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외위스테인 오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위스테인 오레는 노르웨이 출신의 수학자로, 환론, 갈루아 연결, 그래프 이론 분야에 기여했다. 1899년 오슬로에서 태어나 오슬로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예일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에서 노르웨이 해방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여 공로를 인정받아 1947년 노르웨이 국왕으로부터 성 올라프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그래프 이론과 수론을 포함한 여러 분야의 저서를 남겼으며, 1968년 예일 대학교에서 은퇴하고 오슬로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수학자 - 닐스 헨리크 아벨
    노르웨이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은 5차 이상의 대수 방정식의 일반적인 근의 공식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하고 타원 함수론을 발전시키는 등 수학사에 큰 업적을 남겨 아벨 군과 같은 수학 용어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 노르웨이의 수학자 - 토랄프 스콜렘
    토랄프 스콜렘은 노르웨이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로, 수학적 논리, 집합론, 모형 이론, 수학 기초론에 기여했으며 뢰벤하임-스콜렘 정리와 스콜렘의 역설로 유명하고 유한주의적 관점에서 수학을 연구하며 원시 재귀 산술을 제시하는 등 수학 기초론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예일 대학교 교수 - 토니 블레어
    토니 블레어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영국 총리를 지낸 노동당 정치인으로, '제3의 길' 노선을 추구하며 북아일랜드 평화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 전쟁 참전 결정으로 논란을 겪었고 퇴임 후 국제적인 활동과 자선 활동을 이어가며 경제적 성공과 사회 개혁, 이라크 전쟁 책임에 대한 복잡한 평가를 받고 있다.
  • 예일 대학교 교수 - 가라타니 고진
    가라타니 고진은 일본의 사상가이자 문예 비평가로, 나쓰메 소세키론으로 등단하여 문학 비평 활동을 시작, 마르크스주의 이론 재해석과 독자적인 사상 전개, 그리고 신협동주의 운동(NAM)을 주도하며 국제적으로 알려졌고 베르그루엔 철학·문화상을 수상했다.
  • 1968년 사망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1968년 사망 - 원용덕
    원용덕은 일제강점기 만주국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했으며, 정치적 사건에 개입하여 정치 군인으로 평가받았고, 4·19 혁명 이후 구속되었다가 사면된 인물이다.
외위스테인 오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외위스테인 오레 (1933년경)
외위스테인 오레 (1933년경)
본명외위스테인 오레
출생1899년 10월 7일, 오슬로, 노르웨이
사망1968년 8월 13일, 오슬로, 노르웨이
국적노르웨이
학력 및 경력
분야수학
직장오슬로 대학교
예일 대학교
모교오슬로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토랄프 스콜렘
박사 제자마셜 홀 2세
그레이스 호퍼
미리암 베커
브루스 리 로스차일드
멜빈 드레셔
업적
주요 업적비가환환
격자 이론
알려진 업적오레 조건
오레 정리
기타
종교알 수 없음
로마자 표기Oewistein Ore

2. 생애

외위스테인 오레는 오슬로 대학교예일 대학교에서 수학 교수로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노르웨이를 위한 활동으로 성 올라프 훈장을 받았다.

1941년 미국 수학회 콜로키움 강연을 했고, 1936년 오슬로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전체 연사였다.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와 오슬로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었다. 계량 경제 학회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으며, 거의 매년 여름 노르웨이를 방문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99년 10월 7일 오슬로에서 태어났다. 오슬로 대학교에 입학하여, 1922년에 석사 학위(Candidatus scientiarumla)를 수여받았고, 1924년에 토랄프 스콜렘의 지도 아래 ''Zur Theorie der algebraischen Körper''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1] 괴팅겐 대학교에서 에미 뇌터의 새로운 추상 대수학 접근 방식을 배웠고, 스웨덴의 미타그-레플러 연구소 연구원이었다. 또한 파리 대학교에서 잠시 시간을 보냈다. 1925년 오슬로 대학교 연구 조교로 임명되었다.

1926년 예일 대학교의 제임스 피어폰트가 연구 수학자를 모집하기 위해 유럽으로 갔다. 1927년 예일 대학교는 오레를 수학 조교수로 고용했고, 1928년 부교수, 1929년 정교수로 승진시켰다. 1931년 스털링 교수(예일 대학교 최고 학술 직위)가 되었으며, 1968년 은퇴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2. 2. 예일 대학교 교수

예일 대학교의 제임스 피어폰트는 1926년 연구 수학자를 모집하기 위해 유럽으로 갔다.[1] 1927년 예일 대학교는 오레를 수학 조교수로 고용했고, 1928년 부교수, 1929년 정교수로 승진시켰다.[1] 1931년 스털링 교수 (예일 대학교의 최고 학술 직위)가 되었으며, 1968년 은퇴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1]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노르웨이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오레는 "노르웨이 지원 미국"과 "자유 노르웨이"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전쟁 중 조국에 기여한 공로로 1947년 성 올라프 훈장을 받았다.[1]

2. 4. 개인적인 삶

1930년에 구드룬 룬데발(Gudrun Lundevallno, 1901~1988)과 결혼하여 두 명의 자녀를 두었다.[1] 오레는 미술과 조각을 취미로 즐겼고, 옛 지도를 수집했으며, 여러 언어를 구사했다.

2. 5. 사망

예일 대학교에서 은퇴하였으며, 같은 해인 1968년 8월 13일 오슬로에서 사망하였다.

3. 연구 업적

오레는 환론, 갈루아 연결, 그래프 이론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초기에는 대수적 수체를 연구하여 소수로 생성된 아이디얼을 소 아이디얼로 분해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이후 비가환환을 연구하여 영역을 분할환에 포함시키는 정리를 증명했다. 사체 위의 다항식 환을 연구하고, 인수분해 연구를 비가환환으로 확장하려 시도했다. 오레 조건은 분수환을 정의할 수 있게 하며, 오레 확장은 다항식 환의 비가환적 유사체이다. 정수론에서는, 오레의 조화수는 약수들의 조화 평균이 정수인 수이다.

1930년 에미 뇌터와 함께 ''리하르트 데데킨트 전집''을 세 권으로 출판했다. 이후 격자 이론으로 관심을 돌려 가렛 비르크호프와 함께 이 분야에서 미국의 전문성을 구축했다. 동치 관계, 폐포 연산자, 갈루아 연결을 연구하여 그래프 이론을 연구하게 되었고, 이는 말년까지 몰두한 주제였다. 그래프 이론과 그 응용에 관한 두 권의 책을 썼다. 오레의 정리는 충분히 밀집 그래프가 해밀턴 사이클을 포함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여러 결과 중 하나이다.

수학사에도 관심을 가진 오레는 카르다노와 닐스 헨리크 아벨의 전기를 저술했다.

그레이스 호퍼(미국 해군 준장, 컴퓨터 과학자, 컴퓨터 개발 선구자)와 마셜 홀 주니어(군론, 조합론 연구) 등 두 명의 박사 과정 학생을 지도했다.

3. 1. 환론

오레는 환론, 갈루아 연결,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래프 이론 분야의 업적으로 유명하다.

그의 초기 연구는 대수적 수체에 관한 것이었는데, 소수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을 소 아이디얼로 분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그 후 그는 비가환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영역을 분할환에 임베딩하는 그의 유명한 정리를 증명했다. 이후 사체 위에 있는 다항식 환을 연구했으며, 그의 인수분해에 대한 연구를 비가환환으로 확장하려 시도했다. 오레 조건은 (만약 참이라면) 분수환을 정의할 수 있게 하며, 오레 확장은 다항식 환의 비가환적 유사물로서 이 연구의 일부이다. 좀 더 기본적인 정수론에서는, 오레의 조화수는 약수들의 조화 평균이 정수인 수이다.

3. 2. 정수론

오레는 환론, 갈루아 연결, 그래프 이론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초기에는 대수적 수체를 연구하여 소수로 생성된 아이디얼을 소 아이디얼로 분해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이후 비가환환을 연구하여 영역을 분할환에 포함시키는 정리를 증명했다. 사체 위의 다항식 환을 연구하고, 인수분해 연구를 비가환환으로 확장하려 시도했다. 오레 조건은 분수환을 정의할 수 있게 하며, 오레 확장은 다항식 환의 비가환적 유사체이다. 정수론에서는, 오레의 조화수는 약수들의 조화 평균이 정수인 수이다.

3. 3. 격자 이론

오레는 격자 이론으로 관심을 돌려 가렛 비르크호프와 함께 이 분야에서 미국의 전문성을 구축한 두 창시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오레의 격자 이론에 대한 초기 연구는 동치 관계폐포 연산자, 갈루아 연결을 거쳐 마침내 그래프 이론을 연구하게 만들었고, 이는 그의 말년까지 그가 몰두한 주제였다.

3. 4. 그래프 이론

오레는 환론, 갈루아 연결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래프 이론 분야의 업적으로 유명하다.

오레의 격자 이론에 대한 초기 연구는 동치 관계, 폐포 연산자, 갈루아 연결을 거쳐 그래프 이론 연구로 이어졌으며, 이는 그가 말년까지 몰두한 주제였다. 그는 그래프 이론과 그래프 응용에 관한 두 권의 책을 썼다. 그래프 이론에서 오레의 정리는 충분히 밀집 그래프가 해밀턴 사이클을 포함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여러 결과 중 하나이다.

3. 5. 기타

오레는 환론, 갈루아 연결, 그래프 이론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1]

초기에는 대수적 수체를 연구하여 소수로 생성된 아이디얼을 소 아이디얼로 분해하는 방법을 연구했다.[1] 이후 비가환환 연구를 통해 영역을 분할환에 포함시키는 정리를 증명했다.[1] 사체 위의 다항식 환을 연구하며 인수분해를 비가환환으로 확장하려 시도했다.[1] 오레 조건은 분수환을 정의할 수 있게 하며, 오레 확장은 다항식 환의 비가환적 유사체이다.[1] 정수론에서는 오레의 조화수라는 개념을 제시했다.[1]

오레는 그레이스 호퍼(미국 해군 준장, 컴퓨터 과학자, 컴퓨터 개발 선구자)와 마셜 홀 주니어(군론, 조합론 연구) 등 두 명의 박사 과정 학생을 지도했다.[1]

1930년 오레는 에미 뇌터와 함께 ''리하르트 데데킨트 전집''을 세 권으로 출판했다.[1] 격자 이론 연구를 통해 가렛 비르크호프와 함께 미국의 격자 이론 발전에 기여했다.[1] 동치 관계, 폐포 연산자, 갈루아 연결을 연구하고, 그래프 이론을 연구했다.[1] 그래프 이론과 그 응용에 관한 두 권의 책을 저술했다.[1] 오레의 정리는 밀집 그래프가 해밀턴 사이클을 포함함을 증명한다.[1]

수학사에도 관심을 가진 오레는 카르다노, 닐스 헨리크 아벨의 전기를 저술했다.[1]

4. 저서


  • Les corps algébriques et la théorie des idéaux프랑스어 (대수적 체와 아이디얼 이론, 1934)
  • L’Algèbre abstraite프랑스어 (추상 대수학, 1936)
  • [https://archive.org/details/numbertheoryitsh0000oyst_v5i5 수론과 그 역사] (Number Theory and its History영어, 1948)
  • Cardano: the gambling scholar영어 (도박하는 학자 카르다노,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1953)
  • Niels Henrik Abel, mathematician extraordinary영어 (특별한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 미네소타 대학교 출판부, 1957)
  • Theory of graphs영어 (그래프 이론, 1962)
  • Graphs and their uses영어 (그래프와 그 활용, 1963)
  • The four-color problem영어 (사색 문제, 1967)
  • Invitation to number theory영어 (수론으로의 초대, 1969)

5. 주요 논문

출판 연도제목학술지권(Volume)호(Number)쪽(Page)DOI
1935년추상대수학의 기초에 관하여 (1)Ann. of Math.362406–40610.2307/1968580
1936년추상대수학의 기초에 관하여 (2)Ann. of Math.372265–29210.2307/1968442
1937년구조와 군론 (1)Duke Math. J.32149–17410.1215/S0012-7094-37-00311-9
1938년구조와 군론 (2)Duke Math. J.42247–26910.1215/S0012-7094-38-00419-3
1940년구조 및 군 관계에 대한 고찰Vierteljschr. Naturforsch. Ges. Zürich, Beiblatt Festschrift Rudolf Fueter851–4
1942년동치 관계 이론Duke Math. J.93573–62710.1215/S0012-7094-42-00942-6
1943년부분 순서 집합의 체인Bull. Amer. Math. Soc.498558–56610.1090/S0002-9904-1943-07970-0
1943년폐포 관계의 조합Ann. of Math.443514–53310.2307/1968978
1944년갈루아 접속Trans. Amer. Math. Soc.55493–51310.1090/S0002-9947-1944-0010555-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