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자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자지는 해주 출신으로, 고려 시대의 문신이자 무관이다. 그의 조상은 본래 박씨였으나 증조부 박유가 왕씨로 성을 바꾸었다. 숙종 때 내시로 임명되어 다양한 관직을 역임했으며, 윤관의 여진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1116년에는 송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대성아악을 들여오는 등 외교 활동에도 기여했다. 1122년 5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사후 예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나 종묘 배향은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22년 사망 - 예종 (고려)
예종은 고려의 제16대 왕으로, 여진과의 갈등, 9성 반환, 교육 진흥 등에 힘썼으며 1122년 종양으로 사망했다. - 1122년 사망 - 야율순
야율순은 요나라 황족으로 도종의 총애를 받아 연왕에 책봉되었고 천조제 시기에 진진왕, 도원수를 지냈으며, 1122년 야율대석 등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어 북요를 건국했으나 즉위한 해에 사망했다. - 해주 왕씨 - 왕유 (해주)
왕유는 고려 태조 왕건의 장인으로 광해주 출신이며, 궁예 밑에서 동궁기실을 지냈으나 항거하여 은거하였고, 왕건이 즉위 후 왕씨 성을 하사받았다. - 해주 왕씨 - 예화부인
예화부인은 고려 태조 왕건의 부인으로 춘주 출신 대광 왕유의 딸이며, 왕유는 왕건에게 귀순 후 요직을 거치며 태조와 신혜왕후의 책봉을 후당에 요청했다.
| 왕자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왕자지 |
| 한자 표기 | 왕자지 (王字之) |
| 자 | 원장 (元長) |
| 초명 | 소중 (紹中) |
| 시호 | 장순 (章順) |
| 로마자 표기 | Wang Jaji |
| 생애 | |
| 출생 | 1066년, 고려 해주 |
| 사망 | 1122년 음력 3월 24일, 고려 개경부 |
| 활동 시기 | 미상 |
| 가족 관계 | |
| 배우자 | 황려군부인 경주 김씨 |
| 자녀 | 아들: 왕의, 딸: 왕씨 부인 |
| 친척 | 누이: 왕씨 부인 며느리: 서씨 부인 사위: 이공의 인척: 서균, 이자겸 |
| 경력 | |
| 직업 | 문신, 군인 |
| 최종 관직 | 동북면 병마판관 |
| 주요 경력 | 이부상서 참지정사 |
| 군사 경력 | |
| 주요 참전 | 여진족 정벌 |
2. 생애
왕자지는 해주 출신으로, 증조부 박유(朴 裕)가 성을 박에서 왕으로 바꾼 이후 왕씨 성을 사용했다.[2] 그는 처남 왕국모를 도와 이자의를 살해하는 군사 쿠데타에 가담했다.[3]
숙종 때 내시(內侍)로 임명되었고,[3] 1108년에는 윤관의 병마판관(兵馬判官)으로 여진족 정벌에 참여하여 척준경과 가까워졌다.[3]
이후 전중소감(殿中少監), 전중감(殿中監), 예빈시경(禮賓侍卿),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등을 역임했다.[2]
1115년 이부상서(吏部尙書)로 송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으며,[2] 1116년 대성아악을 고려에 도입했다. 1117년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와 추밀원동지사(樞密院同知事), 1122년 이부상서, 참지정사(參知政事) 및 호부판사(戶部判事)를 역임했다.[3]
1120년 송나라 황제가 보낸 부처의 사리 관련 업무를 주관했다.
1122년 56세로 사망하자 예종은 3일간 조회를 중단했다. 경기도 임강현(臨江縣)에 매장되었고, 아들은 왕의(王毅)이다. 딸은 이자겸의 아들 이공의와 혼인했으나, 이자겸의 난 이후 유배되었다. 시호는 장순이다.
2. 1. 가문과 출생
1066년 개경에서 태어났으며 생일은 미상이다. 그의 고조부 왕유는 원래 태봉 때 원외(員外), 동궁기실(東宮記室)을 역임했으나 궁예의 난정(亂政)에 실망, 출가하여 산속에 은거하다가 918년 왕건을 만나 여러 요직을 거쳐 공을 세워 왕씨(王氏) 성을 받았다. 932년(고려 태조 15) 대상(大相)이 되어 5대 10국의 후당에 파견되어 조공(朝貢)을 바치고 태조를 고려왕, 왕비 유씨(柳氏)를 하동군부인(河東郡夫人)에 책봉할 것을 주청(奏請), 승인을 얻어 책봉고명서를 받아 왔고, 후에 해주 왕씨의 시조가 되었다. 고조부 왕유는 본래 박씨였다는 설이 있고, 일설에는 왕유는 중국 산동성 출신이라고 한다.아버지와 어머니, 형제 자매에 대한 기록은 미상이며, 왕국모와 결혼한 누이는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에 의하면 그의 손위 누이였다 한다. 고려사 95권 열전 왕국모편에 의하면 子幼, 妻弟王字之服喪이라 하여 왕국모가 죽을 때 그 자녀들이 어려서 처남인 왕자지가 대신 상주 노릇을 했다고 한다.
왕자지의 어린 시절과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부인은 황려군부인 김씨(黃驪郡夫人 金氏)로 경주 김씨라는 설과 여주 김씨라는 설이 있는데 선계는 불확실하다. 황려군부인의 아버지는 검교태자소사(檢校大子少師) 김정지(金廷砥)이고, 할아버지는 검교태사 장작감(檢校大師 將作監) 김자화(金子華)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검교사공 상서우복야(檢校司空 尙書右僕射) 김경렴(金慶廉)이다.
왕자지는 해주 출신이다. 그의 조상은 본래 박 성을 사용했으나, 증조부 박유(朴 裕)가 성을 박에서 왕으로 바꾸었다.[2]
2. 2. 초기 생애 및 관료 생활
왕자지는 해주 출신으로, 그의 조상은 본래 박 성을 사용했으나 증조부 박유(朴 裕)가 성을 왕씨로 바꾸었다.[2] 그는 음서로 출사하여 서리(胥吏)가 되고 여러 관직을 지냈다. 그 뒤 매부인 왕국모가 이자의를 죽일 때 협력하여 도교령(都校令)에 임명되었다.[6] 이때 그는 궐문을 지키고 있었고 왕국모가 성공하면서 요직에 발탁되었다.숙종 때 내시(內侍) 등을 지내고 두번 전직하여 전중시어사가 되었다.[6] 예종 때인 1108년(예종 3년) 병마판관(兵馬判官)으로 재직 중, 대원수 윤관의 부장으로 출정, 윤관, 오연총 등과 함께 함주(咸州, 현재의 함경남도 함흥) 등지에서 여진족을 정벌하였다. 이때 여러번 싸워서 공을 세웠다. 그 뒤 전중소감(殿中小監) 등을 거쳤다.[6]
1108년 1월 권지승선(權知承宣)으로, 공험성(公險城, 현 함경북도 회령)에서 군사를 거느리고 도독부에 오다가, 갑자기 매복중이던 여진족 추장 사현(史現)의 군사를 만나 이와 싸우다가 패하여 타고 있던 말을 잃었다. 곧 척준경이 곧 날랜 군사를 이끌고 가서 구하여 적을 패퇴시켜, 말과 함께 오랑캐의 갑옷 입힌 말을 빼앗아 가지고 돌아왔다.
같은 해 8월 11일 척준경(拓俊京)은 함주(咸州), 영주(英州)에서 여진족 33인의 수급을 베었고, 9월 11일 행영병마판관(行營兵馬判官)으로 척준경과 함께 사지령(沙至嶺)에서 여진을 공격하여 27명의 머리를 베고 3명을 사로잡았다. 이때 여진족의 기습공격을 받고 고려군이 퇴각할 때 그는 말을 잃어버리고 화살을 맞아 죽을 위기에 처했으나 척준경이 달려와 그를 구출하여 되돌아갔고, 척준경은 말을 잃은 그를 위해 여진족을 추격하여 사살하고 장갑마 한필을 구해 주었다. 이 일을 계기로 그는 척준경과 가까워졌다고 한다.
그후 여진족의 저항이 계속되자 오연총이 출정, 다시 그의 부장으로 출정했다. 오연총의 지휘 하에 문관(文冠)·김준(金晙)·왕자지는 정예 병력 1만을 이끌고 출전, 네 갈래로 병력을 나누어 수륙으로 함께 전진했으며, 오음지령(烏音志嶺)·사오령(沙烏嶺)에서 여진족과 교전하였다. 그는 여러 번 윤관 등을 도와 여진족 정벌에 출정하여 승리하고 돌아왔다.
1109년 3월 승선 임언(林彦) 등과 함께 동계행영 병마별감(東界行營兵馬別監)으로 부임하였다. 그 뒤 1112년(예종 2년) 2월 27일 이부시랑 추밀원좌승선(吏部侍郞樞密院左承宣)을 거쳐 1113년(예종 8년) 12월 예빈시경(禮賓侍卿) 겸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가 되었다. 그 뒤 전중시소감(殿中侍少監), 전중감 등을 거쳐 다시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가 되어 1114년 6월 호부낭중 문공언(文公彦)과 함께 송나라 개봉부에 파견되었다. 1115년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되고, 그해 4월 다시 사은 겸 진봉사(謝恩兼進奉使)로 문공언(文公彦)과 함께 송나라 개봉부에 파견, 6월에 귀국하였다.
1116년(예종 11년) 음력 6월 하례사로 임명되어 문공미(文公美)와 함께 송나라에 갔다가 송나라 휘종에게 대성아악(大晟雅樂)을 전수받아 고려에 도입하였다.[8][9][10][11]
2. 3. 여진족 정벌 참전
1108년(예종 3년) 병마판관(兵馬判官)으로 재직 중, 대원수 윤관의 부장으로 출정, 윤관, 오연총 등과 함께 함주(咸州) 등지에서 여진족을 정벌하였다. 이때 여러 번 싸워서 공을 세웠다.[6] 그 뒤 전중소감(殿中小監) 등을 거쳤다.[6]1108년 8월 11일 척준경(拓俊京)은 함주(咸州), 영주(英州)에서 여진족 33인의 수급을 베었고, 9월 11일 행영병마판관(行營兵馬判官)으로 척준경과 함께 사지령(沙至嶺)에서 여진을 공격하여 27명의 머리를 베고 3명을 사로잡았다.
이때 여진족의 기습공격을 받고 고려군이 퇴각할 때 왕자지는 말을 잃어버리고 화살을 맞아 죽을 위기에 처했으나 척준경이 달려와 그를 구출하여 되돌아갔고, 척준경은 말을 잃은 그를 위해 여진족을 추격하여 사살하고 장갑마 한필을 구해 주었다. 이 일을 계기로 왕자지는 척준경과 가까워졌다고 한다. 그 후 여진족의 저항이 계속되자 오연총이 출정, 다시 왕자지는 오연총의 부장으로 출정했다. 오연총의 지휘 하에 문관(文冠)·김준(金晙)·왕자지는 정예 병력 1만을 이끌고 출전, 네 갈래로 병력을 나누어 수륙으로 함께 전진했으며, 오음지령(烏音志嶺)·사오령(沙烏嶺)에서 여진족과 교전하였다. 그는 여러 번 윤관 등을 도와 여진족 정벌에 출정하여 승리하고 돌아왔다.

1108년 1월 권지승선(權知承宣)으로, 공험성(公險城, 현 함경북도 회령)에서 군사를 거느리고 도독부에 오다가, 갑자기 매복 중이던 여진족 추장 사현(史現)의 군사를 만나 이와 싸우다가 패하여 타고 있던 말을 잃었다. 곧 척준경이 날랜 군사를 이끌고 가서 구하여 적을 패퇴시켜, 말과 함께 오랑캐의 갑옷 입힌 말을 빼앗아 가지고 돌아왔다. 이후 시랑으로 있다가 1109년 3월 승선 임언(林彦) 등과 함께 동계행영 병마별감(東界行營兵馬別監)으로 부임하였다.
2. 4. 외교 활동
1115년 이부상서로 임명되어 송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2] 1120년 송나라 황제가 금함(金函)에 담아 선물로 보내온 부처의 사리, 치아와 두골(頭骨) 일부를 외제석원(外帝釋院)에 안치하였다가, 다시 산호정(山呼亭)에 안치하는 일을 주관하였다.2. 5. 생애 후반
1120년 송나라 황제가 금함(金函)에 담아 선물로 보내온 부처의 사리, 치아와 두골(頭骨) 일부를 외제석원(外帝釋院)에 안치하였다가, 다시 산호정(山呼亭)에 안치하는 일을 주관하였다.[2] 그 뒤 호부상서를 거쳐 1122년 3월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되었다가 참지정사 판호부사(參知政事判戶部事)가 되었다.[2][3]고려 예종 17년 음력 3월 24일 참지정사로 재직 중 개경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2] 향년 57세였다. 예종은 왕자지의 죽음을 슬퍼하여 3일간 조회를 파하고 부의를 내려주었다.[2]
2. 6. 사후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는 왕자지의 묘지가 기록되지 않았으나, 부인 황려군부인 김씨 묘지명에 의하면 경기도 임강현(臨江縣) 세곡(細谷) 서산(西山)에 매장되었다고 한다. 1130년에 죽은 그의 처는 그의 묘소 북쪽에 매장되었다.아들은 왕의(王毅)이며, 그의 딸은 척신 이자겸[12]의 아들 이공의(李公儀)에게 시집갔는데, 이자겸이 반란을 일으켜 패하자 유배당하였다.[13]
사후 예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으나, 간관들이 "전공은 있으나 위로 임금을 광구(匡救)한 바 없고, 아래로는 백성을 이택(利澤)한 바 없다.[13]"고 거듭 상소를 올려 결국 종묘 배향이 취소되어 출향되었다. 시호는 장순이다.
3. 가족 관계
4. 평가
성균관 문묘에 공자 외 현인들에게 제사지낼 때의 제례악인 문묘제례악의 기원이 된 대성아악을 도입한 점이 조선시대 내내 높이 평가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Wang Ja-ji
https://archive.toda[...]
[2]
웹사이트
Wang Ja-ji:Nate
http://koreandb.nate[...]
[3]
웹사이트
Wangjaji:Naver
http://100.naver.com[...]
[4]
문서
[5]
문서
[6]
서적
고려명신전
성남 문화원
2004
[7]
문서
[8]
웹사이트
예술로
http://www.art.go.kr[...]
[9]
웹사이트
문화체육관광부
http://pda.mct.go.kr[...]
[10]
웹사이트
http://www.yugyo.org[...]
[11]
간행물
忍齋先生文集卷之四
[12]
문서
[13]
웹사이트
왕자지:네이트 한국학
http://koreandb.na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