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트루리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트루리아인은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 이탈리아 중부의 에트루리아 지역에 거주했던 고대 민족이다. 스스로를 '라스레나'라고 불렀으며, 그리스인에게는 '티르레니아인', 로마인에게는 '투스키' 또는 '에트루스키'로 알려졌다. 에트루리아 문명은 초기 철기 시대의 빌라노반 문화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오리엔탈화 시대, 아르카익 시대, 고전 시대를 거쳐 헬레니즘 시대에 로마에 정복당하며 멸망했다. 에트루리아인은 토착 이탈리아인이라는 것이 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며, 독자적인 언어, 예술, 종교, 정치 체제를 발전시켰다. 에트루리아의 예술은 테라코타 조각, 벽화, 금속 세공에서 뛰어난 기술을 보였으며, 에트루리아의 건축은 로마 건축에 영향을 미쳤다. 에트루리아는 12개의 도시로 구성된 동맹을 형성했으며, 로마 건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고대 민족 - 라이티아인
라이티아인은 고대 로마 시대 알프스 지역에 거주한 민족으로, 기원과 언어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있으며, 로마에 정복된 후 로마화되어 레토로만어군 형성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이탈리아의 고대 민족 - 라틴족
라틴족은 기원전 1000년경 이탈리아 라티움 지역에 정착한 인도유럽계 민족으로, 라틴어를 사용하며 라티알 문화를 형성하고 도시국가를 건설, 공동 종교 의례를 통해 동족 의식을 유지했고, 로마 건국 신화의 기원이 되었으며, 로마 제국 팽창과 함께 라틴어는 로망스어군의 기반이 되었다. - 에트루리아 -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는 기원전 8세기경 서방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26자에서 시작하여 에트루리아어에 맞게 변형되었고, 라틴 문자를 비롯한 여러 고대 이탈리아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 에트루리아 - 에트루리아어
에트루리아어는 기원전 1세기경 이탈리아에서 사용된 고대 언어로, 그리스 알파벳에서 유래한 티레니아어족에 속하지만, 많은 비문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해독이 이루어지지 않아 문법과 어휘가 미스터리로 남아있으며, 라틴어에 영향을 주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에트루리아인 |
---|
2. 명칭과 기원
디오니시우스에 따르면 에트루리아인들은 스스로를 '''라스레나''' (라센나/Ῥασένναgrc)라고 불렀는데, 이는 에트루리아어 라스나(𐌛𐌀𐌔𐌍𐌀), 즉 "사람들"에서 유래한 단어이다.[28][29] Tular Rasnal (𐌕𐌖𐌋𐌀𐌛 𐌛𐌀𐌔𐌍𐌀𐌋, "사람들의 경계") 또는 Mechlum Rasnal (𐌌𐌄𐌙𐌋𐌛 𐌀𐌔𐌍𐌀𐌋, "사람들의 공동체")과 같은 비문은 자칭의 사용을 증명한다. 그러나 티르센어 어원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다.[30]
아테네 그리스어에서 에트루리아인들은 티르레니아인 (Τυρρηνοίgrc, ''Tyrrhēnoi'', 더 이전에는 Τυρσηνοίgrc ''Tyrsēnoi'')으로 알려졌으며,[31] 로마인들은 여기서 ''Tyrrhēnī'', ''Tyrrhēnia'' (에트루리아)라는 이름과[32] ''Mare Tyrrhēnum'' (티르레니아해)을 파생시켰다.[33]
고대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인들을 ''Tuscī'' 또는 ''Etruscī'' (단수 ''Tuscus'')라고 불렀다.[34][35][36] 로마식 이름은 그들의 중심 지역을 가리키는 "토스카나"(Toscana)와 더 넓은 지역을 가리키는 "에트루리아"(Etruria)라는 용어의 기원이다. 언어학자들은 ''Tusci''라는 용어가 "에트루리아인"을 뜻하는 움브리아어 단어였다고 생각한다.[37] 이 비문에는 "turskum ... nomen"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문자 그대로 "투스칸의 이름"이라는 뜻이다. 움브리아어 문법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언어학자들은 turskum의 기본 형태가 *Tursci일 것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38] 이는 전위와 단어 첫머리의 첨가음을 통해 ''E-trus-ci'' 형태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39]
- Turs- 어근의 원래 의미와 관련하여, 널리 인용되는 가설은 라틴어 ''turris''와 마찬가지로 "탑"을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어 "탑"인 τύρσιςgrc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40][41] 이는 그리스어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가설에 따르면 투스키는 "탑을 짓는 사람들"[40] 또는 "탑 건축가"라고 불렸다.[42] 줄리아노와 라리사 본판테는 에트루리아 가옥이 단순한 라틴인들에게 탑처럼 보였을 것이라고 추측했다.[43]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기원전 1세기에 "[에트루리아인들을] 탑에서 살고 그들의 통치자 중 한 명의 이름으로 그리스인들이 이 이름으로 불렀다는 데는 아무런 이유가 없다"라고 언급했다.[44] 로버트 베이키스는 자신의 저서 ''그리스어 어원 사전''에서 그리스어 단어가 "지중해 언어에서 온 차용어"라고 주장한다.[45][46]

에트루리아인의 기원에 대한 문제는 오랫동안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었다.[6][7][8][9][10] 현대의 고고학, 인류학, 에트루리아학 연구 결과는 에트루리아인이 이탈리아 토착민이라는 증거를 제시한다.[60][8][7][9][10]

고대 그리스인들은 에트루리아인을 티레니아인이라고 불렀다. 최초로 에트루리아인을 언급한 그리스 작가는 기원전 8세기의 시인 헤시오도스이며, 그의 저서 테오고니(Theogony)에서 에트루리아인을 라틴인과 함께 이탈리아 중부에 거주하는 것으로 언급했다.[47] 기원전 7세기의 디오니소스에 대한 ''호메로스 찬가''[48]는 그들을 해적으로 묘사했다.[49] 이들은 에트루리아인들이 동쪽에서 이주해 왔다고 주장하지 않았으며, 펠라스기아인과 연관시키지도 않았다.
기원전 5세기에 이르러서야 그리스 작가들은 "티레니아인"이라는 이름을 "펠라스기아인"과 연관시키기 시작했다.[50] 기원전 5세기의 역사가 헤로도토스,[51] 투키디데스[52], 기원전 1세기의 역사가 스트라보[53]는 티레니아인들이 리디아에서 이탈리아로 이주해 왔다고 주장했다. 스트라보는 렘노스와 임브로스의 펠라스기아인들이 티르레노스를 따라 이탈리아 반도로 왔다고 덧붙였다.[53] 레스보스의 헬라니쿠스에 따르면, 펠라스기아인들은 그리스 테살리아에서 이탈리아 반도로 이주하여 티레니아를 식민지화했고, 이후 티레니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55]

렘노스 비문(Lemnos Stele)에는 에트루리아어와 강한 구조적 유사성을 보이는 언어로 된 비문이 새겨져 있어, 렘노스 섬과 티레니아인 사이의 연관성을 시사한다.[56] 현대에는 에트루리아어, 렘노스어, 레티아어로 구성된 "티르세니아어(Tyrrhenian language group)"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1세기의 역사가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에트루리아인들이 토착민이며 펠라스기아인, 리디아인과 다르다고 주장했다.[57] 그는 리디아의 크산토스가 에트루리아인의 리디아 기원을 주장하거나 티르레노스를 리디아의 통치자로 언급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57]

디오니시우스는 에트루리아인의 내부 명칭인 라세나를 보고한 최초의 고대 작가였다.
기원전 1세기의 역사가 리비우스는 ''로마 건국사(Ab Urbe Condita Libri)''에서 레티아인들이 갈리아인의 침략으로 산으로 쫓겨난 에트루리아인이라고 언급했다.[58] 1세기 역사가 대 플리니우스 또한 에트루리아인을 북쪽의 레티아 민족과 연관시키며, ''박물지(Natural History)''에서 레티아인들이 갈리아인에 의해 쫓겨난 투스카니 인종이며, 그들의 지도자는 라에투스였다고 썼다.[59]

마시모 팔로티노 (1947)는 초기 역사가들의 주장이 근거 없음을 보여주었다.[61] 2000년, 도미니크 브리켈은 고대 그리스의 에트루리아 기원에 대한 이야기가 역사적 문서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를 설명했다.[62] 그는 에트루리아인의 '리디아 기원'에 대한 고대 이야기는 의도적이고 정치적인 동기를 가진 날조였으며, 고대 그리스인들은 티레니아인과 펠라스기인 사이의 연결을 그리스와 지역 전통에 근거하여 추론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63][64]
선사 시대와 원사 시대 고고학자들은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유물을 분석한 결과, 이주 이론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다고 지적했다.[66] 기원전 12세기경부터 시작된 테라코타 항아리에 시신을 화장하는 장례 의식은 움필드 문화에서 파생된 유럽 대륙의 관습이며, 소아시아나 근동에서 민족적 기여를 시사하는 것은 없다.[66]
2012년 조사는 청동기 시대 후기(기원전 13-11세기)에서 철기 시대(기원전 10-9세기)까지 문화의 연속성을 보여주었다.[67] 이는 기원전 900년경에 등장한 에트루리아 문명이 이전 200년 동안 그 지역에 거주했던 사람들의 조상에 의해 건설되었음을 증명한다. 고고학자들은 청동기 시대 후기에 에트루리아 문명이 토착 원시 빌라노반 문화에서 발전했으며, 철기 시대 빌라노반 문화는 에트루리아 문명의 초기 단계라고 본다.[17]

에트루리아의 오리엔트화 시대는 대규모 이주가 아니라 그리스인 및 동부 지중해와의 접촉 때문이었다.[70] 벽화와 조각상의 얼굴 특징과 고대 그리스 미술의 영향을 받은 붉은 갈색 남성과 밝은 피부의 여성의 묘사는 그리스인들 사이에서도 퍼졌고, 이베리아 반도에 이르기까지 중부 및 서부 지중해의 다른 여러 문명에 퍼진 동부 지중해의 예술적 전통을 따랐다. 타르퀴니아의 몬테로치 네크로폴리스에 있는 많은 무덤들은 그리스 화가 또는 외국인 예술가들에 의해 그려졌다.[71] 기원전 4세기 말이 되어서야 에트루리아 예술에서 생김새를 묘사한 초상화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에트루리아의 초상화는 더욱 현실적으로 되었다.[72]
에트루리아인의 기원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는 195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당시 연구는 현대 표본의 혈액 검사를 기반으로 했다.[73][74][75]
2021년 9월 Science Advances 저널에 게재된 고고유전학 연구는 기원전 800년부터 1세기까지 토스카나와 라치오에서 온 48명의 철기 시대 개인의 상염색체 DNA와 단일 부모 유전자 마커(Y-DNA 및 mtDNA)를 분석하여 에트루리아인이 토착민이며 라틴 이웃과 유사한 유전적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에트루리아인 개인에게서 스텝 관련 조상 구성 요소가 이전에 분석된 철기 시대 라틴인과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에트루리아인 DNA에서는 아나톨리아 및 동부 지중해와의 최근 혼합 신호가 완전히 나타나지 않았다. 에트루리아인은 WHG, EEF, 스텝 조상의 혼합이었다. 에트루리아 남성 개인의 75%가 haplogroup R1b(R1b M269)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그 클레이드 R1b-P312와 그 파생물 R1b-L2가 두드러졌고, 직접적인 조상은 R1b-U152이며, 에트루리아인 사이에서 가장 흔한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은 H였다.[77]
2021년 연구의 결론은 2019년 Science 저널에 게재된 연구와 일치한다. 이 연구는 로마 주변 지역에서 온 11명의 철기 시대 개인의 유해를 분석했는데, 그중 4명은 에트루리아인 개인이었다. 이 연구는 에트루리아인(기원전 900–600년)과 라틴인(기원전 900–500년)이 라티움 베투스에서 유전적으로 유사하다는 결론을 내렸다.[78] 검사된 에트루리아인과 라틴인 사이의 유전적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에트루리아인 개인과 동시대 라틴인은 이전 이탈리아 인구와 스텝 조상의 존재로 구별되었다. 그들의 DNA는 2/3 구리 시대 조상(EEF + WHG; 에트루리아인 ~66–72%, 라틴인 ~62–75%), 1/3 스텝 관련 조상(에트루리아인 ~27–33%, 라틴인 ~24–37%)의 혼합이었다.[78] 추출된 Y-DNA의 유일한 표본은 haplogroup J-M12(J2b-L283)에 속했으며, 기원전 700-600년의 개인에게서 발견되었으며, 크로아티아 (기원전 16311531년)에서 온 청동기 시대 중기 개인에게서도 발견된 M314 파생 대립 유전자를 정확히 가지고 있었다. 추출된 4개의 mtDNA 표본은 하플로그룹 U5a1, H, T2b32, K1a4에 속했다.
2018년에 게재된 mtDNA 연구는 선사 시대, 에트루리아 시대, 로마 시대, 르네상스 및 현재에 이르기까지 토스카나의 고대 및 현대 표본을 모두 비교했으며, 에트루리아인이 선사 시대와 다른 표본 사이의 중간적인 지역 인구로 나타났고, 신석기 시대와 로마 시대 사이의 시간적 네트워크에 위치한다는 결론을 내렸다.[79]
2013년 PLOS One 및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저널에 게재된 몇몇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는 토스카나와 라치움의 에트루리아인 표본을 기반으로 에트루리아인이 토착 인구라는 결론을 내렸으며, 에트루리아인 mtDNA가 중앙 유럽의 신석기 시대 인구 및 다른 토스카나 인구와 매우 가깝게 나타나 에트루리아 문명이 빌라노반 문화에서 지역적으로 발전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17][80] 토스카나와 서부 아나톨리아 사이의 유전적 연관성은 최소 5,000년 전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81][82]
2004년에 발표된 이전의 mtDNA 연구는 에트루리아인은 상당한 이질성을 보이지 않으며, 에트루리아인 표본에서 관찰된 모든 미토콘드리아 계통은 전형적인 유럽 또는 서아시아로 나타난다고 밝혔다. 에트루리아인과 현대 인구 사이의 대립 유전자 공유는 독일인, 영국 남서부의 콘월, 터키인, 토스카나 사이에서 가장 높다.[83]
2017년에 출판된 ''에트루리아학''에서, 영국 고고학자 필 퍼킨스는 DNA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금까지의 DNA 연구는 에트루리아인이 동부 지중해 또는 아나톨리아에서 기원한 이탈리아의 침입 인구임을 결정적으로 증명하지 못했다"고 쓰고, "DNA 증거가 에트루리아인이 이탈리아 중부에 토착민이라는 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고 썼다.[74][75]
2021년 저서 ''인류의 짧은 역사''에서 독일 유전학자 요하네스 크라우스는 에트루리아어가 "신석기 혁명 과정에서 대륙에서 발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을 내렸다.[87]
2. 1. 명칭
디오니시우스에 따르면 에트루리아인들은 스스로를 '''라스레나''' (라센나/Ῥασένναgrc)라고 불렀는데, 이는 에트루리아어 라스나(𐌛𐌀𐌔𐌍𐌀), 즉 "사람들"에서 유래한 단어이다.[28][29] Tular Rasnal (𐌕𐌖𐌋𐌀𐌛 𐌛𐌀𐌔𐌍𐌀𐌋, "사람들의 경계") 또는 Mechlum Rasnal (𐌌𐌄𐌙𐌋𐌛 𐌀𐌔𐌍𐌀𐌋, "사람들의 공동체")과 같은 비문은 자칭의 사용을 증명한다. 그러나 티르센어 어원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다.[30]아테네 그리스어에서 에트루리아인들은 티르레니아인 (Τυρρηνοίgrc, ''Tyrrhēnoi'', 더 이전에는 Τυρσηνοίgrc ''Tyrsēnoi'')으로 알려졌으며,[31] 로마인들은 여기서 ''Tyrrhēnī'', ''Tyrrhēnia'' (에트루리아)라는 이름과[32] ''Mare Tyrrhēnum'' (티르레니아해)을 파생시켰다.[33]
고대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인들을 ''Tuscī'' 또는 ''Etruscī'' (단수 ''Tuscus'')라고 불렀다.[34][35][36] 로마식 이름은 그들의 중심 지역을 가리키는 "토스카나"(Toscana)와 더 넓은 지역을 가리키는 "에트루리아"(Etruria)라는 용어의 기원이다. 언어학자들은 ''Tusci''라는 용어가 "에트루리아인"을 뜻하는 움브리아어 단어였다고 생각한다.[37] 이 비문에는 "turskum ... nomen"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문자 그대로 "투스칸의 이름"이라는 뜻이다. 움브리아어 문법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언어학자들은 turskum의 기본 형태가 *Tursci일 것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38] 이는 전위와 단어 첫머리의 첨가음을 통해 ''E-trus-ci'' 형태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39]
- Turs- 어근의 원래 의미와 관련하여, 널리 인용되는 가설은 라틴어 ''turris''와 마찬가지로 "탑"을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어 "탑"인 τύρσιςgrc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40][41] 이는 그리스어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가설에 따르면 투스키는 "탑을 짓는 사람들"[40] 또는 "탑 건축가"라고 불렸다.[42] 줄리아노와 라리사 본판테는 에트루리아 가옥이 단순한 라틴인들에게 탑처럼 보였을 것이라고 추측했다.[43]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기원전 1세기에 "[에트루리아인들을] 탑에서 살고 그들의 통치자 중 한 명의 이름으로 그리스인들이 이 이름으로 불렀다는 데는 아무런 이유가 없다"라고 언급했다.[44] 로버트 베이키스는 자신의 저서 ''그리스어 어원 사전''에서 그리스어 단어가 "지중해 언어에서 온 차용어"라고 주장한다.[45][46]
2. 2. 기원
에트루리아인의 기원에 대한 문제는 오랫동안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었다.[6][7][8][9][10] 현대의 고고학, 인류학, 에트루리아학 연구 결과는 에트루리아인이 이탈리아 토착민이라는 증거를 제시한다.[60][8][7][9][10]고대 그리스인들은 에트루리아인을 티레니아인이라고 불렀다. 최초로 에트루리아인을 언급한 그리스 작가는 기원전 8세기의 시인 헤시오도스이며, 그의 저서 테오고니(Theogony)에서 에트루리아인을 라틴인과 함께 이탈리아 중부에 거주하는 것으로 언급했다.[47] 기원전 7세기의 디오니소스에 대한 ''호메로스 찬가''[48]는 그들을 해적으로 묘사했다.[49] 이들은 에트루리아인들이 동쪽에서 이주해 왔다고 주장하지 않았으며, 펠라스기아인과 연관시키지도 않았다.
기원전 5세기에 이르러서야 그리스 작가들은 "티레니아인"이라는 이름을 "펠라스기아인"과 연관시키기 시작했다.[50] 기원전 5세기의 역사가 헤로도토스,[51] 투키디데스[52], 기원전 1세기의 역사가 스트라보[53]는 티레니아인들이 리디아에서 이탈리아로 이주해 왔다고 주장했다. 스트라보는 렘노스와 임브로스의 펠라스기아인들이 티르레노스를 따라 이탈리아 반도로 왔다고 덧붙였다.[53] 레스보스의 헬라니쿠스에 따르면, 펠라스기아인들은 그리스 테살리아에서 이탈리아 반도로 이주하여 티레니아를 식민지화했고, 이후 티레니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55]
렘노스 비문(Lemnos Stele)에는 에트루리아어와 강한 구조적 유사성을 보이는 언어로 된 비문이 새겨져 있어, 렘노스 섬과 티레니아인 사이의 연관성을 시사한다.[56] 현대에는 에트루리아어, 렘노스어, 레티아어로 구성된 "티르세니아어(Tyrrhenian language group)"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1세기의 역사가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에트루리아인들이 토착민이며 펠라스기아인, 리디아인과 다르다고 주장했다.[57] 그는 리디아의 크산토스가 에트루리아인의 리디아 기원을 주장하거나 티르레노스를 리디아의 통치자로 언급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57]
|thumb|upright=.7|크레스트 모양의 헬멧 뚜껑이 있는 양뿔 모양의 화장 항아리, 기원전 9~8세기, 타르퀴니아, 국립 고고학 박물관]]
디오니시우스는 에트루리아인의 내부 명칭인 라세나를 보고한 최초의 고대 작가였다.
기원전 1세기의 역사가 리비우스는 ''로마 건국사(Ab Urbe Condita Libri)''에서 레티아인들이 갈리아인의 침략으로 산으로 쫓겨난 에트루리아인이라고 언급했다.[58] 1세기 역사가 대 플리니우스 또한 에트루리아인을 북쪽의 레티아 민족과 연관시키며, ''박물지(Natural History)''에서 레티아인들이 갈리아인에 의해 쫓겨난 투스카니 인종이며, 그들의 지도자는 라에투스였다고 썼다.[59]
|thumb|upright=.7|빌라노반 시대의 전형적인 에트루리아 가옥을 나타내는 오두막 모양의 항아리, 기원전 8세기, 불치, 제네바 미술사 박물관]]
마시모 팔로티노 (1947)는 초기 역사가들의 주장이 근거 없음을 보여주었다.[61] 2000년, 도미니크 브리켈은 고대 그리스의 에트루리아 기원에 대한 이야기가 역사적 문서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를 설명했다.[62] 그는 에트루리아인의 '리디아 기원'에 대한 고대 이야기는 의도적이고 정치적인 동기를 가진 날조였으며, 고대 그리스인들은 티레니아인과 펠라스기인 사이의 연결을 그리스와 지역 전통에 근거하여 추론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63][64]
선사 시대와 원사 시대 고고학자들은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유물을 분석한 결과, 이주 이론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다고 지적했다.[66] 기원전 12세기경부터 시작된 테라코타 항아리에 시신을 화장하는 장례 의식은 움필드 문화에서 파생된 유럽 대륙의 관습이며, 소아시아나 근동에서 민족적 기여를 시사하는 것은 없다.[66]
2012년 조사는 청동기 시대 후기(기원전 13-11세기)에서 철기 시대(기원전 10-9세기)까지 문화의 연속성을 보여주었다.[67] 이는 기원전 900년경에 등장한 에트루리아 문명이 이전 200년 동안 그 지역에 거주했던 사람들의 조상에 의해 건설되었음을 증명한다. 고고학자들은 청동기 시대 후기에 에트루리아 문명이 토착 원시 빌라노반 문화에서 발전했으며, 철기 시대 빌라노반 문화는 에트루리아 문명의 초기 단계라고 본다.[17]
에트루리아의 오리엔트화 시대는 대규모 이주가 아니라 그리스인 및 동부 지중해와의 접촉 때문이었다.[70] 벽화와 조각상의 얼굴 특징과 고대 그리스 미술의 영향을 받은 붉은 갈색 남성과 밝은 피부의 여성의 묘사는 그리스인들 사이에서도 퍼졌고, 이베리아 반도에 이르기까지 중부 및 서부 지중해의 다른 여러 문명에 퍼진 동부 지중해의 예술적 전통을 따랐다. 타르퀴니아의 몬테로치 네크로폴리스에 있는 많은 무덤들은 그리스 화가 또는 외국인 예술가들에 의해 그려졌다.[71] 기원전 4세기 말이 되어서야 에트루리아 예술에서 생김새를 묘사한 초상화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에트루리아의 초상화는 더욱 현실적으로 되었다.[72]
에트루리아인의 기원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는 195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당시 연구는 현대 표본의 혈액 검사를 기반으로 했다.[73][74][75]
2021년 9월 Science Advances 저널에 게재된 고고유전학 연구는 기원전 800년부터 1세기까지 토스카나와 라치오에서 온 48명의 철기 시대 개인의 상염색체 DNA와 단일 부모 유전자 마커(Y-DNA 및 mtDNA)를 분석하여 에트루리아인이 토착민이며 라틴 이웃과 유사한 유전적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에트루리아인 개인에게서 스텝 관련 조상 구성 요소가 이전에 분석된 철기 시대 라틴인과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에트루리아인 DNA에서는 아나톨리아 및 동부 지중해와의 최근 혼합 신호가 완전히 나타나지 않았다. 에트루리아인은 WHG, EEF, 스텝 조상의 혼합이었다. 에트루리아 남성 개인의 75%가 haplogroup R1b(R1b M269)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그 클레이드 R1b-P312와 그 파생물 R1b-L2가 두드러졌고, 직접적인 조상은 R1b-U152이며, 에트루리아인 사이에서 가장 흔한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은 H였다.[77]
2021년 연구의 결론은 2019년 Science 저널에 게재된 연구와 일치한다. 이 연구는 로마 주변 지역에서 온 11명의 철기 시대 개인의 유해를 분석했는데, 그중 4명은 에트루리아인 개인이었다. 이 연구는 에트루리아인(기원전 900–600년)과 라틴인(기원전 900–500년)이 라티움 베투스에서 유전적으로 유사하다는 결론을 내렸다.[78] 검사된 에트루리아인과 라틴인 사이의 유전적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에트루리아인 개인과 동시대 라틴인은 이전 이탈리아 인구와 스텝 조상의 존재로 구별되었다. 그들의 DNA는 2/3 구리 시대 조상(EEF + WHG; 에트루리아인 ~66–72%, 라틴인 ~62–75%), 1/3 스텝 관련 조상(에트루리아인 ~27–33%, 라틴인 ~24–37%)의 혼합이었다.[78] 추출된 Y-DNA의 유일한 표본은 haplogroup J-M12(J2b-L283)에 속했으며, 기원전 700-600년의 개인에게서 발견되었으며, 크로아티아 (기원전 16311531년)에서 온 청동기 시대 중기 개인에게서도 발견된 M314 파생 대립 유전자를 정확히 가지고 있었다. 추출된 4개의 mtDNA 표본은 하플로그룹 U5a1, H, T2b32, K1a4에 속했다.
2018년에 게재된 mtDNA 연구는 선사 시대, 에트루리아 시대, 로마 시대, 르네상스 및 현재에 이르기까지 토스카나의 고대 및 현대 표본을 모두 비교했으며, 에트루리아인이 선사 시대와 다른 표본 사이의 중간적인 지역 인구로 나타났고, 신석기 시대와 로마 시대 사이의 시간적 네트워크에 위치한다는 결론을 내렸다.[79]
2013년 PLOS One 및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저널에 게재된 몇몇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는 토스카나와 라치움의 에트루리아인 표본을 기반으로 에트루리아인이 토착 인구라는 결론을 내렸으며, 에트루리아인 mtDNA가 중앙 유럽의 신석기 시대 인구 및 다른 토스카나 인구와 매우 가깝게 나타나 에트루리아 문명이 빌라노반 문화에서 지역적으로 발전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17][80] 토스카나와 서부 아나톨리아 사이의 유전적 연관성은 최소 5,000년 전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81][82]
2004년에 발표된 이전의 mtDNA 연구는 에트루리아인은 상당한 이질성을 보이지 않으며, 에트루리아인 표본에서 관찰된 모든 미토콘드리아 계통은 전형적인 유럽 또는 서아시아로 나타난다고 밝혔다. 에트루리아인과 현대 인구 사이의 대립 유전자 공유는 독일인, 영국 남서부의 콘월, 터키인, 토스카나 사이에서 가장 높다.[83]
2017년에 출판된 ''에트루리아학''에서, 영국 고고학자 필 퍼킨스는 DNA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금까지의 DNA 연구는 에트루리아인이 동부 지중해 또는 아나톨리아에서 기원한 이탈리아의 침입 인구임을 결정적으로 증명하지 못했다"고 쓰고, "DNA 증거가 에트루리아인이 이탈리아 중부에 토착민이라는 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고 썼다.[74][75]
2021년 저서 ''인류의 짧은 역사''에서 독일 유전학자 요하네스 크라우스는 에트루리아어가 "신석기 혁명 과정에서 대륙에서 발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을 내렸다.[87]
3. 역사
에트루리아 문명은 초기 철기 시대의 빌라노반 문화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가장 오래된 시기로 여겨지며 철기 시대에 북부 및 중부 이탈리아의 광대한 지역을 점유했다.[12][13][14][15][16] 에트루리아인들은 에트루리아 민족의 기원을 기원전 11세기 또는 10세기에 해당하는 날짜로 추정했다.[13][88] 빌라노반 문화는 "원-빌라노반 문화"라고 불리는 후기 청동기 시대 문화, 즉 중앙 유럽의 웅장 문화 시스템의 일부인 문화에서 지역화 현상과 함께 나타난다. 마지막 빌라노반 시대, 즉 최근 시대(기원전 770-730년경)에 에트루리아인들은 최초의 대 그리스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이민자 (피테쿠사와 쿠마)와 일관성 있는 관계를 맺어 기술과 형상 모델을 흡수하고 곧 쓰기, 새로운 연회 방식, 영웅적 장례 이데올로기, 즉 새로운 귀족적 생활 방식과 같은 문화적 모델을 도입하여 에트루리아 사회의 외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88] 따라서 그리스인과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에트루리아인들은 이른바 오리엔탈 시기에 들어섰다. 이 시기에는 에게해 및 고대 근동의 가장 발전된 지역으로부터 그리스, 이탈리아 대부분, 스페인 일부 지역에 큰 영향이 있었다.[89] 또한 직접적인 페니키아인 또는 기타 근동 장인, 상인 및 예술가들은 근동 문화 및 예술적 모티프를 남부 유럽에 퍼뜨리는 데 기여했다. 에트루리아 문명의 마지막 세 단계는 각각 고대, 고전, 헬레니즘 시대로 불리며, 이는 고대 그리스 문명의 동명의 시대와 대략 일치한다.
에트루리아의 확장은 아페닌 산맥 너머 북쪽과 캄파니아로 향했다. 기원전 6세기에 일부 작은 마을이 이 시기에 사라졌는데, 이는 더 크고 강력한 이웃에게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에트루리아 문화의 정치 구조는 비록 남쪽의 마그나 그라에키아보다 귀족적이었지만 유사했음이 확실하다. 특히 구리와 철의 금속 채굴과 상업은 에트루리아인들을 부유하게 만들었고, 이탈리아 반도와 서부 지중해에서 그들의 영향력을 확대시켰다. 여기서 그들의 이해관계는 기원전 6세기에 이탈리아의 포키아인들이 사르데냐, 스페인 및 코르시카 해안을 따라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그리스인들과 충돌했다. 이로 인해 에트루리아인들은 그리스인들과 이해관계가 충돌했던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었다.[91][92]
기원전 540년경 알라리아 해전은 서부 지중해에서 새로운 세력 재편을 가져왔다. 이 전투는 승자가 명확하지 않았지만, 카르타고는 그리스를 희생시키면서 영향력을 확장할 수 있었고, 에트루리아는 코르시카를 완전히 소유하면서 북부 티레니아 해로 밀려났다. 기원전 5세기 전반부터 새로운 정치적 상황은 남부 지방을 잃은 후 에트루리아 쇠퇴의 시작을 의미했다. 기원전 480년, 에트루리아의 동맹국인 카르타고는 시라쿠사가 이끄는 마그나 그라에키아 도시들의 연합에 의해 패배했다. 몇 년 후, 기원전 474년에 시라쿠사의 참주 히에로 1세는 쿠마이 해전에서 에트루리아인들을 격파했다. 에트루리아의 라티움과 캄파니아 도시들에 대한 영향력은 약화되었고, 그 지역은 로마인들과 삼니움인들에게 넘어갔다.
기원전 4세기에 에트루리아는 골족의 침략으로 인해 포 계곡과 아드리아 해안에 대한 영향력을 잃게 되었다. 한편, 로마는 에트루리아 도시들을 병합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북부 에트루리아 지방을 잃게 되었다. 로마-에트루리아 전쟁 동안, 에트루리아는 기원전 3세기에 로마에 의해 정복되었다.[91][92]
3. 1. 빌라노바 문화 (기원전 900년 ~ 기원전 720년)
에트루리아 문명은 초기 철기 시대의 빌라노반 문화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가장 오래된 시기로 여겨진다.[12][13][14][15][16] 에트루리아인들은 에트루리아 민족의 기원을 기원전 11세기 또는 10세기로 추정했다.[13][88] 빌라노반 문화는 "원-빌라노반 문화"라고 불리는 후기 청동기 시대 문화, 즉 중앙 유럽의 웅장 문화 시스템의 일부인 문화에서 지역화 현상과 함께 나타난다.마지막 빌라노반 시대(기원전 770-730년경)에 에트루리아인들은 최초의 대 그리스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이민자(피테쿠사와 쿠마)와 관계를 맺어 기술과 형상 모델을 흡수하고 곧 쓰기, 새로운 연회 방식, 영웅적 장례 이데올로기, 즉 새로운 귀족적 생활 방식과 같은 문화적 모델을 도입하여 에트루리아 사회의 외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88]
그리스인과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에트루리아인들은 이른바 오리엔탈 시기에 들어섰다. 이 시기에는 에게해 및 고대 근동의 가장 발전된 지역으로부터 그리스, 이탈리아 대부분, 스페인 일부 지역에 큰 영향이 있었다.[89] 또한 직접적인 페니키아인 또는 기타 근동 장인, 상인 및 예술가들은 근동 문화 및 예술적 모티프를 남부 유럽에 퍼뜨리는 데 기여했다.
에트루리아 문명의 마지막 세 단계는 각각 고대, 고전, 헬레니즘 시대로 불리며, 이는 고대 그리스 문명의 동명의 시대와 대략 일치한다.
빌라노반 시대 (기원전 900–720년) | |
---|---|
빌라노반 I | 기원전 900–800년 |
빌라노반 II | 기원전 800–720년 |
3. 2. 오리엔탈화 시대 (기원전 720년 ~ 기원전 580년)
에트루리아 문명은 초기 철기 시대의 빌라노반 문화에서 시작되었으며,[12][13][14][15][16] 이는 중앙 유럽의 웅장 문화 시스템의 일부인 "원-빌라노반 문화"에서 지역화 현상과 함께 나타난다. 에트루리아인들은 에트루리아 민족의 기원을 기원전 11세기 또는 10세기로 추정했다.[13][88]최근 시대(기원전 770-730년경)에 에트루리아인들은 대 그리스 피테쿠사와 쿠마의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이민자와 관계를 맺어 기술과 형상 모델을 흡수하고 곧 쓰기, 새로운 연회 방식, 영웅적 장례 이데올로기, 새로운 귀족적 생활 방식과 같은 문화적 모델을 도입하여 에트루리아 사회의 외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88]
그리스인과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에트루리아인들은 오리엔탈 시기에 들어섰다. 이 시기에는 에게해 및 고대 근동의 가장 발전된 지역으로부터 그리스, 이탈리아 대부분, 스페인 일부 지역에 큰 영향이 있었다.[89] 또한 직접적인 페니키아인 또는 기타 근동 장인, 상인 및 예술가들은 근동 문화 및 예술적 모티프를 남부 유럽에 퍼뜨리는 데 기여했다.
오리엔탈화 시대는 초기(기원전 720–680년), 중기(기원전 680–625년), 후기(기원전 625–580년)로 나뉜다.
오리엔탈화 시대 | 기간 |
---|---|
초기 오리엔탈화 | 기원전 720–680년 |
중기 오리엔탈화 | 기원전 680–625년 |
후기 오리엔탈화 | 기원전 625–580년 |
3. 3. 아르카익 시대 (기원전 580년 ~ 기원전 480년)
에트루리아 문명은 초기 철기 시대의 빌라노반 문화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가장 오래된 시기로 여겨진다.[12][13][14][15][16] 에트루리아인들은 에트루리아 민족의 기원을 기원전 11세기 또는 10세기에 해당하는 날짜로 추정했다.[13][88]마지막 빌라노반 시대(기원전 770-730년경)에 에트루리아인들은 대 그리스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이민자 (피테쿠사와 쿠마)와 관계를 맺어 기술과 형상 모델을 흡수하고 곧 쓰기, 새로운 연회 방식, 영웅적 장례 이데올로기, 즉 새로운 귀족적 생활 방식과 같은 문화적 모델을 도입하여 에트루리아 사회의 외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88]
그리스인과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에트루리아인들은 오리엔탈 시기에 들어섰다. 이 시기에는 에게해 및 고대 근동의 가장 발전된 지역으로부터 그리스, 이탈리아 대부분, 스페인 일부 지역에 큰 영향이 있었다.[89] 또한 직접적인 페니키아인 또는 기타 근동 장인, 상인 및 예술가들은 근동 문화 및 예술적 모티프를 남부 유럽에 퍼뜨리는 데 기여했다.
에트루리아 문명의 마지막 세 단계는 각각 고대, 고전, 헬레니즘 시대로 불리며, 이는 고대 그리스 문명의 동명의 시대와 대략 일치한다.
시대 | 기간 |
---|---|
아르카익 시대 | 기원전 580–480년 |
3. 4. 고전 시대 (기원전 480년 ~ 기원전 320년)
에트루리아 문명은 초기 철기 시대의 빌라노반 문화에서 시작되었으며,[12][13][14][15][16] 이는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720년까지 지속되었다.[11] 빌라노반 문화는 중앙 유럽의 웅장 문화 시스템의 일부인 "원-빌라노반 문화"라고 불리는 후기 청동기 시대 문화에서 지역화 현상과 함께 나타난다. 에트루리아인들은 에트루리아 민족의 기원을 기원전 11세기 또는 10세기에 해당하는 날짜로 추정했다.[13][88] 기원전 770년에서 730년경에는 대 그리스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이민자 (피테쿠사와 쿠마)와 교류하며 기술과 형상 모델을 흡수하고 곧 쓰기, 새로운 연회 방식, 영웅적 장례 이데올로기, 즉 새로운 귀족적 생활 방식을 도입하여 에트루리아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88] 그리스인과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에트루리아는 오리엔탈 시기(기원전 720년 ~ 기원전 580년)에 들어섰다.[89] 이후 에트루리아 문명은 아르카익 시대(기원전 580년 ~ 기원전 480년), 고전 시대(기원전 480년 ~ 기원전 320년), 헬레니즘 시대(기원전 320년 ~ 기원전 27년)로 이어진다.[11]3. 5.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320년 ~ 기원전 27년)
에트루리아 문명의 마지막 단계는 헬레니즘 시대로, 기원전 320년부터 기원전 27년까지 지속되었다.[11] 이 시기는 고대 그리스 문명의 헬레니즘 시대와 거의 일치한다. 에트루리아 문명은 초기 철기 시대의 빌라노반 문화에서 시작되었으며,[12][13][14][15][16] 이는 원-빌라노반 문화라고 불리는 후기 청동기 시대 문화에서 지역화 현상과 함께 나타난다. 에트루리아인들은 대 그리스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이민자들과 관계를 맺으며 기술, 형상 모델, 쓰기, 새로운 연회 방식, 영웅적 장례 이데올로기 등 문화적 모델을 도입하여 에트루리아 사회를 변화시켰다.[88]4. 사회와 문화
에트루리아 문명의 범위는 그 도시들에 의해 표시된다. 이 도시들은 이탈리아, 켈트 또는 로마 민족 집단에 의해 완전히 동화되었지만, 이름은 비문에서 살아남았고, 그들의 유적은 이탈리아 중부 대부분의 도시에서 미적, 역사적 관심을 끌고 있다.[102] 에트루리아 도시는 로마 철기 시대 동안 이탈리아 대부분에서 번성했으며, 에트루리아 문명의 가장 먼 범위를 표시했다. 이 도시들은 처음에는 남부의 이탈리아인, 다음은 북부의 켈트족, 마지막으로 에트루리아 자체에서 성장하는 로마 공화국에 의해 점차 동화되었다.[102]
많은 로마 도시가 이전에 에트루리아 도시였다는 사실은 모든 로마 작가들에게 잘 알려져 있었다. 일부 도시는 선사 시대에 에트루리아인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완전히 에트루리아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다른 도시는 에트루리아인이 식민화했으며, 일반적으로 이탈리아어인 이름을 에트루리아화했다.[103]
에트루리아인들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그리스의 물 축적 및 보존 기술을 알고 있었다. 그들은 토지를 관개하기 위해 운하와 댐을 건설했고, 늪지를 배수하고 간척했다. 이 기반 시설의 고고학적 유적은 토스카나의 해양 남서부 지역에서 여전히 발견된다.[105]
''비테 마리타타''(Vite maritata)는 동반 식물을 활용하는 포도 재배 기술로, 이탈리아의 마렘마 지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06] 이 기술은 로마의 초기 선구자들이 자연 서식지에 가능한 한 가깝게 식물을 재배했던 지역 주변에서 개발되었다. 포도주를 만드는 포도는 단풍나무나 버드나무와 같은 나무와 자연적으로 얽히는 일종의 덩굴이다.[107]
4. 1. 정치

전설에 따르면, 기원전 600년에서 기원전 500년 사이 에트루리아 정착지 12곳이 동맹을 맺었는데, 오늘날에는 이를 '에트루리아 동맹', '에트루리아 연방' 또는 '도데카폴리스'(Δωδεκάπολιςgrc)로 알려져 있다.[100] 전설에 따르면, 12개 도시로 구성된 에트루리아 동맹은 타르콘과 그의 형제 티레누스에 의해 창설되었다. 타르콘은 로마인들에게 타르키니(Tarchna) 또는 타르퀴니이(Tarquinnii)로 알려진 타르퀴니아의 이름을 부여했다. 티레누스는 에트루리아인의 또 다른 이름인 티레니아인에게 자신의 이름을 부여했다. 이 동맹은 대부분 경제적, 종교적 동맹 또는 느슨한 연맹이었으며, 그리스 국가와 유사했다.
어떤 도시가 동맹에 속했는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아레티움, 카이스라, 클레브신, 쿠르툰, 페루스나, 푸플루나, 베이, 타르크나, 베틀루나, 볼테라, 벨즈나, 벨치 등이 그 구성원으로 거론된다. 일부 현대 작가들은 루셀레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후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에트루리아가 로마의 지배를 받는 많은 지역 중 하나가 되었고, 동맹에 속한 도시의 수는 3개로 늘어났다. 이것은 기원전 2세기 이후의 많은 묘비에 기록되어 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12개의 도시 국가는 볼시니이에 있는 파눔 볼투므나에에서 연례 회의를 열어 동맹을 대표할 지도자를 선출했다.[100]
다른 두 개의 에트루리아 동맹("Lega dei popoli")이 있었다. 하나는 카푸아가 주요 도시였던 캄파니아의 동맹이었고, 다른 하나는 볼로냐, 스피나, 아드리아를 포함하는 북부 이탈리아의 포 계곡 도시 국가였다.
역사 속 에트루리아인들은 부족 형태와 족장 사회의 잔재를 가진 국가 체제를 이루었다. 에트루리아 정부 형태는 기원전 6세기에 완전한 군주제에서 과두제 공화국 (로마 공화국처럼)으로 변화한 것으로 여겨진다.[100]
정부는 모든 부족 및 씨족 조직을 지배하는 중앙 권력으로 여겨졌다. 그것은 생사 여탈권을 유지했으며, 실제로 그 권력의 고대 상징인 고르곤이 에트루리아 장식의 모티프로 나타난다. 이 국가 권력의 지지자들은 공통의 종교로 결속되었다. 에트루리아 사회의 정치적 통일체는 도시 국가였으며, 이는 아마도 "구역"의 지칭이었을 것이다. 에트루리아 텍스트는 기능에 대한 힌트 없이 상당수의 치안 판사의 이름을 언급한다.
4. 2. 사회
에트루리아 사회의 중심에는 부부, ''투수르티르''가 있었다. 에트루리아는 짝을 강조하는 일부일처제 사회였다. 군주의 무덤은 개인의 것이 아닌 가족묘 형태로 오랜 기간 매장되었으며, 이는 로마의 ''겐스''와 병행하는 귀족 가문의 성장을 나타낸다. 이러한 계급 성장은 무역을 통해 얻은 새로운 부와 관련이 있으며, 가장 부유한 도시들은 해안 근처에 위치했다.겉보기에 난잡한 연회는 영적인 설명이 가능하다. 누드 포옹이나 심플레그마의 묘사는 "악을 물리치는 힘을 가지고 있었다"고 설명되며, 이는 서구 문화가 부적 장치로 채택한 가슴 노출과 같다. 그리스와 로마가 에트루리아인에 대해 가졌던 태도는 그들의 사회 내에서 여성의 위치에 대한 오해에 기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스와 초기 로마 공화국에서는 존경받는 여성들이 집에 갇혀 있었고 혼성 사회 활동은 없었기에, 에트루리아 사회 내 여성의 자유는 성적 접근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오해되었을 수 있다. 에트루리아 무덤에는 "X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아들" 형태의 장례 비문이 새겨져 있어 가족의 어머니 쪽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4. 3. 종교
에트루리아의 신앙 체계는 내재적 다신교였다. 즉, 모든 가시적인 현상은 신성의 발현으로 여겨졌고, 그 힘은 인간 세계에 끊임없이 작용하며 인간사에 호의를 베풀거나 설득할 수 있는 신들로 세분화되었다.[108][109] 신들의 뜻을 이해하고 행동하는 방법은 경작지에서 태어나 즉시 선견지명을 얻은 어린 아이 모습의 타게스와 여성 형상인 베고이아라는 두 명의 창시자에 의해 에트루리아인들에게 계시되었다. 그들의 가르침은 일련의 성스러운 책에 보관되었다.광범위한 에트루리아 예술 모티프에서 세 계층의 신이 드러난다. 한 계층은 토착 신성인 것으로 보인다: 태양의 카타와 우실; 달의 ''티브르''; 시민 신인 셀반스; 사랑의 여신인 투란; 전쟁의 신인 라란; 죽음의 여신인 레인스; 마리스; 탈나; 투름스; 그리고 도시 포풀로니아와 로마인과 어떤 식으로든 관련이 있고, 아마도 백성의 신일 가능성이 있는 매우 인기 있는 푸플룬스.[108][109]
이 하위 신들의 판테온을 지배하는 것은 인도유럽 체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는 더 높은 신들이다: 하늘의 틴 또는 티니아, 그의 아내 우니 (유노), 그리고 대지의 여신 셀. 또한, 일부 그리스 및 로마 신들도 에트루리아 체계에서 영감을 받았다: 아리티미 (아르테미스), 멘르바 (미네르바), 파차 (디오니소스). 호메로스에서 따온 그리스 영웅들도 예술 모티프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108][109]
4. 4. 예술
에트루리아 미술은 기원전 9세기에서 2세기 사이에 에트루리아 문명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 시기 에트루리아인들은 테라코타 조각(특히 석관이나 사원에서 실제 크기), 벽화, 금속 세공(특히 청동 거울 조각)에서 뛰어난 기술을 보였다. 주조 청동으로 만든 에트루리아 조각은 유명했으며 널리 수출되었지만, 재료의 가치가 높아 후대에 재활용되면서 큰 예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카라라 대리석을 포함한 훌륭한 대리석 원천을 통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에트루리아인들은 석조 조각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이는 로마 시대까지 활용되지 않았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에트루리아 미술은 무덤에서 발견되는데, 여기에는 모든 프레스코 벽화가 포함되며, 그중 일부는 잔치 장면과 일부 서사적 신화적 주제를 보여준다.
검은색의 부케로는 에트루리아 정교한 도자기의 초기 토착 양식이었다. 또한 그리스의 양식에서 파생된 정교한 에트루리아 화병 그림 전통도 있었으며, 에트루리아인들은 그리스 화병의 주요 수출 시장이었다. 에트루리아 사원은 다채롭게 칠해진 테라코타 전벽식 장식과 기타 부속품으로 장식되었으며, 나무 구조물이 사라진 곳에서 대량으로 남아 있다. 에트루리아 미술은 에트루리아 종교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내세는 에트루리아 미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프레스코와 부조에서 볼 수 있는 에트루리아 악기는 플라기아울로스(판 또는 시링크스의 파이프), 옥 파이프, 이중 파이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와 틴티나불룸, 팀파니, 크로탈레스와 같은 타악기, 나중에는 리라와 키타라와 같은 현악기가 함께 사용되었다.
4. 5. 언어
에트루리아인들은 약 13,000개의 금석문을 남겼으며, 그중 상당한 길이를 가진 것은 소수에 불과하다.[113][114][115] 기원전 700년부터 서기 50년까지 확인된 에트루리아어는 인도유럽어족 이전 언어[116] 및 고대 유럽 언어로 여겨지며, 티르센어족에 속한다.[24] 릭스에 의하면, 티르센어족은 라에티아어와 렘노스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에트루리아 문자는 기원전 8세기에 에트루리아인과 이스키아와 쿠마이의 그리스 식민지 간의 긴밀한 접촉으로 인해 그리스 문자 형식을 사용하여 7세기 동안 사용되었다.[117] 이 시기에 에트루리아 비문은 키우시, 페루자, 아레초에서 사라졌다. 종교 및 장례 텍스트인 몇몇 단편만 남아 있으며, 대부분 후기(기원전 4세기)에 속한다. 디오도루스 시쿨루스는 문학 문화가 에트루리아인의 위대한 업적 중 하나였다고 기록했다.[117] 그러나 문학 문화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언어에 대해서도 많은 비문에서 동일한 몇몇 단어가 라틴어 및 푸니 문자로 된 이중 또는 삼중 언어 텍스트와 대조되어 반복된다는 점으로 알려져 있다. 에트루리아어로 된 유일한 기록은 주로 장례 비문이다.[118] 이 언어는 초기 에우보이아 그리스 문자와 관련된 에트루리아 문자로 쓰여졌다.[118] 에트루리아 비문 수천 개가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이 묘비명이며, 몇몇 매우 짧은 텍스트가 남아 있는데, 주로 종교적이다.[119]
피테쿠사이가 이스키아에 세워지고 캄파니아의 쿠메(라틴어: 쿠마이)에서 그리스 식민지화가 진행되면서, 에트루리아인들은 기원전 8세기에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에트루리아인들은 고향인 에우보이아의 칼키스에서 온 서부 그리스 식민지인들로부터 알파벳을 채택했다. 따라서 쿠메에서 유래한 이 알파벳은 에우보이아[120] 또는 칼키디아[121] 알파벳이라고도 불린다. 에트루리아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7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22]
가장 오래된 에트루리아 문헌 중 하나는 불치 외곽의 마르실리아나 달베냐 판에 있으며, 현재 피렌체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서부 그리스 모델 알파벳이 상아로 만든 이 왁스 태블릿의 가장자리에 새겨져 있다. 후기 에트루리아 필기 습관에 따라, 이 모델 알파벳의 문자는 거울 이미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열되었다.
이 문자를 사용한 문자는 기원전 700년경에 에트루리아의 체르베테리(라틴어: 카에레)에 있는 남부 에트루리아의 에트루리아 도시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25] 필기 기술은 곧 중부 및 북부 에트루리아로 전파되었다. 거기에서 알파벳은 볼테라 (에트루리아어: 벨라트리)에서 오늘날의 볼로냐인 펠시나로, 나중에는 키우시 (에트루리아어: 클레브신)에서 포 계곡으로 퍼져나갔다. 남부 에트루리아에서는 이 문자가 타르퀴니아 (에트루리아어: 타르크나)와 베이이 (에트루리아어: 베이아)에서 더 남쪽으로, 당시 에트루리아인이 통제하던 캄파니아로 퍼져나갔다.[126] 그 후 몇 세기 동안 에트루리아인들은 언급된 문자를 일관되게 사용했기 때문에 에트루리아 비문의 해독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아치형 문자는 기원전 7세기에서 5세기에 걸쳐 나타났으며, 기원전 4세기에서 1세기에 이르는 더 최근의 문자와는 구분되는데, 여기에는 sh 사운드에 대한 X를 포함하여 일부 문자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또한, 필기 및 언어에서 첫 번째 음절에 대한 강조는 내부 모음이 재현되지 않음을 의미했다. 예를 들어 ''멘르바''는 ''멘에르바'' 대신 사용되었다.[127] 따라서 언어학자들은 고대 에트루리아어와 신 에트루리아어를 구별한다.[128]
마르실리아나 달베냐 판 외에도, 초기 시대의 모델 알파벳이 새겨진 70개 정도의 물건이 보존되어 있다.[129]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체르베테리 레골리니-갈라시 무덤에서 출토된 알라바스트론, 포르멜로에서 출토된 부케로 앰포라, 비테르보에서 출토된 부케로 수탉, 체르베테리 근처 소르보의 묘지에서 출토된 부케로 용기이다. 이 네 개의 유물이 모두 기원전 7세기에 제작되었으므로, 알파벳은 항상 시계 방향으로 쓰여졌다.[130]
가장 중요한 에트루리아 문헌으로는 Liber Linteus (''Liber Linteus Zagrabiensis'') – 약 1400 단어로 된 의례 텍스트, 카푸아 점토판 (''Tabula'' 또는 ''Tegula Capuana'') – 62줄, 약 300 단어로 된 부스트로페돈 방식의 의례 텍스트, 코르토나 태블릿 (''Tabula Cortonensis'') – 32줄, 약 200 단어로 된 계약 텍스트, Cippus Perusinus – 페루자 인근에서 출토된 46줄, 약 125 단어로 된 방해석 블록, 피르기 태블릿 – 에트루리아어와 푸니 문자로 된 병렬 텍스트, 라리스 풀레나스의 석관 – 석관 두루마리에 9줄의 텍스트가 새겨진 라리스 풀레나스의 묘비명, 피아첸차 간 – 40개의 비문이 새겨진 양의 간 모형, 마글리아노 납판 – 70단어의 희생 지침, 산타 마리넬라 납판 – 희생 서약서의 두 조각, 페루자 근처 산 마노 무덤의 건축 비문, 아리발 푸페, 토스카나 주사위 등이 있다.
기원전 7세기 중반,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 필기 시스템과 문자를 채택했다. 특히, 그들은 K 소리에 대해 세 개의 다른 문자 C, K, Q를 사용했다. Z도 처음에는 로마 알파벳에 채택되었지만, 라틴어에는 affricate TS가 존재하지 않았다. 나중에 Z는 C에서 파생된 새롭게 형성된 문자 G로 알파벳에서 대체되었고, Z는 마침내 알파벳의 끝에 배치되었다.[132] 문자 Θ, Φ 및 Ψ는 로마인들에 의해 생략되었는데, 그들의 언어에는 해당 유기음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에트루리아 알파벳은 이탈리아 반도의 북부 및 중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기원전 6세기경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오스크 문자는 에트루리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움브리아어, 팔리스크어, 베네토어 문자의 문자도 에트루리아 알파벳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133]
4. 6. 건축
에트루리아인의 건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상대적으로 적다.[110] 그들은 그리스 건축의 외부 모습에서 영향을 받아 토착 이탈리아 양식을 적용했다.[110] 이에 따라 고대 로마 건축은 에트루리아 양식으로 시작하여 더욱더 그리스의 영향을 받아들였다.[110] 로마 신전은 그리스 신전과 마찬가지로 형태에서 많은 차이점을 보이지만, 그리스인과 마찬가지로 석재를 사용하여 그리스 관례를 면밀히 복사한다.[110] 부유한 사람들의 집은 분명히 크고 편안한 경우가 많았지만, 매장품으로 가득 찬 무덤의 묘실이 가장 가까운 곳에서 살아남았다.[110] 남부 에트루리아 지역에서는 무덤이 큰 고분 아래에 있는 큰 묘지에 암석을 깎아 만든 큰 묘실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들은 일부 도시 성벽과 함께 유일하게 살아남은 에트루리아 건축물이다.[110] 에트루리아 건축은 일반적으로 그리스-로마 고전 건축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110]
4. 7. 군사
에트루리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의 동시대 문화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군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102][103][104] 전쟁은 특정 개인의 지위와 권력을 나타내는 것 외에도 에트루리아 문명에 상당한 경제적 이점을 제공했다.[102][103][104] 많은 고대 사회와 마찬가지로 에트루리아인들은 여름철에 인근 지역을 습격하고, 영토를 확보하려 시도하며, 해적 행위에 맞서 싸우는 방식으로 토지, 위신, 재화, 노예와 같은 귀중한 자원을 획득했다.[102][103][104]
전투에서 포로로 잡힌 사람들은 높은 비용으로 가족과 씨족에게 몸값을 받고 풀려났을 가능성이 높다.[102][103][104] 포로들은 또한 아킬레우스가 파트로클레스를 위해 희생한 것처럼, 에트루리아 사회의 전사 지도자들을 기리기 위해 무덤에서 희생되었을 수도 있다.[102][103][104]
에트루리아의 군사적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 기원전 550년: 에트루리아-포에니 동맹, 코르시카 해안에서 그리스와 대립
- 기원전 540년: 알랄리아 해전 승리
- 기원전 524년: 키메에서 그리스에 패배
- 기원전 510년: 로마에서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의 에트루리아 왕정 붕괴
- 기원전 508년: 라르스 포르세나의 로마 포위
- 기원전 508년: 클루시움과 아리키아 간 전쟁
- 기원전 482년: 베이이와 로마 간의 갈등 시작
- 기원전 474년: 시라쿠사에 대한 키메 전투 (쿠마에)에서 에트루리아인 패배
- 기원전 430년 ~ 406년: 캄파니아에서 삼니움족에 패배
- 기원전 406년: 로마에 의한 베이이 포위
- 기원전 396년: 로마에 의한 베이이 파괴
- 기원전 396년 이후: 켈트족의 포 계곡 침공
- 기원전 384년: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에 의한 피르기 (산타 세베라) 약탈
- 기원전 358년: 로마에 대항하는 타르퀴니아와 체르베테리의 동맹
- 기원전 310년: 바디모 호수에서 로마에 패배
- 기원전 300년: 피르기가 로마 식민지가 됨
- 기원전 280년: 로마에 대한 불치 패배
- 기원전 264년 ~ 100년: 로마에 대한 볼시니이 패배
- 기원전 260년: 포 계곡에서 골족에게 정복
- 기원전 205년: 한니발에 대한 원정에서 스키피오 지원
- 기원전 183년: 사투르니아에 로마 식민지 건설
- 기원전 90년: 로마 시민권 부여
- 기원전 82년: 에트루리아에서 술라의 탄압
- 기원전 79년: 볼테라 항복
- 기원전 40년 이후: 에트루리아의 최종 로마화
5. 에트루리아와 로마
로마 건국에 대한 기록에 따르면, 로마는 라틴족에 의해 건국되었고, 이후 에트루리아인과 합쳐졌다고 전해진다.[96] 로마는 에트루리아인이 도착하기 전까지 작은 정착지였으며, 에트루리아인은 배수 시스템과 같은 도시 기반 시설의 건설에 기여했다.[97][98]
에트루리아 도시의 대부분은 로마보다 오래되었으며, 고대 문헌들은 특정한 제도와 관습이 에트루리아에서 직접 유래했음을 나타낸다. 로마는 에트루리아 영토의 경계에 위치했으며, 에트루리아 정착지는 로마 건국 이전에 이미 존재했다.
로마 신화에 따르면,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에트루리아 의식에 따라 팔라티노 언덕에 포메리움을 설치하고 로마를 건국했다.[99] 로마의 이름은 에트루리아어로 '로마인'을 의미하는 ''Ruma-χ'' 형태로 증명되었지만, 에트루리아 기원을 확정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알리아 전투에서 갈리아족이 로마를 공격하면서 초기 기록의 상당 부분이 손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후대 역사에 따르면, 일부 에트루리아인은 "에트루리아 구역"인 ''비쿠스 투스쿠스''에 살았고,[99] 에트루리아 왕조가 라틴족과 사비니족 출신의 왕을 계승했다고 한다. 에트루리아 숭배 역사가들은 로마가 에트루리아인에 의해 건국되었음을 주장하기도 한다.
로물루스와 누마 폼필리우스 시대에 사람들은 30개의 쿠리아와 3개의 부족으로 나뉘었으며, ''Ramnes''와 ''Luceres''라는 두 부족의 이름은 에트루리아어인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왕들은 에트루리아어 칭호 ''루쿠모''를 사용했을 수 있으며, 왕의 권위는 전통적으로 에트루리아 기원으로 여겨진다. 특히 국가 권력의 주요 상징인 ''파스케스''는 왕의 리토르가 들고 다니는 양날 도끼를 둘러싼 채찍 묶음으로, 에트루리아 베툴로니아의 무덤에서 그 잔해가 발견되었다. 가장 특징적인 에트루리아 기능은 ''populus''라는 단어이며, 이는 에트루리아 신인 푸플룬스로 나타난다.
에트루리아계 로마 씨족은 다음과 같다:
{{열 목록|colwidth=15em |
- 안카리아 씨족
- 아룬티아 씨족
- 케키니아 씨족
- 켈리아 씨족
- 카에세니아 씨족
- 케이오니아 씨족
- 킬니아 씨족
- 헤르미니아 씨족 – 귀족
- 에루키아 씨족
- 라르티아 씨족 – 귀족
- 페르페르니아 씨족
- 페르시아 씨족
- 라시니아 씨족
- 상퀴니아 씨족
- 스푸리니아 씨족
- 타프세니아 씨족
- 타르퀴니아 씨족 – 귀족 (?)
- 타르퀴티아 씨족 – 귀족
- 우르굴라니아 씨족
- 베르기니아 씨족 – 귀족
- 볼룸니아 씨족 – 귀족
}}


6. 에트루리아 연구
참조
[1]
논문
The Etruscans: Setting New Agendas
[2]
서적
Treasures from Tuscany: the Etruscan legacy
National Museums Scotland Enterprises
[3]
서적
Tarquinia. An Etruscan City
Duckworth
[4]
서적
The Etruscans Outside Etruria
Getty Trust
[5]
서적
Etruschi, la vita quotidiana
L'Erma di Bretschneider
[6]
서적
The Etruscans
Blackwell
[7]
서적
A Companion to Ethnicity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John Wiley & Sons
[8]
서적
The Peoples of Ancient Italy
De Gruyter
[9]
서적
The Etruscans: Lost Civilizations
Reaktion
[10]
서적
Gli Etruschi
Idea Libri-Rusconi Editore
[11]
서적
Introduzione all'Etruscologia
Hoepli
[12]
서적
Gli etruschi tra VIII e VII secolo a.C. nel territorio di Castelfranco Emilia (MO)
All'Insegna del Giglio
[13]
서적
La cultura villanoviana. All'inizio della storia etrusca
Carocci editore
[14]
서적
Gi Etruschi
Bompiani
[15]
서적
Gi Etruschi
Bompiani
[16]
서적
Gi Etruschi
Bompiani
[17]
서적
Etruscan Italy: Etruscan Influences on the Civilizations of Italy from Antiquity to the Modern Era
Museum of Art, Brigham Young University
[18]
웹사이트
A good map of the Italian range and cities of the culture at the beginning of its history
http://www.mysteriou[...]
mysteriousetruscans.com
[19]
문서
The topic of the "League of Etruria" is covered in Freeman, pp. 562–65.
[20]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21]
웹사이트
Campanian Etruscans mentioned
https://penelope.uch[...]
[22]
문서
The entire subject with complete ancient sources in footnotes was worked up by George Dennis in his ''Introduction''. In the LacusCurtius transcription, the references in Dennis's footnotes link to the texts in English or Latin; the reader may also find the English of some of them on Wikisource or other Internet sites. As the work has already been done by Dennis and Thayer, the complete work-up is not repeated here.
[23]
서적
A History of Rome
Bedford/St. Martin's
[24]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Europ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Celti ed Etruschi nell'Etruria Padana e nell'Italia settentrionale
https://www.academia[...]
[27]
웹사이트
Etruschi e Celti della Gallia meridionale – parte 1
https://celticworld.[...]
2022-02-15
[28]
문서
Rasenna comes from Roman Antiquities I.30.3 The syncopated form, Rasna, is inscriptional and is inflected.
[29]
문서
The topic is covered in Pallottino, p. 133.
[30]
웹사이트
Origins
http://users.tpg.com[...]
[31]
사전
[32]
사전
[33]
서적
Etruscan Myth, Sacred History, and Legend
Penn Museum of Archaeology
2006
[34]
문서
According to Félix Gaffiot's Dictionnaire Illustré Latin Français, the major authors of the Roman Republic (Livy, Cicero, Horace, and others) used the term Tusci. Cognate words developed, including Tuscia and Tusculanensis. Tuscī was clearly the principal term used to designate things Etruscan; Etruscī and Etruria/Etrūria were used less often, mainly by Cicero and Horace, and they lack cognates.
[35]
웹사이트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http://www.etymonlin[...]
[36]
레퍼런스
Tusci
[37]
웹사이트
'Cui bono? The beneficiary phrases of the third Iguvine table'
http://ling.cornell.[...]
Cornell University
[38]
서적
Introduction: A Grammar of Oscan and Umbrian
Gibb & Company
[39]
백과사전
Origins
https://archive.org/[...]
Greenwich House
[40]
서적
The Bonfantes
[41]
레퍼런스
τύρσις
[42]
서적
[43]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Revised Edi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4]
서적
Book I, Section 30.
[4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46]
논문
Nordische Lehnwörter im Altgriechischen
[47]
서적
Theogony
[48]
서적
Homeric Hymn to Dionysus
[49]
서적
Israel and Hellas
[50]
웹사이트
Geography
https://www.perseus.[...]
2022-09-02
[51]
서적
[52]
서적
[53]
웹사이트
Geography
https://www.perseus.[...]
2022-09-02
[54]
서적
[55]
서적
Roman Antiquities
[56]
서적
Stones that Speak
[57]
서적
Roman Antiquities
[58]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59]
서적
Naturalis Historia, Liber III, 133
[60]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61]
서적
L'origine degli Etruschi
Tumminelli
1947
[62]
서적
Gli Etruschi
Bompiani
[6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64]
서적
The Etruscan World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65]
학술지
Le problème des origines étrusques
Presses de l'Ecole Normale Supérieure
[66]
서적
" Origines " : percorsi di ricerca sulle identità etniche nell'Italia antica
École française de Rome
[67]
서적
Introduzione all'Etruscologia
Ulrico Hoepli Editore
[68]
서적
Centre and Periphery – Comparative Studies in Archaeology
Taylor & Francis
[69]
서적
The Orientalizing Revolution: Near Eastern Influence on Greek Culture in the Early Archaic Age
Thames and Hudson
[70]
서적
Gli Etruschi
Jaca Book
[71]
서적
Companion to Ethnicity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John Wiley & Sons
[72]
서적
L'arte classica
Editori Riuniti
[73]
서적
Medical Biology and Etruscan Origins
J & A Churchill Ltd
[74]
서적
Etruscology
De Gruyter
2017
[75]
서적
Etruscan by Definition: Papers in Honour of Sybille Haynes
The British Museum Research Publications
2009
[76]
서적
Who We Are and How We Got Here: Ancient DNA and the New Science of the Human Past
Oxford University Press
[77]
학술지
The origin and legacy of the Etruscans through a 2000-year archeogenomic time transect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21-09-24
[78]
학술지
Ancient Rome: A genetic crossroads of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79]
학술지
The female ancestor's tale: Long-term matrilineal continuity in a nonisolated region of Tuscany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80]
학술지
The Etruscan skulls of the Rostock anatomical collection – How do they compare with the skeletal findings of the first thousand years B.C.?
https://www.scienced[...]
Elsevier
[81]
학술지
Origins and evolution of the Etruscans' mtDNA
2013-02-06
[82]
학술지
Genetic evidence does not support an Etruscan origin in Anatolia.
2013
[83]
학술지
The Etruscans: A population-genetic study
2004-03
[84]
학술지
Etruscan artifacts
2004
[85]
학술지
Mosaics of ancient mitochondrial DNA: positive indicators of nonauthenticity
2005
[86]
학술지
Assessing ancient DNA studies
https://www.cell.com[...]
2005
[87]
서적
A Short History of Humanity: A New History of Old Europe
Random House
[88]
간행물
La cultura villanoviana
Treccani
[89]
서적
The Orientalizing Revolution: Near Eastern Influence on Greek Culture in the Early Archaic Age
[90]
웹사이트
L'Italia preromana. I siti etruschi: Bologna
http://www.treccani.[...]
Treccani
2019-10-12
[91]
서적
Etruscan life and afterlife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09-04-22
[92]
서적
Etruscan Ital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9-04-22
[93]
문서
Livy VII.21
[94]
웹사이트
Etruschi
http://www.treccani.[...]
Treccani
2016-03-29
[95]
웹사이트
The Etruscan League of 12
http://www.mysteriou[...]
2015-04-25
[96]
서적
The Shakespeare Nam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09-14
[97]
서적
Cultures and Values: A survey of the humanities
https://archive.org/[...]
Thomson/Wadsworth
[98]
서적
Rome: A cultural, visual, and personal history
[99]
서적
The Annals & The Histories
[100]
서적
Les Étrusques
Éditions du Chêne
[101]
서적
Etruskerna
Alhambra
[102]
서적
The Etruscans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103]
서적
The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Rizzoli Harper Collins Publisher
[104]
서적
The Etruscans
https://archive.org/[...]
Time Life Books
[105]
웹사이트
The Etruscans and agriculture
https://antropocene.[...]
2022-11-21
[106]
웹사이트
Ancient Roman wine production may hold clues for battling climate change
https://theconversat[...]
2024-01-04
[107]
웹사이트
Vite Maritata, an Ancient Vine-Growing Technique, Makes a Comeback
https://www.wineenth[...]
2023-06-06
[108]
서적
Etruscan Mythology, Sacred History and Legend: An Introduc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109]
서적
The religion of the Etrusca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9-04-20
[110]
서적
Etruscan and early Roman architecture
Yale University Press
[111]
웹사이트
I banchetti etruschi
https://www.worldhis[...]
2021-11-24
[112]
서적
Etruscan Art
Thames and Hudson
[113]
서적
La langue étrusque Problèmes et perspectives
[114]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Etruscan
Leo S. Olschki
[115]
서적
The "mystery" of the Etruscan language
Newton & Compton publishers
[116]
서적
A Companion to Ethnicity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John Wiley & Sons, Inc
[117]
서적
De lingua Latina
[118]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Education
John Wiley & Sons
[119]
서적
From Artemis to Diana: The Goddess of Man and Beast
Museum Tusculanum Press
[120]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121]
서적
The Etruscans. History, religion, art.
[122]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123]
서적
History of Writing.
[124]
서적
History of Writing.
[125]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126]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127]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128]
서적
Die Etrusker. History, Religion, Art.
[129]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130]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131]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132]
서적
History of Writing.
[133]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