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 길잡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피스 길잡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에서 처음 도입된 기능으로, 사용자가 오피스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동안 도움을 제공하는 캐릭터이다. 앨런 쿠퍼의 "비주얼 베이직"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클리피를 비롯한 다양한 캐릭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오피스 XP에서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었고, 오피스 2003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제공되지 않았지만, 이스터 에그, 패러디, 밈 등으로 대중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2021년에는 클립 이모지가 클리피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변신 능력자 - 미스터 판타스틱
미스터 판타스틱은 신체를 자유자재로 변형시키는 초능력을 가진 천재 과학자 리드 리처즈로, 판타스틱 4의 리더로서 악에 맞서 싸우며 닥터 둠과는 숙적이자 친구 관계이다. - 가공의 변신 능력자 - 미스티크
미스티크는 마블 코믹스에서 변신 능력을 가진 뮤턴트 캐릭터로, 엑스맨 시리즈에서 빌런이자 동맹으로 등장하며 데스티니와의 관계, 나이트크롤러, 로그 이야기와 엮여있고 성 정체성에 대한 논쟁과 함께 복잡한 캐릭터성을 인정받았다. - 1996년 소프트웨어 - Xfce
Xfce는 올리비에 푸르당이 1996년에 시작한 GTK+ 기반의 자유 소프트웨어 데스크톱 환경으로, 가벼운 사용감과 모듈화된 구조, 사용자 정의 용이성이 특징이며 낮은 사양의 컴퓨터에서도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설계되었다. - 1996년 소프트웨어 - 인터넷 익스플로러 3
인터넷 익스플로러 3은 마이크로소프트가 무료로 배포한 웹 브라우저로, 넷스케이프 플러그인 기술, ActiveX, 프레임, JScript를 지원하고 CSS를 처음 도입했으며, 윈도우 외 솔라리스 버전과 인터넷 메일, 뉴스, 주소록 소프트웨어를 통합 제공했으나 보안 문제에 직면하여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하고 암호화 기능을 강화했다. - 기술 소통 - 교열
교열은 글의 명확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문법, 용법, 내용, 구성 요소 간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오류를 수정하고 재구성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라 역할이 재정립되고 있다. - 기술 소통 - 국제화와 지역화
국제화는 소프트웨어를 다양한 언어와 지역을 지원하도록 설계하는 과정이며, 지역화는 특정 언어와 지역에 맞춰 조정하는 과정으로, 문자 인코딩, 날짜/시간 형식, 통화, 법적 규제, 문화적 차이 등을 고려하여 제품을 적응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오피스 길잡이 | |
|---|---|
| 개요 | |
| 종류 | 인공지능 에이전트 | 
| 용도 |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 
| 개발 | 마이크로소프트 | 
| 역사 | |
| 최초 출시 | 1997년 (Office 97) | 
| 중단 | 2007년 (Office 2007) | 
| 특징 | |
| 기능 | 도움말 제공 사용 팁 제공 작업 자동화 (일부)  | 
| 캐릭터 | 클리피 (Clippit, 종이 클립) 강아지 (Rover) 고양이 (Links the Cat) 외계인 (Dot) 로봇 (Genius) 윌리 (윌리엄 셰익스피어)  | 
| 기술 | 베이즈 추론 | 
| 논란 | |
| 사용자 불만 | 잦은 등장 방해 낮은 유용성  | 
| 긍정적 평가 | 친근한 이미지 향수 자극  | 
| 기타 | |
| 관련 인물 | 케빈 애트베리 (Clippy 디자이너) | 
2. 역사
오피스 길잡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통해 오피스 도움말 콘텐츠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연결하여 사용자를 지원하는 기능이었다. 이 기능은 윈도우용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2003 버전),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리셔 및 마이크로소프트 프로젝트 (98~2003 버전), 마이크로소프트 프론트페이지 (2002 및 2003 버전), 그리고 Mac용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8~2004 버전)에 포함되었다. 오피스 길잡이는 초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밥의 기술을, 이후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의 기술을 활용하여 베이즈 확률 알고리즘에 기반한 조언을 제공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길잡이 캐릭터는 영문 버전의 기본 길잡이였던 종이 클립 모양의 '클리피(Clippit)'였다.[3][4] 이 캐릭터는 케반 J. 아테베리(Kevan J. Atteberry)가 디자인했으며,[5][6] 대중적으로는 '클리피(Clippy)'라는 애칭으로 더 유명해졌고, 이 이름은 나중에 마이크로소프트의 마케팅 자료에도 사용되었다.[1][7][11][8] 다른 길잡이 캐릭터도 존재했지만, 클리피는 기본 설정이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캐릭터였다.[9]
오피스 길잡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에서 처음 도입되었다.[14] 프로그램이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려 하거나 도움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자동으로 나타나 관련 도움말이나 팁, 키보드 단축키 등을 제안했다. 예를 들어, 편지 형식의 글을 시작하면 "편지를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십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했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들에게 방해가 되고 불편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러한 반응을 반영하여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피스 XP 버전부터 이 기능을 기본적으로 비활성화했으며,[16] 이를 마케팅 요소로 활용하기도 했다.[17] 오피스 길잡이 기능은 2004년 5월 11일에 출시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3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포함되지 않았다.
2. 1. 개발 배경
앨런 쿠퍼는 "비주얼 베이직의 아버지"로 불리며, 오피스 길잡이(클리피)의 개념이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수행된 연구에 대한 "비극적인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는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다른 인간과 상호작용할 때 감정 반응을 담당하는 영역과 동일하며, 이것이 사람들이 컴퓨터 모니터에 소리를 지르는 이유라고 밝혔다.[13]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이 컴퓨터에 다른 인간에게 반응하는 것처럼 반응한다면 소프트웨어에 인간과 같은 얼굴을 포함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라고 잘못 판단했다.[13] 그러나 실제로는 사람들이 이미 컴퓨터를 인간과 연관 짓고 있었기 때문에, 추가된 인간 같은 얼굴은 오히려 사용자의 집중을 방해하는 성가신 요소로 작용했다.[13]오피스 길잡이는 초기 윈도우 버전의 인터페이스 재설계 시도였던 마이크로소프트 밥에 기반을 두었다. 밥은 사용자들의 좋지 않은 반응으로 1996년에 단종되었고, 곧 오피스 길잡이로 대체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에서 처음 소개된[14] 오피스 길잡이는 개발 당시 TFC라는 코드명으로 불렸는데, 여기서 "C"는 "clown(광대)"를 의미했다.[15] 이 기능은 사용자가 오피스 마법사를 사용하거나 도움말을 검색할 때, 또는 프로그램이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할 때 나타나 도움을 제안했다. 또한 유용한 팁이나 키보드 단축키를 제시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문서에 주소를 입력한 뒤 "Dear(친애하는)"와 같은 문구를 쓰면, 길잡이가 나타나 "편지를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십니까?"라는 메시지를 표시했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비판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피스 XP 버전부터 이 기능을 기본적으로 비활성화했다.[16]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러한 변화를 오히려 마케팅 포인트로 활용했다.[17]
마이크로소프트는 현재는 사라진 웹사이트 ''officeclippy.com''을 개설하여, 직장을 잃은 클리피(이때부터 공식적으로 '클리피'라 불림)가 등장하는 세 편의 플래시 만화, 클리피가 부르는 노래, 그리고 사무용품으로 클리피 군대를 물리치는 '오피스 XP(Xtract Paperclip)'라는 플래시 비디오 게임을 공개했다.[18] 2001년 5월 31일 뉴욕시에서 열린 오피스 XP 출시 행사에서는 클리피 마스코트 복장을 한 사람이 무대에 난입하여 자신의 복직을 호소하는 연설을 하다가 거대한 자석에 의해 끌려 나가는 퍼포먼스를 선보이기도 했다.[19] 이 광고 캠페인에서 클리피의 목소리는 코미디언 길버트 고트프리드가 맡았다. 같은 해 11월,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리피를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포함시킨 윈도우용 비디오 게임 '바이시클 카드 게임'을 출시했으며, 길버트 고트프리드가 다시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20]
오피스 길잡이 기능은 2004년 5월 11일에 출시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3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지원되지 않았다. 이후 버전의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에서는 이 기능이 완전히 제거되었다.
2. 2. 도입 및 중단
"비주얼 베이직의 아버지"로 불리는 앨런 쿠퍼는 오피스 길잡이(클리피)의 개념이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수행된 연구에 대한 "비극적인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는 사람들이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할 때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이 다른 인간과 상호작용하며 감정적 반응을 담당하는 영역과 동일하며, 이것이 사람들이 컴퓨터 모니터를 향해 소리치는 이유라고 밝혔다.[13]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컴퓨터에 대해 인간에게 반응하는 것과 유사하게 반응한다면 소프트웨어에 인간과 같은 얼굴을 넣는 것이 유익할 것이라고 잘못 판단했다.[13] 그러나 사용자들은 이미 컴퓨터를 인간과 연관 짓고 있었기 때문에, 추가된 인간 형상의 인터페이스는 오히려 주된 작업 흐름을 방해하는 성가신 요소로 인식되었다.[13]오피스 길잡이는 초기 윈도우 버전의 인터페이스 재설계 시도였던 마이크로소프트 밥에 기반을 두었다. 밥은 사용자들의 혹평 속에 1996년 단종되었고, 오피스 길잡이가 그 뒤를 이었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에서 처음 소개된[14] 오피스 길잡이는 개발 당시 TFC라는 코드명으로 불렸는데, 여기서 'C'는 'clown(광대)'를 의미했다.[15] 이 기능은 사용자가 오피스 마법사를 사용하거나, 도움말을 검색하거나, 특정 오피스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프로그램이 판단할 때 자동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용한 팁이나 키보드 단축키를 제시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문서에 주소를 입력한 뒤 "Dear(친애하는)"와 같은 서신 서두를 입력하면, 길잡이가 나타나 "편지를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십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했다.
그러나 사용자들의 부정적인 반응이 계속되자,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피스 XP에서 이 기능을 기본적으로 비활성화했으며,[16] 이러한 변화를 주요 마케팅 포인트로 삼았다.[17] 마이크로소프트는 당시 사라진 웹사이트 ''officeclippy.com''을 개설하여, 해고된 클리피(이때부터 공식적으로 '클리피'라는 이름 사용)가 등장하는 세 편의 플래시 만화, 클리피가 부르는 노래, 그리고 사무용품으로 클리피 군대를 물리치는 '오피스 XP(Xtract Paperclip)'라는 플래시 비디오 게임을 공개했다.[18] 2001년 5월 31일 뉴욕시에서 열린 오피스 XP 출시 행사에서는 클리피 마스코트 복장을 한 사람이 무대에 난입하여 자신의 복직을 호소하는 연설을 하다가 거대한 자석에 의해 끌려 나가는 퍼포먼스를 선보이기도 했다.[19] 이 광고 캠페인에서 클리피의 목소리는 코미디언 길버트 고트프리드가 맡았다. 같은 해 11월,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리피를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포함시킨 윈도우용 비디오 게임 '바이시클 카드 게임'을 출시했으며, 길버트 고트프리드가 다시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20]
2004년 5월 11일에 출시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3은 오피스 길잡이 기능을 포함한 마지막 버전이었다. 이후 출시된 모든 버전에서는 이 기능이 제공되지 않았다.
2007년 1월 30일 출시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에서는 오피스 길잡이 기능이 완전히 제거되었고, 이 결정은 이후 모든 오피스 버전에서 유지되었다. 같은 해 테크에드(TechEd) 2007 컨퍼런스 오프닝 영상에서는 백 투 더 퓨처를 패러디하여, 당시 마이크로소프트 사장이었던 밥 머글리아와 영화에서 닥 브라운 역을 맡았던 배우 크리스토퍼 로이드가 드로리안을 타고 시간 여행을 하는 내용이 담겼다. 영상 속에서 그들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실패한 제품들이 현실이 된 대체 미래에 도착하는데, 이 미래는 마이크로소프트 밥의 스마일리 얼굴 로고 홀로그램과 냉소적인 모습의 클리피 홀로그램이 떠다니는 흰색 공간으로 묘사되었다.[31] 흥미롭게도 이 영상에서는 길버트 고트프리드가 클리피 목소리를 맡지 않았다.
2009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0 홍보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피스 2010 - 영화"라는 가짜 영화 예고편을 공개하는 웹사이트[32]를 만들었다. 이 예고편에는 오피스 길잡이 기능 제거를 상징하는 클리피의 사진과 함께 묘비가 등장했다.[33]
2011년 4월 2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랩스는 리본 히어로 2: 클리피의 두 번째 기회라는 무료 퍼즐 비디오 게임을 출시했다. 이 게임은 사용자에게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 및 2010의 기본 사용법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게임 속에서 클리피는 시간 여행 기계를 발견하기 전까지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플레이어는 스토리를 진행하기 위해 다양한 오피스 관련 과제를 완료해야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3 이후 버전에서는 옵션에서 테마(또는 오피스 배경)를 "학교 용품"으로 변경하면 리본 메뉴에 클리피의 작은 이미지가 나타나는 이스터 에그가 숨겨져 있다.
클리피는 2014년 만우절 장난의 일환으로 오피스 온라인에서 오피스 길잡이로 잠시 등장했다.[34] 며칠 후에는 당시 미리보기 버전이었던 윈도우 폰 8.1에서 또 다른 이스터 에그가 발견되었다. 개인 비서 코타나에게 클리피에 대해 물으면 "물론이죠. 그는 제게 경청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가르쳐줬어요." 또는 "싫어할 게 뭐 있겠어요? 저 친구는 엄청 맞았는데도 여전히 웃고 있잖아요."와 같은 재치 있는 답변을 했고,[35] 때때로 코타나의 아바타가 몇 초 동안 2차원 메트로 스타일의 클리피로 변하기도 했다. 이 이스터 에그는 윈도우 폰 운영 체제와 윈도우 10 정식 버전에서도 계속 유지되었다.[36]
2019년 3월 19일,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의 개발자 GitHub 페이지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용 "클리피!" 스티커 팩을 공개했지만, 3일 만에 삭제했다.[37] 그러나 이 스티커 팩은 2021년 11월 1일 팀즈 자체 기능으로 통합되어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다.[38] 또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일부 팀즈 배경 이미지에도 클리피가 포함되어 있다.[39]

2021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는 트위터를 통해 새롭게 디자인된 클리피의 모습을 공개하며, 해당 트윗이 2만 개의 '좋아요'를 받으면 Microsoft 365의 클립 이모지를 클리피 캐릭터로 교체하겠다고 약속했다.[44] 이 트윗은 빠르게 목표치를 달성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약속대로 이모지 교체를 발표했다.[40][41] 2021년 11월,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11에서 클립 이모지(📎)의 디자인을 공식적으로 클리피로 업데이트했다.[42]
3. 기능
오피스 길잡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통해 오피스 도움말 콘텐츠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연결하여 사용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3][4] 이 기능은 윈도우용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2003 버전),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리셔 및 마이크로소프트 프로젝트 (98~2003 버전), 마이크로소프트 프론트페이지 (2002 및 2003 버전), 그리고 Mac용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8~2004 버전)에 포함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에서 처음 소개된[14] 오피스 길잡이는 개발 중에 TFC라는 코드명이 사용되었다.[15] 프로그램이 사용자가 오피스 마법사를 사용하거나, 도움말을 검색하거나, 오피스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조언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할 때 화면에 나타났다. 또한 팁과 키보드 단축키를 제시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소를 입력하고 "Dear"와 같이 편지 서두에 쓰이는 문구를 입력하면, 길잡이가 나타나 "편지를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십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보여주었다.
기술적으로 오피스 길잡이는 초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밥의 기술을 사용했고,[10] 나중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 기술을 활용했다. 두 기술 모두 베이즈 확률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조언을 추정하고 제공했다.[11]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0부터는 마이크로소프트 밥에서 파생된 액터(.act) 형식 대신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의 .acs 형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에이전트 기반 캐릭터는 더 풍부한 형태와 색상을 가졌으며, 네모난 창 안에 갇히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였다. 또한, 레르노트 앤 하우스피의 TruVoice 텍스트 음성 변환 엔진(SAPI 4.0 필요)을 통해 음성으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 음성 인식 엔진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받아들일 수도 있었다.[12]
앨런 쿠퍼는 오피스 길잡이의 개념이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수행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연구[13]를 "비극적으로 오해"한 결과라고 비판했다. 해당 연구는 사람들이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할 때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이 다른 인간과 상호 작용할 때 감정적 반응을 담당하는 영역과 같다는 점을 밝혔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13]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에 인간과 같은 얼굴을 넣으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것이라 판단했지만, 쿠퍼는 이것이 오히려 사용자의 주된 작업 흐름을 방해하는 성가신 요소로 작용했다고 비판했다.[13]
사용자는 여러 길잡이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영문 버전의 기본 길잡이는 케반 J. 아테베리(Kevan J. Atteberry)가 디자인한 종이 클립 모양의 클리피(Clippit)였다.[5][6] 클리피는 공식 명칭이었지만,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주로 '''클리피(Clippy)'''라는 애칭으로 불렸고,[1][7][11][8] 이는 나중에 마이크로소프트 마케팅 자료에도 가끔 사용되었다. 다른 길잡이 캐릭터는 설치 CD가 필요한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클리피는 다른 길잡이들보다 훨씬 더 널리 알려졌다.[9]
오피스 버전에 따라 선택 가능한 길잡이 캐릭터가 달랐다.
| 오피스 97 | 오피스 2000 이후 추가/변경 | 
|---|---|
오피스 길잡이 기능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XP에서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었으며,[16]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3을 마지막으로 이후 버전에서는 완전히 제거되었다.
4. 기술
오피스 길잡이는 초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밥(Microsoft Bob)의 기술을 사용했고,[10][56] 나중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Microsoft Agent) 기술을 사용했다.[11] 두 기술 모두 베이즈 확률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조언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했다.[11][57]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0부터는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의 .acs 형식이 마이크로소프트 밥에서 파생된 액터(.act) 형식을 대체하며 기술 기반이 변경되었다. 이 변화로 오피스 길잡이 캐릭터는 더 풍부한 형태와 색상을 가지게 되었고, 사각형 창 안에 갇히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는 오피스가 설치된 폴더나 System32 폴더의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 폴더에 다른 길잡이 파일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었다.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 기술은 음성 기능도 지원했다. 레르노트 앤 하우스피(Lernout & Hauspie)의 TruVoice 텍스트 음성 변환 엔진을 사용하여 음성 출력이 가능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SAPI 4.0이 필요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음성 인식 엔진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받아들일 수도 있었다.[12][58] 이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 기술은 이후 윈도우 XP의 파일 탐색기 검색 도우미에도 활용되었다.
5. 제공된 도우미
오피스 길잡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통해 오피스 도움말 콘텐츠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연결하여 사용자를 지원했다. 이 기능은 윈도우용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2003 버전), 마이크로소프트 퍼블리셔 및 마이크로소프트 프로젝트 (98~2003 버전), 마이크로소프트 프론트페이지 (2002 및 2003 버전), 그리고 Mac용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8~2004 버전)에 포함되었다. 오피스 길잡이는 초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밥의 기술을, 나중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의 기술을 사용하여 베이즈 확률 알고리즘에 기반한 조언을 제공했다.
영문 버전의 기본 길잡이는 종이 클립을 형상화한 '클리피(Clippit)'였다.[3][4] 이 캐릭터는 케반 J. 아테베리(Kevan J. Atteberry)가 디자인했으며,[5][6] 대중적으로는 '''클리피(Clippy)'''라는 애칭으로 더 널리 불렸고, 이 이름은 나중에 마이크로소프트 마케팅 자료에도 가끔 사용되었다.[1][7][11][8] 클리피 외에도 다양한 길잡이 캐릭터가 제공되었으며, 버전 및 지역에 따라 선택 가능한 캐릭터가 달랐다. 예를 들어, 일본어 등 동아시아 언어 버전에서는 돌고래 캐릭터인 'カイル|카이루일본어'가 기본으로 제공되기도 했다.[21] 대부분의 경우 다른 길잡이를 사용하려면 설치 CD가 필요했기 때문에, 기본 길잡이(클리피 또는 카이루 등)가 사용자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졌다.[9]
5. 1. 기본 제공 도우미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 버전부터 도입된 오피스 길잡이 기능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동안 표시할 애니메이션 길잡이를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영문 버전의 기본 길잡이는 종이 클립을 형상화한 '클리피(Clippit)'였다.[3][4] 클리피는 케반 J. 아테베리(Kevan J. Atteberry)가 디자인했으며,[5][6] 대중적으로는 '클리피(Clippy)'라는 애칭으로 더 널리 불렸고, 이 이름은 나중에 마이크로소프트 마케팅 자료에도 사용되었다.[1][7][11][8] 클리피는 다른 길잡이보다 훨씬 인지도가 높았는데, 이는 일부 다른 길잡이를 사용하려면 설치 CD가 필요했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마이크로소프트 종이 클립'이라고 불리기도 했다.[9]Office 97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었던 길잡이는 다음과 같다.
| 길잡이 | 설명 | 비고 | 
|---|---|---|
| 클리피 (Clippit/Clippy) | 의인화된 종이 클립 | 기본 길잡이 (영문판 등) | 
| 점 (The Dot) | 모습이 변하는 스마일리 얼굴의 빨간 공 | |
| 지니어스 (The Genius)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캐리커처 | Office XP에서 제거 (애드온으로 제공) | 
| 호버봇 (Hoverbot) | 로봇 | Office 2000에서 제거 | 
| Kairu|카이루jpn | 돌고래 | 동아시아 버전 기본, 다운로드 가능[21] | 
| 오피스 로고 (Office Logo) | 네 조각 직소 퍼즐 (Office 9x 로고) | 무음/움직이지 않는 버전도 존재[22] | 
| 마더 네이처 (Mother Nature) | 지구 | |
| 파워 펍 (Power Pup) | 슈퍼히어로 개 | Office 2000에서 제거 | 
| 스크리블 (Scribble) | 종이접기 스타일 고양이 | Office 2000에서 제거 | 
| 윌 (Will) | 윌리엄 셰익스피어 캐리커처 | Office 2000에서 제거 | 
Microsoft Office 2000 이상 버전에서는 '호버봇', '스크리블', '파워 펍', '윌' 길잡이가 제거되고 새로운 길잡이들이 추가되었다.
- F1: 로봇. 이전 Office 97에서는 다운로드 가능했으며, Office 2000부터 기본 포함되었다.
 - 링크스 (Links): 고양이. 이전 Office 97에서는 다운로드 가능했으며, Office 2000부터 기본 포함되었다.
 - 로키 (Rocky): 개. Office 2000부터 포함되었다.
 - 멀린 (Merlin): 마법사. Office XP에서 도입되었다.
 
또한 '클리피', '오피스 로고', '카이루' 길잡이는 입체적인 모습으로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제거된 길잡이들은 나중에 다른 추가 길잡이들과 함께 다운로드 가능한 애드온으로 제공되었다.[23]
주요 길잡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클리퍼 (Clipper)''': 옷핀을 모델로 한 길잡이. 가는 철사 몸을 자유자재로 변형할 수 있다. 영문 버전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기본 길잡이이다. (주: 영문판 기본 길잡이는 클리피(Clippit)이며, 클리퍼는 source 내 별도 설명된 길잡이임)
 - '''Kairu|카이루jpn''': 돌고래를 모델로 한 길잡이. 가리비 모양 노트북을 사용한다. 일본어 등 동아시아 언어 버전의 기본 길잡이이며, 다른 언어 버전에서도 추가 설정이 가능하다. Office 2000부터 입체적인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 '''F1''': 이족 보행 로봇 형태의 길잡이. Office 2000부터 등장했으며, 300/M 시리즈의 첫 모델이라는 설정이다. 몸체를 분해하고 재구축하는 것이 특징이다.
 - '''오피스 로고 (Office Logo)''': Office XP 및 이전 버전의 로고 마크를 모티브로 한 길잡이.
 - '''멀린 (Merlin)''': 수염을 기른 노인 마법사 길잡이. Office XP부터 등장했으며, Windows Me의 초기 설정 화면에도 등장한다.
 - '''손오공''': 서유기의 주인공 손오공을 모델로 한 길잡이. 동아시아 언어 버전 전용이며 Office XP부터 등장했다.
 - '''미미 (Mimi)''': 고양이 길잡이. 사용자가 잠시 조작하지 않으면 졸기 시작한다.
 - '''핑키 (Pinky)''': Office 97에만 등장한 종이로 만들어진 고양이 길잡이.
 - '''로키 (Rocky)''': 개 길잡이. 등장 시 쇠사슬을 가스 버너로 자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입체 버전도 있으며, Windows XP의 검색 도우미 기본 길잡이로 사용되었다.
 - '''슈퍼 왕타 (Power Pup)''': Office 97에만 등장한 망토를 착용한 개 길잡이.
 - '''사에코 선생|Saeko Senseijpn''': 표정이 풍부한 여성 길잡이. 명함이 변형된 책상에 앉아 있다. 일본어 버전 전용이다.
 - '''만마 짱|Manma-chanjpn''': Office 2000 판촉 캠페인 기간에만 제공되었던 길잡이. TV 프로그램 《산마의 만마》의 마스코트 캐릭터를 모델로 했다. 현재는 구할 수 없다.
 - '''맥스 (Max)''': Macintosh 버전 전용 길잡이. 다리가 달린 초대 Macintosh의 모습을 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기본 길잡이 외의 다른 길잡이를 사용하려면 Office 설치 CD가 필요했기 때문에, 각 언어 버전의 기본 길잡이(예: 영문판의 클리피, 일본어판의 카이루)가 다른 길잡이에 비해 훨씬 널리 알려졌다.
5. 2. 추가 제공 도우미 (일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 출시와 함께 사용자는 여러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오피스 길잡이로 사용할 수 있었다. 이후 버전에서 일부 캐릭터가 변경되거나 추가되었다.'''Office 97 제공 도우미'''
| 이름 | 설명 | 비고 | 
|---|---|---|
| 클리피 (Clippit/Clippy) | 의인화된 종이 클립. 몸은 가느다란 철사로 되어 있으며 형태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음.[3][4] | 대부분의 영어 버전에서 기본 도우미. 케반 J. 아테베리(Kevan J. Atteberry) 디자인.[5][6] 대중적으로 클리피(Clippy)로 불림.[1][7][11][8] Office 2000부터 입체적인 모습으로 변경됨. | 
| 점 (The Dot) | 모습이 변하는 스마일리 얼굴의 빨간 공. | |
| 지니어스 (The Genius)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캐리커처. | Office XP에서 제거되었으나, 다운로드 가능한 애드온으로 제공됨. | 
| 호버봇 (Hoverbot) | 로봇. | Office 2000에서 제거됨. 다운로드 애드온으로 제공. | 
| 카이루|Kairu일본어 | 돌고래. 가리비 모양 노트북을 코끝으로 타이핑함.[21] | 동아시아 버전 기본 도우미. 다른 지역에서도 다운로드 가능. Office 2000부터 입체적인 모습으로 변경됨. | 
| 오피스 로고 (Office Logo) | 네 조각 직소 퍼즐 모양의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x 로고. | 약간 재설계된 무음/정지 버전 추가 다운로드 가능.[22] Office 2000부터 입체적인 모습으로 변경됨. | 
| 마더 네이처 (Mother Nature) | 지구 모양. | |
| 파워 펍 (Power Pup) / 슈퍼 왕타 | 슈퍼히어로 개. 망토를 착용함. | Office 97에만 포함. Office 2000에서 제거됨. 다운로드 애드온으로 제공. (일본어 버전 이름: 슈퍼 왕타) | 
| 스크리블 (Scribble) / 핑키 | 종이접기 스타일 고양이. | Office 97에만 포함. Office 2000에서 제거됨. 다운로드 애드온으로 제공. (일본어 버전 이름: 핑키) | 
| 윌 (Will)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캐리커처. | Office 2000에서 제거됨. 다운로드 애드온으로 제공. | 
'''Office 2000 이후 추가 도우미'''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0 이상 버전에서는 일부 도우미가 제거되고 새로운 도우미가 추가되었다. 제거된 도우미는 나중에 다른 추가 도우미와 함께 다운로드 가능한 애드온으로 다시 제공되었다.[23]
| 이름 | 설명 | 비고 | 
|---|---|---|
| F1 | 이족 보행 로봇. 몸체 분해 및 재구축이 특기. 퇴장 시 폭파되기도 함. | 이전 Office 97에서 다운로드 가능했으며, Office 2000부터 포함됨. 입체적인 모습으로 변경됨. | 
| 링크스 (Links) / 미미 | 고양이. 잠시 조작하지 않으면 졸기 시작함. | 이전 Office 97에서 다운로드 가능했으며, Office 2000부터 포함됨. (일본어 버전 이름: 미미) | 
| 로키 (Rocky) | 개. 등장 시 체인을 가스 버너로 자르기도 함. | Office 2000부터 포함됨. Windows XP의 검색 도우미 기본 캐릭터로도 사용됨. 입체적인 버전 존재. | 
| 멀린 (Merlin) | 멀린에서 영감을 받은 수염 기른 마법사. | Office XP에서 도입됨. Windows Me의 첫 설정 화면에도 등장함. | 
'''macOS 버전 및 다국어 팩 도우미'''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8 및 2001의 macOS 버전에는 Office 97의 모든 도우미(기존 디자인 유지)와 함께 다음의 도우미가 포함되었다.
| 이름 | 설명 | 비고 | 
|---|---|---|
| 보스그로브 (Bosgrove) | 집사. | macOS 전용. | 
| 얼 더 캣 (Earl the Cat) | 파란 고양이. | macOS 전용. Office 97에서도 다운로드 가능했음. | 
| 맥스 (Max) | 다리가 달린 초대 Macintosh 컴퓨터 모양. 방치하면 큐브 형태로 변하기도 함. | macOS 전용. | 
Office XP 다국어 팩에는 아시아 언어 사용자를 위한 두 명의 도우미가 비 아시아 오피스 버전에 추가로 포함되었다.[24]
| 이름 | 설명 | 비고 | 
|---|---|---|
| 冴子先生|사에코 센세이일본어 | 애니메이션 선생님. 명함이 변형된 전용 책상에 앉아 있으며, 퇴장 시 구멍에 빨려 들어감. | 동아시아 에디션 및 일본어 버전 오리지널 도우미. | 
| 孫悟空|손오공중국어 | 서유기의 주인공 손오공을 모델로 함. | 동아시아 에디션에서도 사용 가능. Office XP부터 등장. | 
'''기타 프로모션 도우미'''
- まんまちゃん|만마 짱일본어: 1999년 일본 토크쇼 산마의 만마와의 제휴로 제공된 도우미. 쇼의 마스코트인 개 닮은 외계인 캐릭터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0 일본어 업그레이드 구매자에게 프로모션 CD로 제공되었으며, 현재는 입수 불가능하다.[25][26]
 
대부분의 경우, 다른 오피스 도우미 캐릭터를 이용하려면 Office 설치 CD가 필요했기 때문에, 영어 버전의 클리피나 동아시아 버전의 카일과 같은 기본 캐릭터가 다른 오피스 도우미에 비해 사용자들에게 더 널리 알려져 있었다.
6. 비판 및 유산
앨런 쿠퍼는 클리피의 개념이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수행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연구에 대한 "비극적인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비판했다. 해당 연구는 사람들이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할 때 감정적 반응을 담당하는 영역과 동일하다는 것을 밝혔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를 소프트웨어에 인간과 같은 얼굴을 넣으면 사용자가 좋아할 것이라고 잘못 해석했다는 것이다.[13] 쿠퍼는 사용자들이 이미 컴퓨터를 인간처럼 대하고 있었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추가된 인간 같은 얼굴(클리피)은 오히려 사용자의 주된 작업 흐름을 방해하는 성가신 존재가 되었다고 지적했다.[13] 클리피는 또한 좋지 않은 평가를 받고 단종된 마이크로소프트 밥을 기반으로 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에서 처음 소개된[14] 오피스 길잡이는 개발 당시 "TFC"라는 코드명으로 불렸는데, "C"는 "clown(광대)"를 의미했다.[15] 오피스 길잡이는 사용자가 도움말을 찾거나 특정 작업을 수행할 때 나타나 도움을 제안했지만, 많은 사용자에게 거슬리고 방해가 된다는 비판을 받았다.[27][28] 특히 컴퓨터 사용 경험이 어느 정도 있는 사용자들에게는 불필요한 방해 요소로 여겨졌으며, 상황에 맞지 않는 조언을 제공한다는 비판도 있었다.[7] 이러한 비판은 마이크로소프트 내부에서도 제기되었으며, 스티븐 시노프스키는 코드명 "TFC"의 "TF"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독자의 상상에 맡긴다고 언급하며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15]
언론에서도 클리피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었다. ''스미소니언 매거진''은 클리피를 "컴퓨팅 역사상 최악의 소프트웨어 설계 실수 중 하나"라고 평가했으며,[29] ''타임''지는 2010년 기사에서 클리피를 '최악의 발명품 50가지' 중 하나로 선정했다.[30]
결국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피스 XP 출시 때 오피스 길잡이 기능을 기본적으로 비활성화했으며,[16] 이를 마케팅 포인트로 활용하기도 했다.[17]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리피가 해고되었다는 내용의 플래시 만화와 게임을 웹사이트에 게시하고,[18] 오피스 XP 출시 행사에서는 클리피 분장을 한 사람이 무대에 난입해 일자리를 되찾게 해달라고 호소하다 자석에 끌려나가는 퍼포먼스를 선보이기도 했다.[19] 이 광고 캠페인에서 클리피의 목소리는 코미디언 길버트 고트프리드가 맡았다. 같은 해 마이크로소프트는 길버트 고트프리드가 목소리를 연기한 클리피를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포함한 비디오 게임 '바이시클 카드 게임'을 출시했다.[20]
오피스 길잡이 기능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3을 마지막으로 포함되었으며,[5]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부터는 완전히 제거되었다. 2007년 테크에드(TechEd) 컨퍼런스 오프닝 영상에서는 백 투 더 퓨처를 패러디하여 마이크로소프트의 실패한 제품들이 현실이 된 대체 미래를 묘사했는데, 이곳에서 클리피는 마이크로소프트 밥 로고와 함께 등장하는 냉소적인 홀로그램으로 그려졌다.[31] 2009년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0 홍보 웹사이트에서는 가짜 영화 예고편을 통해 클리피의 묘비가 등장하며 기능 제거를 다시 한번 언급했다.[32][33]
그러나 클리피는 이후 다양한 형태로 다시 등장하며 일종의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2011년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랩스는 오피스 사용법을 가르치는 게임인 리본 히어로 2: 클리피의 두 번째 기회를 출시하여 클리피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3 이후 버전에서는 오피스 테마를 "학교 용품"으로 설정하면 리본 메뉴에 작은 클리피 이미지가 나타나는 이스터 에그가 포함되었다. 2014년 만우절에는 오피스 온라인에 오피스 길잡이로 등장했으며,[34] 윈도우 폰 8.1의 개인 비서 코타나는 클리피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하며 잠시 클리피 모습으로 변하는 이스터 에그를 보여주었다.[35][36] 2019년에는 Microsoft Teams용 클리피 스티커 팩이 잠시 공개되었다가[37] 2021년 정식으로 통합되었고,[38] 팀즈 배경화면 옵션에도 포함되었다.[39] 2021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는 트위터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의 클리피를 공개하고, 2만 개의 '좋아요'를 받으면 Microsoft 365의 클립 이모지를 클리피 디자인으로 바꾸겠다고 약속했다.[44] 목표 달성 후 마이크로소프트는 약속대로 이모지를 변경했으며,[40][41] 2021년 11월 윈도우 11 업데이트를 통해 클립 이모지(📎)가 공식적으로 클리피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42]
기술적으로 오피스 길잡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 기술을 사용했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가 Windows 7 이후 버전에는 기본 포함되지 않아 별도로 다운로드해야 했다. 에어로 글라스 효과가 활성화된 윈도우 비스타나 윈도우 7, 또는 윈도우 8 이상 환경에서는 길잡이 주변의 투명 영역이 단색으로 표시되는 문제가 있었다.[59] 2019년에는 한 개발자가 Swift를 사용하여 클리피를 macOS용으로 이식하기도 했다.[60]
6. 1. 패러디 및 대중문화
클리피는 수많은 유머러스한 패러디와 인터넷 밈을 포함한 여러 언급의 대상이 되었다.[7] ''패밀리 가이'', ''심슨 가족'',[43] ''오피스''[44] 그리고 ''실리콘 밸리''[45] 등 여러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풍자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 에디션(Microsoft Plus! Digital Media Edition)에 포함된 ''Plus! Dancer'' 애플리케이션에는 클리피 패러디가 있으며, 이는 나중에 윈도우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 2005(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2005)에 ''Windows Dancer''로 포함되었다. 춤추는 캐릭터 '부 후?'(Boo Who?)[46]는 클리피의 몸 모양과 거의 같은 유령 의상을 입고 있으며, 그 아래로 철사 조각이 보인다. 가끔 흰 시트가 미끄러지면 얇은 강철 곡선이 드러난다. 설명에는 "레드몬드, 워싱턴에 본사를 둔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잠시 일했으며, 2001년에 은퇴할 때까지 계속 일했다"는 내용이 있다.
 - 클리피는 위어드 알 얀코빅(Weird Al Yankovic)의 노래 "Word Crimes"(워드 크라임스) 뮤직 비디오에 출연했다.[47]
 - 비고 (소프트웨어)(Vigor)는 클리피에서 영감을 얻은 패러디 소프트웨어로, 대략적으로 스케치된 클리피가 특징인 vi 텍스트 편집기 버전이다.
 - 2015년 4월 1일,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 텀블러(Tumblr)는 만우절 장난으로 클리피의 패러디인 코피(Coppy)를 만들었다. 코피는 클리피와 유사한 방식으로 행동하며 사용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의인화된 복사기이다. 코피는 독자를 Comic Sans MS로 작성된 대화 상자를 사용하여 일련의 무의미한 질문에 참여시켰는데, 이는 매우 짜증나도록 설계되었다.[48] 2022년 텀블러는 코피의 Youtooz 수집품을 만들었다.
 - ''스타 트렉: 로어 덱스(Star Trek: Lower Decks)''의 여러 에피소드에는 시리즈에 등장하는 통신 배지의 의인화된 형태를 취하는 "배지(Badgey)"라는 홀로그램 캐릭터가 등장한다. 이 캐릭터는 처음에 클리피를 연상시키는 특징을 부여받지만, 오작동을 일으켜 반복적인 악당으로 변모한다.
 - Steam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용 비디오 게임 ''ProgressBar 95''는 클리피를 일반적인 NPC로 패러디하여, 종종 짜증나는 팝업의 일부이거나, 플레이어의 진행을 방해하기 위해 다이너마이트나 총을 들고 있다.
 - 2008년 6월 NPR의 프로그램 ''Wait Wait... Don't Tell Me!''에서 빌 게이츠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반퇴직하는 것을 기념하여, 유머 작가 아담 펠버와 코미디언 폴 프로벤자는 클리피가 밤에 워싱턴주 레드몬드 밖의 장소로 차를 타고 가면서 "무덤을 파는 것 같네요. 사업 무덤인가요, 개인 무덤인가요?"와 같은 말을 하는 시나리오를 즉흥적으로 연기했다. 이 코너는 이 프로그램의 "최고의 순간"을 되돌아볼 때 청취자들이 가장 재방송을 요청하는 부분 중 하나가 되었다.[49]
 - 2015년, Chris Bristow가 감독한 뮤직 비디오가 Delta Heavy의 노래 ''Ghost''를 위해 공개되었는데, 이 비디오는 슬퍼하는 클리피가 현대식 음성 인식 디지털 비서인 샤니아(Shania)를 발견하고, 이후 클리피가 현대 세계의 풍경을 발견하고 분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50]
 - 던전 & 드래곤 실제 플레이 쇼인 Dimension 20의 13번째 시즌 (스타스트럭의 세계를 배경으로 함)에서, 클리피는 먼 미래의 행성적 초지능인 그노시스(Gnosis)의 기반으로 사용되었다.
 - Catherynne M. Valente의 2018년 소설 ''스페이스 오페라''에서 두 명의 인간이 인류의 멸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음악 경연에 참여하기 위해 멀리 떨어진 행성으로 소환된다. 도착 직후, 그들은 방향 감각을 잃고 큰 위험에 처하게 되는데, 인간 컴퓨터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된 것을 기반으로 한 지각 있는 AI 집단에 의해 만들어진 거대한 애니메이션 클리피와 마주하게 된다.
 - 클리피는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및 X-Plane의 인공 지능 기반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SayIntentions.AI에서 멘토 비 플레이어 캐릭터로 등장한다.[51]
 - 2021년 비디오 게임 ''Halo Infinite''에서 클리피는 장착 가능한 무기 장식으로 등장한다.[52]
 
참조
[1] 
웹사이트
 
Microsoft's Office Assistant
 
http://lis.dickinson[...] 
Dickinson College
 
2007-05-08
 
[2] 
웹사이트
 
Microsoft Clippy
 
http://www.microsoft[...] 
[3] 
웹사이트
 
Finding the grammar checker's frailties
 
http://archive.bosto[...] 
2007-02-25
 
[4] 
웹사이트
 
Clippy
 
http://oddisgood.com[...] 
2016-02-10
 
[5] 
웹사이트
 
Clippy
 
http://oddisgood.com[...] 
2016-02-10
 
[6] 
뉴스
 
Clippy's Designer Wants to Know Who Got Clippy Pregnant
 
https://www.vice.com[...] 
2017-04-26
 
[7] 
뉴스
 
The Twisted Life of Clippy
 
https://www.seattlem[...] 
2022-08-23
 
[8] 
웹사이트
 
Madman Brings Clippy Back as an AI
 
https://futurism.com[...] 
2023-06-29
 
[9] 
웹사이트
 
The Microsoft Paperclip Is Back
 
https://www.newrisin[...] 
2016-02-10
 
[10] 
웹사이트
 
Clippy and the History of the Future of Educational Chatbots
 
http://hackeducation[...] 
2017-06-02
 
[11] 
웹사이트
 
Why People Hate the Paperclip: Labels, Appearance, Behavior and Social Responses to User Interface Agents
 
http://xenon.stanfor[...] 
2017-06-02
 
[12] 
웹사이트
 
Microsoft Agent Ring
 
http://msagentring.o[...] 
2019-05-02
 
[13] 
웹사이트
 
g4tv.com-video4080: Why People Yell at Their Computer Monitors and Hate Microsoft's Clippy
 
https://archive.org/[...] 
2016-06-04
 
[14] 
웹사이트
 
Microsoft Office 97 Released to Manufacturing
 
https://news.microso[...] 
Microsoft
 
1996-11-19
 
[15] 
웹사이트
 
PM at Microsoft
 
http://blogs.msdn.co[...] 
Microsoft
 
2019-05-02
 
[16] 
웹사이트
 
Microsoft tool "Clippy" gets pink slip
 
https://www.cnet.com[...] 
News.cnet.com
 
2010-09-05
 
[17] 
웹사이트
 
Microsoft tool "Clippy" gets pink slip
 
https://www.cnet.com[...] 
2024-12-01
 
[18] 
웹사이트
 
Clippy downloads
 
http://www.microsoft[...] 
Microsoft
 
2011-12-22
 
[19] 
AV media
 
Clippy at the Office XP Launch 5/31/2001
 
https://www.youtube.[...] 
2024-12-01
 
[20] 
웹사이트
 
Bicycle Games: Card Games
 
http://www.microsoft[...] 
2024-12-01
 
[21] 
웹사이트
 
Office 97 Assistant: Kairu the Dolphin
 
http://www.microsoft[...] 
Microsoft
 
2007-05-08
 
[22] 
웹사이트
 
Office 97 Assistant: Quiet Office Logo
 
http://officeupdate.[...] 
2024-11-30
 
[23] 
웹사이트
 
Microsoft Agent download page for end-users
 
http://www.microsoft[...] 
Microsoft
 
2007-05-08
 
[24] 
웹사이트
 
http://www.kaiyou-k.[...] 
Kaiyou-k.jp
 
2011-12-22
 
[25] 
웹사이트
 
Microsoft Office 2000 まんまちゃんオフィスアシスタントプレゼント
 
http://microsoft.com[...] 
2024-11-30
 
[26] 
웹사이트
 
The Microsoft Office Assistant You've Never Seen (Until Now)
 
https://www.thurrott[...] 
2024-11-30
 
[27] 
웹사이트
 
Top 10 worst products
 
http://www.cnet.com/[...] 
CNET.com
 
2011-12-22
 
[28] 
웹사이트
 
Microsoft Word 2007 Review
 
https://www.cnet.com[...] 
CNET
 
2011-12-22
 
[29] 
간행물
 
"What's Behind a Smile?"
 
Smithsonian Magazine
 
2007-08
 
[30] 
잡지
 
The 50 Worst Inventions: Clippy
 
https://content.time[...] 
2013-10-25
 
[31] 
AV media
 
TechEd 2007 Keynote opening (Back To The Future style)
 
https://www.youtube.[...] 
2024-12-09
 
[32] 
웹사이트
 
Office 2010 The Movie
 
https://www.office20[...] 
2024-12-09
 
[33] 
AV media
 
Office 2010 - The Movie
 
https://www.youtube.[...] 
2024-12-09
 
[34] 
웹사이트
 
Clippy Returns in Microsoft Office April Fools' Day Gag
 
https://mashable.com[...] 
2016-02-10
 
[35] 
웹사이트
 
Found a Clippy Easter Egg in Cortana! - Windows Central Forums
 
https://forums.windo[...] 
2016-02-10
 
[36] 
웹사이트
 
Amusing Clippy Easter egg found in Microsoft's Cortana
 
https://www.onmsft.c[...] 
2019-05-02
 
[37] 
웹사이트
 
Microsoft resurrects Clippy and then brutally kills him off again
 
https://www.theverge[...] 
2024-12-01
 
[38] 
웹사이트
 
Microsoft resurrects Clippy again after brutally killing him off in Microsoft Teams
 
https://www.theverge[...] 
2024-12-01
 
[39] 
웹사이트
 
Get nostalgic with new Microsoft Teams backgrounds
 
https://www.microsof[...] 
2024-12-01
 
[40] 
웹사이트
 
Microsoft threatens to bring back Clippy
 
https://www.pcgamer.[...] 
2021-07-14
 
[41] 
웹사이트
 
Microsoft threatens to resurrect Clippy as an Office emoji
 
https://www.theverge[...] 
2021-07-14
 
[42] 
웹사이트
 
Windows 11 November 2021 Emoji Changelog
 
https://blog.emojipe[...] 
2021-12-20
 
[43] 
웹사이트
 
Clippy designer was too embarrassed to include him in his portfolio
 
https://www.theregis[...] 
[44] 
웹사이트
 
The Twisted Life of Clippy
 
https://www.seattlem[...] 
2022-08-29
 
[45] 
웹사이트
 
'Silicon Valley'' Ep. 3.9: ''Pipey'''
 
https://sfist.com/20[...] 
2016-06-20
 
[46] 
웹사이트
 
Microsoft.com
 
https://www.microsof[...] 
Microsoft.com
 
2017-09-27
 
[47] 
웹사이트
 
"Weird Al" Yankovic - Word Crimes (Official 4K Video)
 
https://www.youtube.[...] 
2014-07-15
 
[48] 
웹사이트
 
Coppy Was The Best Damn Thing That Ever Happened To Tumblr
 
https://www.buzzfeed[...] 
2019-05-02
 
[49] 
웹사이트
 
Clippy and Paula
 
https://www.npr.org/[...] 
2022-08-04
 
[50] 
웹사이트
 
Delta Heavy 'Ghost' by Chris Bristow
 
https://www.promonew[...] 
2023-02-14
 
[51] 
AV media
 
Diverted Say intentions IFR flight with Mentor Clippy this guy is useless
 
https://www.youtube.[...] 
2024-06-17
 
[52] 
웹사이트
 
Clippy is in Halo Infinite / ‘I see you’ve only been able to hold the oddball for two seconds...’
 
https://www.theverge[...] 
2022-05-04
 
[53] 
뉴스
 
Clippy’s Designer Wants to Know Who Got Clippy Pregnant
 
https://motherboard.[...] 
2019-05-02
 
[54] 
웹사이트
 
Microsoft Office 97 Released to Manufacturing
 
https://news.microso[...] 
Microsoft
 
2016-11-22
 
[55] 
웹사이트
 
PM at Microsoft
 
http://blogs.msdn.co[...] 
Microsoft
 
2019-05-02
 
[56] 
웹사이트
 
Clippy and the History of the Future of Educational Chatbots
 
http://hackeducation[...] 
2017-06-02
 
[57] 
웹사이트
 
Why People Hate the Paperclip: Labels, Appearance, Behavior and Social Responses to User Interface Agents
 
http://xenon.stanfor[...] 
2017-06-02
 
[58] 
웹사이트
 
Microsoft Agent Ring
 
http://msagentring.o[...] 
2019-05-02
 
[59] 
웹사이트
 
Microsoft Agent home page
 
http://www.microsoft[...] 
2018-07-24
 
[60] 
Github
 
GitHub - Cosmo/Clippy
 
https://github.com/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