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어족은 일본어와 류큐어로 구성된 언어 집단이다. 일본어는 약 1억 2600만 명이 사용하는 일본의 사실상 국어이며, 류큐어는 류큐 열도에서 사용된다. 일본어족은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이주한 야요이인에 의해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류큐어는 7세기 이전에 일본어와 분화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어족 내에서는 일본어와 류큐어 간의 방언적 차이가 크며, 류큐어는 여러 하위 언어로 나뉜다. 일본어족의 기원과 다른 언어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한국어와의 연관성에 대한 가설이 제시되기도 한다. 일본어족 언어는 음운론, 문법 구조, 어순 등에서 특징을 보이며, 특히 한국어, 아이누어와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 유네스코는 류큐어파 언어를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일본어족 | |
---|---|
언어 정보 | |
이름 | 일본어족 |
다른 이름 | 일본-류큐어족 일본어족 |
지역 | 일본, 과거 한반도 |
분류 | 세계 주요 어족 중 하나 |
조어 | 원시 일본어족 |
하위 언어 | 일본어 류큐어 하치조어 반도 일본어? 이란 크레올 |
ISO 639-5 | jpx |
Glotto 코드 | japo1237 |
Glotto 이름 | 일본어족 |
![]() | |
계통 분류 (논쟁 중) | |
논쟁 | 다른 주요 어족과의 관계는 명확히 알려진 바 없음.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Robbeets, Martine (2017-01-01).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Language Dynamics and Change. 7 (2): 210–251. doi:10.1163/22105832-00702005.' 'Shimabukuro, Moriyo (2007). The accentual history of the Japanese and Ryukyuan languages. Trends in Linguistics. Studies and Monographs 177. Berlin: Mouton de Gruyter.' |
2. 분류
존속하는 일본어족은 일본어와 류큐어의 두 개의 분파로 나뉜다.[2] 대부분의 학자들은 일본어가 기원전 700년에서 300년 사이에 한국반도에서 야요이 문화의 벼농사 농부들에 의해 북부 규슈로 유입되어 일본 열도 전역으로 퍼져나가 토착 언어를 대체했다고 믿는다. 과거 아이누어가 더 넓게 분포했었다는 사실은 북부 혼슈의 지명에서 확인할 수 있다.[2] 다소 늦게, 일본어는 남쪽으로 류큐 열도로도 퍼져나갔다.[2] 현재는 사멸한 일본어가 수 세기 후에도 한국반도의 중부 및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는 단편적인 지명 증거가 있다.
일본과 류큐의 관계는 일류 동조론 등으로 불리며, 이 বিষয়টি 지적하는 사람은 이전부터 있었지만, 근대적인 비교 언어학에 기초한 엄밀한 연구는 핫토리 시로에 의해 시작되었고,[2]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가 일본어와 류큐 제어 사이의 여러 규칙적인 대응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류큐 제도의 언어를 일본어의 한 방언으로 취급하는 견해가 존재한다. 이 경우 류큐 "방언"을 포함하는 "일본어"는 고립된 언어가 된다. 그러나 일본에는 상호 이해 가능성이 없는 언어가 있으며, 전통적인 언어 변종이 최소 수백 개 존재하며, 일본어가 계통적으로 고립되어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최근에는 류큐 열도의 언어가 단순한 방언이 아니라 개별 언어로 인식되게 되었다.
일본·류큐 조어는 먼저 일본 본토와 류큐 열도의 두 어파로 나뉜다고 생각되지만, 하치조어의 역사적 위치는 불명확하다.
여러 학자들에 의해 일본어족의 계통 분류가 이루어졌다. 토마 페라르(Thomas Pellard)는 여러 언어의 공통 혁신에 기반한 계통 분류를 수행했다.[3] 이는 표면적인 유사성에 기반한 분류와는 다르다. 유네스코가 말하는 "구니가미어"라는 계통은 존재하지 않으며, 북부 류큐어군은 둘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한다. 이가라시 요스케(五十嵐)는 공통 개혁에 기초한 계통 분류를 실시하여 류큐 제어는 남부 큐슈의 언어와 동계통이고, 하치조어는 이토이가와·하마나 호선 이동의 언어와 동계통이며, "본토 일본어파" 혹은 "일본어파"라는 분류군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4] 펠라르는 이 "남부 일본어파" 가설에 대해 "그 가능성은 충분히 있으며,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라고 평가한 뒤, 근거가 충분하지 않고, 그 중 일부는 류큐 조어가 큐슈에서 기층 언어였다면 설명할 수 있다고 했다. 엘리자베스 데 부어(Elisabeth de Boer)는 억양을 중시한 계통 분류를 제시했지만, 억양은 규칙적인 변화를 나타내므로 계통 관계 추정 근거로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2. 1. 일본어파
일본에서 사용되는 현대 일본어 방언은 일반적으로 동일본 방언, 서일본 방언, 규슈 방언으로 분류된다.[6]구분 | 내용 |
---|---|
동일본 방언 | 현대 표준 도쿄 방언을 포함하여 나고야 동쪽 대부분의 방언을 포함한다. |
서일본 방언 | 교토 방언을 포함하여 나고야 서쪽 대부분의 방언을 포함한다. |
규슈 방언 | 규슈 섬에서 사용되며,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에서 사용되는 가고시마 방언(사쓰구 방언)을 포함한다. |
나라와 교토의 초기 수도는 서부 지역에 위치해 있었고, 그들의 간사이 방언은 1603년 수도가 에도(현대 도쿄)로 이전된 후에도 오랫동안 위상과 영향력을 유지했다. 실제로, 도쿄 방언은 다른 동부 방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몇 가지 서부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6]
하치조어는 하치조 섬과 다이토 제도, 아오가시마 촌을 포함하여 사용되며, 매우 다양하고 이질적이다. 동부 고대 일본어에서 물려받은 보수적 특징과 현대 일본어의 영향을 혼합하고 있어 분류하기 어렵다.[6] 유네스코는 일본어와 하치조어 사이에 의사 소통이 불가능하여 개별 언어로 처리하고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하였다.[6]
2. 2. 류큐어파
류큐어는 아마미어, 오키나와어, 구니가미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 등으로 나뉜다.[7] 류큐어파에 속하는 이 6개 언어는 모두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되었다.[7] 류큐어를 일본어의 방언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2] 현대 언어학에서는 별개의 언어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북부 류큐어는 아마미 제도와 오키나와 제도를 포함한 열도의 북부에서 사용된다. 주요 변이는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다음과 같다.[4]
- 기카이는 기카이 섬에서 사용된다.
- 아마미 오시마 북부는 아마미 오시마의 대부분에서 사용된다.
- 아마미 오시마 남부는 아마미 오시마 남쪽 끝의 세토우치정에서 사용된다.
- 토쿠노시마는 토쿠노시마 섬에서 사용된다.
- 오키노에라부는 오키노에라부지마 섬에서 사용된다.
- 요론은 요론지마 섬에서 사용된다.
- 구니가미 또는 북부 오키나와 방언은 나키진과 나고시를 포함한 오키나와 섬 북부에서 사용된다.
- (중부) 오키나와는 오키나와 섬의 중부 및 남부와 인근 섬에서 사용된다. 주요 방언은 나하시, 그리고 옛 슈리에서 사용된다.
남부 류큐어는 사키시마 제도를 포함한 열도의 남부에서 사용된다.
- 미야코는 미야코 제도에서 사용되며, 이라부 섬과 타라마 촌에 방언이 있다.
- 야에야마는 야에야마 제도 (요나구니 제외)에서 사용되며, 각 섬에 방언이 있지만 주로 이시가키 섬, 이리오모테 섬, 타케토미 섬에서 사용된다.
- 요나구니는 요나구니 섬에서 사용된다.
2. 3. 페라르(Pellard)의 분류
토마 페라르는 여러 언어의 공통 혁신에 기반한 계통 분류를 수행했다.[3] 이는 표면적인 유사성에 기반한 분류와는 성질이 다르다. 유네스코가 말하는 "구니가미어"라는 계통은 존재하지 않으며, 북부 류큐어군은 둘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한다.페라르 (2015, 2021)에 따른 계통 분기는 다음과 같다.
:* 일본·류큐어족
::* 일본어
::* 하치조어?
::* 류큐어
:::* 북부 류큐
::::* 아마미어
::::* 오키나와어
:::* 남부 류큐
::::* 미야코어
::::* 광역 야에야마
:::::* 야에야마어
:::::* 요나구니어
2. 4. 이가라시(五十嵐)의 분류
이가라시 요스케는 공통 개혁에 기초한 계통 분류를 실시하여 류큐 제어가 남부 큐슈의 언어와 동계통이고, 하치조어는 이토이가와·하마나 호선 이동의 언어와 동계통이며, "본토 일본어파" 혹은 "일본어파"라는 분류군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4] 펠라르는 이 "남부 일본어파" 가설에 대해 "그 가능성은 충분히 있으며,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라고 평가한 뒤, 근거가 충분하지 않고, 그 중 일부는 류큐 조어가 큐슈에서 기층 언어였다면 설명할 수 있다고 했다.[4]; 이가라시 (2021)에 의한 계통 분기
: 일본·류큐어족
:* 확대 동일본어파
:** 아이치현, 기후현의 언어
:** 핵심 동일본어군 (이토이가와·하마나 호선 이동)
:*** 니가타현 가미에쓰 지방, 나가노현, 야마나시현, 시즈오카현, 관동 지방 서부, 이즈 제도의 언어
:*** 확대 도호쿠어군
: 이바라키현, 도치기현의 언어
: 핵심 도호쿠어군 (니가타현 시모에쓰, 도호쿠 지방)
:* 기타 (중국·시코쿠·긴키·호쿠리쿠)
:* 남부 일본어파
:** 북부 큐슈어 (후쿠오카현 지쿠젠·부젠, 오이타현)
:** 동서 남부 큐슈·류큐어군
:*** 동부 큐슈어 (미야자키현 대부분)
:*** 서남부 큐슈·류큐어군
: 서부 큐슈어 (후쿠오카현 지쿠고, 나가사키현, 사가현, 구마모토현)
: 남부 큐슈·류큐어군
:* 남부 큐슈어
:* 류큐어군
:** 북류큐어군
:** 남류큐어군
2. 5. Boer의 분류
엘리자베스 데 부어(Elisabeth de Boer)는 류큐어를 규슈-류큐 분과의 하위 분파로 포함하는 일본어족 분류를 제시했다.[4]그녀는 이즈모 방언 (혼슈 서부 북부 해안에서 사용)과 도호쿠 방언 (혼슈 북부)을 묶어 하나의 분파로 제안했는데, 이들 방언이 해상 접촉으로 인해 음성 억양에서 유사한 발달을 보인다고 설명한다.[4]
de Boer의 계통 분류는 억양을 중시했지만, 억양은 규칙적인 변화를 나타내므로 계통 관계 추정 근거로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de Boer (2020)의 일본어족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일본 류큐어족 |
---|
이즈모·도호쿠 |
규슈·류큐 열도 |
2. 6. 반도 일본어
반도 일본어는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다고 추정되는 가설적인 일본어족의 고대 분파이다. 반도 일본어를 쓰던 야요이인이 기원전 10세기경부터 일본열도로 진출해 기원전 3세기에 일본 열도의 토착민족이었던 조몬인과 융화되며 간토 서쪽 지역을 모두 일본어 사용 지역으로 만들면서 열도 일본어로 분화되었다.[6] 그러나 일본 열도로 이주하지 않고 한반도에 남아있던 야요이인과 그들이 쓰던 반도 일본어는 기원전 4세기경을 기점으로 요동 및 요서 지방에서 도래한 한국어족 화자에 의해 정복당해 기원후 7세기쯤 완전히 동화되어 사멸하였다.[6]3. 역사
일본어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에 따르면, 일본어족 화자(야요이인)는 기원전 700년~300년경에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이주하여 열도 선주 언어(조몬어)를 대체했다.[5]
고대에 일본어족과 계통적으로 관련 있는 언어가 한반도에서도 사용되었다는 설이 여러 학자로부터 제창되고 있다. 이러한 설에 따르면, 고대 만주 남부에서 한반도 북부에 걸친 지역에서 확립된 한국어족에 속하는 언어 집단이 북방에서 남방으로 확대되어, 당시 한반도 중부에서 남부에 존재했던 일본어족의 집단을 대체했다. 이 과정에서 남쪽으로 밀려나는 형태가 된 일본어족 화자 집단이 야요이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존 휘트먼과 미야모토 가즈오는 산둥반도에서 한반도 남부로 이주한 일본어족 화자가 무문 토기 문화의 담당자가 되어, 무문 토기 시대 말까지 존속했고, 그 후 비파형 동검의 사용에 대표되는 한반도 청동기 시대에 한국어 화자로 대체되었다고 한다. 알렉산더 보빈은 한반도의 삼국 시대에 고구려에서 기마 민족이었던 한국어족 화자가 남하하여, 농경 민족인 일본어족 화자는 동화되거나 일본 열도로 이주했지만, 이는 수 세기에 걸친 과정이었다고 한다. 유하 얀후넨은 일본어족 조어가 먼저 시나-티베트어족의 영향을 받았고, 그 장소는 산둥반도나 장강 삼각주가 아닐까 추정했다. 그 후, 한반도로 이동한 후 "알타이어화"되어 일본 열도로 들어갔다고 한다. 마틴 로베츠는 기원전 6~5천년기 이후에 산둥반도의 다원커우 문화 등과 교류가 있었던 요동반도의 허우와 유적의 문화가 일본어족 조어가 아닐까 추정했다.
일본·류큐 조어는 먼저 일본 본토와 류큐 열도의 두 어파로 나뉜다고 추정된다.[3] 그러나 하치조어의 역사적 위치는 불명확하다.[3]
일본·류큐 조어의 모음 체계에는 , , , , , 를 재구축하는 6모음설이 유력하다.[6][7] 일본어의 탁음은 비음 + 저해음의 자음 연속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6][7]
3. 1. 기원 및 원향
일본어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일본어족 화자(야요이인)가 기원전 700년~300년경에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이주하여 최종적으로 열도 선주 언어(조몬어)를 대체했다는 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5]고대에 일본어족과 계통적으로 관련 있는 언어가 한반도에서도 사용되었다는 설이 여러 학자로부터 제창되고 있다. 이러한 설에 따르면, 고대 만주 남부에서 한반도 북부에 걸친 지역에서 확립된 한국어족에 속하는 언어 집단이 북방에서 남방으로 확대되어, 당시 한반도 중부에서 남부에 존재했던 일본어족의 집단을 대체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남쪽으로 밀려나는 형태가 된 일본어족 화자 집단이 야요이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존 휘트먼과 미야모토 가즈오는 산둥반도에서 한반도 남부로 이주한 일본어족 화자가 무문 토기 문화의 담당자가 되어, 무문 토기 시대 말까지 존속했고, 그 후 비파형 동검의 사용에 대표되는 한반도 청동기 시대에 한국어 화자로 대체되었다고 한다.
알렉산더 보빈은 한반도의 삼국 시대에 고구려에서 기마 민족이었던 한국어족 화자가 남하하여, 농경 민족인 일본어족 화자는 동화되거나 일본 열도로 이주했지만, 이는 수 세기에 걸친 과정이었다고 한다.
유하 얀후넨은 일본어족 조어가 먼저 시나-티베트어족의 영향을 받았고, 그 장소는 산둥반도나 장강 삼각주가 아닐까 추정했다. 그 후, 한반도로 이동한 후 "알타이어화"되어 일본 열도로 들어갔다고 한다.
마틴 로베츠는 기원전 6~5천년기 이후에 산둥반도의 다원커우 문화 등과 교류가 있었던 요동반도의 허우와 유적의 문화가 일본어족 조어가 아닐까 추정했다.
3. 2. 분기와 이후
일본·류큐 조어는 먼저 일본 본토와 류큐 열도의 두 어파로 나뉜다고 추정된다.[3] 그러나 하치조어의 역사적 위치는 불명확하다.[3]토마 페라르는 여러 언어의 공통 혁신에 기반한 계통 분류를 수행했는데,[3] 이는 표면적인 유사성에 기반한 분류와는 다르다. 그는 유네스코가 "구니가미어"라고 칭하는 계통은 존재하지 않으며, 북부 류큐어군은 둘로 분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페라르 (2015, 2021)에 따른 계통 분기는 다음과 같다.
아마미어
오키나와어
- ** 남부 류큐
미야코어
광역 야에야마
* 야에야마어
* 요나구니어
3. 3. 일본·류큐 조어
일본·류큐 조어의 모음 체계에는 , , , , , 를 재구축하는 6모음설이 유력하다.[6][7] 상대 특수 가명遣에서 (오단 을류)는 로 거슬러 올라간다. 상대 일본어, 류큐 조어, 상대 동국 방언 등과의 비교를 통해, 일본·류큐 조어의 와 의 일부는 상대 일본어(중앙어)에서 각각 와 로 합류한 것으로 보인다.[6][7] 상대 일본어에는 아마/아메을(雨), 우하/우헤을(上)와 같이 와 (에단 을류)의 모음 교체가 다수 존재하며, 의 유래로서 가 재구축된다. 마찬가지로 (이단 을류)의 유래로서 , , 와 같은 이중 모음도 재구축된다.[6][7]일본·류큐 조어의 자음에는 , , , , , , , , 가 재구축된다.[6] 일본어의 탁음은 비음 + 저해음의 자음 연속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6][7]
4. 외부 관계
핫토리 시로에 따르면, 일본어는 다른 언어족과의 연관성을 시도하는 시도가 다른 어떤 언어보다 많았다. 그러나 일본어족과 다른 어떤 언어족 사이의 공통 조상을 입증하는 데 성공한 것은 없다.
가장 체계적인 비교는 일본어족 언어와 매우 유사한 문법 구조를 가진 한국어와 관련되어 있다. 새뮤얼 엘모 마틴, 존 휘트먼 등은 수백 개의 가능한 동족어를 소리 대응과 함께 제시했다. 그러나 알렉산더 보빈은 고대 일본어에 의미가 유사한 단어 쌍이 여러 개 있는데, 그 중 하나의 단어가 한국어 형태와 일치하고 다른 하나는 류큐어 및 동부 고대 일본어에서도 발견되어 전자가 한국어에서 차용한 초기 차용어임을 시사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러한 초기 차용어를 제거하기 위해 남부 류큐어 또는 동부 고대 일본어에서도 증명되지 않는 한 고대 일본어 형태소에 일본어족 기원을 부여해서는 안 된다고 제안한다. 이 절차에 따르면 12개 미만의 가능한 동족어가 남는데, 이는 한반도 일본어에서 한국어로 차용되었을 수 있다.[2]
5. 유형론
대부분의 일본어족 언어는 유성음 대립을 파열음에서 보이며, 오가미 방언은 예외이다.[1] 파열음화 자음은 북부 류큐어에서 흔하지만, 남부 류큐어에서는 드물다.[2][3]
원시 일본어족은 아이누어와 원시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무성 파열음만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어족 언어는 또한 단일 유동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아이누어 및 현대 한국어와 유사하다.[4]
표준 일본어는 , , , 및 와 같은 5모음 체계를 갖지만, 일부 류큐어에는 중모음 와 가 있으며, 요나구니어에는 , , 만 존재한다.[5][6]
대부분의 일본어족 언어에서 등시성에 따른 모라를 기준으로 말의 리듬이 형성된다.[7] 각 음절은 (C)V 형태의 기본 모라를 가지지만, 비음 종성, 자음 중복, 또는 장모음은 추가 모라로 간주된다. 그러나 혼슈 북부 또는 규슈 남부의 일부 방언은 음절 기반 리듬을 가진다.
아이누어, 중세 한국어, 그리고 일부 현대 한국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일본어족은 어휘 강세를 가지며, 단어의 모라가 높게 또는 낮게 발음되는지를 결정하지만, 매우 다양한 패턴을 따른다. 도쿄형 체계에서 단어의 기본 음높이는 높으며, 강세(있는 경우)는 낮은 음높이로 떨어지는 위치를 나타낸다. 규슈 방언에서는 기본 음높이가 낮고, 강세가 있는 음절은 높은 음높이를 갖는다. 교토형 체계에서는 두 가지 유형이 모두 사용된다.
일본어족 언어는 다시 아이누어 및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좌분지 구조(또는 머리말 구조)를 가지며, 기본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명사 앞에 수식어, 그리고 후치사를 사용한다. 광범위한 굴절 형태론을 가진 동사와 교착어 접사 형태론을 가진 명사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있다. 류큐어는 모든 형용사를 동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굴절시키는 반면, 본토 방언은 명사와 동사로 각각 굴절되는 형용사 부류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일본어족 언어는 단수와 복수 문법적 수를 표시하지만, 일부 북부 류큐어는 쌍수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류큐어는 복수(또는 쌍수) 1인칭 대명사에서 포괄성 구분을 표시하지만, 본토 방언에서는 그렇지 않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통사론적 정렬은 주격-대격 정렬이지만, 중립(또는 직접), 능격-상태 정렬 및 (매우 드물게) 삼분 정렬이 일부 일본어족 언어에서 발견된다.
참조
[1]
논문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https://brill.com/vi[...]
2017-01-01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서적
日本語の起源と消滅危機言語
https://www.academia[...]
[6]
웹사이트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홈페이지에서 Hachijō 검색
http://www.unesco.or[...]
[7]
웹사이트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홈페이지에서 Amami, Okinawa, Miyako, Yaeyama, Yonaguni 검색
http://www.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