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음 (일본 한자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음(呉音)은 한자음의 한 종류로, 한음(漢音)보다 먼저 일본에 정착했다. 백제를 통해 유입된 불교 용어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불교 용어나 율령 용어, 고사기 인명 등에 사용되었다. 오음은 청탁의 구별, 비음의 유지 등 한음과 다른 특징을 보이며, 현재까지 한음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오음은 일본 정부 지정 상용자가 아닌 한자음에 대해 인정이 어려워 한자 사전마다 표기가 다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의 한자 - 정체자
정체자는 전통적인 중국 한자로 대한민국, 대만, 홍콩, 마카오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번체자, 일본에서는 구자체라고도 불린다. - 일본어의 한자 - 당용한자
당용한자는 일본에서 제정된 한자 제한 정책에 따라 선정된 1,850자의 한자 목록으로, 일본어 간소화와 교육 효율성 증진을 위해 공적 영역에서 한자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으며, 상용한자표로 대체되었지만 일본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어 - 중고 일본어
중고 일본어는 794년부터 1185년까지 헤이안 시대에 사용된 일본어의 한 형태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파생되고,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문자 체계로 사용하며, 주어-목적어-서술어 구조의 문법과 다양한 문법 요소, 고유어와 한자어를 어휘로 사용했다. - 일본어 - 이로하 노래
이로하 노래는 일본어 가나 전체를 사용하여 지은 7·5조 가요 형식의 시로, 불교적 무상함을 노래하며, 가나 손글씨 연습과 일본어 순서 표기에 활용되었고, 작자 미상에 다양한 해석과 이야기가 전해진다.
오음 (일본 한자음) | |
---|---|
개요 | |
정의 | 일본 한자음의 하나로, 오나라 지역의 발음을 토대로 형성됨 |
특징 | 한음보다 먼저 일본에 전래됨 육조 시대 강남 지역의 발음을 반영 일본어 어휘에 폭넓게 사용됨 |
역사 | |
전래 시기 | 나라 시대 이전 |
영향 | 일본 고유어와 융합하여 다양한 어휘 형성 |
음운 체계 | |
특징 | 반설음이 존재 비음의 발달 현대 중국어와 차이 존재 |
예시 | |
단어 예시 | '行' (갈 행): 교오(ギョウ, gyō) '明' (밝을 명): 묘오(ミョウ, myō) '精' (정할 정): 쇼오(ショウ, shō) |
참고 | |
관련 용어 | 한음 당음 관용음 |
2. 역사
오음은 한음을 배우기 이전에 이미 일본에 정착한 한자음으로, 정확한 도입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여러 경로를 통해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중국 건강(현재의 난징시)에서 백제를 거쳐 전래된 불교 용어가 많다. 이 때문에 오음은 쓰시마음(対馬音)이나 백제음(百済音)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오음은 5세기에서 6세기경, 중국이 남북조 시대로 분열되었을 때 일본에 도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시기 중국 남조의 발음이 직접 전해졌거나 한반도를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중국과 한국에서는 불교나 유교 사상가들이 일본으로 건너가기도 했다.[2] 하지만 오음이 실제로 남조 중국어에 기반한다는 명확한 역사적 문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오음은 주로 불교 용어나 율령 용어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나라 시대와 헤이안 시대에 특히 많이 쓰였으며, 한음이 도입된 이후에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현재까지 한음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고사기』(古事記)에 나오는 일본어 인명은 오음과 훈독(訓讀)으로 표기되었고,[10][6] 『고사기』의 후리가나 역할을 한 만요가나(万葉仮名)에도 오음이 사용되었다.
언어학자 시바타 마사요시(柴谷方良)는 오음이 일본어에 들어온 세 차례의 주요 중국어 차용(오음, 한음, 당송음) 중 첫 번째이며, 주로 불교와 관련이 깊다고 보았다.[2]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 오음 발음은 사라지기도 했다. 현대 일본어 사전 등에서는 반절 방식을 사용해 일부 오음을 재구성하거나, 동음이의어를 통해 추정하기도 한다.[3]
2. 1. 명칭
오음(呉音)이라는 명칭은 한음이 도입된 이후에 붙여진 레트로님이다. 한음 도입 이전, 오음이 유일한 한자음이었을 때는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초기에는 화음(和音, やまとごえ|야마토고에일본어 또는 わおん|와온일본어)으로 불렸으나, 헤이안 시대 중기 이후 '오음'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한음 보급을 추진하던 측에서 기존의 한자음을 낮춰 부르기 위해 사용한 명칭으로 추정된다.중국 당(唐) 시대 수도 장안(長安)에서는 자신들의 한자음을 진음(秦音)이라 하고, 장강 이남 지역의 음을 오음(呉音) 또는 오초지음(呉楚之音) 등으로 불렀다. 당나라에 파견되었던 유학생들이 이러한 구분을 받아들여, 장안의 발음(한음)을 정통으로 여기고 일본에 이미 정착해 있던 기존의 한자음을 '오음'이라 부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오음은 대마음(対馬音, つしまおん|쓰시마온일본어) 또는 백제음(百済音, くだらおん|구다라온일본어)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긴메이 천황 때 백제의 비구니 법명(法明)이 쓰시마에 와서 오음으로 유마경(維摩經)을 읽으며 불교를 전했다는 전승에 따른 것이다.[3]
3. 특징
오음은 한음에 비해 다소 복잡하고 정돈된 체계를 갖추고 있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중고 한어(中古漢語)의 청탁(淸濁) 대립 구조를 반영하여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을 구별한다.
- 두자음(성모, 聲母)의 비음(鼻音) 'n', 'm' 소리를 나행, 마행으로 그대로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한음에서 해당 소리들이 다행, 바행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은 것과 차이가 있다.
- 말자음(운미, 韻尾), 특히 'ŋ' 발음을 표기하는 규칙이 일정하지 않다. '-ウ'나 '-イ'가 덧붙기도 하고, '公'(ク)처럼 생략되기도 한다. 특정 숙어에서는 '双六'(ス'''ゴ'''ロク)처럼 ガ行의 음으로 보충되기도 한다.[9] [5]
- 't' 말자음을 가진 입성(入聲)은 '-チ'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음에서 '-ツ'로 발음되는 것과 대조된다.
- 절운(切韻)의 음운 체계 중 등호(等呼)의 차이를 반영하여, 1등운에는 ア단음을, 2등운에는 エ단음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별한다. 한음에서는 두 경우 모두 ア단음을 사용하여 구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3. 1. 한음과의 비교
한음과 오음은 같은 한자라도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아래는 그 차이를 보여주는 몇 가지 예시이다. 대응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자음 가나 표기법을 사용하여 표시했다.다만, 오음 자체에 모호한 부분이 있어 아래 설명이나 예시가 절대적인 규칙은 아니며, 분류 역시 엄밀하지 않으므로 참고용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오음은 한음보다 규칙성이 덜하지만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중국어 중고음의 유성음과 무성음 구별을 비교적 반영한다. (자세한 내용은 #두자음 차이 참조)
- 중고음의 비음('m-', 'n-')을 그대로 비음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두자음 차이 참조)
- 일부 한자에서는 '-o'와 '-u' 발음이 모두 사용되기도 한다. (예: 素 ''so''/''su'', 奴 ''do''/''nu'', 都 ''to''/''tsu'') (자세한 내용은 #모음 차이 참조)
아래는 한음과 오음 발음이 다른 한자의 몇 가지 예시이다.
한자 | 의미 | 오음 | 한음 | 중국어 중고[4] |
---|---|---|---|---|
明 | 밝음 | myō | mei | mjaeng |
京 | 수도 | kyō | kei | kjaeng |
上 | 위 | jō | shō | dzyangX |
下 | 아래 | ge | ka | haeX, haeH |
3. 1. 1. 두자음 차이
오음은 한음과 비교했을 때 성모(聲母, 두자음) 처리에서 몇 가지 특징적인 차이를 보인다.- '''청탁(淸濁)의 구별''': 오음은 중국어 중고음의 청음(무성음)과 탁음(유성음) 대립을 비교적 잘 반영하여 구별한다. 예를 들어 '下'는 오음에서 유성음 계열인 '게'(ge)로 읽지만, 한음에서는 무성음 계열인 '카'(ka)로 읽는다.[4]
- '''비음(鼻音)의 처리''': 중고음에서 비음 성모였던 'ㄴ'(n)과 'ㅁ'(m) 소리는 오음에서 주로 나행(ナ行)과 마행(マ行)으로 나타난다. 반면, 한음에서는 이들이 유성 파열음 계열인 다행(ダ行)이나 바행(バ行)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男'은 오음에서 '난'(nan)이지만 한음에서는 '단'(dan)으로 읽고, '美'는 오음에서 '미'(mi)이지만 한음에서는 '비'(bi)로 읽는다.
아래 표는 오음과 한음의 성모 차이를 보여주는 몇 가지 예시이다.
- 표에서 제시된 중고음은 백스터-사가르 표기법을 따른다.[4]
- '二', '人', '日', '如', '若' 등 일부 한자의 경우, 오음의 'n-' 또는 'ny-' 발음은 표준중국어의 'r-' 또는 'er-' 발음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다.
3. 1. 2. 모음 차이
오음은 한음에 비해 규칙성이 덜한 편이지만, 모음 체계에서 몇 가지 특징적인 차이를 보인다. 중국어 중고음의 특정 모음 구조를 한음과 다르게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절운의 음운 체계 중 등호의 차이를 반영하여, 1등운 한자에는 '아단음'(a 계열 모음)을, 2등운 한자에는 '에단음'(e 계열 모음)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한음에서는 두 경우 모두 '아단음'으로 발음하여 구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말자음(운미), 특히 'ŋ' 발음을 나타내는 규칙이 일정하지 않다. 오음에서도 '-우(-u)'나 '-이(-i)'가 덧붙는 경우가 많지만, '공'(公) 자를 '쿠'(ク)로 읽는 것처럼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특정 숙어에 고정된 것이기는 하지만, 주사위(すごろく, 스'''고'''로쿠)처럼 가행음을 적용한 것도 일부 보인다.
- 't' 말자음을 가진 입성의 경우, 오음에서는 '-치(-ti)'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음에서 '-츠(-tu)'를 사용하는 것과 대조된다.
- 일부 한자에서는 '-o'와 '-u' 발음이 모두 허용되어 널리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소'(素)는 '소'(ソ, ''so'') 또는 '스'(ス, ''su''), '노'(奴)는 '도'(ド, ''do'') 또는 '누'(ヌ, ''nu''), '도'(都)는 '토'(ト, ''to'') 또는 '쓰'(ツ, ''tsu'')로 읽힌다.
아래 표는 오음과 한음의 주요 모음 대응 관계를 보여준다.
분류 | * / -e | -ei / -ai | * / -u | |||||||||||||||||||||
---|---|---|---|---|---|---|---|---|---|---|---|---|---|---|---|---|---|---|---|---|---|---|---|---|
예자 | 衣 | 気 | 戯 | 愛 | 解 | 会絵回 | 快怪 | 外 | 仮家 | 下夏 | 化 | 花 | 西斉 | 体帝 | 米 | 礼 | 素 | 図 | 怒 | 公工口 | 豆頭 | 右有 | 九久 | 留流 |
한음 | い | き | ぎ | あい | かい | くゎい kwai | ぐゎい | か | くゎ | せい | てい | べい | れい | そ | と | ど | こう | とう | いう | きう | りう | |||
오음 | え | け | げ | え | げ | ゑ we | け | げ | け | げ | け | げ | さい | たい | まい | らい | す | づ du | ぬ | く | づ | う | く | る |
비고 | 아음·후음 계열, 즉 アワ행·カ행·ガ행이 중심 | 보통화 -i | colspan="8" | |
분류 | -i- / -o- | -e- / -o- | -a- / -o- | -a- / -ya- | -yok / -iki | |||||||||||||
---|---|---|---|---|---|---|---|---|---|---|---|---|---|---|---|---|---|---|
예자 | 音隠 | 今金 | 品 | 乙 | 乞 | 遠園 | 建 | 言厳 | 越 | 叛 | 発 | 行 | 客 | 白 | 色拭 | 食 | 直 | 力 |
한음 | いん | きん | ひん | いつ | きつ | ゑん wen | けん | げん | ゑつ | はん | はつ | かう | かく | はく | しょく | ちょく | りょく | |
오음 | おん | こん | ほん | おつ | こつ | をん won | こん | ごん | をち | ほん | ほち | ぎゃう[7] | きゃく | びゃく | しき | じき | ぢき diki | りき |
비고 | 아음·후음 계열이 중심 | colspan="2" | | colspan="3" | | 입성만 |
분류 | -e- / -ya- | 기타 | ||||||||||||||||
---|---|---|---|---|---|---|---|---|---|---|---|---|---|---|---|---|---|---|
예자 | 京経 | 形 | 正生性声省精 | 成静 | 丁挺 | 定 | 兵 | 平病 | 名命明 | 霊 | 役 | 石赤 | 寂 | 暦 | 牛 | 月 | 殺 | 文聞 |
한음 | けい | せい | てい | へい | めい | れい | えき | せき | れき | ぎう | げつ | さつ | ぶん | |||||
오음 | きゃう | ぎゃう | しゃう | じゃう | ちゃう | ぢゃう | ひゃう | びゃう | みゃう | りゃう | やく | しゃく | じゃく | りゃく | ご | ぐゎつ | せつ | もん |
비고 | 보통화 -ing 에 해당[8] | colspan="4" | | colspan="4" | |
다음은 몇 가지 추가적인 예시이다. (괄호 안은 드물게 사용되는 음독)
4. 현대 일본어에서의 오음
간온 음독이 일본에 도입된 이후에도 오음(고음)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오늘날에도 많은 한자에는 오음과 간온 두 가지 음독이 모두 존재하며 함께 사용되고 있다. 특히 불교 용어나 율령 관련 용어에서 오음이 자주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토쿠 태자의 이름 '쇼토쿠(聖徳)'는 오음으로 읽지만, 여기서 파생된 지명 중 세이토쿠 대학의 '세이토쿠(聖徳)'는 간온으로 읽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대 문헌인 『고지키』에 등장하는 일본어 인명은 오음과 훈독으로 표기되었으며[6], 『고지키』의 후리가나 역할을 한 만요가나에도 오음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일부 오음은 현대 일본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일본어 사전에는 모든 한자에 대한 오음 목록이 실려 있지만, 사라진 일부 오음은 ''반절'' 방식을 통해 재구성되거나, 현대의 동음이의어와 같을 것으로 추론하여 복원한 것이다.[3]
5. 음의 모호성
일본 정부가 지정한 상용 한자가 아닌 한자음의 경우, 한음은 중국의 운서(韻書)나 반절(反切) 자료를 중심으로 그 음이 인정되는 반면, 오음은 일본에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불경이나 율령 같은 역사적 사료를 중심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그 기준을 명확히 하기가 어려운 면이 있다. 이 때문에 일본의 한자 사전마다 오음 표기가 다른 경우가 많다.
참조
[1]
서적
Lexicon of Reconstructed Pronunciation: In Early Middle Chinese, Late Middle Chinese, and Early Mandarin
https://books.google[...]
UBC Press
1991
[2]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3]
서적
Old Japanese: A Phonetic Re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간행물
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
Mouton de Gruyter
[5]
문서
日本固有の地名や人名にも同様の字音を当てているものが見られる。[[相模|'''相'''模]]('''サガ'''ミ)、[[相良|'''相'''良]]('''サガ'''ラ)、[[愛宕|愛'''宕''']](ア'''タゴ'''/オ'''タギ''')、[[鳳至郡|'''鳳'''至]]('''フゲ'''シ)など。
[6]
문서
[[アヂスキタカヒコネ|阿遅鉏高日子根]]・[[味耜高彦根命]]、[[都怒我阿羅斯等]]など。
[7]
문서
「行」字は[[音読み#多音字|多音字]]である。意味の違いで「がう」の読み方を挙げる字典がある。詳しくは[[行部#部首字|こちら]]を参照。
[8]
문서
ただし「せい/しゃう/じゃう」の一部は普通話の zheng, cheng, sheng に相当している。これは中国語側の変化によるもの。
[9]
문서
일본 고유 지명이나 인명에도 같은 한자음을 적용한 것이 보인다.
[10]
문서
阿遅鉏高日子根(아지스키타카히코네, アヂスキタカヒコネ), 味耜高彦根命, 都怒我阿羅斯等 등
[11]
문서
'行'자는 다음자(多音字)이다. 의미 차이로 'がう'로 읽는 방식을 제시한 사전이 있다.
[12]
문서
다만 세이(せい)•샤우(しゃう)•쟈우(じゃう)의 일부는 보통화 zheng, cheng, sheng에 해당한다. 이는 중국어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