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오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오쿠는 에도 시대 쇼군(일본의 무사 정권)의 거처인 에도 성 내부에 있던 여성들의 공간을 의미한다. 오오쿠는 호칭, 규칙, 구조의 변화를 겪으며 발전했고, 막부 말기에는 정치적 문제와 연관되어 종말을 맞이했다. 오오쿠는 크게 히로시키무키, 나가쓰보네무키, 고텐무키로 구분되었으며, 여성들의 신분과 역할에 따라 다양한 직책이 존재했다. 오오쿠의 예산은 막부 재정의 일부를 차지했으며, 많은 여성들이 오오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68년 에도 성이 메이지 정부에 넘어가면서 오오쿠는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오쿠 - 오토시요리
오토시요리는 에도 시대 오오쿠에서 오쿠조츄 중 서열 2위로, 오오쿠의 모든 일을 지휘하는 최고 권력자로서 쇼군 소속과 미다이도코로 소속으로 나뉘어 쇼군의 밤시중 관리 및 자녀 양육과 교육을 담당하는 중요한 직책이었다. - 오오쿠 - 루스이
루스이는 에도 시대에 번에서 선발되어 번저 관리 및 막부와의 소통을 담당한 가신으로, 막부는 그들의 활동을 경계하면서도 역할을 인정하였으며, 막부 또한 루스이를 두어 오오쿠 단속 및 쇼군 부재 시 에도성 방어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했다. - 일본 봉건제 - 무사도
무사도는 중세 일본에서 시작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사무라이의 윤리 및 생활 방식으로, 진실성, 충성, 명예 등을 중시하며 선종, 유교 등의 영향을 받아 체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일본 봉건제 - 막번체제
막번체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열고 다이묘를 통제하며 쇄국정책, 신분제도, 산킨코타이 등의 정책으로 막부의 권위를 유지한 약 260년간의 일본 통치 체제이다. - 에도성 - 신바시
신바시는 1604년 다리 건설에서 유래한 "새로운 다리"라는 뜻의 지명을 가진 도쿄도 미나토구의 지역으로, 일본 최초 철도 종착역 개설 이후 교통과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경제 중심지이자 다양한 철도 노선이 연결된 곳이며 게이타운으로서의 특징도 지닌다. - 에도성 - 기타노마루 공원
기타노마루 공원은 도쿄 황궁 외곽에 위치한 국립 공원으로, 과거 에도 성 북쪽 성곽이자 다이칸들의 저택이었던 곳으로, 현재는 환경성이 관리하며 문화 시설, 역사 유적, 그리고 풍부한 자연 생태계를 포함하고 있다.
오오쿠 | |
---|---|
개요 | |
유형 | 에도 시대의 에도 성 내부에 있던 쇼군의 공식 부인과 여성들이 거주하던 공간 |
별칭 | 여자들의 성 |
주요 역할 | 쇼군의 가족과 여성들의 거주 공간 쇼군의 사적인 공간 관리 정치적 영향력 행사 |
구성원 | |
주요 구성원 | 미다이도코로(쇼군의 정실) 오쿠녀중(에도 성에서 일하는 여성) |
출입 가능 인물 | 제한적인 남성 (의사, 이발사 등) |
출입 제한 | 일반 하타모토(쇼군 직속 가신) 초닌(상인, 수공업자) 로주(에도 막부의 중진) |
특징 | |
역할 | 쇼군의 자녀 양육 쇼군의 건강 관리 막부의 재정 관리 |
권력 | 막부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 |
남성 출입 제한 | 외부 남성의 출입이 엄격히 금지된 구역 |
역사적 맥락 | |
존속 시기 | 에도 시대 |
폐지 | 메이지 유신 이후 |
현재 | 고쿄의 일부 |
관련 용어 | |
관련 인물 | 쇼군, 미다이도코로, 오쿠녀중 |
관련 장소 | 에도 성 |
2. 연혁
무가의 저택에서는 의례나 정치를 위한 공간인 "표(表)"와 일상생활 공간인 "오쿠(奥)" 구분이 근세 이전에 이미 존재했다.[8] 그러나 '오오쿠(大奥)'라는 명칭은 에도 성에 처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겐나 4년(1618년)의 "벽서(壁書)"나 겐나 9년(1623년)의 "고다이쇼호도(御台所法度)"에서는 "오쿠가타(奥方)"나 "오쿠(奥)"와 같은 명칭이 사용되었다. 간에이 14년(1637년)의 "고혼마루고오쿠가타고에즈(御本丸御奥方御絵図)"에서는 "고오쿠가타(御奥方)"라고 불렸다.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츠나(徳川家綱) 시대에 "오오쿠(大奥)"라는 명칭이 등장하기 시작하여, 5대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徳川綱吉) 시대에 정착되었다. 이는 정쿄 원년(1684년) 다이로 호리타 마사토시(堀田正俊)가 와카네기리 이나바 마사야스(稲葉正休)에게 살해된 사건으로 표와 오쿠의 경계가 명확해진 것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된다.
오오쿠와 궁녀(奥女中)에 대한 규칙은 「벽서」 이후 쇼군이 바뀔 때마다 확인 및 개정되었다.[9] 남성 출입이 금지된 곳은 장국(長局) 안쪽이었다. 간분(寛文) 10년(1670년)에는 「궁녀법도(女中法度)」,「로쥬련서조목(老中連署条目)」이 제정되었다. 교호(享保) 6년(1721년)의 「궁녀법도」에서는 서신 왕래, 숙하가리(宿下がり, 일시 귀가) 등에 대한 조항이 추가되었다.
오오쿠 구조는 화재로 인한 소실과 재건을 거치며 변화했다. 6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 시대까지 노인과 측실 거처가 고덴(御殿) 주변에 산재해 있었다. 이후 측실들은 여중으로서 쵸큐(長局)에 거주하게 된다. 9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 시대에 오스즈 로카(御鈴廊下)가 2개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본마루 고덴(本丸御殿)은 총 5번 소실되었으며, 분큐 3년(1863년) 소실 이후 재건되지 않았다.
에도 막부 말기에는 정치 문제가 오오쿠에 파급되었다. 홍화 3년(1846년) 미토 번 전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조로오토시요리아네가코지에게 편지를 보냈다. 안세이기의 쇼군 계승 문제에서 난키파와 히토쓰바시파가 오오쿠 공작을 행하여 정쟁을 전개했다.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14대 쇼군이 된 후에는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 등에 의해 황녀 강하가 모의되었다.
게이오 4년(1868년) 도바·후시미 전투 패배 후, 덴쇼인과 세이칸인노미야는 각각 사쓰마 번과 조정에 탄원서를 보냈다.[10][11] 오오쿠는 막부 창설 이래 처음으로 도쿠가와가에 대한 고촉(御触)을 발령했다. 같은 해 4월, 에도 성 개성에 앞서 세이칸인노미야와 지쓰나리인은 시미즈 저택으로, 텐쇼인과 혼주인은 이치하시 저택으로 이주했다.
2. 1. 호칭의 변화
무가의 저택에서 의례나 정치를 하는 장소인 '''「오모테(表)」'''와 일상생활을 하는 장소인 '''「오쿠(奥)」'''의 구분은 근세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오쿠라는 호칭은 에도성에 처음부터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겐나 4년(1618년)의 「헤키쇼(壁書)」나 겐나 9년(1623년)의 「미다이도코로 법도(御台所法度)」에서는 「오쿠가타(奥方)」, 「오쿠(奥)」라는 호칭이 사용되었다. 혼마루에 관한 가장 오래된 도면인 간에이 14년(1637년)의 「혼마루오쿠가타지도(御本丸御奥方御絵図)」에서는 「오쿠가타(御奥方)」라고 불렸다.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 때 「오오쿠(大奥)」라는 호칭이 등장하게 되어,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 시대에 「오오쿠(大奥)」가 정착하게 된다. 이는 조쿄 원년(1684년)에 고자노마(御座之間) 근처에서 대로 홋타 마사토시가 와카도시요리 이나바 마사야스에게 살해됨으로써, 오모테와 오쿠의 경계가 분명해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8]2. 2. 규칙의 변화
오오쿠 및 오쿠죠츄에 대한 규칙은 「헤키쇼(壁書)」 이후, 쇼군이 바뀔 때마다 확인되고 개정되어 왔다.[9] 「헤키쇼(壁書)」에서는 주로 오오쿠 출입에 관한 것이 규정되었다. 남성의 출입이 명확히 금지된 곳은 오오쿠 전체가 아니라 하녀들의 처소인 나가츠보네(長局)보다 안쪽이었다. 5년 후의 「미다이도코로 법도(御台所法度)」에서는 의사나 다이묘의 사자 등의 출입에 대한 기록이 추가되었다. 간분 10년(1670년)에는 하녀들이 지켜야 할 「조츄법도(女中法度)」, 노녀에 대한 「노중연서조목(老中連署条目)」이 제정되었다. 교호 6년(1721년)의 「조츄법도(女中法度)」에서는 서신 왕래나 휴가에서 교제가 허용되는 범위나 사치 금지 등에 대한 조항이 추가되었다.2. 3. 구조 변화
오오쿠의 구조는 화재로 인한 소실과 재건을 반복하면서 변화했다. 6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노부 때부터 측실은 미다이도코로(쇼군의 정실)와 달리 시녀들과 함께 나가쓰보네(長局)에 거주하게 되면서 신분 차이가 명확해졌다. 9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 시대에는 오스즈로카(御鈴廊下)가 2개 있었다고 추정된다.2. 4. 에도 막부 말기의 정치 문제와 오오쿠의 종말
에도 막부 말기에는 오모테(表, 바깥 세상)의 정치 문제가 오오쿠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고카 3년(1846년), 미토 번 전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는 류큐와 에조치에 관해 12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에게 호소하고자 조로오토시요리 아네노코지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 후, 안세이 시기의 쇼군 후계자 문제에서는 난키파와 히토쓰바시파가 오오쿠에서 정쟁을 벌였다. 난키파는 1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생모 혼쥬인과 우타하시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였고, 히토쓰바시파는 정실 아쓰히메를 통해 쇼군에게 간청하려 했다.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14대 쇼군이 된 후,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 등에 의해 조정과 막부의 관계 복구를 위해 황녀 가즈노미야의 강가(降嫁, 쇼군 가문으로 시집오는 것)가 계획되었다.게이오 4년(1868년), 도바 후시미 전투에서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패배하고 신정부가 요시노부 추토령(追討令)을 내리자, 덴쇼인과 세이칸인노미야는 각각 사쓰마 번과 조정에 탄원서를 보냈다.[10][11] 그 후, 오오쿠는 막부 창설 이래 처음으로 도쿠가와 가문에 대한 어촉(御触, 명령)을 발령하고 공순(恭順)을 철저히 하도록 명했다. 같은 해 4월, 에도 성 개성(開城, 성을 넘겨주는 것)에 앞서 세이칸인노미야와 이에모치의 생모인 지쓰조인은 시미즈 저택으로, 덴쇼인과 혼쥬인은 히토쓰바시 저택으로 이동하였다.
3. 구조
오오쿠는 에도 성의 혼마루(本丸), 니노마루(二の丸), 니시노마루(西の丸)에 걸쳐 위치했다. 크게 히로시키무키(広敷向), 나가쓰보네무키(長局向), 고텐무키(御殿向)로 구분되었다.[12]
- 히로시키무키(広敷向): 오오쿠의 현관이다. 남성 관리인 히로시키 야쿠닌(広敷用人)이 있었기 때문에 고텐(御殿)과의 사이에 있는 조구(錠口)와 나가쓰보네(長局) 사이에 있는 나나쓰구치(七つ口)로 구획되었다. 나나쓰구치는 저녁 7시(오후 4시)에 닫혔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 나가쓰보네무키(長局向): 오쿠죠츄(奥女中)들의 2층짜리 거처이다. 이치노가타(一之側)부터 요노가타(四之側)까지 4동에 동초큐(東長局), 오한게야(御半下)가 있으며, 격식에 따라 이치노가타는 죠로 오토시요리나 오토시요리, 니노가타(二之側), 산노가타(三之側)는 그 외의 오메미에 이상의 죠츄(女中), 요노가타는 오메미에 이하의 죠츄들에게 배분되었다.
- 고텐무키(御殿向): 쇼군의 침소인 오코자시키(御座敷), 오다이쇼 거처, "지도리노마(千鳥之間)", "고후쿠노마(呉服之間)" 등의 오오쿠 죠츄(女中) 짐방(詰方) 등이 있었다. 오다이쇼의 거처는 시대에 따라 "마쓰고텐(松御殿)", "신고텐(新御殿)" 등으로 불렸다. 역대 쇼군의 위패가 있는 "오부쓰마(御仏間)"와 "오타이멘조(御対面所)"도 고텐에 있었다.
쇼군이 오오쿠에 출입할 때는 방울이 달린 끈을 당겨 신호를 보내는 오스즈로카(御鈴廊下)라는 복도를 이용했다. 이 복도는 오오쿠와 에도 성의 다른 지역을 잇는 유일한 통로였으며, 평상시에는 잠겨 있었다.[12]
4. 오오쿠 여성의 신분과 입장
오오쿠(大奥)는 에도 성 내에서 쇼군의 어머니, 정실(미다이도코로), 측실 등 여성들이 거주하는 공간이었다. 이곳은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하녀와 시녀를 포함하여 수천 명의 여성이 생활하며 도쿠가와 막부의 정치적 음모가 벌어지는 중심지였다.[14]
오오쿠의 최고위직은 조로 오토시요리(上臈御年寄일본어)였으며, 이들은 에도 성의 로주(老中)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행사했다. 오오쿠 내에는 다양한 직책의 여성들이 존재했는데, 그 역할과 임무는 다음과 같다.
직책 | 직무 |
---|---|
조로 오토시요리 (上臈御年寄일본어) | 미다이도코로를 보좌하고 자문 제공. 주로 귀족 가문 출신. |
오토시요리 (御年寄일본어) | 오오쿠 운영을 담당하는 궁중 여성. 에도 성의 로주와 유사한 권한 행사. |
오캬쿠 아시라이 (御客応答일본어) | 다이묘들의 사절 접대. |
츄-도시요리 (中年寄일본어) | 오토시요리의 명령에 따라 식사 메뉴 확인, 독극물 시식 등 다양한 업무 수행. |
츄로 (中臈일본어) | 쇼군과 부인의 개인 비서. 사회적 지위와 품격이 높은 여성이 주로 선발되며, 이들 중 측실이 되기도 함. |
오-코쇼 (御小姓일본어) | 미다이도코로의 시녀 및 시종. 주로 7~16세 소녀들. |
오-조구치 (御錠口일본어) | 오오쿠와 나카오쿠(中奥) 사이 문의 잠금장치 관리. |
오모테-즈카이 (表使일본어) | 오토시요리의 명령을 받아 물품 조달 담당. |
고-유히츠 (御右筆일본어) | 공문서 관리 및 다이묘들의 선물 검사. |
오-츠기 (御次일본어) | 식사 및 도구 운반, 회의 장소 청소. |
킷테가이 (切手書일본어) | 방문객의 출입 증명서 갱신. |
고후쿠노마 (呉服之間일본어) | 쇼군과 미다이도코로의 의복 담당. |
오-보즈 (御坊主일본어) | 쇼군의 잡무 담당. 중년 여성으로, 하오리 하카마 차림에 단발머리. |
오-히로자시키 (御広座敷일본어) | 오모테-즈카이의 부하. 오오쿠 방문 사절들의 식사 담당. |
오-산노마 (御三之間일본어) | 혼마루 궁전(本丸御殿) 세 구역 청소. |
오-나카이 (御仲居일본어) | 식사 준비. |
히노반 (火之番일본어) | 화재 감시 및 경비. |
오-차노마 (御茶之間일본어) | 미다이도코로의 차 시중. |
오-츠카이반 (御使番일본어) | 히로시키와 궁전 사이 잠금장치 관리. |
오-하시타/오-스에 (御半下/御末일본어) | 오오쿠의 잡무 담당 하녀. |
오오쿠에는 많은 역사적 인물들이 있었다.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에이고(お江与の方):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정실이자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어머니.
- 카스가쿄쿠(春日局):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로, 오오쿠를 조직적으로 정비.
- 게이쇼인(桂昌院):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측실이자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생모.
- 텐에이인(天英院):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정실.
- 겟코인(月光院):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측실이자 도쿠가와 이에쓰구의 생모.
- 에지마(江島): 겟코인의 고넨기였으나 에지마 이키시마 사건으로 실각.
- 그 외, 오오바 쿄쿠(大姥局), 민부쿄쿠(民部卿局), 소신니(祖心尼), 아제치노쓰보네, 우에몬사쿄쿠(右衛門佐局), 타케히메, 토요하라, 야지마쿄쿠(矢島局), 다키야마(瀧山), 텐쇼인(天璋院), 와궁 등이 있다.


4. 1. 미다이도코로 ({{Ruby-ja|御台所|みだいどころ}})
미다이도코로(御台所)는 오오쿠의 최고 권력자로, 쇼군의 정실(正室)을 의미한다. 3대 쇼군 이에미쓰 이후, 고셋케(코노에가, 쿠죠가, 이치죠가, 니죠가, 타카츠카사가) 또는 사친왕가(아리스가와노미야가, 카츠라노미야가, 후시미노미야가, 칸인노미야가) 출신 여성이 미다이도코로가 되는 것이 관례였다.11대 쇼군 이에나리의 미다이도코로 고다이인과 13대 쇼군 이에사다의 미다이도코로 텐쇼인은 시마즈가 출신이었으나, 친척인 코노에가에 양녀로 들어간 후 미다이도코로가 되었다. 7대 쇼군 이에쓰구의 약혼녀 야소노미야 요시코 내친왕과 14대 쇼군 이에모치의 미다이도코로 카즈노미야 내친왕(세이칸인)은 셋케, 미야케 출신이 아닌 황녀였다.
초대 쇼군 이에야스와 8대 쇼군 요시무네는 쇼군 취임 전에 정실을 잃었고, 재임 중에도 새로운 정실을 맞이하지 않아 미다이도코로가 공석이었다.
에도 시대 초기에는 미다이도코로가 형식적인 지위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3대 쇼군 이에미쓰의 부인 타카츠카사 타카코는 남편과의 불화로 오오쿠의 실권은 카스가노츠보네 등이 쥐고 있었다.
6대 쇼군 이에노부 시대에 텐에이인의 아버지 코노에 모토히로가 막부 의례를 정비하면서 미다이도코로의 위상이 강화되었다. 그러나 미다이도코로가 공석이었던 기간(약 100년)에는 선대 쇼군의 정실이나 쇼군 생모 등이 오오쿠를 주재했다.
생전에 관위를 받은 미다이도코로는 다음과 같다.
- 4대 이에쓰나의 정실 아사노미야 아키코 여왕 (종3위)
- 6대 이에노부의 정실 코노에 히로코 (종1위)
- 10대 이에하루의 정실 이소노미야 토모코 여왕 (종3위)
- 11대 이에나리의 정실 코노에 타다코 (종1위)
- 12대 이에요시의 정실 사자노미야 타카코 여왕 (종3위)
- 13대 이에사다의 정실 코노에 스미코 (시마즈 아츠코) (종3위)
후계자를 낳은 미다이도코로는 2대 쇼군 히데타다의 정실 오에요뿐이다. 미다이도코로는 남편이 사망하면 낙쇼쿠를 하고 혼마루에서 물러나 니시노마루에서 여생을 보냈다.[14]

4. 2. 측실 ({{Ruby-ja|側室}})
쇼군의 측실은 기본적으로 쇼군 소속 오츄로 중에서 선택되었다. 쇼군의 눈에 들어 잠자리를 함께 한 여성은 '오테츠키(お手つき)'라고 불렸으며, 임신하여 아이를 낳으면 정식 측실이 되었다.[15] 딸을 출산하면 '오하라사마()', 아들을 출산하면 '오헤야사마()'라고 불렸다.[15]자신의 자식이 쇼군이 되면, 쇼군 생모로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5대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의 생모 케이쇼인은 종1위의 관위를 받았다.[16]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실과 쇼군 생모의 권력은 약해졌다. 에도 시대 후기에는 측실은 비록 자신의 아이가 쇼군 후계자라 해도, 자신의 지위는 평범한 시녀와 같았고, 자신의 아이가 쇼군이 되어서야 비로소 '오카미(, 쇼군가의 일원)'로 대접받았다. 그 외의 측실들은 낙발하여 '○○인(○○院)'이라 칭하고, 니노마루 고텐 (쇼군의 자식을 낳은 측실)이나 사쿠라다 어용저택(桜田御用屋敷)에서 조용히 여생을 보냈다.
대 | 쇼군 이름 | 측실 이름 |
---|---|---|
초대 | 이에야스 | 사이고노츠보네, 시모야마도노, 요쥬인, 쵸쇼인, 료운인, 챠아노츠보네, 세이운인, 에이쇼인, 니시노코오리노츠보네, 운코인, 세이에이인, 오카메노카타, 타이에이인, 요겐인, 렌게인, 후쇼인, 신쥬인, 호코인, 산죠씨 등 |
2대 | 히데타다 | 조코인 |
3대 | 이에미츠 | 호주인, 케이쇼인, 쥰쇼인, 지쇼인, 에이코인, 호신인, 죠코인, 오마사 |
4대 | 이에츠나 | 요슌인, 엔묘인 |
5대 | 츠나요시 | 즈이슌인, 쥬코인, 세이신인 |
6대 | 이에노부 | 겟코인, 호신인, 렌죠인, 혼코인 |
7대 | 이에츠구 | 없음 |
8대 | 요시무네 | 신토쿠인, 혼토쿠인, 신신인, 카쿠쥬인 |
9대 | 이에시게 | 시신인, 안쇼인 |
10대 | 이에하루 | 렌코인, 요렌인 |
11대 | 이에나리 | 코린인, 묘소인, 세이신인, 신쇼인, 호신인, 소쿠세이인, 세이쇼인, 카이슌인, 혼쇼인, 센코인, 케이메이인, 세이렌인, 쵸소인, 치쇼인, 혼린인, 호치인 |
12대 | 이에요시 | 혼쥬인, 세이료인, 묘카인, 오하나, 슈묘인, 켄코인, 묘온인, 슈게츠인 |
13대 | 이에사다 | 호켄인 |
14대 | 이에모치 | 불명 |
15대 | 요시노부 | 신무라 노부, 나카네 사치, 잇시키 스가, 오요시 등 |
태어난 아들이 쇼군이 된 인물은 '''굵은 글씨''', 손자가 쇼군이 된 인물은 ''기울임체''로 표시.
4. 3. 오오쿠의 시녀 ({{Ruby-ja|大奥女中}})
오오쿠에는 수많은 시녀(女中)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크게 쇼군 소속과 미다이도코로 소속으로 나뉘었다. 쇼군 소속 시녀가 미다이도코로 소속보다 격식과 권위 면에서 더 높았다.[14] 특정한 주인을 모시지 않는 시녀는 "츠마(詰)"라고 불렸다.[14]시녀들의 직급은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에도 시대 후기의 오쿠죠츄(大奥女中) 직무는 다음과 같았다.
계급 | 읽는 법 | 주된 직무 |
---|---|---|
죠로오토시요리 | 죠로오토시요리 | 쇼군 및 미다이도코로 관련 업무 및 상담. 미다이가 교토에서 데려온 구게(문신귀족) 출신 여성이 많았다. |
고조로 | 고조로 | 죠로오토시요리 직책의 후보역 또는 견습. |
오토시요리 | 오토시요리 | 로조(老女)라고도 불리며, 오오쿠의 모든 것을 관리하는 최고 권력자.「오모테」의 로주에 대응. |
오캬쿠아시라이 | 오캬쿠아시라이 | 외부 인사가 오오쿠를 방문할 때 접대 담당. |
주도시요리 | 주도시요리 | 오토시요리의 지시에 따르는 대리역. 식사 메뉴 확인부터 독 검사까지 담당. |
주로 | 주로 | 쇼군과 미다이도코로의 신변을 보살펴주는 사람. 양가의 규수나 기량이 우수한 여성이 선택되었고, 이들 중에서 측실이 나오기도 했다. |
오코쇼 | 오코쇼 | 미다이도코로의 시동. 7세~16세 정도의 소녀가 많았다. |
오조구치 | 오조구치 | 오오쿠와 나카오쿠의 출입구 관리. |
오모테즈카이 | 오모테즈카이 | 바깥일 담당. 오토시요리의 지시로 물자 조달을 히로시키의 관리에게 요청. |
고유히쓰 | 고유히쓰 | 일기부터 서신에 이르는 모든 공문서 관리. 여러 다이묘로부터의 헌상품 검사도 담당. |
오쓰키 | 오쓰키 | 식사와 여러 가지 도구를 운반하거나 대면소 청소 등을 담당. |
깃테가키 | 깃테가키 | 나나츠구치(나가츠보네와 히로시키 출입문)를 지나서 오는 외부 내방자가 지녀야 하는 통행증 발행. |
고후쿠노마 | 고후쿠노마 | 장군과 미다이도코로의 의상 담당. |
오보즈 | 오보즈 | 쇼군의 잡무 담당. 삭발을 하고 승복을 걸친 중노년 여성이 많았으며, 경우에 따라 나카오쿠에 출입하기도 했다. |
↑ 여기까지 오메미에 이상. ↓이 밑으로 오메미에 이하 | ||
오히로자시키 | 오히로자시키 | 오모테 쪽의 허드렛일. 오오쿠를 방문한 여자 심부름꾼의 식사 담당. |
오산노마 | 오산노마 | 3지간 이상의 거실 청소 등을 담당. |
오나카이 | 오나카이 | 부엌에서 취사 담당. |
히노반 | 히노반 | 주야간으로 오오쿠의 화재를 감시. 무예에 뛰어난 이를 뽑아 경비원 역할도 겸함. |
오차노마 | 오차노마 | 미다이도코로의 차(茶) 시중 담당. |
오쓰카이반 | 오쓰카이반 | 히로시키와 교쇼 간의 출입구 관리. |
오하시타 | 오하시타 | 오오쿠의 모든 잡무를 맡는 하녀. |
죠로 오토시요리부터 오보즈까지는 오메미에 이상(お目見え以上)이라 하여 쇼군과 미다이도코로를 알현할 수 있었던 상급 시녀들이었다.[14] 시녀들의 녹봉(수당)은 주로 절미, 합력금, 녹미(매달의 식료), 탕지목(목욕탕용의 신), 오채은(된장이나 소금을 사기 위한 은), 기름 등의 현물이 많았다.[14] 로죠(죠로 오토시요리, 오토시요리를 통칭)가 되면 마치야시키가 주어졌다.[14]
오쿠죠츄는 하타모토나 고케닌 등 무가 출신 여성이 고용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시대가 흐르면서 유복한 쵸닌 여성이 예절 견습(行儀見習い) 목적으로 봉공하는 경우도 많아졌다.[14] 쵸닌 출신은 초기에는 친척이나 선배 시녀의 주선, 하타모토나 고케닌 집에 수양딸로 들어가는 등의 우회적인 방법을 통해 오오쿠에 들어갔지만, 후대에는 무사와 쵸닌의 경제력이 역전되면서 하타모토나 고케닌 측에서 지참금이 딸린 양녀 결연을 제안하기도 했다.[14]
4. 4.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Ruby-ja|大奥総取締}})
오오쿠를 무대로 한 소설, 연극, 영화, 드라마 등에서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大奥総取締)'가 등장하는 경우가 있지만,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라는 직책은 오오쿠에 존재하지 않았다. 실제로 오오쿠의 모든 일과 시녀들의 단속은 로죠가 합의에 의해 담당하고 있었다.[19]그러나 시대에 따라서는 오오쿠에서 한 사람의 '소오토리시마리(총괄)'라고 할 수 있는 역할이 존재하기도 했다. 오오쿠 제도가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던 3대 쇼군 이에미츠 시대에는 이에미츠의 유모인 카스가노 쓰보네가 '쇼군사마오츠보네(将軍様御局)'라는 입장에서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의 임무를 맡았다. 또, 5대 쇼군 쓰나요시 시대의 쇼군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에몬노스케노쓰보네는 쓰나요시로부터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를 명받았다고 여겨진다. 두 사람 모두 로죠 필두였지만, 최고의 권세를 자랑한 로죠가 반드시 필두였던 것은 아니다. 12대 쇼군 이에요시 시대의 쇼군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아네노코지는 오오쿠에서 권세를 떨친 여성으로 알려져 있지만, 필두는 아니었다고 생각되고 있다.[19] 또, '오키요(お清)'의 로죠 이외에도, 예를 들면 3대 쇼군 이에미츠의 측실 오만노카타가 다이죠로로서 카스가노 쓰보네 사망 후, '카스가와 동일(春日同様)'하게 오오쿠 소오토리시마리의 직을 받은 예도 있었다.
이와 같이, 시대에 따라서는 쇼군의 개인적인 의향이 오오쿠의 중요 인사에 얽힌 적도 있었다. 막부 정치의 주도권을 쇼군이 잡았을 때, 쇼군을 보좌하는 소바요닌이나 오소바고요토리츠기(御側御用取次)가 득세했던 것과 같다. 하지만, 오오쿠는 막부 정치에서 증답의례 등의 중요한 측면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쇼군 소속 로죠는 막부를 위해서 일하고 있었다는 측면을 부정할 수 없고, 쇼군 개인의 의향으로 인사가 움직이는 경우는 드물었다고 할 수 있다.[20]
5. 오오쿠의 예산
오오쿠의 경비는 모두 칸죠쇼(勘定所, 막부 재정 담당 관청)에서 관리했다. 필요 물품 구입 대금은 히로시키야쿠닌(広敷役人)으로부터 칸죠쇼로 전달되어 실제 지출이 이루어졌다. 오오쿠 경비는 막부 재정 지출 전체의 3~8%였던 것으로 보이며, 1년에 200000JPY 정도였다고 한다. 카즈노미야 강가 후인 분큐 2년 (1862년)에는 450000JPY을 넘었지만, 게이오 2년 (1866년)에 170000JPY까지 삭감되었다.
6. 오오쿠의 유명한 여성
도쿠가와 쇼군가 미다이도코로 참고.
오오쿠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여성은 쇼군의 정실인 '미다이도코로(御台所)'였다. 미다이도코로는 3대 쇼군 이에미쓰부터 고셋케 (고노에가, 구조가, 이치조가, 니조가, 다카쓰카사가) 또는 사천왕가(四親王家) (아리스가와노미야가, 가쓰라노미야가, 후시미노미야가, 간인노미야가)에서 맞이하는 것이 관례였다. 11대 쇼군 이에나리의 미다이도코로 고다이인과 13대 쇼군 이에사다의 미다이도코로 덴쇼인은 시마즈가 출신이었으나, 친척인 고노에가에 양녀로 들어간 뒤 미다이도코로가 되었다. 7대 쇼군 이에쓰구의 약혼녀였던 야소노미야 요시코 내친왕과 14대 쇼군 이에모치의 부인이 된 가즈노미야 내친왕(세이칸인)은 셋케, 미야케 출신이 아닌 황녀였다. 초대 쇼군 이에야스와 8대 쇼군 요시무네는 쇼군이 되기 전에 정실을 잃었고, 재임 중에도 새로운 정실을 맞이하지 않아 미다이도코로가 공석이었다.
에도 시대 초기에 미다이도코로는 형식적인 존재였다. 예를 들어 3대 쇼군 이에미쓰의 부인 다카쓰카사 다카코는 남편과의 사이가 좋지 않아 '미다이도코로'로 불리지 못하고,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거처를 옮겨야 했다. 오오쿠의 실권은 가스가노쓰보네 등이 쥐고 있었다. 6대 쇼군 이에노부 시대에 덴에이인의 아버지 고노에 모토히로가 예법 담당으로 중용되면서 오오쿠의 의례도 정비되었고, 미다이도코로의 지위는 확고해졌다. 그러나 이에야스나 요시무네처럼 미다이도코로가 공석이었던 기간이 총 100년 정도 있었고, 그 동안은 선대 쇼군의 정실이나 쇼군 생모 등이 오오쿠를 이끌었다.
생전에 관위를 받은 미다이도코로는 다음과 같다.
- 4대 이에쓰나의 정실 아사노미야 아키코 여왕 (종3위)
- 6대 이에노부의 정실 고노에 히로코 (종1위)
- 10대 이에하루의 정실 이소노미야 도모코 여왕 (종3위)
- 11대 이에나리의 정실 고노에 다다코 (종1위)
- 12대 이에요시의 정실 사자노미야 다카코 여왕 (종3위)
- 13대 이에사다의 정실 고노에 스미코 (시마즈 아쓰코) (종3위)
후계자를 낳은 사람은 2대 쇼군 히데타다의 정실 오에요뿐이다. 미다이도코로는 남편이 죽으면 출가하여 머리를 깎고 혼마루에서 물러나 니시노마루에서 여생을 보냈다.
쇼군의 측실은 기본적으로 쇼군 소속 오추로(御中﨟)에서 선택했다. 쇼군의 눈에 든 사람의 이름을 오토시요리에게 전하면, 그날 밤 잠자리를 준비하고 침소인 오코자시키(御小座敷)에서 대기했다. 미다이도코로 소속 츄로가 쇼군의 눈에 띌 경우, 쇼군 소속 오토시요리가 미다이도코로 소속 오토시요리와 담판하여 '미다이도코로 양해(御台所了承)' 절차를 밟아 잠자리 준비를 했다. (미다이도코로 소속 츄로는 거부할 수 있었지만, 그럴 경우 오오쿠를 떠나야 했다.)
잠자리를 마친 츄로는 '오테츠키(お手つき)'로 불리고, 임신하여 딸을 낳으면 '오하라사마()', 아들을 낳으면 '오헤야사마()'가 되어 정식 측실이 되었다. 자신의 자식이 후계자가 되어 쇼군이 되면 쇼군 생모가 되어, 미다이도코로를 능가하는 권력을 갖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생모 게이쇼인이 대표적인 예로, 종1위의 관위를 받았다.
그러나 오오쿠 측은 이러한 상황을 좌시하지 않고 여러 대책을 세웠다. 예를 들어 가스가노쓰보네가 권세를 자랑하자 유모가 젖을 먹일 때 얼굴을 기억하지 못하도록 검은 천으로 얼굴을 가리게 했다. 그 결과 측실이나 쇼군 생모의 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졌다. 에도 시대 후기에는 측실이 비록 자기 자식이 쇼군 후계자라 해도, 자신의 지위는 하녀들과 동등했고, 자기 자식이 쇼군이 되어서야 비로소 쇼군가의 일원으로 대접받았다. 그 외의 측실들은 머리를 깎고 '○○인(○○院)'이라 칭하며, 니노마루 고텐 (쇼군의 자식을 낳은 측실)이나 사쿠라다 어용저택(桜田御用屋敷)에서 조용히 여생을 보냈다.
오오쿠의 유명한 여성 | |||
---|---|---|---|
이름 | 신분 | 남편 | 비고 |
오에요노카타 | 미다이도코로 | 도쿠가와 히데타다 | 오고우(お江・小督)로도 표기하지만, 타츠코(達子)・토쿠코(徳子)라고도 표기함. |
오시즈노카타 | 측실 | 히데타다의 유모 오우바노츠보네의 시녀. | |
오우바노츠보네 | 유모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유모. | |
민부쿄노츠보네 | 오에요노카타의 유모. | ||
카스가노츠보네 | 사이토 토시미츠의 딸. 본명은 사이토 후쿠. 이에미츠의 유모. | ||
소신니 | 보좌 | 시숙모 카스카노츠보네 (혈연으로는 아버지의 사촌누이)의 보좌역. | |
아사쿠라 키요 | 유모 | 타다나가의 유모. | |
혼리인 | 미다이도코로 | 도쿠가와 이에미츠 | 이에미츠와 사이가 좋지 못하였고, 오오쿠에 들어가지 않고 나카노마루 고텐에서 별거하였기 때문에 "나카노마루도노"라고 불렸다. |
오후노카타 | 측실 | 이에미츠의 첫 측실. | |
에이코인 | 오만노카타. 다이죠로. 카스가노츠보네 사후, 이에미츠에게 「카스가처럼」 오쿠무키를 단속하도록 명받음. | ||
호주인 | 오라쿠노카타. 본명인 오란(お蘭)의 소리가 "란(乱)"과 똑같기 때문에 개명함. | ||
쥰쇼인 | 오나츠노카타.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할머니. | ||
케이쇼인 | 오타마노카타. 오오쿠 시녀 시절의 출사명은 아키노(秋野). | ||
텐쥬인 | 쇼군의 딸 | 도요토미 히데요리 | 이에미츠의 큰누나. 출가 후에는 타케바시고텐에서 살며, 오오쿠에는 거주하지 않았지만, 이에미츠 ~ 이에쓰나 시기의 오오쿠 최고 고문으로서 중추를 이루었다. |
혼다 타다토키 | |||
아제치노츠보네 | 시녀 | rowspan="4" | | 오에요노카타의 시녀. 후에, 이에미츠에서 이에츠나 시대에 다이죠로로써 살았다. 토사국 코쿠시 이치죠가의 딸. |
야지마노츠보네 | 유모 | 이에츠나의 유모. 쇼군 소속 오토시요리 | |
미사와노츠보네 | 이에츠나의 유모. 오우미국 코무로번주 코보리 마사카즈의 측실. | ||
오우미노츠보네 | 시녀 | 이에츠나의 쇼군 소속 오토시요리 | |
아사노미야 아키코 여왕 | 미다이도코로 | 이에츠나 | 후시미노미야가 |
요슌인 | 측실 | 오후리노카타. 이에츠나의 첫 측실. | |
엔묘인 | 오마루노카타. | ||
타카츠카사 노부코 | 미다이도코로 | 도쿠가와 츠나요시 | 좌대신 중1위 타카츠카사 노리히라의 딸. |
오덴노카타 | 측실 | 오타니노카타・고노마루(산노마루)도노라고도 불린다. | |
에몬노스케노츠보네 | 시녀 | 츠나요시의 장녀 츠루히메 소속 죠로. | |
쥬코인 | 측실 | 도쿠가와 츠나요시 | 오스케노츠보네. 오오쿠가 아니라 키타노마루에서 살았기 때문에, 키타노마루도노라고 불렸다. 세이칸지다이나곤가 |
타케히메 | 양녀 | 시마즈 츠구토요 | 오스케노츠보네의 조카. 그녀의 양녀가 되어 에도성 키타노마루에 들어옴. 8대 요시무네 때, 사츠마번주 시마즈 츠구토요의 계실이 됨. |
신스케 | 측실 | 도쿠가와 츠나요시 | 락쇼쿠 후, 세이신인이라 칭했지만, 사통한 것이 걸려, 칩거처분. |
토요하라 | 시녀 | 에몬노스케 사망 후의 쇼군 소속 필두 오토시요리. 후의 죠로 토시요리. | |
텐에이인 | 미다이도코로 | 도쿠가와 이에노부 | 코노에 히로코. 6대 이에노부부터 8대 요시무네까지 오오쿠 수장. |
겟코인 | 측실 | 이에노부 시대에는 오키요노카타, 사쿄노카타, 산노오헤야사마(三の御部屋様)로 불렸다. | |
에지마 | 시녀 | 이에쓰구 시대의 겟코인 소속 오토시요리. | |
호신인 | 측실 | 도쿠가와 이에노부 | 오콘노카타. 이치노오헤야사마(一の御部屋様), 우콘노카타로 불렸다. |
렌죠인 | 오스메노카타. 니노오헤야사마(二の御部屋様), 신스케노츠보네로 불렸다. 본가는 공가 소노이케가. | ||
혼코인 | 이츠키노카타. 오하마고텐의 번인(番人)의 딸. 오오쿠 들어온 후에는 이츠키(斎宮)로 칭했다. | ||
죠엔인 | 쇼군생모 |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생모. 오몬노카타 또는 오유리노카타로 불림. | |
사나노미야 마사코 여왕 | 고렌쥬 | 도쿠가와 요시무네 | 요시무네가 키슈번 5대 번주 시절의 정실 (고렌쥬). 후시미노미야가 |
혼토쿠인 | 측실 | 오콘노카타. 타야스 도쿠가와가 초대 당주 도쿠가와 무네타케의 생모 | |
신신인 | 오우메노카타. 히토츠바시 도쿠가와가 초대 당주 도쿠가와 무네타다의 생모 | ||
칸쥬인 | 오쿠메노카타. 원래는 죠엔인의 시녀 | ||
나미노미야 마스코 여왕 | 고렌쥬 | 도쿠가와 이에시게 | 니시노마루 고렌쥬 지위에서 요절. 후시미노미야가 |
오코우노카타 | 측실 |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의 생모. 미다이도코로 마스코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 |
안쇼인 | 고산쿄 시미즈가 초대 도쿠가와 시게요시의 생모. | ||
마츠시마 | 유모 | 이에하루의 유모. 쇼군 소속 필두오토시요리 | |
타마사와 | 시녀 | 이에하루 시대에 세력을 떨쳤던 오토시요리 | |
오치호노카타 | 측실 | 도쿠가와 이에하루 | 후계자 이에모토의 생모. |
이소노미야 토모코 여왕 | 미다이도코로 | 칸인노미야가 | |
히로하시 | 시녀 | 이에하루의 미다이도코로 이소노미야 토모코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 |
고다이인 | 미다이도코로 | 도쿠가와 이에나리 |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미다이도코로. 코노에 타다코. |
카츠라가와 테야 | 시녀 | 고다이인 소속 오츄로. 오오쿠 화재 때, 로죠 하나마치를 구하려다 불에 타 죽음. | |
오토미노카타 | 쇼군생모 | 이에나리의 생모. 원래는 오쿠죠츄. 히토츠바시 하루사다의 측실. | |
오오사키 | 시녀 | 이에나리 소속 오토시요리. 마츠다이라 사다노부 노중 취임에 진력을 했지만, 후에 대립하여 오오쿠를 은퇴. | |
타카오카 | 이에나리 시대의 쇼군 소속 필두로죠. 죠로 오토시요리 | ||
카라하시 | 이에나리 시대의 죠로 오토시요리. 이에하루의 양녀 타네히메 소속이되어 시집간 미토번 고이시하라저택 오쿠에 들어감. 본명은 타카마츠 타네코 | ||
오만노카타 | 측실 | 도쿠가와 이에나리 | 히데히메의 생모. 오만(お万・お満武)이라고도 부름. |
오라쿠노카타 | 12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의 생모. 오테(お照), 오리에(お里衛)노카타라고도 불림 | ||
오미요노카타 | 야스히메(혹은 요우히메) 등의 생모 | ||
오토세노카타 | 미네히메, 키이 나리유키의 생모 | ||
오야에노카타 | 초명 오미오노카타. 락쇼쿠 후, 오오쿠에서 니노마루로 이사. | ||
오루리노카타 | 오와리 나리하루, 야스히메의 생모 | ||
오쵸노카타 | 도쿠가와 나리타카, 카즈히메 등의 생모 | ||
오미오노카타 | 아사히메의 생모 | ||
오소데노카타 | 도쿠가와 나리카츠 등의 생모 | ||
오이토노카타 | 에이히메, 마츠다이라 나리사와, 마츠다이라 나리사다, 마츠다이라 나리코토의 생모 | ||
아네노코지 | 시녀 | 12대 쇼군 이에요시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 |
사자노미야 타카코 여왕 | 미다이도코로 | 도쿠가와 이에요시 | 아리스가와노미야가. 죠간인 |
마데노코지노츠보네 | 시녀 | 이에나리 ~ 이에모치 시대까지 4대에 걸쳐 필두로죠. | |
미호노 | 이에나리 ~ 이에요시 시대의 오쿠죠츄. 오죠구치에서 오츄로. | ||
혼쥬인 | 측실 | 도쿠가와 이에요시 | 오미츠노카타.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생모 |
오하나노카타 | 마이히메, 테루히메의 생모 | ||
슈게츠인 | 오츠유노카타 | ||
오코토노카타 | 락쇼쿠 후, 묘온인이라는 법명을 받고, 사쿠라다어용저택으로 옮겨가지만, 목수와의 사통사건을 일으켜 급사함. | ||
우타하시 | 유모 | 이에사다의 유모. 쇼군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 |
오시가노카타 | 측실 | 도쿠가와 이에사다 | 쇼군 소속 오츄로. 호켄인 |
타키야마 | 시녀 | 13대 이에사다 ~ 15대 요시노부 시대의 쇼군 소속 필두 오토시요리 | |
타카츠카사 아츠코 | 고렌쥬 | 도쿠가와 이에사다 | 이에사다가 아직 이에사치의 이름을 쓰고 있던 후계자 시절 맞이한 첫번째 고렌쥬 (정실). 아버지 관백 타카츠카사 마사히로 |
이치죠 히데코 | 이에사다가 아직 이에사치의 이름을 쓰고 있던 후계자 시절 맞이한 2번째 고렌쥬 (정실). 법명 쵸신인. 아버지 관백 이치조 타다요시 | ||
덴쇼인 | 미다이도코로 | 이에사다의 3번째 정실. 코노에 스미코 (아츠키미(篤君)). 시마즈 아츠코. 친부 시마즈 타다타케, 양부 시마즈 나리아키라, 우대신 코노에 타다히로 | |
토키와이 | 시녀 | 덴쇼인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초명은 타카츠지. | |
이쿠시마 | 덴쇼인 소속 필두 오토시요리. 본명은 아사쿠라 이토. | ||
하츠세 | 덴쇼인 소속 오토시요리. 처음엔 고렌쥬 히데코 소속 츄도시요리 | ||
카와이 | 덴쇼인 소속 츄도시요리 | ||
우타가와 | |||
소데무라 | 덴쇼인 소속 오츄로 필두 | ||
후쿠다 | 덴쇼인 소속 오모테즈카이 | ||
지츠죠인 | 쇼군생모 | 오미사노카타. 도쿠가와 나리유키의 측실. 도쿠가와 이에모치의 생모 | |
카즈노미야 | 미다이도코로 | 도쿠가와 이에모치 | 치카코 내친왕. 락쇼쿠 후 세이칸인의 칭호를 받음. |
칸교인 | 생모 | 가즈노미야의 생모. 하시모토 츠네코. 닌코 천황의 측실 (신텐지). | |
니와타 츠구코 | 시녀 | 가즈노미야 소속 필두 죠로 오토시요리. 원래 킨리 어상어전의 여관. | |
하시모토 레이코 | 가즈노미야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카즈노미야의 사촌언니에 해당함. 다이나곤 텐지로 출사. | ||
츠치미카도 후지코 | 가즈노미야 소속 죠로 오토시요리. 오오쿠에선 모모노이(桃の井)로 불림 | ||
이쵸 카츠코 | 가즈노미야 소속 오쿠죠츄. 원래 킨리 어상어전의 명부 (노토노츠보네). 오오쿠에선 이와세(岩瀬)로 불림. 궁중 복귀 후에는 타케명부(竹命婦) | ||
타나카 후지 | 유모 | 가즈노미야의 유모. 하시모토 사네아키라 저택에서 카즈노미야를 양육, 카츠노미아의 내친왕 선하에 따라, 쇼신(少進)이라는 이름을 받음. 미야와 함께 오오쿠에 들어옴. | |
무라야마 마세코 | 시녀 | 덴쇼인 소속 오츄로. 필두 오토시요리 타키야마의 조카. | |
삿사 시즈코 | 이에요시 ~ 요시노부까지 4대동안 오츠기로써 봉공한 오쿠죠츄. |
7. 오오쿠의 최후
에도 막부 말기, 오오쿠는 정치적 문제에 휘말리게 되었다. 1846년에는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류큐와 에조치 문제에 대해 쇼군에게 호소하고자 아네노코지에게 편지를 보냈다. 안세이 시대에는 쇼군 후계자 문제를 둘러싸고 난키파와 히토츠바시파가 오오쿠 내에서 정쟁을 벌였다. 난키파는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생모 혼쥬인과 우타하시를, 히토츠바시파는 정실 아츠히메를 통해 쇼군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쇼군이 된 후에는 조정과 막부의 관계 회복을 위해 황녀 가즈노미야의 강가(降嫁)가 추진되었다.
1868년, 도바 후시미 전투에서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패배하고 신정부가 추토령을 내리자, 덴쇼인과 세이칸인노미야는 각각 사쓰마번과 조정에 탄원서를 보냈다. 이후 오오쿠는 막부 성립 이래 처음으로 도쿠가와 가문을 위한 어촉(御触)을 발령하고 공순을 명했다. 같은 해 4월, 에도성 개성에 앞서 세이칸인노미야와 지츠죠인은 시미즈 저택으로, 덴쇼인과 혼쥬인은 히토츠바시 저택으로 이동하였다.
1868년 4월, 에도 막부는 메이지 정부군에게 에도 성을 넘겨주었다.[1] 당시 오토시요리였던 다키야마는 시녀들에게 연공에 따라 배령물을 주고 오오쿠를 떠나게 했다.[1] 오오쿠에 남아있던 혼쥬인과 덴쇼인은 히토쓰바시가의 저택으로, 가즈노미야 지카코 내친왕은 니시노마루에 있던 짓세인과 함께 다야스가 저택으로 옮겨 성의 양도에 대비했다.[1] 4월 11일(5월 3일), 800명의 정부군이 에도 성에 들어오면서 오오쿠 제도는 폐지되었다.[1]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정실부인 이치조 미카코는 오오쿠에 들어온 적이 없어 이 자리에 참석하지 않았다.[1]
해고된 여중들은 오오쿠의 내정을 폭로하기도 했지만, 이러한 자료들은 사실과 허구가 섞여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大河ドラマ 篤姫
http://www3.nhk.or.j[...]
2008-10-09
[2]
웹사이트
大奥とは?徳川幕府を支えた“女たちの最前線”を3分で解説
https://intojapanwar[...]
Shogakukan
2021-10-05
[3]
웹사이트
勤務先が男子禁制の大奥!? 大奥に出入りできた男性たち
https://www.rekishij[...]
Rekishijin
2023-03-29
[4]
웹사이트
徳川家の将軍は思うがままに性を享楽できなかった?「大奥の床事情」
https://www.rekishij[...]
Rekishijin
2021-10-01
[5]
문서
대오 관련 작품 목록
ja:대오 관련 작품 목록
[6]
웹사이트
将軍家のプライベートサロン!江戸時代の大奥の構造はどのようになっていたの?
https://news.line.me[...]
LINE NEWS
2019-07-15
[7]
문서
동해도 니가와 숙의 '어휴박 기록'에는, 사쓰마번의 오쿠 조중을 "사쓰슈 오쿠 조중"이나 "사쓰슈 대오 조중"등으로 기록하고 있다. 일설에 의하면, 중오쿠 또는 그것에 유사한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그것과 구분하기 위해 "대오"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고 주장되고 있다.
[8]
간행물
신인물왕래사 '역사독본' 2011년 3월호 P140-146 "노부나가·히데요시의 오쿠와 쇼군의 대오"
신인물왕래사
2011-03
[9]
간행물
신인물왕래사 '역사독본' 2011년 3월호 P128-138 "에도성 대오의 기초는 언제 만들어졌는가"
신인물왕래사
2011-03
[10]
문서
시즈칸인궁의 사자로 교토에 파견된 도고몬 후지코는, 사죄의 실이 있다면 도쿠가와가를 존속시킬 가능성도 있다는 조정의 내의를 끌어내고 있다.
[11]
문서
텐쇼인의 탄원서를 받은 사이고 다카모리는, 탄원을 받아들인다는 연락을 텐쇼인에게 넣고 있다.
[12]
문서
분큐 3년(1863년)의 화재로 본마루는 소실되어 재건되지 않았기 때문에, 메이지유신까지 서마루가 본마루의 대용으로 사용되었다. 대오도 서마루에 증축되었다고 한다.
[13]
웹사이트
에도성 대오 고덴 무코 소에즈(색채도)
http://news-sv.aij.o[...]
2011-02-19
[14]
문서
텐쇼인은, 이에모토 쇼군 취임 후에도 본마루 고덴에 머물고, 와궁 강하 후에도 잠시 본마루 고덴에 살았다고 생각된다.
[15]
문서
이러한 호칭은 시대에 따라 다르다.
[16]
문서
문서에서의 게이쇼인의 이름은 고다이쇼·다카시 노부코보다 먼저 명기되어 있으며, 관위 면에서도 노부코보다 위에 있었다.
[17]
문서
"측실"은 무가 제법도에서 다이묘의 일부일처제가 정해진 후에 성립한 개념으로, 복수의 아내가 공인되고 있던 이에야스의 시대에 거슬러 올리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하는 후쿠다 치즈루의 설도 있다(이에야스의 측실이라고 되어 있는 사람들 중 몇 명은 정실과 동격인 "별처"였을 가능성이 높다).
[18]
문서
자신의 생전에는 정식으로 측실로 인정되지 않았다.
[19]
문서
아네노코지에 대해서는, 쇼군 이에요시와의 심상치 않은 관계를 주장하는 설도 존재하고 있다.
[20]
문서
이것은 대오 로조의 인사이동이 쇼군의 대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부터도 명확하다.
[21]
서적
'쓰루히메군상 고혼례 요용' '쓰루히메상 고혼례 서물'
국립공문서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