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둥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둥싱은 1916년 중국 장시성에서 태어나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과 공산당에 가입하여 홍군에 참여했다. 그는 마오쩌둥의 경호를 담당하며 신뢰를 얻었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공안부 부부장, 당 중앙 판공청 주임 등을 역임했다. 문화대혁명 시기 덩샤오핑과 마오쩌둥 사이의 가교 역할을 했으며, 마오쩌둥 사후에는 화궈펑과 협력하여 사인방 체포를 주도했다. 이후 덩샤오핑의 복귀로 실각하여 정계에서 물러났으며, 2015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시성 출신 - 장쉰
    장쉰은 청나라 말기 및 중화민국 초기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청나라 복벽을 시도했으나 실패 후 은퇴하여 사업가로 활동했다.
  • 장시성 출신 - 우관정
    우관정은 중국 공산당 고위 관료로서, 칭화대학교 졸업 후 우한 시장, 장시성 성장 및 당서기, 산둥성 당서기를 거쳐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 및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반부패 활동을 주도했고, 장쩌민과 후진타오 모두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정치적 균형을 이루었다.
  • 문화 대혁명 관련자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문화 대혁명 관련자 - 야오원위안
    야오원위안은 중국의 문학 평론가이자 정치인으로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4인방 중 한 명이며, 희곡 비판을 통해 문화대혁명의 도화선을 만들고 권력을 행사하다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징역형을 살고 석방 후 사망했다.
  • 중국의 공산주의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중국의 공산주의자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왕둥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5년 마오쩌둥의 개인 경호 대장이었던 왕둥싱
1955년 마오쩌둥의 개인 경호 대장이었던 왕둥싱
원어 이름汪东兴 (Wāng Dōngxīng)
출생일1916년 1월 9일
출생지장시성 이양현
사망일2015년 8월 21일
사망지베이징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직책
주석화궈펑
임기 시작1977년 8월
임기 종료1980년 2월
군사 경력
소속 군대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복무 기간1955년 - 1978년
최종 계급소장

2. 생애

왕둥싱은 빈농 가정 출신으로 1933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고 중국공농홍군에 참가하여 장정에도 참여했다. 국공 내전을 거쳐 1947년부터 마오쩌둥의 경호를 담당하며 그의 신임을 얻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공안부 부부장, 당 중앙판공청 주임 등 요직을 역임하며 마오쩌둥의 최측근으로 활동했다. 1955년에는 소장 계급을 받았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도 마오쩌둥의 신뢰를 바탕으로 권력 핵심부에 머물렀으며, 1976년 마오쩌둥 사후에는 화궈펑과 협력하여 사인방을 체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공로로 1977년 중국 공산당 부주석과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출되어 권력의 정점에 올랐다.

그러나 마오쩌둥의 노선을 고수하는 '범시파'의 핵심 인물로서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노선과 대립하다가 1978년 11기 3중전회에서 비판받고 주요 직위에서 해임되었다. 1980년에는 당 부주석과 상무위원직에서도 물러나며 정치 일선에서 은퇴했다. 이후 당 중앙고문위원회 위원 등을 지내다가 2015년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왕둥싱은 1916년 1월 9일 장시성 이양현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1932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했고, 이듬해인 1933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며 중국공농홍군(중국 인민해방군의 전신)에 참가했다.[1] 그는 '펑양 보병 학교'와 항일군정대학에서 군사 및 정치 훈련을 받았다.

홍군 시절에는 제2 야전위원회 정치위원, 팔로군 위생부 부주임 조직과 과장, 베순국제평화총위원 정치위원 등을 역임했다. 1934년부터 1935년까지 마오쩌둥을 따라 옌안으로 향하는 장정에 참여했다.[1] 이후 중일 전쟁에서는 보병 장교로 참전했으며, 국공 내전 시기에는 중앙직속대 사령부 부참모장을 지냈다.[1] 1947년부터는 마오쩌둥저우언라이의 경호를 담당하기 시작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정무원 비서청 부주임, 공안부 부부장, 당 중앙서기처 판공처 부처장 겸 당 중앙경위단 단장 등을 역임했다. 1955년에는 소장 계급을 부여받았으며[3], 중난하이 내부 경비를 책임졌다. 그러나 1958년 장시성 부성장으로 좌천되었다.

2. 2. 마오쩌둥의 경호 책임자

1947년부터 마오쩌둥저우언라이의 경호를 담당하기 시작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된 후에는 정무원 비서청 부주임, 공안부 부부장, 당 중앙 서기처 판공청 부주임 겸 당 중앙 경위단 단장 등 여러 중책을 맡았다. 특히 공안부 제9국 국장으로서 마오쩌둥의 신변과 정부 핵심 구역인 중난하이 경비를 총괄했다.

제9국 산하에는 '8341부대'라는 정예 부대가 있었으며, 왕둥싱과 그의 부하들만이 중난하이 내에서 무기를 소지할 수 있었다. 이는 마오쩌둥의 깊은 신뢰를 보여준다. 마오쩌둥은 중난하이에서 근무하는 모든 직원(경호원, 웨이터, 요리사, 비서 등)의 신원 조사까지 그에게 맡겼다.

마오쩌둥의 지속적인 신임 아래 왕둥싱은 1955년 뤄 루이칭 장관 밑에서 공안부 부부장으로 승진했으며, 같은 해 "공안 업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중국 인민해방군 소장 계급을 수여받았다.[3]

1958년 6월, 왕둥싱은 갑작스럽게 장시성 부성장으로 좌천되었지만, 1960년 8월 마오쩌둥에 의해 다시 베이징으로 소환되어 그의 경호 책임자이자 셰 푸즈 장관 아래 공안부 부부장직에 복귀했다.

문화 대혁명의 격동기 속에서도 왕둥싱은 마오쩌둥의 충성스러운 측근으로 자리를 지켰다. 1965년 11월에는 실각한 양상쿤의 후임으로 당 중앙 판공청 주임에 임명되었고, 중앙 경위국 당위원회 제1서기 및 총참모부 경위국장을 겸임하며 권력 핵심부의 경호를 책임졌다. 문화 대혁명 초기에는 홍위병 대규모 집회에서 마오쩌둥의 차량 운전기사 옆자리에 앉아 있는 모습이 자주 목격되기도 했다.[1] 또한, 하방되어 있던 덩샤오핑과 마오쩌둥 사이의 연락책 역할을 맡아 덩샤오핑이 편지로 근황을 보고하도록 도왔다.

1976년 9월 마오쩌둥이 사망하자, 왕둥싱은 화궈펑과 협력하여 자신이 지휘하는 8341부대를 동원해 사인방을 신속하게 체포했다. 이 공로로 1977년 8월 제11기 1중전회에서 당 부주석과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최고 지도부의 일원이 되었다.[7]

그러나 마오쩌둥의 유훈을 강조하던 '범시파'(凡是派)의 핵심 인물이었던 그는, 1978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노선이 부상하면서 점차 정치적 입지가 약화되었다. 결국 제11기 3중전회에서 비판을 받고 당 중앙 판공청 주임, 8341부대 사령관 등 주요 직책에서 해임되었다.[8] 1980년 2월 제11기 5중전회에서는 당 부주석과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직마저 사임하며 화궈펑과 함께 권력의 중심에서 물러났다.

2. 3. 사인방 체포와 권력의 정점

1976년 9월 마오쩌둥이 사망한 후, 왕둥싱은 마오쩌둥이 후계자로 지명한 화궈펑과 협력하여 사인방 제거 작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자신이 직접 지휘하는 중앙판공청 경위국 중앙경위단 8341부대를 동원했으며, 작전 전 신뢰하는 장교들에게 충성과 비밀 유지를 맹세하게 하고 무장 저항 시 사살 명령까지 내렸다.[1]

실제 체포 작전은 1976년 10월에 큰 충돌 없이 이루어졌다. 장춘차오, 야오원위안, 왕훙원 등 사인방의 핵심 인물들은 마오쩌둥 묘 건설과 마오쩌둥 저작 출판 논의를 명분으로 중난하이에서 열린 회의에 유인된 후 신속하게 체포되었다. 장칭 역시 별다른 저항 없이 체포되었다.[1]

사인방 체포의 공로를 인정받아 왕둥싱의 정치적 위상은 급상승했다. 1977년 8월 19일에 열린 중국공산당 제11기 1중전회에서 그는 중국 공산당 부주석과 최고 지도부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권력의 정점에 섰다.[7] 이 시기 그는 마오쩌둥의 유훈을 절대적으로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는 화궈펑 등 '범시파(凡是派)'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하지만 1978년 덩샤오핑이 복권되면서 정치적 흐름이 바뀌기 시작했다. 실용주의 노선을 내세운 덩샤오핑 세력이 힘을 얻으면서 '범시파'는 점차 정치적으로 고립되었다. 결국 같은 해 열린 11기 3중전회에서 '범시파'는 거센 비판을 받았고, 왕둥싱 역시 중앙판공청 주임, 8341부대 사령관 및 정치위원 등의 주요 직무에서 해임되었다.[8] 이로써 그의 권력은 정점에서 급격히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다.

2. 4. 덩샤오핑과의 갈등 및 실각

1976년 9월 마오쩌둥이 사망하자, 왕둥싱은 화궈펑과 협력하여 자신이 지휘하던 8341부대를 동원해 사인방을 체포했다. 이 공로로 1977년 8월 제11기 1중전회에서 중국공산당 부주석 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는 등 권력의 정점에 올랐다.[7] 그는 마오쩌둥의 유훈("두 개의 모든 것")을 받들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권력을 유지하려던 화궈펑 등 소위 '범시파'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

그러나 1978년 덩샤오핑이 복권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실용주의와 개혁개방 노선을 내세운 덩샤오핑에게 마오쩌둥 노선을 고수하려던 '범시파'는 점차 정치적으로 밀려나기 시작했다. 같은 해 12월 열린 제11기 3중전회에서 왕둥싱은 '범시파'의 일원으로서 비판을 받았고, 겸임하고 있던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 8341부대 사령관 및 정치위원 등의 주요 직무에서 해임되었다.[8]

결국 1980년 2월 제11기 5중전회에서 당 부주석과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직마저 사임하면서 화궈펑과 함께 정치 일선에서 완전히 물러났다.[1]

실각 이후에도 왕둥싱은 마오쩌둥 개인 경호 책임자로서의 상징성과 정치적 적대자에 대한 추가 박해를 지양하는 분위기 덕분에 숙청은 피할 수 있었다. 1982년 9월 제12차 당대회에서는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고,[9] 1985년에는 당 중앙고문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그는 평생 마오쩌둥에 대한 충성을 유지했다. 매년 마오쩌둥의 생일에는 톈안먼 광장의 묘소를 찾아 헌화했으며, 1993년에는 마오쩌둥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자신의 일기를 출판하기도 했다.[1] 2011년에는 중국 사회가 사회주의에서 후퇴하고 모든 사람이 "돈 버는 데만 집착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자신을 "마오 주석의 충실한 병사"라고 칭했다.[1]

왕둥싱은 2015년 8월 21일 베이징의 한 병원에서 향년 99세로 사망했다.[2][10]

2. 5. 은퇴 이후

1980년 2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1기 5중전회에서 당 부주석과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직을 사임하고, 화궈펑과 함께 공식적인 정치 무대에서 물러났다. 이는 덩샤오핑과의 권력 경쟁에서 밀려난 결과로, 왕둥싱과 그의 후원자였던 화궈펑은 1980년대 초 모든 주요 정부 및 당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그러나 마오쩌둥의 오랜 경호 책임자였던 그의 경력과 정치적 숙청을 더 이상 확대하지 않겠다는 덩샤오핑의 의지에 따라, 왕둥싱은 1982년 9월 중국 공산당 제12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9] 이후 1985년에는 당 중앙고문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명예직을 유지했다.

정계 은퇴 후에도 왕둥싱은 마오쩌둥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을 보였다. 그는 마오쩌둥의 기억을 꾸준히 옹호했으며, 매년 마오쩌둥의 생일에는 톈안먼 광장마오주석 기념당을 찾아 헌화했다. 1993년에는 마오쩌둥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자신의 일기를 출판하기도 했다.[1]

2011년에는 중국 사회주의가 후퇴하고 있으며 모든 사람이 "돈 버는 데 집착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개혁개방 이후의 사회 변화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1] 그는 자신의 초기 신념을 끝까지 고수하며 스스로를 "마오 주석의 충실한 병사"라고 칭했고, 이러한 입장은 그를 중국 신좌파의 옹호자로 보이게 만들었다.[1]

2015년 8월 21일 베이징의 한 병원에서 향년 99세로 사망했다.[10][2]

2. 6. 사망

2015년 8월 21일 오전 5시 28분(중국 표준시), 질병으로 인해 베이징시 내 병원에서 9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10]

참조

[1] 뉴스 Wang Dongxing obituary: Politician who was bodyguard to China’s former leader, Mao Zedong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08-27
[2] 웹사이트 汪东兴同志逝世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Agency 2015-08-21
[3] 웹사이트 中国人民解放軍開国将帥名録 開国少将 http://cpc.people.co[...]
[4]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九届中央委員会委員和候補委員名単 http://cpc.people.co[...]
[5]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九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公報 http://cpc.people.co[...]
[6]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十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公報 http://cpc.people.co[...]
[7]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十一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新聞公報 http://cpc.people.co[...]
[8] 간행물 改革開放後の権力闘争について考察 http://www.law.nihon[...] 2014-03-01
[9] 웹사이트 十二届中央委員会候補委員名単 (共138人) http://cpc.people.co[...]
[10] 뉴스 汪东兴同志逝世 http://news.xinhuane[...] 新華社 2015-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