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프누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프누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이름은 '물'을 의미하며 '침을 뱉다'라는 뜻의 동사에서 유래되었다. 태양신 라(혹은 아툼)의 딸이자 슈의 아내이며, 하늘의 여신 누트와 땅의 신 게브의 어머니이다. 헬리오폴리스의 엔네아드의 일원이며, 암사자 머리를 한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되거나,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주요 숭배지는 헬리오폴리스와 레온토폴리스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람의 여신 -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태양의 여신이자 일본 황실의 조상신으로 숭앙받으며, 《고지키》와 《일본서기》 등의 문헌에 기록되어 있고 이세 신궁의 주신으로서 숭배받으며 스사노오와의 갈등, 아마노이와토에 숨는 이야기 등 다양한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바람의 여신 - 영등할망
  • 물의 여신 - 변재천
    변재천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여 재물, 지혜, 음악 등을 관장하는 불교의 수호신으로, 힌두교의 사라스바티가 불교에 수용되어 일본에서 벤자이텐으로 숭배받으며 칠복신 중 하나로 금전운을 가져다주는 신이다.
  • 물의 여신 -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는 일본 신화에서 벚꽃의 화려함과 덧없음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오야마츠미의 딸이자 니니기노미코토의 아내이며, 후지산본궁 센겐타이샤를 비롯한 아사마 신사에서 모셔지는 순산과 육아의 신으로 숭배받는다.
  • 비의 신 - 틀랄록
    틀랄록은 아즈텍 신화에서 비, 번개, 천둥을 다스리는 신으로 농업과 풍요와 관련되어 있으며 둥근 눈과 송곳니, 콧수염 모양의 입술로 묘사되고 어린이 희생을 포함한 의례와 함께 숭배되었다.
  • 비의 신 - 토르
    토르는 게르만 신화에서 천둥, 번개, 폭풍, 힘을 관장하는 신으로, 그의 이름은 여러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목요일의 어원이 되었고, 바이킹 시대에는 숭배의 대상이었으며, 다양한 문헌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등장한다.
테프누트
기본 정보
암사자 머리에 태양 원반을 얹은 여신의 모습
암사자 머리에 태양 원반을 얹은 여신의 모습으로 묘사된 테프누트
신화 체계이집트 신화
숭배 중심지헬리오폴리스, 레온토폴리스
상징사자, 암사자, 태양 원반
부모라 또는 아툼
형제자매, 하토르, 마아트, 안후르, 세크메트, 바스테트, 마프데트, 사테트
배우자, 게브
자녀게브, 누트
신성 문자t:f-n:t-I13
역할
역할습기의 여신

2. 이름의 어원

고대 이집트어로 '테프누트'라는 이름은 '물'을 뜻하며, 그녀의 이름의 어원이 된 'tfn'이라는 이집트어 동사는 '침을 뱉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이집트 신화의 창조신 아툼(혹은 )이 입을 통해 그녀를 낳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7]

테프누트 이름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창조 신화의 일부 버전에서 아툼이 그녀를 뱉어낸다는 내용처럼, 침을 뱉는 소리의 의성어일 수 있다. 게다가, 그녀의 이름은 후기 텍스트에서 침을 뱉는 입의 모습으로 쓰였다.[7]

대부분의 이집트 신들과 마찬가지로, 테프누트는 단일한 표의 문자나 상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녀의 이름은 상형 문자에서 t-f-n-t의 네 개의 단일 음소 문자 부호로 구성된다. n 음소 문자는 수면의 파도를 나타내지만, 물(''mw'')이라는 단어 또는 물과 관련된 어떤 것에 대한 표의 문자 또는 결정사로 사용된 적은 없다.[8]

3. 신화

테프누트는 이집트 신화에서 습기와 물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창조신 아툼의 딸이자 오빠인 의 아내이다. 헬리오폴리스의 엔네아드 신화에 따르면, 테프누트는 아툼이 재채기하거나 침을 뱉는 행위, 혹은 자위 행위를 통해 태어났다.[9][10][11] 테프누트는 슈와 결합하여 하늘의 여신 누트와 땅의 신 게브를 낳았고, 이들의 자손인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의 할머니가 된다.

테프누트는 주로 암사자 또는 사자 머리를 한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라의 눈과 연관되어 분노와 용맹의 신성을 나타내기도 한다.[16] 와 테프누트는 서로 돕고 세계의 안정을 위해 헌신하는 한몸과 같은 존재로 여겨진다.

3. 1. 테프누트의 가출

테프누트는 암사자 머리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는 '라의 눈'이라는 신성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16] 암사자로서 그녀는 분노와 용맹의 힘을 갖고 있었고, 와의 다툼 이후 분노로 인해 누비아로 떠나게 되는데, 이후 지혜의 신 토트가 그녀를 설득하며 그녀의 분노를 풀 수 있었다고 한다.[7] 초기 피라미드 텍스트에 따르면 그녀는 자궁에서 순수한 물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고 한다.[17]

테프누트는 슈의 아내가 되기 전에 가출했다는 신화가 있는데, 궁전에서 지루해진 테프누트는 아버지(여기서는 태양신 로 여겨진다)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남쪽 누비아 사막으로 가출해 버린다. 흉포한 암사자가 되어 제멋대로 뛰어다니던 테프누트에게 아버지는 아들 슈와 지혜의 신 토트에게 의뢰하여 겨우 데려오는 데 성공했다는 내용이다.

4. 외모

테프누트는 용맹한 성격을 가진 여신으로 표현되었기 때문에, 외양은 사자의 머리와 인간의 몸이 합쳐져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암사자의 머리를 가진 것으로 표현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완전히 인간의 모습을 띠기도 한다. 거의 모든 기록에서 공통적으로 가발을 쓰고, 태양신의 상징이었던 '우라에우스' 원반을 머리 위에 이고 있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12]

18, 19 왕조, 특히 아마르나 시대에 테프누트는 움터오르는 식물이 심겨진 평평한 머리장식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많이 그려졌다. 파라오 '아케나톤'의 어머니 '티예'도 이러한 머리장식을 하고 있는 모습이 많이 그려졌고, 네페르티티의 청색 왕관도 테프누트와의 연관성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13]

테프누트는 사자 모습을 한 여신이며, 헬리오폴리스의 위대한 엔네아드의 일원으로 묘사될 때는 사자 머리를 한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또 다른 빈번한 묘사는 암사자의 모습이며, 테프누트는 완전히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될 수도 있다. 반인반수의 형태로 묘사될 때, 그녀는 우라에우스 뱀 또는 우라에우스와 태양 원반으로 장식된 가발을 쓰고, 때로는 사자 머리 뱀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녀의 얼굴은 때때로 그녀의 형제 의 얼굴과 함께 목걸이 균형추에 두 개의 머리로 사용된다.[12]

아크나톤의 어머니 티예는 하토르-테프누트와 동일시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고고학자 조이스 틸즐리는 네페르티티의 상징적인 푸른 왕관이 티예의 머리 장식에서 유래했으며, 그녀 또한 테프누트와 동일시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13]

창조신 아툼을 부모로 두고, 아툼의 자위에 의해 태어났다(와 습합되어 라라고도 불린다). 암컷사자 또는 사자의 머리를 가진 여신으로 묘사된다.

5. 다른 신들과의 동일시

테프누트는 암사자 머리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는 '의 눈'이라는 신성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암사자로서 테프누트는 분노와 용맹의 힘을 갖고 있었고, 와의 다툼 이후 분노로 인해 누비아로 떠났다. 이후 지혜의 신 토트가 그녀를 설득하여 분노를 풀 수 있었다고 한다. 초기 피라미드 텍스트에 따르면 테프누트는 음부에서 순수한 물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고 한다.

태양신 의 딸이자 암사자 모습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바스테트, 세크메트, 세크메트와 동일시된 하토르와 동일시되는 경우가 있다.[1]

6. 주요 숭배지

헬리오폴리스와 레온토폴리스(현재 엘 엘-무크담)는 주요 숭배 중심지였다. 헬리오폴리스에서 테프누트는 그 도시의 위대한 엔네아드의 구성원 중 한 명이었으며,[12] 사원 의식의 일부로 ''와베트''(사제)의 정화와 관련하여 언급되었다. 이곳에 그녀는 로어 멘세트(Lower Menset)라는 성소를 가지고 있었다.[4]

카르나크에서 테프누트는 엔네아드의 일부를 이루었고 파라오의 건강과 안녕을 위한 기도에서 불려졌다.[15]

그녀는 나일 삼각주의 레온토폴리스에서 슈와 함께 한 쌍의 사자로 숭배되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Tfn.t (Lemma ID 171880) https://thesaurus-li[...]
[2] 서적 Script Switching in Roman Egypt de Gruyter 2021
[3] 서적 Genesis in Egypt: The Philosophy of Ancient Egyptian Creation Accounts Yale Egyptological Seminar
[4]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Second Edition Routledge
[5] 서적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2022-05-04
[8] 서적 Hieroglyphics: The Writings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Abbeville Press
[9] 서적 Ancient Goddesses British Museum Press
[10] 서적 Gods of Ancient Egypt Sutton Publishing
[11]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ABC-CLIO
[12]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13] 서적 Nefertiti: Egypt's Sun Queen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6-01-17
[14] 간행물 Between Identity and Agency in Ancient Egyptian Ritual Archaeopress
[15] 서적 Daily Life of the Egyptian Gods Pimlico
[16] 서적 Gods of Ancient Egypt Sutton Publishing
[17] 문서 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trans R.O. Faulkner, line 2065 Utt. 685.
[18]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https://archive.org/[...] ABC-CLIO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