년과 2014년에는 에르미타주 봉사활동에 관한 영화가 공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encblago.lfon[...]
[2] 웹사이트 http://www.benevole.[...]
[3] 웹사이트 http://encblago.lfon[...]
[4] 보고서 The State Hermitage Museum Report for 2003
[5]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minatom.r[...] 2010-12-14
[6] 웹사이트 http://www.benevo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