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안 김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안 김씨는 신라 김알지의 후예에서 갈라져 나온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 명종 때 사문박사를 지낸 김섬한이며, 김알지의 후손 두 형제가 유배된 후 형은 강릉 김씨의 시조가, 동생은 연안 김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63명, 정승 6명, 왕비 1명 등을 배출하며 번성하였으며, 특히 성종부터 인조 재위 기간 동안 강력한 문벌 가문으로 성장했다. 주요 인물로는 김안로, 인목왕후 등이 있으며,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93,382명이 연안 김씨 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안 김씨 - 김각영
    김각영은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으로 제32대 검찰총장을 역임했으며, 퇴임 후 변호사로 활동하며 하나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등을 지냈다.
  • 연안 김씨 - 김종운 (1929년)
    김종운은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교육자이다.
연안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가한국
지역황해남도 연안군
시조김섬한(金暹漢)
원시조김알지(金閼智)
주요 인물김도
김자지
김전
김근사
김안로
김희
김시
김개국
김제남
인목왕후
김익
김재찬
김기수
김사철
김사준
김석기
김수덕
김이석
김원기
김종운
김덕주
김주상
김용담
김기선
김성주
웹사이트연안 김씨 대종회
통계
년도2021년
인구176,996명

2. 역사

연안 김씨는 조선 시대에 크게 성장하여, 성종부터 인조 때까지는 강력한 문벌 가문으로 여겨졌다. 이 시기 연안 김씨 출신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은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김안로였으며, 그는 자신의 아들 중 한 명을 왕의 딸과 결혼시키기도 했다. 선조의 부인이었던 인목왕후 또한 연안 김씨 가문 출신이다. 인목왕후는 의붓아들인 광해군에 의해 폐위되었다가 인조반정 이후 복위되었다.[3]

조선 시대 연안 김씨는 문과 급제자 163명, 정승 6명, 대제학 1명, 왕비 1명, 종묘배향공신 3명을 배출하였다. 김자지와 김여지는 판서를 지냈으며, 김전, 김근사, 김안로는 영의정을 역임했다. 김감은 대제학을, 김경사는 광주목사를 지냈다.

2. 1. 시조 및 기원

《김씨 분관록》, 《증보문헌비고》등의 문헌에 의하면 신라 김알지의 후예인 두 형제가 왕에게 직간하다가 오히려 미움을 받아 먼 곳으로 유배되었는데, 형은 북빈경(지금의 강릉)에 살게 되었고, 동생은 시염성(지금의 연안)에 살게 되었다고 한다. (오늘날의 강릉 김씨와 '''연안 김씨''')

시조 '''김섬한'''(金暹漢)은 연안으로 유배된 아우의 후손으로 고려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국자감 사문박사(四門博士)를 지냈다. 그의 상계는 아득히 멀고 기록이 없어 상고할 수 없다. 일설에 가야 왕손이라는 족보에 의하면 연안 김씨는 가야계 후손이라 한다. 후손 김도(金濤)는 고려 공민왕(임인년, 1362) 때 문과에 급제하고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냈다.[1][2]

그밖에 조선 명종 시기 편찬된 야사집인 삼한습유기(현재 원본은 소실되었고 청학집의 그 기록의 일부가 남아있다)에는 연안 김씨가 백제인의 후손(延安之金 出百濟)이라 나오고 광주 김씨는 고구려인의 후손(光州之金 出高句麗)이라 전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신라 문무왕이 신라의 백성으로 편입된 고구려, 백제 유민들에게 김씨(金氏) 등의 신라계 성씨를 하사해서 적극적으로 회유했다는 기록이 있다.

연안 김씨의 시조는 고려 명종 재위 기간 동안 ''사문박사''(사문박사|四門博士한국어)를 지낸 김섬한(김섬한|金暹漢한국어)으로 여겨진다. 김섬한은 신라 왕국의 김씨 왕실의 시조인 김알지의 후손이었다.[1][2]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연안 김씨는 93,382명이었다.[4]

2. 2. 고려 시대

《김씨 분관록》, 《증보문헌비고》등의 문헌에 의하면 신라 김알지의 후예인 두 형제가 왕에게 직간하다가 오히려 미움을 받아 먼 곳으로 유배되었는데, 형은 북빈경(지금의 강릉)에 살게 되었고, 동생은 시염성(지금의 연안)에 살게 되었다고 한다. (오늘날의 강릉 김씨와 '''연안 김씨''')

시조 '''김섬한'''(金暹漢)은 연안으로 유배된 아우의 후손으로 고려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국자감 사문박사(四門博士)를 지냈다. 그의 상계는 아득히 멀고 기록이 없어 상고할 수 없다. 일설에 가야 왕손이라는 족보에 의하면 연안 김씨는 가야계 후손이라 한다. 후손 김도(金濤)는 고려 공민왕(1362년, 임인년) 때 문과에 급제하고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냈다.

연안 김씨의 시조는 고려 명종 재위 기간 동안 사문박사(四門博士)를 지낸 김섬한(金暹漢)으로 여겨진다. 김섬한은 신라 왕국의 김씨 왕실 시조인 김알지의 후손이었다.[1][2]

2. 3. 조선 시대

김섬한을 시조로 하는 연안 김씨는 조선 시대에 크게 성장하여, 성종부터 인조 때까지는 강력한 문벌 가문으로 여겨졌다. 이 시기 연안 김씨 출신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은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김안로였으며, 그는 자신의 아들 중 한 명을 왕의 딸과 결혼시키기도 했다. 또 다른 주요 인물로는 선조의 부인이었던 인목왕후가 있다. 인목왕후는 의붓아들인 광해군에 의해 폐위되었다가 인조반정 이후 복위되었다.[3]

조선 시대 연안 김씨는 문과 급제자 163명, 정승 6명, 대제학 1명, 왕비 1명, 종묘배향공신 3명을 배출하였다. 김도의 아들 김자지와 김여지는 판서를 지냈으며, 김전, 김근사, 김안로는 영의정을 역임했다. 김감은 대제학을, 김경사는 광주목사를 지냈다.

2. 4.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

주어진 자료에는 일제강점기대한민국 시기의 연안 김씨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주요 인물


  • 김우전, 김여제: 독립운동가이다.
  • 김창의, 김기홍: 독립투사이다.
  • 김원기: 제15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지냈다.
  • 김덕주(金德柱): 대법관을 지냈다.[2]
  • 김성주: 제19대 국회의원 (전주 덕진, 더불어민주당)을 지냈다.
  • 김빛내리: 서울대학교 교수이다.
  • 김중업: 대한민국의 건축가이다.[5]

3. 1. 고려


  • 김도: 고려 말 밀직제학을 지냈다.
  • 김자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 김여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 김감: 대제학을 지냈다.

3. 2. 조선


  • 김자지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 김여지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 김감 : 대제학을 지냈다.
  • 김시 : 조선 전기의 화가이다.
  • 김전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영의정을 지냈다.
  • 김근사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영의정을 지냈다.
  • 김경사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광주목사를 지냈다.
  • 김안로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영의정을 지냈다.
  • 인목왕후 : 조선 선조의 왕비이다.
  • 김익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영의정을 지냈다.
  • 김재찬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영의정을 지냈다.
  • 김안로(1481 – 1537) : 조선의 학자이자 관료이다.[5]
  • 인목왕후(1584 – 1632) : 조선 선조의 왕비이다.[2]

3. 3. 일제강점기

3. 4. 대한민국


  • 김자지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 김여지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 김시 : 조선 전기의 화가
  • 김전 : 조선 중기의 문신, 영의정
  • 김근사 : 조선 중기의 문신, 영의정
  • 김경사 : 조선 중기의 문신, 광주목사
  • 김안로 : 조선 중기의 문신, 영의정(1481 – 1537)
  • 인목왕후 : 조선 선조의 왕비(1584 – 1632)
  • 김익 : 조선 중기의 문신, 영의정
  • 김재찬 : 조선 중기의 문신, 영의정
  • 김사철 : 일제강점기의 관료
  • 김사준 : 일제강점기의 관료
  • 김석기 : 일제강점기의 조선귀족
  • 김원기 : 제15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 김덕주 : 대법관(1933 – 2023), 대한민국 대법원장 (1990 – 1993)[2]
  • 김우전 : 독립운동가
  • 김여제 : 독립운동가
  • 김창의 : 독립투사
  • 김기홍 : 독립투사
  • 김성주 : 19대 국회의원 (전주 덕진, 더불어민주당)(1964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 국회의원[2]
  • 김빛내리 : 서울대학교 교수
  • 김중업 : 대한민국의 건축가(1922 – 1988)[5]

4. 왕실과의 인척 관계

5. 항렬자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
연(淵)수(秀)사(思)기(基)종(鍾)영(泳)주(柱)성(性)중(重)현(鉉)원(源)식(植)헌(憲)규(圭)진(鎭)택(澤)근(根)희(熙)배(培)균(鈞)철(澈)표(杓)항(恒)


참조

[1] 웹사이트 연안김씨 https://www.doopedia[...] 2024-04-30
[2] 웹사이트 정복규의 한국 성씨를 찾아서- 95 연안김씨(延安金氏) https://www.shinailb[...] 2024-04-29
[3] 웹사이트 (132)연안 김씨 https://www.joongang[...] 2024-04-30
[4] 웹사이트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 https://kostat.go.kr[...]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4-04-30
[5] 웹사이트 ‘시적 아름다움’을 세운 건축가 김중업 https://www.khan.co.[...] 2024-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