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약 2억 3천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들의 어파로,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순다어, 자와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오세아니아어군, 필리핀어군 등이 속하며,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공용어 또는 토착 언어로 사용된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과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필리핀어군, 오세아니아어군 등 하위 분류군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
---|---|
지도 | |
언어 정보 | |
이름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로마자 표기 | Malayo-Polynesian |
주요 사용 지역 |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태평양, 마다가스카르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조어 |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
ISO 639-5 | poz |
Glottolog | mala1545 |
Glottolog 명칭 | Malayo-Polynesian |
하위 어파 | |
서부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바리토어군 셀레베스어군 북서 수마트라-바리어 제도어군 말레이-숨바와어군 필리핀어군 남술라웨시어군 자바어 차모로어 팔라우어 대북보르네오어군 |
중부-동부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중부-동부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주요 하위 언어군 (한국어 위키 기준) | |
언어군 | 필리핀어군 사마-바자우어군 보르네오어군 중핵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2. 주요 언어
핵심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은 약 2억 3천만 명이 사용하며 말레이어(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 순다어, 자와어, 부기어, 발리어, 아체어가 포함된다. 또한 톨라이어, 키리바시어, 피지어, 그리고 하와이어, 마오리어, 사모아어, 타히티어, 통가어가 속하는 폴리네시아어군을 포괄하는 오세아니아어군도 포함된다. 말레이어는 싱가포르와 브루나이의 토착 공용어이기도 하다.
필리핀어군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내에서 가장 언어학적으로 고형(古形)인 분기군으로, 타이완의 란위섬, 필리핀 제도 전체, 인도네시아의 술라웨시 북부에서 약 1억 명이 사용한다. 필리핀어군에는 타갈로그어(필리핀어), 세부어, 일로코어, 힐리가이논어, 중부 비콜어, 와라이어, 카팜팡안어 등 각각 3백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들을 포함한다.
모든 주요 오스트로네시아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한다. 화자 수가 500만 명이 넘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는 다음과 같다: 인도네시아어, 자바어, 순다어, 타갈로그어, 말라가시어, 말레이어, 세부아노어, 마두라어, 일로카노어, 힐리가이논어, 미낭카바우어.
나머지 1,000개가 넘는 언어 중에는 여러 국가/공용어 지위를 가진 언어가 있다. 예를 들어, 통가어, 사모아어, 마오리어, 길버트어, 피지어, 하와이어, 팔라우어, 차모로어 등이 있다.
2. 1. 인도네시아어군
핵심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은 약 2억 3천만 명이 사용하며 말레이어(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 순다어, 자와어, 부기어, 발리어, 아체어가 포함된다. 말레이어는 싱가포르와 브루나이의 토착 공용어이기도 하다.2. 2. 필리핀어군
필리핀어군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내에서 언어학적으로 가장 오래된 분기군으로, 타이완의 란위섬, 필리핀 제도 전체, 인도네시아의 술라웨시 북부에서 약 1억 명이 사용한다.[8][9] 타갈로그어(필리핀어), 세부어, 일로코어, 힐리가이논어, 중부 비콜어, 와라이어, 카팜팡안어 등 각각 3백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들을 포함한다. 필리핀 제어군이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로버트 블러스트(Robert Blust) 등 많은 학자들은 필리핀과 술라웨시 북부의 언어들을 포함하는 계통 발생적 하위 그룹을 지지하지만, 레이드(2018)는 단일 필리핀 하위 그룹 가설을 거부하고, 필리핀 어파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직접 유래한 1차 하위 그룹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2. 3. 기타
핵심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은 약 2억 3천만 명이 사용하며 말레이어(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 순다어, 자와어, 부기어, 발리어, 아체어가 포함된다. 또한 톨라이어, 키리바시어, 피지어, 그리고 하와이어, 마오리어, 사모아어, 타히티어, 통가어가 속하는 폴리네시아어군을 포괄하는 오세아니아어군도 포함된다. 말레이어는 싱가포르와 브루나이의 토착 공용어이기도 하다.필리핀어군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내에서 가장 언어학적으로 고형(古形)인 분기군으로, 타이완의 란위섬, 필리핀 제도 전체, 인도네시아의 술라웨시 북부에서 약 1억 명이 사용한다.
3. 분류
로버트 블러스트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가 크게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과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의 두 어군으로 나뉜다고 주장했다.[17]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은 하위 분류군으로 널리 인정받으나, 계통적으로 유효한 분기군인지에 대해서는 반론이 제기된 바 있다.[18][19] 반면,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은 현재 (블러스트 자신을 포함해) 일반적으로 계통적인 관계가 없는 포괄적 용어로 여긴다.[20]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e96ade0_a745b37a.svg|섬네일|right|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주요 분류.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하단의 세 어군은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4818ff8_27f358a6.svg|섬네일|right|오세아니아어군
]]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가설이 맞다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군들로 나뉜다.[20]
- 필리핀어군
- * 바탄어군
- * 북루손어군
- * 중앙루손어군
- * 북민도로어군
- *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 * 칼라미안어군
- * 남민다나오어군
- * 상이르어군
- * 미나하사어군
- * 우미라이 두마게트어
- * 마니데이나그타어군
- * 아티어
- 사마바자우어군
- 북보르네오어군
- * 북동사바어군
- * 남서사바어군
- * 북서라왁어군
- 카얀무릭어군
- 육지다약어군
- 바리토어군 (말라가시어 포함)
- 모클렌어군
- 말레이참어군
- * 말레이어군
- * 참어군
-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아마도 엥가노어 포함)
- 르장어
- 람풍어
- 순다어
- 자와어
- 마두라어
- 발리사삭숨바와어군
- 술라웨시어군
- 남술라웨시어군
- 팔라우어
- 차모로어
-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중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 숨바플로레스어군
- ** 플로레스름바타어군
- ** 셀라루어군
- ** 케이타님바르어군
- ** 아루어군
- ** 중앙말루쿠어군
- ** 티모르어군 (또는 티모르바바르어군)
- ** 코위아이어
- ** 테오르쿠르어
- *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
- ** 오세아니아어군 (약 450개 언어)
최근 "재발견된" 수마트라의 나살어는 계통 상의 위치가 아직 불확실하지만, 어휘와 음운 변천사의 특징 대부분이 람풍어나 르장어 중 하나와 비슷하다.[21]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은 동대만어파와 여러 가지 음운 및 어휘 혁신을 공유한다.[1] 예를 들어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t, *C가 /t/로, *n, *N이 /n/으로 각각 합류했고, *S가 /h/로 대체되었다.[1] 또한 *lima '다섯'과 같이 다른 대만 제어에서 발견되지 않는 어휘 항목이 존재한다.[1]
그러나 원오스트로네시아어 *t, *C가 /t/로 합쳐진 점과 같은 몇몇 특징을 동부 대만어족과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을 대만의 주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분파 중 하나와 연결하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1]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수는 많지만 규모가 작은 지역별 언어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널리 인정받는 대규모 분기군은 오세아니아어군뿐이다.[17] 오세아니아조어는 음운, 어휘, 형태론, 통사론 등 모든 측면에서 재구된 상태이다.[17]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내의 다른 대규모 분기군은 모두 논란의 대상이다.[17]
3. 1. 대만 제어와의 관계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들은 동대만어파와 여러 가지 음운 및 어휘 혁신을 공유한다.[1] 예를 들어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t, *C가 /t/로, *n, *N이 /n/으로 각각 합류했고, *S가 /h/로 대체되었다.[1] 또한 *lima '다섯'과 같이 다른 대만 제어에서 발견되지 않는 어휘 항목이 존재한다.[1]그러나 원오스트로네시아어 *t, *C가 /t/로 합쳐진 점과 같은 몇몇 특징을 동부 대만어족과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을 대만의 주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분파 중 하나와 연결하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1]
3. 2. 주요 분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여러 개의 소규모 지역별 언어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널리 인정받는 대규모 분기군은 오세아니아어군뿐이다.[17] 오세아니아조어는 음운, 어휘, 형태론, 통사론 등 모든 측면에서 재구된 상태이다.[17]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내의 다른 대규모 분기군은 모두 논란의 대상이다.[[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e96ade0_a745b37a.svg|섬네일|right|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주요 분류.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하단의 세 어군은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4818ff8_27f358a6.svg|섬네일|right|오세아니아어군
]]
로버트 블러스트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가 크게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과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의 두 어군으로 나뉜다고 주장했다.[17]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은 하위 분류군으로 널리 인정받으나, 계통적으로 유효한 분기군인지에 대해서는 반론이 제기된 바 있다.[18][19] 반면,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은 현재 (블러스트 자신을 포함해) 일반적으로 계통적인 관계가 없는 포괄적 용어로 여긴다.[20]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가설이 맞다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군들로 나뉜다.[20]
- 필리핀어군
- * 바탄어군
- * 북루손어군
- * 중앙루손어군
- * 북민도로어군
- *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 * 칼라미안어군
- * 남민다나오어군
- * 상이르어군
- * 미나하사어군
- * 우미라이 두마게트어
- * 마니데이나그타어군
- * 아티어
- 사마바자우어군
- 북보르네오어군
- * 북동사바어군
- * 남서사바어군
- * 북서라왁어군
- 카얀무릭어군
- 육지다약어군
- 바리토어군 (말라가시어 포함)
- 모클렌어군
- 말레이참어군
- * 말레이어군
- * 참어군
-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아마도 엥가노어 포함)
- 르장어
- 람풍어
- 순다어
- 자와어
- 마두라어
- 발리사삭숨바와어군
- 술라웨시어군
- 남술라웨시어군
- 팔라우어
- 차모로어
-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중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 숨바플로레스어군
- ** 플로레스름바타어군
- ** 셀라루어군
- ** 케이타님바르어군
- ** 아루어군
- ** 중앙말루쿠어군
- ** 티모르어군 (또는 티모르바바르어군)
- ** 코위아이어
- ** 테오르쿠르어
- *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
- ** 오세아니아어군 (약 450개 언어)
최근 "재발견된" 수마트라의 나살어는 계통 상의 위치가 아직 불확실하지만, 어휘와 음운 변천사의 특징 대부분이 람풍어나 르장어 중 하나와 비슷하다.[21]
3. 3. 기타 분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수는 많지만 규모가 작은 지역별 언어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널리 인정받는 대규모 분기군은 오세아니아어군뿐이다.[17] 오세아니아조어는 음운, 어휘, 형태론, 통사론 등 모든 측면에서 재구된 상태이다.[17]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내의 다른 대규모 분기군은 모두 논란의 대상이다.[17]로버트 블러스트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를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과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으로 나누는 분류를 제안했다.[17]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은 하위 분류군으로 널리 인정받지만, 계통적 유효성에 대해서는 반론이 제기되었다.[18][19]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은 현재 계통적 관계가 없는 포괄적 용어로 여겨진다.[20]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가설에 따른 하위 분류군은 다음과 같다.[20]
- 필리핀어군
- * 바탄어군
- * 북루손어군
- * 중앙루손어군
- * 북민도로어군
- *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 * 칼라미안어군
- * 남민다나오어군
- * 상이르어군
- * 미나하사어군
- * 우미라이 두마게트어
- * 마니데이나그타어군
- * 아티어
- 사마바자우어군
- 북보르네오어군
- * 북동사바어군
- * 남서사바어군
- * 북서라왁어군
- 카얀무릭어군
- 육지다약어군
- 바리토어군 (말라가시어 포함)
- 모클렌어군
- 말레이참어군
- * 말레이어군
- * 참어군
-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아마도 엥가노어 포함)
- 르장어
- 람풍어
- 순다어
- 자와어
- 마두라어
- 발리사삭숨바와어군
- 술라웨시어군
- 남술라웨시어군
- 팔라우어
- 차모로어
-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중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 숨바플로레스어군
- ** 플로레스름바타어군
- ** 셀라루어군
- ** 케이타님바르어군
- ** 아루어군
- ** 중앙말루쿠어군
- ** 티모르어군 (또는 티모르바바르어군)
- ** 코위아이어
- ** 테오르쿠르어
- *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 **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
- ** 오세아니아어군 (약 450개 언어)
최근 발견된 수마트라섬의 나살어는 람풍어나 르장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21]
참조
[1]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
논문
Central and Central-Eastern Malayo-Polynesian
https://www.jstor.or[...]
[3]
서적
Some current issues in Austronesian linguistics
Mouton de Gruyter
[4]
논문
Yet More on the Position of the Languages of Eastern Indonesia and East Timor
https://www.jstor.or[...]
[5]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6]
간행물
The Improbable Language: Survey Report on the Nasal Language of Bengkulu, Sumatra
http://www.sil.org/r[...]
SIL International
[7]
논문
The Position of Enggano within Austronesian
[8]
논문
The Resurrection of Proto-Philippines
[9]
서적
Modeling the linguistic situation in the Philippines
https://minpaku.repo[...]
Minpaku
[10]
서적
The position of Chamorro and Palauan in the Austronesian family tree: evidence from verb morphosyntax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1]
논문
Malayo-Sumbawan
https://www.jstor.or[...]
[12]
논문
The Greater North Borneo Hypothesis
[13]
논문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14]
박사학위논문
The Languages of Borneo: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15]
논문
The Barito Linkage Hypothesis, with a Note on the Position of Basap
http://hdl.handle.ne[...]
[16]
웹사이트
http://ph.access-a.n[...]
[17]
논문
Central and Central-Eastern Malayo-Polynesian
https://www.jstor.or[...]
[18]
서적
Some current issues in Austronesian linguistics
Mouton de Gruyter
[19]
논문
Yet More on the Position of the Languages of Eastern Indonesia and East Timor
https://www.jstor.or[...]
[20]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21]
간행물
The Improbable Language: Survey Report on the Nasal Language of Bengkulu, Sumatra
http://www.sil.org/r[...]
SIL Inter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