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쿠메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쿠메네는 '거주하는 세계'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고대 그리스인들이 인지하던 세계를 지칭했다. 고대에는 북유럽에서 적도 아프리카, 대서양에서 중국 서부에 이르는 지역을 포함했으며, 로마 제국 시기에는 로마 제국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이후 기독교 내에서도 사용되었으며, 비잔틴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교황 그레고리오 1세 등에서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다. 20세기에는 다양한 기독교 교파 간의 협력을 증진하는 에큐메니컬 운동에서 통일된 기독교 교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고, 문화사, 세계 체제 이론, SF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또한, 역사적 지도 제작법에서 상징적인 세계 지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 세계 인구
세계 인구는 지구 거주 인간의 총 수로, 2022년 80억 명을 돌파하며 꾸준히 증가했지만,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으며, 과거 추정의 불확실성, 산업혁명 이후 급증, 최근 출산율 감소, 지역별 불균형, 자연적/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특징과 함께 미래 전망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세계 - 세계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세계 에너지 공급 및 소비는 2021년 기준 14,800 Mtoe에 달하는 1차 에너지 생산을 중심으로 석유, 가스, 석탄, 재생에너지, 원자력 등의 에너지원별 생산과 국가 간 무역, 그리고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과 재생에너지 확대가 주요 과제이다. - 교회론 - 공교회
공교회는 '보편적인 교회'를 뜻하는 기독교의 중요 개념으로, 하나의 교회, 거룩한 교회, 보편적인 교회, 사도적인 교회의 네 가지 특징을 가지며, 동방 정교회, 천주교회, 개신교의 공교회주의로 나뉜다. - 교회론 - 초교파 교회
초교파 교회는 특정 교단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교회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되어 현대적인 예배 방식으로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얻으며 성장하여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 고대 그리스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그리스 -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기원전 1200년경 인도유럽어족에서 분기되어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로, 도리아어, 아이올리아어, 이오니아어, 아티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그리스어의 기원이자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교육 및 학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외쿠메네 |
---|
2. 어원
'외쿠메네'(οἰκουμένη|오이쿠메네grc)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처음에는 사람이 거주하는 알려진 세계, 즉 문명 세계를 의미했다. 이 용어는 단순히 지리적인 공간을 넘어 문화적, 정치적 의미를 함축하며 발전했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로마 제국의 영향력이 미치는 문명 세계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확장되었고, 이후 기독교 문화권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시대별 외쿠메네 개념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외쿠메네는 그리스어 동사 οἰκέω|오이케오grc(oikéō, '나는 거주한다')의 여성 현재 중간 분사이며, οἰκουμένη γῆ|오이쿠메네 게grc(oikouménē gē, '거주하는 세계')의 생략된 형태이다.[1][2]
3. 역사
3. 1.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의 지리학자들은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지구의 대략적인 크기도 파악하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 알려진 세계는 지구 전체의 일부에 불과했다. 에라토스테네스(기원전 276–196년)는 지구 둘레를 계산했는데, 그 정확도는 실제 값의 10% 이내로 놀라운 수준이었다. 그리스의 지도 제작자 크라테스는 기원전 150년경에 지구본을 만들었다.[3]
프톨레마이오스(83–161)는 그의 저서 ''지리학''에서 당시 알려진 세계의 지표면을 상세히 기술했다. 그는 서쪽의 행복한 섬에서 동쪽의 세리카(중국 북부)까지 이르는 180도의 경도 범위와, 북쪽의 툴레에서 적도 아래의 반메로에까지 이르는 약 80도의 위도 범위를 묘사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위도를 도(degree)가 아닌 하지 때의 낮 시간 길이로 측정했는데, 적도에서는 12시간, 북극권에서는 24시간으로 계산했다. 이를 바탕으로 고대인들이 인식했던 세계는 가장 넓게는 북유럽에서 적도 부근 아프리카까지, 그리고 대서양에서 중국 서부까지 뻗어 있었다.
프톨레마이오스를 비롯한 고대의 지리학자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세계가 전부가 아니며, 지식의 범위가 지구 전체의 약 4분의 1에 불과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었다. 그들은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대륙 내에도 아직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땅(terrae incognitae)이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지구의 대칭성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알려진 세계와 균형을 이루는 다른 대륙들이 지구의 다른 지역에 존재할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러한 가상의 대륙들을 페리오이키(περίοικοι|페리오이코이grc, '세계의 옆'), 안토이키(ἄντοικοι|안토이코이grc, '세계의 반대편'), 그리고 안티포데스(Antipodes, '발의 반대편')라고 불렀다.
3. 2. 고대 로마
젬마 아우구스타 카메오는 오이쿠메네를 로마 예술 양식으로 의인화하여, 로마 제국에 평화를 가져온 공로로 황제(아마도 아우구스투스)에게 왕관을 씌우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단어는 325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전 세계의 주교들이 모이는 시노드인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면서 기독교 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리스어 용어 '오이쿠메네'는 문명 세계, 나아가 로마 제국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용법은 디 오클레티아누스 개혁 이후에도 이어졌고, 비잔틴 황제들은 자신들의 제국 행정을 지칭할 때 이 용어를 사용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세계 도시"로 여겨졌으며, 586년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라는 칭호로 알려지게 되었다.[4]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요한 4세가 이 칭호를 사용하는 것에 반대했다. 그는 이 칭호가 (자신이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보편적 관할권을 암시한다고 보았다.[5] 마우리키우스 황제의 요청으로 이 칭호가 부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그의 다섯 번째 서한에서 요한이 "모든 형제들의 마음을 상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이름을 붙잡으려 시도했다"고 비판했다.[6]
이 칭호는 오늘날에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들이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 과거 제국 수도의 주교라는 더 제한적인 의미를 지닌다.[7]
4. 현대적 의미
현대에 들어 '외쿠메네'라는 용어는 고대의 지리적 의미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기독교에서는 교파 간의 일치와 협력을 추구하는 에큐메니컬 운동을 지칭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문화사나 역사학 분야에서는 특정 시대나 지역의 문화적, 정치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범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4. 1. 종교 (에큐메니컬 운동)
특히 20세기에는 이 용어가 다양한 기독교 교파 간의 협력을 증진하는 운동인 에큐메니컬 운동과 그 운동의 궁극적인 목표인 통일된 기독교 교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다만, 이 운동은 모든 기독교 단체에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에큐메니컬 운동은 다양한 교파의 위원회 간 협상과, 웹 도메인 oikoumene.org로 등록된 세계 교회 협의회와 같은 초교파 기구의 논의를 통해 이루어진다. 관련된 주요 문제로는 세례, 성찬례, 기독교 목회 등이 있다.
4. 2. 문화

문화사의 맥락에서 루이스 멈포드는 그의 저서 ''기술과 문명'' (1934)에서 "외쿠메네"라는 용어를 학문적인 의미로 사용했다.[8] 이후 윌리엄 H. 맥닐은 그의 저서 ''서구의 부상'' (1963)에서 이 용어를 대중화했다. 맥닐은 18세기 후반부터 유럽의 정치 제도, 과학, 기술, 경제 형태가 지배하면서 단일한 세계적 외쿠메네가 등장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바스코 다 가마, 페르디난드 마젤란 등이 주도한 대항해시대 이전에는 원래 구세계와 신세계라는 두 개의 분리된 외쿠메네가 존재했고, 스페인 정복자들이 이 두 외쿠메네를 융합하여 단일 통합된 "세계 체제"를 형성했다고 보았다.
페터 슬로터다이크는 그의 저서 ''자본의 세계 내면''[9] (2014, 원본 독일어: Im Weltinnenraum des Kapitalsde, 2005)에서 "제1 외쿠메네"와 "제2 외쿠메네"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0] 슬로터다이크는 이 용어를 에릭 페겔린의 저서, 특히 ''질서와 역사'' 4권, ''에큐메니컬 시대'' (1974)에서 직접 가져와 인용한다.[11]
SF 작가 어슐러 K. 르 귄은 이 용어에서 영감을 받아 자신의 헤인식 사이클 세계관에 등장하는 '에쿠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2]
"외쿠메네"라는 용어는 그것을 인식하는 주체의 관점에 따라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대 바빌로니아인과 고대 그리스인은 각자 서로 다른 범위의 세계를 인식하고 있었을 것이며, 그들의 세계관은 일부 중첩될 수도 있었다.
5. 지도 제작법
외쿠메네는 지도 제작법과 역사적 지도 제작법에서 사용되며, 특히 후기 고대와 중세 시대에 제작된 상징적이고 개략적인 세계 지도 유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참조
[1]
사전
œcumene, n
Oxford English Dictionary
[2]
LSJ
οἰκουμένη
[3]
Citation
Cartography Word of the Day
http://designorati.c[...]
Designorati
2008-01-03
[4]
Citation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www.ccel.org/[...]
Hendrickson Publishers; 3rd edition (July 1, 1996)
2008-01-03
[5]
Citation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www.ccel.org/[...]
Hendrickson Publishers; 3rd edition (July 1, 1996)
2008-01-03
[6]
웹사이트
Philip Schaff: NPNF-212. Leo the Great, Gregory the Great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3-01-06
[7]
Citation
The Witness
http://www.homb.org/[...]
Holy Transfiguration Monastery
2008-01-03
[8]
Citation
Technics and Civilization
http://history.sandi[...]
Harcourt
2008-01-03
[9]
뉴스
In the World Interior of Capital by Peter Sloterdijk – review
http://www.theguardi[...]
2023-01-06
[10]
서적
In the world interior of capital : for a philosophical theory of globalization
Polity Press
2013-10-07
[11]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Eric Voegelin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007
[12]
서적
Presenting Ursula K. Le Guin
Twayne Publishers
1997
[13]
글로벌2
외쿠메네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