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7 지방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메가-7 지방산은 탄소 사슬에 이중 결합을 하나 가지고 있는 불포화 지방산의 한 종류이다. 팔미톨레산, 박센산, 루멘산 등이 있으며, 신체 내에서 지방산 불포화 효소에 의해 대사된다. 오메가-7 지방산, 특히 팔미톨레산은 연구를 통해 세포 보호 효과가 있어 당뇨병 치료의 후보 물질로 여겨지며,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고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제품과 마카다미아 등이 공급원이며, 최근에는 조류를 통해 오메가-7 지방산을 생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켄산 - 올레산
올레산은 동물성 및 식물성 기름에 널리 분포하는 오메가-9 지방산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LDL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 알켄산 - 리놀레산
리놀레산은 18개의 탄소 사슬과 두 개의 시스 이중 결합을 가진 필수 불포화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생합성에 사용되며 식물성 기름 등에 풍부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에 기여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주의해야 한다. - 지방산 - 발레르산
발레르산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카복실산으로 불쾌한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이며, 휘발성 에스터 제조에 사용되어 향수, 화장품, 식품 등에 활용되고 발레리안 뿌리 등에서 발견된다. - 지방산 - 아라키드산
아라키드산은 탄소 20개로 이루어진 포화 지방산으로, 땅콩 기름과 같은 식물성 기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 내에서 세포막 구성, 신호 전달 물질의 전구체,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에 관여하고, 제약 산업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체로 사용되는 경제적 가치가 높은 물질이다.
오메가-7 지방산 | |
---|---|
개요 | |
종류 | 불포화 지방산 |
지방산 종류 | 오메가-7 지방산 |
설명 | |
특징 | 불포화 지방산의 한 종류이다. |
종류 | |
지방산 | 팔미톨레산 |
지방산 | 바크센산 |
2. 종류
일반명 | 지질 번호 | 화학명 |
---|---|---|
없음 | 12:1 (n−7) | 5-도데센산 |
없음 | 14:1 (n−7) | 7-테트라데센산 |
팔미톨레산 | 16:1 (n−7) | 9-헥사데센산 |
박센산 | 18:1 (n−7) | 11-옥타데센산 |
루멘산 | 18:2 (n−7) | 옥타데카-9,11-디엔산 |
파울린산 | 20:1 (n−7) | 13-에이코센산 |
없음 | 22:1 (n−7) | 15-도코센산 |
없음 | 24:1 (n−7) | 17-테트라코센산 |
16탄소 및 18탄소 오메가-7 불포화 지방산은 신체에서 비선택적 불포화효소에 의해 18탄소 또는 20탄소 고도 불포화 지방산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동일한 효소들이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6 지방산 및 오메가-9 지방산에도 작용한다.[22] 그 결과, 식이 요법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개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조직 유형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지만,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전체 농도는 살아있는 생물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4] 이러한 개별 농도는 세포막의 유지에 필요한 인지질 합성에서 주어진 조직에 의해 사용될 지방산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4]
오메가-7 지방산, 특히 팔미톨레산은 생체 외에서 이자의 β 세포에서 포도당-민감성 세포 자살(당뇨병과 관련된 상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3][24] 성인에서 새로운 β 세포는 줄기 세포의 직접적인 분화보다는 자기복제로 인한 결과가 가장 일반적이며, 이는 β 세포의 세포 자살을 방지하는 것이 β 세포의 안정적인 수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메가-7 지방산은 세포 보호 효과가 있어서 당뇨병 치료의 후보 물질로 꼽힌다.[23] 오메가-7 지방산은 또한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오메가-7 지방산이 풍부한 식이는 당뇨병의 발생률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25]
유제품은 식이 오메가-7 지방산의 주요 공급원 중 하나이다. 그러나 젖소에서 오메가-7 지방산의 생산은 젖소가 섭취하는 먹이에 크게 의존한다.[27] 젖소의 먹이에서 초본식물을 제거하면 1주일 이내에 루멘산과 박센산의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데, 이는 현대적인 낙농법이 유제품의 유익한 지방산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27]
유제품은 식이 오메가-7 지방산의 주요 공급원 중 하나이다. 그러나 젖소에서 오메가-7 지방산의 생산은 젖소가 섭취하는 먹이에 크게 의존한다.[27] 젖소의 먹이에서 초본식물을 제거하면 1주일 이내에 루멘산과 바세닌산의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데, 이는 현대적인 낙농법이 유제품의 유익한 지방산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27]
[1]
논문
Formation of (n-9) and (n-7) cis-monounsaturated fatty acids in seeds of higher plants
1980-10
자연계에서 가장 흔한 오메가-7 지방산은 팔미톨레산과 박센산이다.[1]
3. 물질대사
ω-7 지방산, 특히 팔미톨레산은 당뇨병과 관련된 상황인 췌장 베타 세포의 포도당 감수성 세포자멸사를 저하시킨다는 것이 ''생체 외''에서 나타났다.[13][14] 성체에서는 새로운 베타 세포는 줄기 세포로부터의 직접적인 세포 분화가 아닌 자기 복제를 통해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사실은 베타 세포의 세포 자멸사 방지가 베타 세포 집단의 안정적인 유지에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ω-7 지방산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당뇨병 치료제 후보가 되고 있다.[13] 또한, ω-7 지방산은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도 나타났으며, ω-7 지방산을 많이 포함하는 식단은 당뇨병 발생 건수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다.[15]
동물 연구에 따르면 오메가-7 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식단은 코코넛 오일이나 카놀라유를 많이 함유한 식단에 비해 High-density lipoprotein|고밀도 지단백질영어 (HDL)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16]
4. 연구
동물 연구에서 오메가-7 지방산의 섭취는 코코넛유나 카놀라유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보다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26]
5. 생산
마카다미아와 같은 오메가-7 지방산의 전통적인 공급원은 산업적인 규모에서 비싼 것으로 판명되어, 조류와 같이 오메가-7 지방산이 풍부한 새로운 공급원을 찾게 되었다. 이산화 탄소 또는 인산수소 이칼륨의 농축과 같은 조류의 생장 조건 변경은 조류의 지질 생합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28] 조류는 건조 중량의 최대 90%까지 지질로 수확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생조류는 탈수되어 조류 기름을 생성한다. 조류 기름은 전형적으로 산으로 세척하여 극성 지질 및 금속을 제거하는 탈검(degum) 과정을 거친다. 탈검된 조류 기름은 이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 및 정제되어 오메가-7 에스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혼합물을 생성하고, 이는 수소 탈산소화되어 조류 연료를 형성한다. 이어서, 이들 생성물을 결정화하고 분리하여 원하는 오메가-7 지방산을 얻는다.
6. 공급원
마카다미아와 같은 오메가-7 지방산의 전통적인 공급원은 산업적인 규모에서 비싼 것으로 판명되어 조류와 같은 오메가-7 지방산이 풍부한 새로운 공급원의 발견을 촉발시켰다. 이산화 탄소 또는 인산수소 이칼륨의 농축과 같은 조류의 생장 조건에 대한 변경은 조류의 지질 생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28] 조류는 건조 중량의 최대 90%까지 지질로 수확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생조류는 탈수되어 조류 기름을 생성한다. 조류 기름은 전형적으로 산으로 세척하여 극성 지질 및 금속을 제거하여 탈검(degum)된다. 탈검된 조류 기름은 이어서 에스터 교환 및 정제되어 오메가-7 에스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혼합물을 생성하고, 이는 수소첨가탈산소화되어 조류 연료를 형성한다. 이어서, 이들 생성물을 결정화하고 분리하여 원하는 오메가-7 지방산을 얻는다.
자연계에서 가장 흔한 오메가-7 지방산은 팔미톨레산과 바세닌산이다.[1] 오메가-7 지방산이 풍부한 식단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등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부한 공급원으로는 팔미톨레산 형태의 마카다미아 오일과 비타민나무(열매) 오일이 있으며, 유제품은 바세닌산과 루멘산의 주요 공급원이다.[2] 팔미톨레산의 덜하지만 유용한 공급원은 아보카도 열매(25,000ppm)이다.[3]일반명 지질명 화학명 없음 12:1 (n−7) 5-도데센산 없음 14:1 (n−7) 7-테트라데센산 팔미톨레산 16:1 (n−7) 9-헥사데센산 바세닌산 18:1 (n−7) 11-옥타데센산 루멘산 18:2 (n−7) 옥타데카-9,11-디에노산 파울린산 20:1 (n−7) 13-에이코센산 없음 22:1 (n−7) 15-도코센산 없음 24:1 (n−7) 17-테트라코센산
참조
[2]
논문
Vaccenic and rumenic acids, a distinct feature of ruminant fats
2005-02
[3]
서적
Handbook of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GRAS herbs and other economic plants.
CRC Press
[4]
논문
Biochemistry and physiology of n-3 fatty acids
1992-05
[5]
논문
Unsaturated fatty acids as cytoprotective agents in the pancreatic beta-cell
2010-04
[6]
논문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in Pancreatic Beta Cell Metabolism, Implications in Homeostasis
2018-03
[7]
서적
Rapid decline of contents of beneficial omega-7 fatty acids in milk from grazing cows with decreasing herbage allowance
vdf Hochschulverlag
2004
[8]
특허
Omega 7 rich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solating omega 7 fatty acids
[9]
논문
Formation of (n-9) and (n-7) cis-monounsaturated fatty acids in seeds of higher plants
1980-10
[10]
논문
Vaccenic and rumenic acids, a distinct feature of ruminant fats
2005-02
[11]
서적
Handbook of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GRAS herbs and other economic plants.
CRC Press
[12]
논문
Biochemistry and physiology of n-3 fatty acids
1992-05
[13]
논문
Unsaturated fatty acids as cytoprotective agents in the pancreatic beta-cell
2010-04
[14]
논문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in Pancreatic Beta Cell Metabolism, Implications in Homeostasis
2018-03
[15]
논문
Trans-palmitoleic acid, metabolic risk factors, and new-onset diabetes in U.S. adults: a cohort study
2010-12
[16]
논문
Effects of dietary palmitoleic acid on plasma lipoprotein profile and aortic cholesterol accumul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other 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F1B golden Syrian hamster
2009-02
[17]
서적
Rapid decline of contents of beneficial omega-7 fatty acids in milk from grazing cows with decreasing herbage allowance
vdf Hochschulverlag
2004
[18]
특허
Omega 7 rich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solating omega 7 fatty acids
[19]
논문
Formation of (n-9) and (n-7) cis-monounsaturated fatty acids in seeds of higher plants
1980-10
[20]
논문
Vaccenic and rumenic acids, a distinct feature of ruminant fats
https://archive.org/[...]
2005-02
[21]
서적
Handbook of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GRAS herbs and other economic plants.
https://archive.org/[...]
CRC Press
[22]
논문
Biochemistry and physiology of n-3 fatty acids
https://archive.org/[...]
1992-05
[23]
논문
Unsaturated fatty acids as cytoprotective agents in the pancreatic beta-cell
2010-04
[24]
논문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in Pancreatic Beta Cell Metabolism, Implications in Homeostasis
2018-03
[25]
논문
Trans-palmitoleic acid, metabolic risk factors, and new-onset diabetes in U.S. adults: a cohort study
2010-12
[26]
논문
Effects of dietary palmitoleic acid on plasma lipoprotein profile and aortic cholesterol accumul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other 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F1B golden Syrian hamster
https://archive.org/[...]
2009-02
[27]
서적
Rapid decline of contents of beneficial omega-7 fatty acids in milk from grazing cows with decreasing herbage allowance
vdf Hochschulverlag
2004
[28]
특허
Omega 7 rich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solating omega 7 fatty aci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