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바타 도시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바타 도시로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고치현 출신의 남작 가문에서 태어났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시아 제국군에 종군했으며, 육군대학교를 졸업 후 참모본부에서 근무했다. 1921년에는 '바덴바덴 밀약'에 참여했으나, 황도파와 통제파의 갈등으로 인해 노선이 엇갈렸다. 2.26 사건 이후 예편했으나, 중일 전쟁 발발 후 다시 현역으로 복귀했다가 건강 문제로 다시 예편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는 국무대신을 역임했으며, 1947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도파 - 무타구치 렌야
    일본 제국 육군 장군 무타구치 렌야는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 노구교 사건과 임팔 작전 등 주요 사건에 관여했으며, 전후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그의 군사적 능력과 작전 실패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황도파 - 이소베 아사이치
    이소베 아사이치는 일본 제국 육군 장교이자 2·26 사건의 주요 가담자로, 황도파 청년 장교 그룹의 핵심 인물로서 육군사관학교 사건에 연루되어 면관되었고, 2·26 사건 실패 후 사형 선고를 받고 총살형으로 처형되었으며, 그의 수기는 쇼와 천황과 일본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아 논쟁을 야기했다.
  • 3월 사건 관련자 - 우가키 가즈시게
    우가키 가즈시게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대신과 조선총독을 역임했으며, 군사 개혁을 단행하고 황국신민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수상 취임에 실패하고 외무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 3월 사건 관련자 - 하시모토 긴고로
    하시모토 긴고로는 일본 제국 육군 장교이자 정치인으로, 우익 쿠데타를 기획하고 파시즘 운동을 전개했으며,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일본 육군 중장 - 혼마 마사하루
    혼마 마사하루는 일본 제국 육군 군인으로, 필리핀 공략전을 지휘했으나 바탄 죽음의 행진에 대한 책임으로 전범으로 처형되었고, 그의 재판은 지휘자 책임 적용 및 맥아더의 복수심 작용 등의 논란이 있다.
  • 일본 육군 중장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오바타 도시로
기본 정보
연대장 시절의 오바타 대좌
연대장 시절의 오바타 대좌
이름오바타 도시로
로마자 표기Obata Toshiro
출생일1885년 2월 19일
사망일1947년 1월 10일
출생지고치현
소속대일본제국 육군
복무 기간1904년 - 1938년
최종 계급육군 중장
경력
참전러일 전쟁
기타
비고마사키 진자부로의 측근

2. 초기 이력

1885년 고치현(옛 도사번) 출신의 남작 오바타 요시네(小畑美稲)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으로는 남작 오바타 다이타로, 육군 소장 오바타 겐자부로가 있다. 교토부립 제1중학교, 오사카 육군 지방 유년 학교, 육군 중앙 유년 학교를 거쳐 1904년(메이지 37년) 육군사관학교를 16기 우등생으로 졸업하였다.

소위 임관 후 근위 보병 제1연대, 보병 제49연대를 거쳐 마오카 수비대장을 역임하였다. 1911년(메이지 44년)에는 육군대학교를 23기 우등생으로 졸업하였다. 육군대학교 재학 시절, 육사 1기 후배인 도조 히데키가 육군대학교 시험에 어려움을 겪자, 오바타는 자택에서 그를 위한 공부 모임을 열었으며, 이 자리에는 육사 동기인 오카무라 야스지, 나가타 데쓰잔도 함께했다.

1913년(다이쇼 2년) 대위로 진급하여 참모본부에서 근무하였다. 1915년(다이쇼 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일본과 같은 연합국 소속이었던 러시아 제국군에 종군하여 전쟁을 참관하였다. 이후 군무국 과원, 참모 본부원 등 중앙 행정직과 참모직을 거쳐 1920년(다이쇼 9년) 러시아 대사관 부속 무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당시 일본군이 러시아 혁명에 간섭하기 위한 시베리아 출병 중이었기 때문에 러시아로 바로 입국하지 못하고 독일 베를린에 머물렀다.

3. 정치 군인으로서

오바타는 일본 제국 육군 내에서 정치적 행보를 보인 군인이었다. 1921년 독일 주재 시절, 육사 동기인 나가타 데쓰잔, 도조 히데키, 오카무라 야스지와 함께 군내 파벌 타파와 개혁을 목표로 '바덴=바덴 밀약'을 맺었으나, 이는 이후 황도파통제파 간 파벌 대립의 시작점이 되었다.

1922년 참모본부로 복귀한 이후 여러 보직을 거치며 경력을 쌓았다. 1927년 대좌 진급 및 오카야마 제10보병연대장, 1930년 육군보병학교 연구부 주무, 육군대학 교관 등을 역임했다. 1932년 아라키 사다오 육군대신 아래에서 참모본부 작전과장 및 제3부장으로 승진하며 황도파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그러나 통제파나가타 데쓰잔 등과 대소련·대중국 전략을 놓고 극심한 노선 갈등을 겪었고, 이로 인해 1933년 참모본부를 떠나 근위 보병 제1여단장으로 전출되었다.

이후 육군대학 간사(1934년)와 교장(1935년)을 역임했지만, 1936년 2.26 사건이 발생하자 황도파 숙청 과정에서 연루 책임을 지고 중장 진급 직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1937년 중일 전쟁 발발로 잠시 현역에 복귀하여 유수 제14사단 사단장을 맡았으나 건강 문제로 다시 예편하였다. 태평양 전쟁 말기에는 고노에 후미마로 등과 함께 도조 내각 타도를 통한 종전 공작에 관여하여 헌병대의 감시를 받기도 했다. 1945년 패전 후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내각에서 잠시 국무대신으로 임명되어 군부 수습에 힘썼다.

3. 1. 바덴바덴 밀약

독일 주재 무관으로 베를린에 체류하던 시기인 1921년 10월, 육사 동기인 나가타 데쓰잔, 도조 히데키, 오카무라 야스지와 함께 독일 남부의 온천지 바덴바덴에서 회동하였다. 이들은 당시 육군을 장악하고 있던 사쓰마-조슈 파벌(각각 현재 가고시마현, 야마구치현 출신 세력)을 몰아내고 군 개혁을 추진하기 위한 비밀 서약을 맺었는데, 이를 바덴바덴 밀약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 밀약에 참여했던 인물들은 이후 정치적 노선을 달리하게 된다. 오바타는 황도파의 핵심 인물로 부상한 반면, 나가타도조통제파의 중심이 되었다. 특히 만주사변 이후 두 파벌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오바타는 나가타, 도조와 극한 대립 관계에 놓이게 된다.

3. 2. 황도파와 통제파의 갈등

독일 주재 시절이던 1921년 10월, 오바타는 육사 동기인 나가타 데쓰잔, 도조 히데키, 오카무라 야스지와 함께 독일 남부 온천지 바덴=바덴에서 만나 당시 육군 내 사쓰마·조슈 파벌을 제거하기로 비밀리에 서약했다. 이를 '바덴=바덴 밀약'이라고 한다. 이들은 육사 16기 중에서도 뛰어난 인재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황도파의 중심 인물이었던 오바타는 만주사변 이후 통제파였던 나가타, 도조와 노선 차이를 보이며 점차 대립하게 되었다. 1932년 2월, 아라키 사다오 육군대신은 러시아 전문가인 오바타를 참모본부 작전과장으로 다시 기용하는 이례적인 인사를 단행했다. 오바타는 같은 해 4월 소장으로 진급하고 참모본부 제3부장에 취임하며, 아라키의 동지인 마사키 진자부로 참모차장의 신임을 받아 황도파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 참모본부 제2부장이 된 나가타 데쓰잔과는 대소련 및 대중국 전략을 두고 날카로운 대립각을 세웠다. 1933년 6월 육군 전체 막료 회의에서 오바타는 소련에 대한 군사적 준비를 강조했지만, 나가타는 중국을 먼저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격렬하게 맞섰다. 이 논쟁은 황도파와 통제파 사이의 본격적인 갈등의 시작점으로 여겨진다. 결국 같은 해 8월, 오바타는 나가타와 함께 참모본부를 떠나 근위 보병 제1여단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1934년 아라키 육군대신이 사임하고 마사키 진자부로마저 교육총감으로 밀려나면서 황도파는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오바타는 육군대학교 간사와 교장을 역임했지만, 육군 내 파벌 항쟁은 더욱 격화되어 1935년 아이자와 사건으로 나가타가 피살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1936년 2월, 황도파 청년 장교들이 주도한 2.26 사건이 일어나자, 부하 장교가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이유와 감독 책임을 물어 오바타 역시 숙청 대상이 되었다. 같은 해 3월 중장으로 진급했지만, 황도파를 일소하려는 숙군 인사의 일환으로 8월에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이는 참모본부 서무과장 대리였던 도미나가 교지 중좌가 전시 소집 시 우대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스스로 예비역 편입을 신청하게 한 결과였다.

3. 3. 2.26 사건과 예편

1936년 2월 2.26 사건이 발발했을 때, 오바타의 부하였던 육군대학 교관 미쓰이 사키치가 사건에 연루되면서 오바타 또한 감독 책임을 묻게 되었다. 같은 해 3월 중장으로 진급하였으나, 사건 이후 단행된 숙군(肅軍) 인사로 인해 황도파가 대거 정리되면서 오바타 역시 그해 8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이는 참모본부의 도미나가 교지 중좌가 전시 소집 시에는 후대하겠다는 약속을 받고 스스로 예비역 편입을 신청한 결과였다.

이후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현역으로 소집되어 유수 제14사단 사단장에 임명되었으나, 건강상의 문제로 인해 다시 소집 해제되었다.

4. 전술 사상

오바타 도시로는 육군대학교 교장 시절, 전황을 철저히 파악하고 기회를 포착하여 적극적으로 공세를 펼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는 "방어만으로는 적을 굴복시키는 것은 절대로 있을 수 없으며, 공세! 공세! 오직 공세뿐이다."라고 강조하며, 심지어 방어적인 상황에 놓이더라도 공세로 전환할 기회를 끊임없이 찾아야 한다고 가르쳤다.

이러한 그의 적극적인 공세 사상 때문에, 당시 학생들은 육군대학교 간사(부교장 격)였던 오카베 나오사부로와 오바타를 비교하곤 했다. 학생들은 적극적인 오바타와 신중하고 견실한 전술을 선호하는 오카베가 같은 상황에서 사령관이었다면 서로 다른 판단을 내렸을 것이라고 이야기했다고 한다.[3]

5. 종전과 그 이후

1945년 태평양 전쟁이 끝난 후, 오바타 도시로는 항복 문서 조인식에 우메즈 요시지로 육군참모총장의 참석을 촉구한 일화로 알려져 있다. 이후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친왕 내각에서 잠시 국무대신을 맡았으며, 1947년 사망하였다.

5. 1. 항복 문서 조인

1945년 9월 2일, 미국 해군 전함 미주리(BB-63) 선상에서 열린 태평양 전쟁 항복 문서 조인식에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었던 우메즈 요시지로가 참석하기를 주저했다. 이를 본 오바타 도시로는 "이제 와서 패배한 육군에 무슨 면목이 있는가. 항복 조인에 참모총장이 가는 것이 싫다면, 육군 대표로서 내가 가도 좋다"라고 우메즈를 꾸짖었다고 전해진다. 이 말을 들은 우메즈는 결국 조인식 참석을 결정하게 되었다.[4]

5. 2. 전후 활동

1945년 9월 2일 미국 전함 미주리 호 선상에서 열린 태평양 전쟁 항복 조인식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었던 우메즈 요시지로가 참석을 주저하자 "이번에 패한 육군은 무슨 면목이 있나? 항복의 조인에 참모총장이 가는 것을 꺼려하면 육군의 대표로서 내가 가겠다."라고 꾸짖으며 그의 참석을 촉구하였다고 전해진다. 이 일로 우메즈는 조인식에 참석하게 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친왕이 이끄는 내각에서 국무대신을 맡아 전후 수습에 참여하였다. 이후 1947년 1월 10일에 사망하였다.

6. 연보

7. 서훈

(작성할 내용 없음)

7. 1. 위계


7. 2. 훈장



'''외국 훈장 패용 허가'''

참조

[1] 웹사이트 デジタル版 日本人名大辞典+Plus https://kotobank.jp/[...]
[1] 웹사이트 『20世紀日本人名事典』『新訂 政治家人名事典 明治~昭和』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 서적 帝国陸海軍 人事の闇 光人社NF문고
[3] 서적 続・陸軍大学校 芙蓉書房 1978
[4] 문서 作戦の鬼 小畑敏四郎
[5] 웹사이트 小畑敏四郎関係文書 憲政資料室の所蔵資料 https://ndlsearch.nd[...] 국립국회도서관 2020-05-30
[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4-12-17
[7] 간행물 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官報 1918-07-11
[8]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7-11-14
[9]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6-04-18
[10]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4-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