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한 에우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에우데스는 1601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1680년 사망한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 마리아 수도회(에우데스회)의 설립자이다. 그는 흑사병 피해자를 돕고 윤락 여성들을 위한 수녀회를 설립했으며, 예수 성심과 성모 성심에 대한 공경을 전파하고 영성 서적을 저술했다. 1908년 복자, 1925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그를 "예수 성심에 대한 헌신의 지칠 줄 모르는 사도"라고 칭송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라토리오회원 - 필립보 네리
    필립보 네리는 16세기 로마에서 활동하며 오라토리오회를 창설하여 가톨릭 교회 쇄신에 기여하고 유머와 쾌활함으로 사랑받은 이탈리아 사제이자 성인이다.
  • 교황 비오 10세가 시복한 복자 - 잔 다르크
    잔 다르크는 15세기 백년 전쟁 시기 프랑스를 구원하고 종교 재판에서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했으나 사후 복권되어 프랑스 국가의 상징이 된 인물이다.
  • 오른주 출신 - 기 몰레
    프랑스 사회당 정치인 기 몰레는 영어 교사 출신으로 레지스탕스 활동 후 아라스 시장과 국회의원을 거쳐 총리를 역임하며 수에즈 위기와 알제리 전쟁에 대처했으나, 강경책과 정치적 비판 속에 사퇴하고 프랑스 제4공화국 쇠퇴와 알제리 전쟁 탄압 정책과 관련된 논란을 남겼다.
  • 오른주 출신 - 페르낭 레제
    페르낭 레제는 20세기 프랑스의 화가, 영화 제작자, 교육자로, 입체파에서 발전한 튜비즘 기법으로 기계 문명과 사회의 역동성을 표현했으며, 전쟁 경험을 통해 기계 시대 양식을 확립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사회주의적 이상을 반영, 팝 아트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요한 에우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 요한 에우데스 초상화 – 1673."
존칭 접두사
이름요한 에우데스
존칭 접미사CIM
출생일1601년 11월 14일
사망일1680년 8월 19일
축일8월 19일
공경 대상로마 가톨릭교회
출생지리, 노르망디, 프랑스 왕국
사망지, 노르망디, 프랑스 왕국
시복일1909년 4월 25일
시복 장소성 베드로 대성전, 이탈리아 왕국
시복 집전자교황 비오 10세
시성일1925년 5월 31일
시성 장소성 베드로 대성전, 이탈리아 왕국
시성 집전자교황 비오 11세
상징물사제복
예수 성심
수호외드회
사랑의 성모 수녀회
바이에코모 교구
선교사
추가 정보

2. 생애

요한 에우데스는 1601년 11월 14일 프랑스 북부 노르망디 주 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농부이자 의술에 밝았고, 어머니는 독실한 신앙인이었다. 14세에 요한 에우데스는 순결 서약을 했다.[8]

에서 예수회 교육을 받은 후, 1623년 3월 25일 성 필립보 네리가 창설한 오라토리오회에 입회하였다. 그는 피에르 드 베뢸과 샤를 드 콩드랑을 영적 모델로 삼았으며,[6] 피에르 드 베뢸의 제자로서 그리스도 중심적인 영성 접근을 장려하는 프랑스 영성 학파의 일원이었다.

1625년 12월 20일에 사제 서품을 받은 에우데스는 당시 프랑스에 퍼진 흑사병 피해자들을 위한 봉사활동으로 사제 생활을 시작하였다.[6] 1627년과 1631년 역병이 돌 때, 그는 자신의 교구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하며 성사를 집행하고 죽은 사람들이 제대로 묻힐 수 있도록 도왔다. 이 과정에서 그는 동료들의 감염을 우려하여 들판 한가운데 있는 큰 통에서 생활하기도 했다.[7]

장 자크 올리에는 에우데스를 "그 시대의 기적"이라고 칭송했다. 그는 복음 전파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유명한 설교자이자 고해 신부였으며, 파리에서 세 번, 베르사유에서 한 번 설교하는 등 선교 활동은 종종 몇 주에서 몇 달까지 이어졌다.[2] 오스트리아의 안을 위해 설교하기도 했으나, 그녀의 아들 루이 14세는 에우데스가 자신의 갈리아주의 정책에 적대적이라고 의심했다.[8] 1633년, 그는 본당 선교를 시작하여 일 드 프랑스, 부르고뉴브르타뉴를 포함하여 프랑스 전역에서 100회가 넘는 선교 활동을 펼쳤다.[2]

1641년, 에우데스는 윤락 여성들을 돕기 위해 애덕의 성모 수녀회를 창립하였다.[3] 이 수도회는 1666년 1월 2일 교황 알렉산데르 7세로부터 인가를 받았다.[3] 그는 이러한 활동에 대한 비난에 "참다운 사랑을 지닌 정덕은 결코 더러워지지 않는다. 이는 마치 더러운 곳을 비추는 햇빛이 더러워지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라는 말로 응수하였다. 이 활동은 훗날 성녀 마리 유프라시아 펠티에에게 영향을 주었다.[3] 1643년 3월 25일, 에우데스는 사제 교육과 선교 활동을 목적으로 예수 마리아 수도회(에우데스회)를 프랑스 에서 창설하였다.[3] 이 수도회는 리슐리외 추기경 등의 지지를 받았다.

에우데스는 예수 성심성모 성심에 대한 공경을 널리 알리고자 다양한 영성 서적을 저술하고, 예수 성심과 성모 성심을 기념하는 성가를 많이 작곡하였다. 그리하여 예수 성심과 성모 성심 신심과 그 축일 제정의 신학적, 전례적 기초를 확립하였다.[6] 교황 레오 13세는 이러한 그의 행동을 영웅적 덕행으로 기리며 ‘예수 성심과 성모 성심의 전례 행위의 작가’라는 칭호를 부여하였다.[6]

에우데스는 1680년 8월 19일 에서 선종했다. 그는 1671년 4월 건강이 쇠퇴하기 시작하자 유언장을 작성했다. 에우데스의 유해는 1810년과 1884년 3월 6일에 이장되었다.[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요한 에우데스는 1601년 11월 14일 프랑스 북부 노르망디 주 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농부이자 의술에 밝았고, 어머니는 독실한 신앙인이었다. 14세에 요한 에우데스는 순결 서약을 했다.[8]

요한 에우데스는 에서 예수회 교육을 받은 후, 1623년 3월 25일 성 필립보 네리가 창설한 오라토리오회에 입회하였다. 그는 피에르 드 베뢸과 샤를 드 콩드랑을 영적 모델로 삼았다.[6] 그는 피에르 드 베뢸의 제자로서 그리스도 중심적인 영성 접근을 장려하는 프랑스 영성 학파의 일원이었다.

2. 2. 사제 서품과 초기 활동

요한 에우데스는 1625년 12월 20일에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당시 프랑스에 퍼진 흑사병 피해자들을 위한 봉사활동으로 사제 생활을 시작하였다.[6] 1627년과 1631년 역병이 돌 때, 에우데스는 자신의 교구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하며 성사를 집행하고 죽은 사람들이 제대로 묻힐 수 있도록 도왔다. 이 과정에서 그는 동료들의 감염을 우려하여 들판 한가운데 있는 큰 통에서 생활하기도 했다.[7]

2. 3. 선교 활동

장 자크 올리에는 요한 에우데스를 "그 시대의 기적"이라고 칭송했다. 에우데스는 복음 전파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유명한 설교자이자 고해 신부였으며, 파리에서 세 번, 베르사유에서 한 번 설교하는 등 선교 활동은 종종 몇 주에서 몇 달까지 이어졌다.[2] 에우데스는 오스트리아의 안을 위해 설교하기도 했으나, 그녀의 아들 루이 14세는 에우데스가 자신의 갈리아주의 정책에 적대적이라고 의심했다.[8]

1633년, 그는 본당 선교를 시작하여 일 드 프랑스, 부르고뉴브르타뉴를 포함하여 프랑스 전역에서 100회가 넘는 선교 활동을 펼쳤다.[2]

2. 4. 수도회 창립

1641년 요한 에우데스는 윤락 여성들을 돕기 위해 애덕의 성모 수녀회를 창립하였다.[3] 이 수도회는 1666년 1월 2일 교황 알렉산데르 7세로부터 인가를 받았다.[3] 요한 에우데스는 이러한 활동에 대한 비난에 "참다운 사랑을 지닌 정덕은 결코 더러워지지 않는다. 이는 마치 더러운 곳을 비추는 햇빛이 더러워지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라는 말로 응수하였다. 이 활동은 훗날 성녀 마리 유프라시아 펠티에에게 영향을 주었다.[3]

1643년 3월 25일, 요한 에우데스는 사제 교육과 선교 활동을 목적으로 예수 마리아 수도회(에우데스회)를 프랑스 에서 창설하였다.[3] 이 수도회는 리슐리외 추기경 등의 지지를 받았다.

2. 5. 예수 성심과 성모 성심 신심

요한 에우데스는 예수 성심성모 성심에 대한 공경을 널리 알리고자 다양한 영성 서적을 저술하고, 예수 성심과 성모 성심을 기념하는 성가를 많이 작곡하였다. 그리하여 예수 성심과 성모 성심 신심과 그 축일 제정의 신학적, 전례적 기초를 확립하였다.[6] 교황 레오 13세는 이러한 그의 행동을 영웅적 덕행으로 기리며 ‘예수 성심과 성모 성심의 전례 행위의 작가’라는 칭호를 부여하였다.[6]

2. 6. 말년과 죽음

에우데스는 1680년 8월 19일 에서 선종했다. 그는 1671년 4월 건강이 쇠퇴하기 시작하자 유언장을 작성했다. 에우데스의 유해는 1810년과 1884년 3월 6일에 이장되었다.[6]

3. 시성

교황 레오 13세는 1903년 1월 6일 요한 에우데스의 영웅적 덕행을 공식적으로 승인하였다. 1908년 3월 3일 그의 전구로 일어난 기적들이 인정되었고, 1908년 5월 3일 교황 비오 10세에 의해 복자로 시복되었다. 1925년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축일은 그가 선종한 날짜인 8월 19일로 지정되었다.[9]

4. 평가와 영향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요한 에우데스를 "예수 성심에 대한 헌신의 지칠 줄 모르는 사도"라고 칭송하며, 사제들의 모범으로 언급했다.[1] 그는 사제 양성과 복음 전파에 헌신했으며, 예수 성심성모 성심 신심을 널리 알렸다.[1] 성 베드로 대성전에는 1932년 실비오 실바가 제작한 그의 조각상이 있다.[1]

5. 저서


  • 《예수의 생애와 왕국》(La Vie et le Royaume de Jésus - 1637)
  • 《성 세례를 통한 인간과 하느님의 계약》(Le contrat de l'homme avec Dieu par le Saint Baptême - 1654)
  • 《선한 고해 신부》(Le Bon Confesseur - 1666)
  • 《교회 생활 기념록》(Le Mémorial de la vie Ecclésiastique)
  • 《사도 설교자》(Le Prédicateur Apostolique)
  • 《지극히 거룩하신 하느님의 어머니의 놀라운 성심》(Le Cœur Admirable de la Très Sainte Mère de Dieu - 성심에 대한 헌신에 관해 쓰여진 최초의 책)

6. 교회 학자

제2차 세계 대전 무렵 요한 에우데스를 교회 학자로 지정하자는 제안이 처음 나왔지만, 전쟁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로 인해 중단되었다.[10]

2014년부터 2015년 사이에 프랑스, 멕시코,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베냉, 온두라스, 콜롬비아의 주교회의가 이 제안을 지지했다. 2014년 11월 8일 프랑스 주교회의는 에우데스를 교회 학자로 지명하는 안건을 지지했다. 2016년 12월 3일, 당시 에우데스 수도회 총장 카밀로 베르날 하다드와 르퓌앙블레 주교 뤼 크레피는 교황 프란치스코를 만나 이 문제를 논의했다.

이 과정을 관리하는 사람들은 제안 이유와 영적 저서를 포함하는 Positio 서류를 작성하여 2017년 4월 성인 시성성에 제출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aint John Eudes http://catholicsaint[...] Saints SQPN 2017-08-03
[2] 웹사이트 Blessed Jean Eude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ume 5;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3] 웹사이트 Sisters of Our Lady of Charity of the Refug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ume 12;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4] 웹사이트 St. John Eudes – Spiritual Father of the Good Shepherd Sisters http://www.goodsheph[...] Good Shepherd Sisters
[5] 웹사이트 "Jesus Living in Mary: Handbook of the Spirituality of Saint Louis de Montfort" http://ewtn.com/libr[...] Montfort Publications 1994
[6] 웹사이트 Saint John Eudes http://www.santiebea[...] Santi e Beati
[7] 웹사이트 Our Founder Speaks... http://www.eudistsph[...] The Eudist Fathers in the Philippines
[8] 웹사이트 Saint John Eudes https://www.francisc[...] Franciscan Media
[9] 웹사이트 Benedict XVI – General Audience https://w2.vatican.v[...] Holy See 2009-08-19
[10] 문서 Saint John Eudes Doctor of the Church? https://eudistes.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