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크로네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크로네시아는 2,1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괌을 포함한 4개의 주요 섬 그룹(캐롤라인 제도, 길버트 제도, 마리아나 제도, 마셜 제도)으로 구성된다. 이 지역은 열대 기후이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 문화를 가지고 있다. 역사를 살펴보면,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이주, 유럽인과의 접촉, 스페인, 독일, 일본, 미국의 식민 지배를 거쳤다. 현재는 여러 독립 국가와 미국의 자치령으로 나뉘어 있으며, 어업, 정부 보조금,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태평양 - 아시아 태평양
아시아 태평양은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오세아니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지리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정의되며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대한민국에게 외교적,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 미크로네시아 - 웨이크섬
웨이크섬은 북태평양의 환초로 웨이크섬, 윌크스섬, 필섬으로 이루어진 미국의 비법인 영토이며, 태평양 횡단 항공 노선의 중간 기착지로 개발되었고, 현재는 미국 공군 기지로 활용되고 있으며 마셜 제도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미크로네시아 - 존스턴 환초
존스턴 환초는 하와이 남서쪽 북태평양에 위치한 미국령의 작은 산호초 환초로, 준설과 매립으로 확장된 네 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군사 기지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국립 야생동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생태계를 보호하고 있지만 환경 오염 문제가 남아있다.
미크로네시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크로네시아 |
로마자 표기 | Micronesia |
그리스어 어원 | μικρός (작은) + νῆσος (섬) |
국가 및 지역 | |
구성 국가 및 지역 | 팔라우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나우루 키리바시 괌 북마리아나 제도 웨이크 섬 |
면적 및 인구 | |
총 면적 | 3307 km² |
총 인구 | 523,556명 |
시간대 | |
시간대 | UTC+9 (팔라우) UTC+10 (괌, 북마리아나 제도) UTC+11 (미크로네시아 연방) UTC+12 (마셜 제도, 나우루, 키리바시, 웨이크 섬) |
2. 지리
미크로네시아는 오세아니아에 있는 지역으로 약 2100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 육지 면적은 2700km2이며, 그중 가장 큰 섬은 괌(582km2)이다. 섬 주변의 총 해양 면적은 7400000km2이다.[75] 미크로네시아는 그리스어 미크로스(μικρός, 작은)와 네소스(νῆσος, 섬)에서 유래하여 "작은 섬들"을 의미한다.[76] 대략 남위 3도~북위 20도, 동경 130도~180도의 범위에 걸쳐있다.[76]
2. 1. 주요 섬 그룹
미크로네시아의 주요 섬 그룹은 다음과 같다.



2. 2. 기타 섬
나우루는 이 지역에서 분리된 섬나라이다. 미크로네시아에는 나우루 외에도 다른 독립된 섬들과 작은 섬 그룹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2. 3. 지질
미크로네시아의 섬들은 대부분 환초의 형태이다. 산호 환초는 중앙의 화산 사면에서 자라는 산호초로 시작된다. 화산이 바다 속으로 가라앉으면 산호는 계속 자라서 암초를 수면 위 또는 수면에 유지한다. 한 가지 예외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폰페이로, 여전히 중앙 화산과 그 주변에 산호초가 있다.2. 4. 기후
미크로네시아는 주로 열대우림 기후(Af)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26~28℃로 온난하고 강수량도 많다. 서부 마리아나 제도에서는 약한 건기가 있어 열대몬순기후(Am)로 분류되는 지역도 있다. 계절에 따른 기온 변화는 거의 없다. 건기는 12월이나 1월부터 6월까지, 우기는 7월부터 11월이나 12월까지 지속된다. 일부 섬의 위치 때문에 우기에는 때때로 태풍이 발생하기도 한다.3. 미크로네시아의 나라와 지역
미크로네시아는 캐롤라인 제도(미크로네시아 연방 및 팔라우), 길버트 제도(키리바시), 마리아나 제도(북마리아나 제도 및 괌), 마셜 제도의 4개 주요 섬과 나우루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치 행정 단위는 다음과 같다.
- - 웨이크 섬은 마셜 제도 바로 북쪽에 위치한, 해안선 길이가 약 약 19.31km인 산호초 환초이다. 미국의 비조직화된, 미합중국 미편입 영토이다. 섬에 대한 접근은 제한되며 섬의 모든 활동은 미국 공군이 관리한다.
위의 3개 국가(팔라우,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는 미국과 자유연합 조약(Compact of Free Association)을 맺어 지원금을 받고 있다.[86]
3. 1. 국가 및 지역 목록
이름 | ISO 3166-1 | 면적(km2) | 인구(명) | 인구밀도(명/km2) | 수도 |
---|---|---|---|---|---|
미크로네시아 연방 | FM | 702km2 | 112,640 | 149.5 | 팔리키르 |
괌 (미국) | GU | 540km2 | 165,768 | 296.7 | 하갓냐 |
키리바시 | KI | 811km2 | 115,847 | 141.1 | 사우스타라와 |
마셜 제도 | MH | 181km2 | 58,413 | 293.2 | 마주로 |
나우루 | NR | 21km2 | 10,670 | 540.3 | 야렌 (사실상) |
북마리아나 제도 (미국) | MP | 464km2 | 56,882 | 115.4 | 사이판 |
팔라우 | PW | 459km2 | 17,907 | 46.9 | 멜레케오크 |
합계 | 3178km2 | 538,127 | 179.8 |
웨이크섬은 마셜 제도 바로 북쪽에 위치한, 해안선 길이가 약 약 19.31km인 산호초 환초이다. 미국의 비조직화된, 미합중국 미편입 영토이다. 섬에 대한 접근은 제한되며 섬의 모든 활동은 미국 공군이 관리한다.
4. 역사
미크로네시아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여러 시대를 거쳐왔다.
- 기원전 15세기경 - 미크로네시아 지역에 사람들의 이주가 시작된다.
- 1세기경 - 볼카노 제도북황섬에 마리아나 제도 방면에서 사람들이 이주한다( 이시노 유적).
- 9세기경 - 마리아나 제도에서 라테스톤의 건조가 시작된다.
- 10세기경 - 폰페이 섬에서 샤우테레울 왕조(Mwehin Sau Deleur)가 성립한다.
- 13세기경 - 폰페이 섬에서 난 마돌 유적이 건설된다.
- 14세기경 - 코스라에 섬에서 레라 유적이 건설된다.
서양인이 이 해역에 도착했을 당시, 현재의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는 야프 섬이 강력한 권력을 유지하고 있었고, 카롤린 제도의 여러 섬에서 야프 섬을 향해 사웨이 교역이라 불리는 공물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 1521년 -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끄는 스페인 함대가 일주 항해 도중 괌에 기항한다.[93]
- 1529년 - 스페인의 알론소 데 살라사르(Alonso de Salazar)가 유럽인으로서 처음으로 마셜 제도에 도착한다.
- 1565년 - 스페인령 동인도(Indias Orientales Españolas)가 성립한다. 미크로네시아의 중심지는 괌이며, 그 외에 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제도, 카롤린 제도가 포함되었다.
- 1606년 - 스페인의 페드로 페르난데스 데 키로스(Pedro Fernández de Quirós)가 유럽인으로서 처음으로 길버트 제도에 도착한다.
- 1628년경 - 코스라에 섬의 이소케레켈(Isokelekel)에 의해 샤우테레울 왕조가 붕괴한다.
- 1668년 - 괌이 스페인에 정식으로 영유된다.
- 1710년 - 차모로 인구가 50,000명에서 4,000명으로 줄어들고, 전통 사회가 붕괴한다.
- 1788년 - 영국 동인도 회사 소속의 샬럿호(Charlotte)와 스카버러호(Scarborough)가 오스트레일리아의 보타니 만에서 중국의 광주로 향하는 도중 몇몇 섬에 들른다. 이 섬들은 각각의 선장인 토마스 길버트(Thomas Gilbert)와 존 마셜(John Marshall)의 이름을 따서 각각 길버트 제도, 마셜 제도로 명명된다.
- 1872년 - 영국령 서태평양 영토(British Western Pacific Territories)가 성립하고, 길버트 제도가 그 일부가 된다.

- 1884년 - 독일령 뉴기니(Deutsch-Neuguinea)가 성립한다.
- 1885년 - 스페인의 교황 레오 13세가 카롤린 제도의 영유권은 스페인에, 미크로네시아 전역에 대한 자유로운 경제 활동과 항해가 허용된다.
- 1888년 - 나우루가 독일령 뉴기니의 일부가 된다.[97]
- 1892년 - 영국령 길버트 및 엘리스 제도(Gilbert and Ellice Islands)가 성립한다.
- 1898년 -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한다. 6월 20일에 괌이 미국군에 의해 점령되고, 전후 체결된 파리 조약에 의해 정식으로 미국에 할양된다.
- 1899년 - 독일-스페인 조약에 의해, 독일 제국은 스페인으로부터 25000000페세타(16600000금 마르크)로 북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제도, 카롤린 제도를 매입하는 데 합의했다. 그 때문에 독일령 뉴기니의 범위가 확대된다.
- 1906년 - 마셜 제도가 독일령 뉴기니의 일부가 된다.
- 1910년 - 소케스의 반란(Sokehs Rebellion)이 발발하지만, 이듬해 독일군에 의해 진압된다.
19세기가 되어 해외 식민지를 유지할 힘을 잃은 스페인이 괌을 제외한 대부분을 독일 제국에 매각한다. 이후 독일이 미크로네시아의 광범위한 해역을 통치한다. 이 시기 독일은 사웨이 교역을 포함한 원주민의 원양 항해를 금지했다. 원양 항해의 금지는 대일본제국에 의한 통치 시대에도 계속된다.
- 1914년(다이쇼 3년) -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다. 대일본제국도 연합국으로 참전하고, 전함가토리와 해군 육전대를 적도 이북의 독일령 뉴기니에 파견한다. 같은 해에 적도 이북의 독일령 뉴기니 전역을 점령한 일본 해군은 임시 난요 군도 방비대와 군정청을 트럭 제도 나츠시마(현: 추크 제도Tonowas영어)에 설치하고, 점령지인 난요 군도를 군정 하에 둔다.
- 1914년(다이쇼 3년) - 사이판 소학교가 설립되고, 일본어로의 학교 교육이 시작된다.[100]
- 1918년(다이쇼 7년) - 군정청이 민정서로 개편되고, 문관이 민정서장에 취임한다.
- 1919년 - 파리 강화 회의에서 구 독일 식민지를 「난요 군도」로 하여 일본이 정식으로 위임 통치하는 것이 인정된다.
- 1920년(다이쇼 9년) -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괌을 제외한 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제도, 카롤린 제도, 마셜 제도가 일본, 나우루가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3개국 공동의 위임 통치령이 된다.
- 1922년(다이쇼 11년) - 난요청이 팔라우 제도의 코롤에 설치된다.
- 1935년(쇼와 10년) - 일본이 국제 연맹을 탈퇴한다. 난요 군도라고 불린 미크로네시아 제도 지역을 자국령으로 편입한다.
- 1936년(쇼와 11년) - 난요 택토쿠가 설립된다.

- 1941년(쇼와 16년) 12월 - 태평양 전쟁(대동아 전쟁)이 발발하고, 일본군은 괌, 웨이크 섬, 길버트 제도를 점령한다.
- 1942년 - 1945년 일본의 패망까지 제2차 세계 대전의 격전지가 된다.
- 1946년 - 마셜 제도 비키니 환초(태평양 핵실험장)에서 크로스로드 작전(미국에 의한 핵실험)이 시작된다.

- 1947년 - 마셜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 카롤린 제도, 팔라우 제도가 미국 태평양 제도 신탁 통치령(Trust Territory of the Pacific Islands), 나우루가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3개국 공동의 신탁 통치령이 된다.
- 1950년 - 괌 자치 기본법(Guam Organic Act of 1950)에 의해 괌은 미국의 자치적·편입 지역(organized unincorporated territory)이 된다.
- 1952년(쇼와 27년) -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발효에 의해 일본이 구 위임 통치령을 포기한다.
- 1954년 - 1962년까지 미국에 의해 캐슬 작전, 레드윙 작전, 도미니크 작전등의 수소폭탄 실험이 행해진다.
- 1968년1월 31일 - 나우루가 영국 연방 내의 공화국으로 독립한다.
- 1974년 - 주민 투표의 결과, 길버트 제도와 엘리스 제도의 분리가 결정된다.
- 1975년 - 파푸아뉴기니가 오스트레일리아의 신탁 통치로부터 독립한다. 태평양 제도 신탁 통치령은 마지막 신탁 통치 지역이 되었다.
- 1979년7월 12일 - 키리바시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다.
- 1982년 - 마셜 제도와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자유 연합 조약(Compact of Free Association)에 서명한다. 같은 해, 팔라우의 앙가우르 주 헌법이 제정되고, 일본어가 공용어의 하나가 된다.[105]

- 1986년 - 마셜 제도와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독립한다. 북마리아나 제도가 미국 자치 연방구(코먼웰스)로서 미국에 병합된다.
- 1989년 - 나우루의 인산염의 채굴량이 처음으로 감소로 돌아서고, 그 후 2000년경까지 거의 고갈된다.
- 1990년 - 마셜 제도와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국제 연합에 가맹한다.
- 1993년 - 팔라우가 자유 연합 조약에 서명한다.
- 1994년10월 1일 - 팔라우가 독립한다. 같은 해, 국제 연합에 가맹한다.
- 2010년 - 마셜 제도의 비키니 환초 핵실험장이 미크로네시아 지역 최초의 세계 문화 유산에[107], 키리바시의 피닉스 제도 보호 지역이 최초의 세계 자연 유산에 각각 등록된다.
- 2012년 - 팔라우의 락 아일랜드 군과 남 라군이 미크로네시아 지역 최초의 세계 복합 유산에 등록된다.[108]
- 2014년2월 11일 - 피지의 나이라티카우 전 대통령(Epeli Nailatikau)이 키리바시의 수도 타라와를 방문한다.
4. 1. 선사 시대
북마리아나 제도는 오세아니아에서 오스트로네시아인이 처음으로 식민화한 섬이었다. 기원전 1500년경 필리핀에서 동쪽으로 항해한 항해사들이 이곳에 정착했다.[23] 서기 800년경,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 이주민 물결이 마리아나 제도에 도착하여 라테 시대가 시작되었다.[25][26][27] 서기 1180년경 폰페이에 난 마돌 건설이 시작되었고,[24][28] 서기 1200년경 코스라에에 렐루 유적이 건설되었다.[24][29]

4. 2. 유럽인과의 접촉

유럽인과 미크로네시아의 최초 접촉은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끄는 스페인 원정대가 마리아나 제도에 도착하면서 발생했다.[30] 이 접촉은 안토니오 피가페타가 마젤란 항해에 대해 기록한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으며, 그는 차모로인들이 자신들의 섬 그룹 외부의 사람들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고 기록했다.[31] 같은 항해에 대한 포르투갈 기록은 여행자들을 맞이한 차모로인들이 "마치 오랜 벗과 같은 친밀함으로" 그렇게 했다고 암시한다.
16세기 동안 추가적인 접촉이 이루어졌지만, 초기 접촉은 대부분 매우 짧았다. 1525년 디오고 다 로샤의 항해와 관련된 문서는 그가 카롤라이나 제도 주민들과 최초로 유럽인 접촉을 했으며, 울리티 환초에 4개월 동안 머물렀고 야프를 만났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1529년 스페인 항해사 알바로 데 사베드라 세론의 원정대는 마셜 제도 주민들과 접촉했다.[32] 야프 제도와의 다른 접촉은 1625년에 발생했다.
4. 3. 식민지 시대
17세기 초, 스페인은 괌, 북마리아나 제도, 카롤라이나 제도(훗날 미크로네시아 연방과 팔라우가 됨)를 식민지화하여 스페인령 동인도 제도를 건설했고, 이는 스페인령 필리핀에서 통치되었다.스페인-미국 전쟁에서 스페인은 남은 식민지 대부분을 잃었다. 태평양에서는 미국이 스페인령 필리핀과 괌을 점령했다. 1899년 1월 17일, 미국은 무주지이자 무인도인 웨이크섬도 점령했다. 이로써 스페인은 스페인령 동인도 제도의 나머지 지역, 즉 인구 밀도가 낮고 생산성이 낮은 약 6,000개의 작은 섬만 남게 되었다. 마닐라라는 행정 중심지를 잃은 후 이 섬들은 통치할 수 없게 되었고, 전쟁에서 두 개의 스페인 함대를 잃은 후에는 방어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스페인 정부는 남은 섬들을 새로운 식민지 세력인 독일 제국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1899년 독일-스페인 조약에 의해, 독일 제국은 스페인으로부터 북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제도, 카롤린 제도를 매입했다.[93]
4. 4. 20세기와 21세기
20세기 초, 미크로네시아 제도는 미국, 독일 제국, 영국 제국에 의해 분할되었다.[35] 미국은 스페인-미국 전쟁(1898년) 이후 괌을 장악하고 웨이크 섬을 차지했으며, 독일 제국은 스페인으로부터 마셜 제도, 캐롤라인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를 사들였고 나우루를 점령했다. 영국 제국은 길버트 제도(키리바시)를 점령했다.[35]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태평양 섬 영토는 압류되어 1923년 국제 연맹 위임통치령이 되었다.[35] 나우루는 오스트레일리아 위임통치령이 되었고, 미크로네시아의 다른 독일 영토는 일본에 위임통치령으로 주어져 남양 군도라 명명되었다.[35] 1914년 일본은 제1차 세계 대전에 연합국으로 참전하여 적도 이북의 독일령 뉴기니를 점령하고 임시 난요 군도 방비대와 군정청을 설치했다.[100] 같은 해, 사이판 소학교가 설립되어 일본어로 학교 교육이 시작되었다.[101]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일본의 위임 통치가 인정되었고, 1920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괌을 제외한 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제도, 캐롤라인 제도, 마셜 제도가 일본의 위임 통치령이 되었다.[103] 1922년 난요청이 설치되었고, 사탕수수 재배가 시작되어 오키나와현 등에서 많은 일본인이 이주했다.[103]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우루와 오션 아일랜드는 일본군에 점령되었고, 일부 길버트 제도도 점령당했다.[35]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후 일본군은 괌, 웨이크 섬, 길버트 제도를 점령했다. 1943년부터 미군은 길버트 제도, 마셜 제도, 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제도 등을 차례로 공격하여 일본군을 격퇴했다. 1944년 사이판 전투에서는 민간인도 전투에 휘말려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1945년 원자폭탄 투하는 테니안 섬에서 이루어졌으며, 같은 해 일본이 항복하면서 전쟁은 끝났다.[10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위임통치령은 미국이 관리하는 유엔 신탁통치령인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이 되었다.[35] 1947년 미국은 태평양 제도 신탁 통치령을 설치하고 일본의 흔적을 지운 후 영어 교육을 실시했다. 1946년부터 마셜 제도 비키니 환초에서 핵실험이 시작되었고, 1954년에는 수소폭탄 실험으로 인해 비키니 환초와 에니웨톡 환초 주민들이 피폭되어 강제 이주되었다.[107]
1968년 나우루가 독립했고, 1979년 키리바시가 독립했다.[105] 1986년에는 마셜 제도와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독립하고, 북마리아나 제도는 미국 자치 연방구로 병합되었다.[106] 1994년 팔라우가 독립했다. 오늘날 미크로네시아의 대부분은 독립국가이지만, 미국 북마리아나 제도 자치령, 괌 및 웨이크 섬은 미국의 자치령이다.
5. 정치
미크로네시아의 정치 체제는 크게 독립 국가와 미국의 자치령으로 나뉜다. 나우루, 키리바시(길버트 제도)는 주권 국가이다.[84][85] 팔라우,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는 주권 국가이지만, 미국의 자유연합 조약에 따라 지원금을 받고 있다.[86]
미크로네시아는 태평양 공동체(SPC) 회원국으로서, 태평양 지역의 다른 국가 및 영토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5. 1. 주권 국가
나우루[84], 키리바시 (길버트 제도)[85]는 주권 국가이다.팔라우[87], 미크로네시아 연방[88], 마셜 제도[89]는 주권 국가이지만, 미국의 자유연합 조약에 따라 지원금을 받고 있다.[86]
5. 2. 미국의 자치령
- - 북마리아나 제도[90]
- - 괌[91]
- - 웨이크 섬
5. 3. 국제 관계
미크로네시아는 태평양 공동체(SPC) 회원국으로서, 태평양 지역의 다른 국가 및 영토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6. 경제
미크로네시아 국가들의 주요 수입원은 참치를 어획하는 외국 어선들에게 어업권을 판매하는 것이다. 이 어선들은 대부분 거대한 주낙을 사용하며, 일부 일본의 연승 어선들도 이 해역을 이용한다. 어선들의 선원들은 보통 현지 물품보다 저렴한 저장품과 식량을 가득 싣고 출항하기 때문에 지역 경제에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 추가적인 수입은 미국으로부터 주로 나오는 정부 보조금과, 핵실험 후 이주해야 했던 비키니 환초 주민들의 배상을 위해 미국이 신탁 기금에 납부한 1.5억달러에서 나온다. 고품질 인산염을 제외하고는, 특히 나우루에서 발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개발할 가치가 있는 광물 매장량은 거의 없다.[1]
미크로네시아 대부분의 주민들은 미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고 일할 수 있다. 미국에서 일하는 친척들이 본국 친척들에게 송금하는 것이 개인 소득의 주요 원천이다. 추가적인 개인 소득은 주로 정부 일자리와 상점 및 식당에서의 일에서 나온다.[1]
관광 산업은 주로 산호초를 보기 위해 오는 스쿠버 다이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암벽 다이빙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침몰한 선박 탐사를 한다. 스쿠버 다이버들의 주요 방문지는 순서대로 팔라우, 축, 야프, 포나페이다. 일부 개인 요트 소유주들은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이 지역을 방문하지만, 주로 입항만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요 수입원으로 간주하기에는 그 수가 너무 적다.[1]
코프라 생산은 예전에는 훨씬 중요한 수입원이었지만, 세계 가격이 하락하면서, 특히 보르네오와 같은 곳에 조성된 대규모 팜 농장에 영향을 받았다.[1]
7. 인구와 문화
오늘날의 미크로네시아 사람들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두 미크로네시아 문화에서 유래하였으며 그 문화에 속한다.[40] 지리적, 역사적 배경에 따라 독특한 문화적 유산을 공유하며, 멜라네시아나 필리핀의 특정 집단과 유대감을 느끼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야프 섬 사람들은 오스트로네시아 부족들과 북부 필리핀과 관련이 있으며,[41] 일부 미크로네시아 남성들은 일본인 조상의 Y염색체 하플로그룹 D-M55를 가지고 있다는 유전학적 연구 결과도 있다.[42]
북마리아나 제도에는 아시아계 커뮤니티가 상당수 존재하며, 미국에서 이주해 온 유럽계 주민이나 유럽 식민 통치 시대 정착민의 후손들로 이루어진 소규모 공동체도 있다.
태평양 전쟁은 미크로네시아 사회·문화를 뒤엎는 사건으로, 전통적인 아시아·태평양적 시스템에서 서구적 생활 방식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81] 전쟁의 흔적은 미크로네시아 각지에 남아 있으며, 일본군과 미국군 병사의 묘비(위령비)가 건립되었다.[82] 1946년부터 1958년까지 마셜 제도에서 미국의 핵실험으로 많은 사람들이 피폭되었다.[83]
야프섬이나 길버트 제도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계제가 일반적이었으나,[117] 독일과 일본의 통치 정책으로 폐지된 섬도 있어 현재는 단일한 특징을 찾기 어렵다.[110] 정치적으로도 다양한 문화가 혼재하고 있다.
미크로네시아인들은 돌이나 조개 등을 원료로 한 도끼나 낚싯바늘, 코코넛 섬유의 그물 등을 이용한 어로 생활을 중심으로 생활 하였으며, 팔라우 제도 등 일부 섬에서는 토기도 이용되었다.[110] 돼지, 개, 닭의 사육, 타로, 빵나무, 코코넛, 야미의 재배 등이 이루어졌다.[118]
폴리네시아와 멜라네시아와의 문화적 공통점이 보이며, 베텔 튜잉이나 사카오 등이 있다. 이러한 문화적 공통점은 미크로네시아 동부로 갈수록 짙어진다.[110] 야프섬에서는 현대에도 의례적 교환에 석화(라이)를 사용한다.[119]
7. 1. 민족
오늘날의 미크로네시아 사람들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두 미크로네시아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40] 야프 섬 사람들은 오스트로네시아 부족들과 북부 필리핀과 관련이 있다.[41]미크로네시아의 민족은 몽골로이드에 오스트랄로이드가 혼합된 인종에 속한다. 폴리네시아인, 멜라네시아인과의 혼혈이 복잡하게 진행되어 각 민족의 신체적 특징 차이가 크다.[110] 저신장에 마른 체격, 갈색 피부, 검은색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
미크로네시아의 민족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일파이지만 기원은 두 계통으로 나뉜다. 하나는 술라웨시 섬에서 직접 동쪽으로 향한 집단으로, 팔라우인과 차모로인이 포함된다. 다른 하나는 술라웨시 섬에서 뉴기니 섬 연안을 거쳐 멜라네시아에서 북상한 집단으로, 미크로네시아 제어를 사용하는 키리바시인, 카롤린인 등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투발루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폴리네시아인이 거주하는 해외 폴리네시아에 속하는 섬도 있다.
유전자 검사 결과, 상당수의 미크로네시아인들이 일본계 Y염색체 하플로그룹 D-M55와 부계 유전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크로네시아 남성의 9.5%와 동티모르의 0.2%가 일본과의 최근 혼혈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D-M116.1 (D1b1)을 가지고 있다.[55]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동남아시아 점령의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42]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오세아니아의 오스트로네시아인에게 널리 보이는 하플로그룹 O1a(Y염색체), 하플로그룹 O2(Y염색체) 및 하플로그룹 K(Y염색체)가 우세하지만, 일본인에게 고빈도로 나타나는 하플로그룹 O1b2(Y염색체) 및 하플로그룹 D1a2a(Y염색체)가 각각 5.9% 발견된다.[111] 이는 야요이 시대 이후(아마도 남양청(일본에 의한 통치) 시대)에 일본에서 미크로네시아로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민족 | 비율 |
---|---|
추크(Chuuk) | 48.8% |
폰페이(Pohnpei) | 24.2% |
코스라에(Kosrae) | 6.2% |
야프(Yap) | 5.2% |
야프 외곽 섬 | 4.5% |
아시아계 | 1.8% |
폴리네시아계 | 1.5% |
기타 | 7.8% |
7. 2. 언어
미크로네시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미크로네시아어족이다. 이 언어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오세아니아어족에 속하며, 원오세아니아어에서 유래하여 원말레이폴리네시아어를 거쳐 원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유래했다.[112]미크로네시아어족에는 마셜어, 길버트어, 코스라에어, 나우루어가 있으며, 11개 언어를 포함하는 추크-폰페이어파라는 큰 아족도 있다. 미크로네시아 연방 동쪽 끝에는 누쿠오로어와 카핑아마랑이어가 있는데, 이들은 오세아니아어족의 폴리네시아어파의 극단적인 서쪽 확장을 나타낸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에 속하지만, 오세아니아어족에 속하지 않는 언어로는 마리아나 제도의 차모로어와 팔라우의 팔라우어가 있다. 이들은 술라웨시섬에서 직접 동진한 그룹이며, 미크로네시아어군과는 계통이 다르다.[113] 이 외에도 애드미럴티 제도어군과 근연인 야프섬의 야프어가 있다.
미크로네시아어군의 공통된 특징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어휘와 표현이 풍부하고, 음식, 어류, 항해 기술 관련 용어가 많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워레아이어에서는 코코넛을 표현할 때, 열매의 익은 정도에 따라 ''gurub'', ''sho'', ''paawol''이 존재하는 등, 명사의 풍부함을 엿볼 수 있다.[114]
16세기 이후 식민지화의 영향으로 스페인어, 독일어, 일본어, 영어 등에서 많은 차용어가 생겨났다.[115] 일본어에서 차용된 단어는 납파, 허리띠, 자동차 등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명사도 많이 포함한다.[115][116] 최근에는 도시 지역에서 영어의 영향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전통을 지켜 온 지역의 고유 언어는 사라져 가고 있다.[115]
7. 3. 종교
미크로네시아의 주요 종교는 기독교이다.[44] 2023년 정부 통계에 따르면 인구의 55%가 가톨릭 신자이고 42%가 개신교 신자이며, 나머지 2%는 다른 기독교 교파에 속한다. 바하이교, 불교, 힌두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 다른 종교 집단도 존재한다.[73]미크로네시아 신화는 미크로네시아 사람들의 전통적인 신앙 체계를 포함한다. 미크로네시아 제도에는 단일한 신앙 체계가 없으며, 각 섬 지역마다 고유한 신화적 존재를 가지고 있다. 2014년 기준으로 인구의 2.7%가 민간 종교를 따랐다고 기록되어 있다.[73]
원래 미크로네시아인들은 독자적인 정령 신앙을 가지고 있었지만, 식민지화와 함께 기독교가 보급되었다.[110] 16세기에 전래된 기독교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통치를 거쳐도 사라지지 않고, 오늘날 미크로네시아 사람들의 삶에 뿌리내리고 있다.[114] 한편, 만물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는 전통적인 신앙 체계는 일부 섬을 제외하고는 사라져 가고 있다.[110]
7. 4. 예술
미크로네시아의 예술 전통은 라피타 문화에서 발전해왔다. 19세기 동안 이 지역은 식민 세력들 사이에 분할되었지만, 예술은 계속 번창했다. 특히 남성들에 의한 목각은 이 지역에서 번성하여 벨라우의 화려하게 장식된 의식용 가옥, 양식화된 그릇, 카누 장식, 의식용 용기, 그리고 때로는 조각상이 만들어졌다. 여성들은 직물과 팔찌, 머리띠와 같은 장신구를 만들었다. 양식적으로 전통 미크로네시아 예술은 기능에 있어 간결하고 실용적인 단순함을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품질로 마무리된다.[56] 이는 주로 사용 가능한 자연 재료가 부족했기 때문에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57]미크로네시아의 미술은 목조 공예에 그 특징을 볼 수 있으며, 팔라우 제도의 상감 세공(디르카이), 모트락 제도의 가면(타푸아누), 추크 제도와 폰페이섬의 의례용 노 등이 알려져 있다.[110][120] 또한, 최근 팔라우에서는 일본인 조각가인 토가타 히사쿠니(土方久功)가 전수한 스토리보드(팔라우의 역사와 전설을 부조로 새긴 목조 공예)가 관광용 민예품으로 널리 만들어지고 있다.[121]
7. 5. 스포츠
이 지역은 미크로네시아 게임의 개최지이다.[70] 이 대회는 4년마다 열리는 국제 종합경기대회로, 웨이크섬을 제외한 미크로네시아의 모든 국가와 영토가 참가한다.나우루는 역도와 오스트레일리아식 풋볼이라는 두 가지 국민 스포츠를 가지고 있다.[71] 2007년 오스트레일리아풋볼리그 국제 인구조사에 따르면, 나우루에는 시니어 경기에 약 180명, 주니어 경기에 50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72] 국가 전체 참가율이 30%를 넘는다.
참조
[1]
언어
μικρός and νῆσος
[2]
서적
On the Road of the Winds: an Archeological History of the Pacific Islands before European Contac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서적
Wangka: Austronesian Canoe Origins
Texas A&M University Press
[4]
서적
Building Outrigger Sailing Canoes: Modern Construction Methods for Three Fast, Beautiful Boats
International Marine/McGraw-Hill
[5]
학술지
The Evolution of Pacific Canoe Rigs
[6]
학술지
A Hypothesis for Austronesian Origins
https://core.ac.uk/d[...]
2019-05-01
[7]
학술지
The Austronesian Dispersal and the Origin of Languages
[8]
서적
The Colonization of the Pacific: A Genetic Trail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https://press.anu.e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9-03-23
[10]
서적
Crossing Border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s
2019-03-23
[11]
서적
On the Road of the Winds : an Archeological History of the Pacific Islands before European Contac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웹사이트
Geography Overview
http://www.rmiembass[...]
Republic of the Marshall Islands
2013-11-15
[13]
웹사이트
Bikini Atoll Reference Facts
http://www.bikiniato[...]
2013-08-12
[14]
웹사이트
Bikini Atoll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09-01
[15]
웹사이트
Geology of Bikini and Nearby Atolls
https://pubs.usgs.go[...]
1954
[16]
보고서
The State of Coral Reef Eco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nd Pacific Freely Associated States, 2002
https://coastalscien[...]
U.S. Dep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ational Ocean Service
2024-06-08
[17]
웹사이트
Operation Crossroads: Bikini Atoll
http://www.history.n[...]
Department of the Navy
2000-05-21
[18]
웹사이트
Nauru
https://www.cia.gov/[...]
[19]
웹사이트
Nauru: Nat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and National Environmental Action Plan
http://www.sprep.org[...]
South Pacific Regional Environment Programme
[20]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Nauru
https://2009-2017.st[...]
State Department Bureau of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2005-09
[21]
웹사이트
The State of Coral Reef Ecosystems of the U.S. Pacific Remote Island Areas
https://www.sprep.or[...]
[22]
웹사이트
Yap Islands Stat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Ecoregions WWF
https://www.worldwil[...]
2021-01-12
[23]
학술지
Genetics and the Origins of the Polynesians
John Wiley & Sons, Inc.
2013-01-15
[2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of Rock Art
Oxford University Press
[25]
학술지
The Checkered Prehistory of Rice Movement Southwards as a Domesticated Cereal—from the Yangzi to the Equator
https://core.ac.uk/d[...]
2011-12-09
[26]
학술지
An overview of latte period archaeology
https://micronesica.[...]
[27]
학술지
Latte villages in Guam and the Marianas: Monumentality or monumenterity?
https://micronesica.[...]
[28]
학술지
New precise dates for the ancient and sacred coral pyramidal tombs of Leluh (Kosrae, Micronesia)
2015-03
[29]
학술지
Crossing the line: the enveloped cross in Pohnpei,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2015-01-02
[30]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panish-American and Philippine-American War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 CLIO
[31]
서적
History of Micronesia: A collection of source documents, Vols. 1–20
Levesque Publications
[32]
보고서
Geology of Bikini and Nearby Atolls
https://books.google[...]
[33]
서적
The First Taint of Civilization: A History of the Caroline and Marshall Islands in Pre-colonial Days, 1521–1885
University of Hawaii Press
[34]
서적
Pacific Nations and Territories: The Islands of Micronesia, Melanesia, and Polonesia
https://books.google[...]
Bess Press
[35]
학술지
Micronesia—A Changing Frontier
https://www.cambridg[...]
[36]
웹사이트
Languages of Guahan
https://web.archive.[...]
2010-11-12
[37]
웹사이트
Nauru
https://web.archive.[...]
Tiscali UK Limited
2010-11-12
[38]
웹사이트
Nauru
http://www.travelblo[...]
TravelBlog.org
2010-11-12
[39]
웹사이트
Commonwealth of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Overview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Office of Insular Affairs
2010-11-12
[40]
논문
Investigating the origins of eastern Polynesians using genome-wide data from the Leeward Society Isles
2018-01-29
[41]
웹사이트
Micronesians - Introduction, Location, Language, Folklore, Religion, Major holidays, Rites of passage
http://www.everycult[...]
[42]
논문
Isolation, contact and social behavior shaped genetic diversity in West Timor
2014-09
[43]
서적
American Anthropology in Micronesia: An Assess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44]
간행물
Christianity in its Global Context, 1970–2020: Society, Religion, and Mission
http://wwwgordonconw[...]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2013-06
[45]
서적
Del español al chamorro: Lenguas en contacto en el Pacífico
Ediciones Gondo
[46]
서적
FutureFish 2001: FutureFish in Century 21: The North Pacific Fisheries Tackle Asian Markets, the Can-Am Salmon Treaty, and Micronesian Seas
Trafford Publishing
[47]
서적
Oceania: The Native Cultures of Australia and the Pacific Islands
University of Hawaii Press
[48]
논문
Nukuoro (Nukuoro Atoll, Pohnpei Stat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 Language Snapshot
[49]
서적
Asia in the Pacific Islands: Replacing the West
https://books.google[...]
IPS Publications,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2007-01-01
[50]
웹사이트
Guam Ethnic groups - Demographics
http://www.indexmund[...]
[51]
웹사이트
Northern Mariana Islands Demographics Profile 2016
http://www.indexmund[...]
[52]
웹사이트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Ethnic groups - Demographics
http://www.indexmund[...]
[53]
웹사이트
Nauru Ethnic groups - Demographics
http://www.indexmund[...]
[54]
웹사이트
Palau Ethnic groups - Demographics
http://www.indexmund[...]
[55]
논문
Dual origins of the Japanese: Common ground for hunter-gatherer and farmer Y chromosomes
[56]
웹사이트
Micronesia, 1800–1900 a.d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57]
백과사전
Oceanic art
Columbia University Press
[58]
웹사이트
Micronesia, 1900 a.d.–present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59]
웹사이트
Education Profile of Micronesia, Micronesia Education, Education in Micronesia, Universities in Micronesia, Schools in Micronesia, Micronesia Education Profile
https://web.archive.[...]
micronesiaeducation.info
2011-10-13
[60]
서적
Pacific neighbors : the islands of Micronesia, Melanesia, and Polynesia
Bess Press
[61]
웹사이트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http://stats.uis.une[...]
UNESCO
2011-10-13
[62]
웹사이트
Fisheries and Maritime Institute
http://www.comfsm.fm[...]
College Of Micronesia-FSM
2011-12-01
[63]
웹사이트
Outline of the Fisheries Training Project in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https://web.archive.[...]
[64]
서적
East Is a Big Bird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65]
서적
History of Cart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8-04
[66]
서적
Understanding Law in Micronesia: An Interpretive Approach to Transplanted Law
https://books.google[...]
E.J. Brill
[67]
뉴스
Regional journalists form Micronesian media group
https://web.archive.[...]
2007-09-26
[68]
백과사전
The Music and Dance of Microne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69]
웹사이트
Music of the Pacific Island Nations
https://web.archive.[...]
School of Arts, Southern Cross University
null
[70]
뉴스
Micronesian Games begin in Palau
https://web.archive.[...]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3-12-15
[71]
간행물
Pacific Sporting Needs Assessment
https://web.archive.[...]
Australian Government
2007-12-03
[72]
웹사이트
INTERNATIONAL FOOTBALL CENSUS 2007: Clubs & Players - Internationally
https://web.archive.[...]
Australian Football League
2011-05-24
[73]
웹사이트
2022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https://www.state.go[...]
[74]
웹사이트
When Japan Ruled the Waves: The Forgotten Colonies of Micronesia
https://unseen-japan[...]
2020-07-13
[75]
서적
身体が語る人間の歴史 人類学の冒険
筑摩書房
[76]
간행물
미크로네시아를 알기 위한 58장
아키시서점
[77]
기타
[78]
웹사이트
세계유산 조약 잠정 리스트
https://www.rinya.ma[...]
환경성, 임야청
[79]
간행물
미크로네시아를 알기 위한 58장
아키시서점
[80]
간행물
강좌 세계의 선주민족 -퍼스트 피플의 현재- 09 오세아니아
아키시서점
[81]
간행물
미크로네시아를 알기 위한 58장
아키시서점
[82]
간행물
미크로네시아를 알기 위한 58장
아키시서점
[83]
간행물
미크로네시아를 알기 위한 58장
아키시서점
[84]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17-01-30
[85]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17-01-30
[86]
간행물
미크로네시아를 알기 위한 58장
아키시서점
[87]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17-01-30
[88]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17-01-30
[89]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17-01-30
[90]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17-01-30
[91]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17-01-30
[92]
간행물
미크로네시아를 알기 위한 58장
아키시서점
[93]
기타
[94]
웹사이트
팔라우 - 국제기구 태평양 제도 센터
http://blog.pic.or.j[...]
[95]
학술지
접촉과 변용의 제상 : 에도시대 표류민에 의한 오세아니아 관계 자료
https://doi.org/10.1[...]
국립민족학박물관
[96]
기타
[97]
기타
[98]
기타
[99]
웹사이트
연혁 남양무역주식회사
http://www.nbk.co.jp[...]
[100]
기타
[101]
기타
[102]
기타
[103]
기타
[104]
웹사이트
The Stamford Historical Society: Peleliu
http://www.stamfordh[...]
[105]
웹사이트
안가울 주 헌법
http://www.pacificdi[...]
1982-10-08
[106]
웹사이트
【両陛下ご訪比】サイパン、パラオ、そして日本人戦没者数が海外で最も多いフィリピン ご慰霊の旅に欠かせぬ地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1-08
[107]
웹사이트
ビキニ環礁、世界遺産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0-08-02
[108]
웹사이트
在パラオ日本国大使館
https://www.palau.em[...]
[109]
뉴스
両陛下あすパラオへ 訪問の日が「祝日」に
https://news.ntv.co.[...]
2015-04-07
[110]
reference
矢野1990
[111]
논문
Dual origins of the Japanese: common ground for hunter-gatherer and farmer Y chromosomes
2006
[112]
reference
印東2005
[113]
reference
印東2005
[114]
reference
印東2005
[115]
reference
印東2005
[116]
웹사이트
ミクロネシア連邦 - 愛知県国際交流協会
http://www2.aia.pref[...]
[117]
reference
田辺1983
[118]
reference
一谷2003
[119]
reference
印東2005
[120]
reference
印東2005
[121]
reference
印東2005
[122]
reference
ワールドカルチャーガイド
[123]
reference
印東2005
[124]
reference
ワールドカルチャーガイド
[125]
서적
Wangka: Austronesian Canoe Origins
https://archive.org/[...]
Texas A&M University Press
1981
[126]
서적
Building Outrigger Sailing Canoes: Modern Construction Methods for Three Fast, Beautiful Boats
International Marine/McGraw-Hill
2007
[127]
저널
The Evolution of Pacific Canoe Rigs
1986
[128]
저널
A Hypothesis for Austronesian Origins
https://core.ac.uk/d[...]
2019-05-01
[129]
저널
The Austronesian Dispersal and the Origin of Languages
1991
[130]
서적
The Colonization of the Pacific: A Genetic Trail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31]
서적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https://press.anu.e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9-03-23
[132]
서적
Crossing Border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s
2019-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