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성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수 성심은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한 마음에 대한 신심을 의미하며, 기독교 미술에서 불타는 심장, 가시 면류관, 창에 찔린 상처 등으로 묘사된다. 11세기와 12세기에 시작되어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두스,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등의 활동을 통해 발전했으며,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의 환시를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인류 봉헌이 이루어졌고, 다양한 신심 행위와 축일이 제정되었다. 예수 성심은 가톨릭 신자들의 신심의 대상이며, 가톨릭 관련 기관의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준성사 - 수도복
수도복은 수도자나 성직자들이 입는 특별한 의복으로, 불교의 가사, 기독교의 수도복 등 종교 및 종파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다양하며 각 종교의 전통과 가치관을 반영한다. - 준성사 - 십자고상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을 묘사한 조형물인 십자고상은 다양한 형태와 구성, 종교적, 문화적 의미를 가지며, 동서양의 표현 방식 차이, 역사적 논쟁, 신앙의 상징, 예술 작품 소재, 공공장소 전시 논란 등 다양한 측면을 지닌다. - 기독교의 상징 - 십자가
십자가는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사용되는 상징으로, 특히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을 상징하며, 고대에는 처형 도구로 사용되었으나 기독교에서는 인류 구원을 위한 속죄로 해석되어 중요한 상징으로 자리 잡았고, 현대에는 종교적 신앙 표현과 문화적, 예술적 상징으로 활용되지만 종교적 상징물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 기독교의 상징 - 라바룸
라바룸은 그리스도의 처음 두 글자를 본뜬 키 로 문양을 새긴 기독교 깃발의 일종으로, 콘스탄티누스 1세가 사용하기 시작하여 기독교 로마 황제와 비잔티움 제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기호로 사용된다. - 가톨릭교회의 축일 - 모든 성인 대축일
모든 성인 대축일은 기독교 축일로, 모든 성인과 순교자를 기념하며, 서방 교회에서는 11월 1일에, 동방 교회에서는 오순절 다음 주일에 기념하고, 많은 국가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어 묘지를 방문하여 고인을 기리는 풍습이 있다. - 가톨릭교회의 축일 - 삼위일체 대축일
삼위일체 대축일은 서방 기독교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기념하는 축일로, 오순절 다음 주일에 지켜지며 다양한 교파에서 예배와 전례에 차이가 있지만 아타나시우스 신경 낭송이나 특별 기도문 등으로 삼위일체 신앙을 고백하는 날이다.
예수 성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기념일 | 성령강림주일 후 세 번째 금요일 |
공경 대상 | 가톨릭교회(동방 및 서방) 서방 정교회 성공회 공동체 루터교 |
상징 | 십자가와 가시로 둘러싸인 불타는 피투성이 심장 |
영향 |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배상 행위 |
2. 역사적 배경
예수 성심 신심은 초대 교회부터 존재했던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11세기와 12세기에 베네딕토회와 시토회 수도원의 열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두스(1153년 사망),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8] 베르나르두스는 그리스도의 옆구리를 찌른 것은 그분의 선하심과 인류에 대한 마음의 사랑을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예수 성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찬송가인 "Summi Regis Cor Aveto"la는 헤르만 요제프(1241년 사망)가 쓴 것으로 여겨지며, "만군의 왕이신 성심이여, 흠숭하나이다"로 시작한다.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이 신심은 프란치스코회, 도미니코회, 카르투시오회 등 다양한 수도회와 개인들에 의해 널리 실천되었지만, 신비주의적인 개인 신심의 형태였다. 보나벤투라는 "이 상처 입은 마음을 사랑하지 않을 자 누구인가? 그토록 사랑하는 그분을 사랑하지 않을 자 누구인가?"라고 썼다.[10]
16세기에는 기독교 신비주의에서 금욕주의로 유입되어 특정 기도와 수행법이 확립되었다. 란스페르기우스, 루이 드 블로이스, 아빌라의 요한, 프란치스코 드 살레스 등의 저술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83]
17세기에는 요한 에우데스가 예수 성심 신심을 공적인 것으로 발전시키고, 렌의 대신학교에서 최초로 "예수 성심 축일"을 거행했다(1670년 8월 31일).[83] 쿠탕스는 10월 20일에 이를 따랐으며, 이후 이 날은 에우데스회의 축일과 연결되었다. 이 축일은 곧 다른 교구로 퍼져나갔고, 신심은 다양한 수도 공동체에서도 받아들여졌다. 이는 점차 파레르모니알에서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가 시작한 헌신과 접촉, 통합되었다.
2. 1.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의 신비 체험
오늘날 널리 알려진 예수 성심 신심은 성모 방문 수녀회의 수녀였던 성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1647-1690)가 겪은 예수 그리스도의 발현, 즉 신비 체험에 크게 기인한다.[20] 알라코크는 1673년에서 1675년 사이 여러 차례 예수 그리스도의 발현을 경험했다.[20]
- 1673년 12월 27일, 복음사가 요한 축일에 예수는 마르가리타 마리아에게 자신의 마음 위에 머리를 기대도록 허락하고, 자신의 사랑을 모든 인류에게 알리고 싶어하며 그녀를 성심에 대한 신심을 전파하도록 선택했다고 말했다.[20]
- 얼마 후, 알라코크는 가시 면류관을 쓰고 불꽃으로 둘러싸여 그 위에 십자가가 세워진 예수의 심장을 환시로 보았다.[20] 이 묘사는 마르가리타 마리아가 신심을 전파하기 위해 사용한 예수 성심의 대중적인 이미지가 되었다.
- 1674년에서 1675년 사이, 예수 그리스도는 알라코크에게 예수 성심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신심을 계시했다.
- 매달 첫째 금요일 9일 동안 성체를 영하는 첫 금요일 신심을 실천하는 사람들에게는 최종 보속의 "거대한 약속"이 주어졌다.[21]
- 매주 목요일 밤 11시부터 자정까지 한 시간을 예수의 겟세마니 동산에서의 고통에 대해 기도하고 묵상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녀의 기도는 죄인들을 위한 자비를 구하는 동시에 예수께서 동산에서 사도들에게서 느끼신 버려짐에 대한 보상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행위는 현재 "성시간"[22]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체 조배 시간 동안에도 자주 행해진다.
- 1675년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옥타바 기간 중, 아마도 6월 16일에 "위대한 계시"로 알려진 환시가 일어났다. 예수께서는 "보라, 자신의 사랑을 증명하기 위해 모든 것을 아끼지 않고 소진하고 소모하기까지 한 심장을 보라. 그런데 그에 대한 보답으로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로부터 무례함과 신성모독, 그리고 이 사랑의 성사에서 나에 대한 냉담함과 경멸을 받는다."[23]라고 말씀하셨다.
- 예수께서는 마르가리타 마리아에게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옥타바 다음 금요일에 보속 축제를 제정하도록 요청하시고, 파레르모니알의 작은 예수회에 속해 있던 당시 관구장인 클로드 드 라 콜롱비에르 신부에게 조언을 구하도록 지시하셨다.[24]
- 이 요청이 전달되었고, 예수 성심 축일은 점차 교회 전체에 제정되었다. 이 축일은 나중에 전례력에서 가장 높은 지위의 축제인 대축일이 되었으며, 예수께서 요청하신 대로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팔일 축제 다음 8일 후에 기념되었다.
- 1675년 6월 21일, 발현 이후 클로드 드 라 콜롱비에르는 마르가리타 마리아 다음으로 예수 성심께 헌신한 첫 번째 사람이 되었으며, 예수 성심 축일을 널리 전파하기 시작했다.[25][26]
드 라 콜롱비에르는 알라코크에게 발현에 대한 기록을 쓰도록 지시했고, 그는 이를 프랑스와 영국에서 은밀하게 배포했다. 1682년 2월 15일, 그의 사망 후 영적 피정에 대한 일지에서 알라코크에게 요청했던 기록의 사본이 그의 필체로 발견되었고, 신심의 유용성에 대한 몇 가지 성찰도 함께 있었다. 이 일지는 그 기록을 포함하여 신심이 설명된 예수 성심에 대한 "봉헌"이었으며, 1684년 리옹에서 출판되었다. 이 작은 책은 특히 파레르모니알에서 널리 읽혔다. 알라코크는 책 내용에 대해 "끔찍한 혼란"을 느꼈다고 보고했지만, 그녀가 소중히 여기는 신심을 전파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책을 승인하며 최선을 다하기로 결심했다. 방문 수녀회와 함께 사제, 수도자, 평신도들이 이 신심을 옹호했으며, 특히 카푸친 작은형제회가 그러했다. 보고된 발현은 예수 성심에 대한 신심을 증진하는 촉매 역할을 했다.[28] 1691년 예수회 사제 존 크로이세는 ''예수 성심 신심''이라는 책을 썼고, 조셉 드 갈리페가 신심을 홍보했다. 새로운 신심을 전파하는 임무는 특히 방문 수녀회 수도자와 예수회 사제들에게 맡겨졌다.

2. 2. 마리아 오브 디바인 하트
마리아 오브 디바인 하트(1863~1899)는 선한 목자의 자비의 성모 수도회 수녀로, 예수 그리스도의 여러 내적 담화와 환시를 받았다고 보고했다.[27] 그녀가 보고한 첫 번째 내적 담화는 독일 뮌스터 근처 Wasserschloss Darfeld|다르펠트 성de에서 가족과 함께 보낸 어린 시절에 있었고, 마지막 환시와 개인 계시는 포르투갈 포르투에 있는 선한 목자 수녀원 원장으로 있던 중에 보고되었다.그녀는 그리스도의 계시에서 받았다고 말한 메시지를 바탕으로, 1898년 6월 10일, 고해 신부를 통해 교황 레오 13세에게 온 세상을 성심께 봉헌해 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교황은 처음에는 이를 믿지 않았으나, 1899년 1월 6일, 그녀는 봉헌과 더불어 매월 첫 금요일을 성심을 기리는 날로 지켜야 한다는 추가적인 요청을 했다.
마리아 오브 디바인 하트는 1899년 6월 8일, 교회가 예수 성심의 첫 번째 저녁 기도를 부를 때 포르투갈에 있는 수도원에서 사망했다. 다음 날, 교황 레오 13세는 Annum sacrum에서 온 세상을 예수 성심께 봉헌했다.
그녀는 자신의 신비 체험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심에 헌정된 성전을 짓도록 영감을 주셨다고 말했다. 그녀의 글에 따르면, 예수께서는 "나는 이곳을 은총의 장소로 만들 것이다. 나는 이 집(수도원)에 사는 모든 이들, 현재 이곳에 사는 이들, 앞으로 이곳에 살 이들, 그리고 심지어 그들의 친척들에게까지 은총을 풍성하게 나눠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27]
그러나 그녀는 이 일이 실현되는 것을 보지 못했다. 웅장한 예수 성심 성당(선한 목자의 성당 또는 예수 성심 성전이라고도 함)은 1957년 7월 14일부터 1966년 4월 21일까지 북부 포르투갈의 에르메신데 민간 교구에 건설되었으며, 수녀가 한 서원을 이행하기 위해 그리스도의 성심에 봉헌되었다. 그녀는 에르메신데의 예수 성심 성당에 묻혔다.
3. 교황의 인준
1353년, 교황 인노첸시오 6세는 예수 성심의 신비를 기리는 미사를 제정했다.[28]
1693년, 성좌는 예수 성심의 형제단에 대사를 부여했고, 1697년에는 방문회에 오상 미사와 함께 축일을 허락했지만, 모든 사람을 위한 특별 미사와 경문이 포함된 축일은 거부했다. 1899년,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Annum Sacrum"을 통해 온 인류를 예수 성심께 봉헌했다. 이 회칙은 또한 전체 로마 가톨릭 주교들에게 첫 금요일 신심을 장려하고, 6월을 성심 성월로 지정하고, 예수 성심 봉헌 기도를 포함하도록 권장했다.[29]
교황 비오 10세는 레오 13세가 행한 인류의 봉헌을 매년 갱신하도록 명령했다. 또한 1908년 7월 9일 네베르 대성당에 있는 예수 성심 조각상의 발에 금관을 씌우는 교황령을 승인했다.
교황 비오 11세는 회칙 ''Miserentissimus Redemptor''(1928)에서 예수 성심에 대한 봉헌과 보속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30]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1920년 5월 13일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의 시성 시성 칙서에 첫 금요일 신심의 "위대한 약속"을 삽입하여 예수 성심을 기리는 첫 금요일 신심의 보속 행위를 장려했다.[31]
교황 비오 12세는 1956년 회칙 ''Haurietis aquas''에서 예수 성심 신심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2006년 5월 15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예수 성심 신심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편지를 보냈다. 2024년, 교황 프란치스코는 회칙 ''Dilexit nos''를 통해 예수 성심 신심의 중요성을 현대적 맥락에서 다루었다.[32][33]
4. 신심과 예배
예수 성심에 대한 숭배는 주로 여러 신심 행위, 실천, 봉헌, 찬송가, 예수 성심 경례, 예수 성심의 성무일도 등으로 구성되며, 로마 가톨릭 예식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후 여러 단체, 신도회, 국가들이 예수 성심에 봉헌했다. 1873년 7월 24일, '국민의 서원'으로 알려진 사크레쾨르 대성당 건립이 국민 의회에서 가결되었다. 1875년 6월 16일, 파리 대주교 구이베르 추기경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가 보고한 예수의 네 번째 요청을 200년 만에 기리는 대성당의 첫 번째 돌을 놓았다.[34]
1874년 3월 25일, 가브리엘 가르시아 모레노 대통령과 대주교 호세 이그나시오 체카 이 바르바의 청원에 따라, 에콰도르는 세계 최초로 예수 성심에 봉헌된 국가가 되었다.[35][36][37][38] 이후 콜롬비아(1902년), 스페인(1919년) 등 20개 이상의 국가가 칙령이나 결의를 통해 봉헌했다.[39][40]
가톨릭 전통에서 예수 성심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보상 행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다. 교황 비오 11세는 회칙 ''지극히 자비로우신 구세주''에서 "속죄 또는 보상의 정신은 항상 예수 성심 숭배에서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해 왔다"라고 말했다.[48] ''황금 화살 기도''는 예수 성심을 직접적으로 언급한다.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아눔 사크룸』(1899년 5월 25일)과 6월 11일 칙령으로 모든 사람을 예수 성심에 봉헌했다.
예수 성심 축일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례력에 따른 대축일로, 성령 강림 대축일 후 셋째 금요일에 지낸다. 봉헌, 보상, 그리고 신심 행위는 예수 성심 축일이 선포되었을 때 도입되었다.
6월은 전통적으로 예수 성심 공경에 특별히 헌정되는 달이다.[50][51][52] 미사, 9일 기도, 그리고 예수 성심을 기리는 기도문 낭송이 전통적으로 행해진다.
4. 1. 주요 신심 행위
예수 성심에 대한 숭배는 봉헌, 찬송가, 예수 성심의 성무일도 등 여러 신심 행위들로 구성되며, 로마 가톨릭 예식에서 흔히 볼 수 있다.예수 성심 신심은 그리스도의 거룩한 인성에 대한 신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6] 11세기와 12세기에 베네딕토회 또는 시토회 수도원에서 그 징후가 처음 발견된다.[8]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두스는 그리스도의 옆구리를 찌른 것이 그분의 선하심과 인류애를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프란치스코회, 도미니코회, 카르투시오회 등과 개인에 의해 널리 실천되었다. 보나벤투라는 마음을 하나님의 사랑이 쏟아지는 샘으로 언급했다.
16세기에 신비주의에서 금욕주의로 넘어갔으며, 카르투시오회의 란스페르기우스, 루이 드 블로이스, 아빌라의 요한, 프란치스코 드 살레스 등의 저술에서 찾아볼 수 있다. 카스페르 드루즈비츠키는 Meta cordium – Cor Jesula (마음의 목표 – 예수의 심장)에서 신학적 기초를 확립했고, 요한 에우데스는 기도문 작성과 축일 장려에 힘썼다.
오늘날 알려진 예수 성심 신심의 가장 중요한 근원은 성모 방문 수녀회 수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이다. 그녀는 1673년에서 1675년 사이에 예수로부터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후 단체, 신도회, 국가들이 예수 성심에 봉헌했다. 1873년 에콰도르가 가브리엘 가르시아 모레노 대통령 청원으로 최초 봉헌되었고, 1902년 콜롬비아, 1919년 스페인이 뒤를 이었다.
가톨릭 전통에서 예수 성심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보상 행위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교황 비오 11세는 회칙 ''지극히 자비로우신 구세주''에서 "속죄 또는 보상의 정신은 항상 예수 성심 숭배에서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해 왔다"라고 말했다.[48]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아눔 사크룸』('':en:Annum Sacrum'', 1899년 5월 25일)과 6월 11일 칙령으로 모든 사람을 예수 성심에 봉헌했다.
예수 성심 축일은 성령 강림 대축일 19일 후 금요일이다. 예수 성심 추대식은 가장이 집 구성원을 예수 성심에 봉헌하는 가톨릭 의식이다.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도 예수 성심 숭경이 일부 있지만, 교회 내 이견도 존재한다.
4. 1. 1. 예수 성심께 드리는 봉헌 기도
성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가 성심께 드리는 봉헌 기도를 작성했으며,[53] 이는 예수가 영감을 주어 쓴 것으로 전해진다. 그녀는 사제인 존 크루아제에게 그녀의 계시에 관한 책에 이 기도를 포함시키라고 권하며 "이는 그분에게서 온 것이며, 그분은 그것을 빼는 것에 동의하지 않으실 것이다."라고 적었다.[54]1899년 5월 25일, 교황 레오 13세는 마리아 데 라 디비나 코라손의 영향과 25년 이상 받아온 요구에 응하여 회칙 Annum sacrum에서 인류를 성심께 봉헌하는 기도를 작성했다.[55]
1908년 5월 19일, 교황 비오 10세는 가족을 위한 특별한 봉헌 기도인 성심께 드리는 가족 봉헌 기도를 승인하고 대사를 부여했다.[56][57]
4. 1. 2. 첫 금요일 신심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가 예수의 발현을 통해 받았다고 전해지는 신심으로, 9개월 연속 첫 금요일에 미사 참례와 영성체를 하는 신심 행위이다.[58] 이 신심을 실천하는 사람들에게는 최종 보속의 은총이 약속되는데, 이를 "대 약속"이라고 부른다.[31]마르가리타 마리아는 1674년에서 1675년 사이에 여러 차례 발현을 경험했으며, 이 발현을 통해 예수는 그녀에게 예수 성심에 대한 다양한 신심 형태를 계시하였다. 그중 하나가 첫 금요일 신심이다. 예수께서는 매달 첫째 금요일 9일 동안 성체를 영하는 이들에게 최종 보속의 "거대한 약속"을 주시겠다고 말씀하셨다.[21]
첫 금요일 신심은 성체에 대한 죄의 보상 행위이자 예수 성심을 기리는 신심이다. 이 신심은 9개월 연속으로 매달 첫 금요일에 다음과 같은 실천으로 구성된다.
- 미사에 참례하고 성체를 영한다.
- 필요한 경우, 은총의 상태에서 영성체를 하기 위해 미사에 참석하기 전에 고해성사를 해야 한다.[58]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는 그녀의 발현에서 예수께서 당신의 성심에 대한 신심을 실천하는 사람들에게 특별한 축복을 약속하셨다고 말했다. "대 약속"이라고도 불리는 마지막 약속은 첫 금요일 신심을 실천하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최종 보속에 대한 약속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나는 그들에게 그들의 삶의 상태에 필요한 모든 은총을 줄 것이다.
2. 나는 그들의 가정에 평화를 줄 것이다.
3. 나는 그들의 모든 고통 속에서 그들을 위로할 것이다.
4. 나는 삶에서, 특히 죽음에서 그들의 피난처가 될 것이다.
5. 나는 그들의 모든 사업에 넘치도록 축복을 줄 것이다.
6. 죄인들은 내 성심에서 자비의 근원과 무한한 바다를 찾을 것이다.
7. 미지근한 영혼들은 열렬하게 될 것이다.
8. 열렬한 영혼들은 빠르게 훌륭한 완전함으로 나아갈 것이다.
9. 나는 나의 성심의 형상이 드러나고 공경받는 장소를 축복할 것이다.
10. 나는 사제들에게 가장 완고한 마음을 감동시킬 수 있는 능력을 줄 것이다.
11. 이 신심을 전파하는 사람들의 이름은 내 성심에 영원히 기록될 것이다.
12. 내 성심의 넘치는 자비로, 나는 첫 금요일에 9개월 연속으로 성체를 영하는 모든 사람에게 최종 회개의 은총을 베풀 내 전능한 사랑을 약속한다. 그들은 나의 불쾌함 속에서, 또는 성사를 받지 않고 죽지 않을 것이며, 내 성심은 그 마지막 시간에 그들의 안전한 피난처가 될 것이다.
4. 1. 3. 성시간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는 예수가 매주 목요일 밤, 속죄를 위해 한 시간을 보내고 겟세마네 동산에서의 고통에 대해 기도하고 묵상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환시를 보았다고 말했다.[59] 이 관행은 후에 로마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널리 퍼졌고, 성시간이라는 경건한 전통, 즉 성체 앞에서 기도하거나 성체 숭배를 하며 한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발전했다.4. 1. 4. 예수 성심의 옹립
예수 성심 옹립은 가정에서 예수 성심의 이미지를 존중하는 장소에 두는 예식이다.[60] 많은 가정에서는 성심 이미지와 함께 성모 마리아의 티없는 성심의 이미지를 함께 놓기도 한다.[61] 옹립에는 사제의 참석이 필요하지 않다.[63]이러한 성심 가정 옹립 관행은 1907년, 파레르모니알의 발현 경당을 방문한 예수와 마리아 성심회의 사제 R. 마테오 크롤리-보비에에 의해 시작되었다.[64]
성심 옹립은 매사추세츠주 페어헤이븐의 국립 옹립 센터,[65] 테네시주 녹스빌의 성심 사도직,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의 성심 콜럼버스,[66] 그리고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위치한 501(c)(3) 단체인 성심 옹립 네트워크에 의해 장려되고 있다.[67] 또한 파티마의 푸른 군대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
가족 구성원들은 이 예식을 통해 예수 성심께 자신들을 봉헌하고 신심을 고취한다.
4. 1. 5. 예수 성심 스카풀라

예수 성심 스카풀라와 예수와 마리아의 성심 스카풀라는 일부 가톨릭 신자들이 착용하는 신심 물품이다.
예수 성심 스카풀라의 초기 형태는 예수 성심의 이미지를 담은 천으로 된 '배지'였다. 이는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에 의해 제작되어 배포되었다. 1876년 펠르부아쟁에서 성모 마리아가 에스텔 파게트에게 나타나 예수 성심 스카풀라를 요청했다는 주장에 따라, 1900년 전례성성은 제안된 디자인의 스카풀라를 승인했다. 이 스카풀라의 한쪽 면에는 예수 성심의 형상이, 다른 쪽 면에는 자비의 어머니라는 칭호 아래 성모 마리아의 형상이 새겨져 있다.
5. 예수와 마리아 성심의 일치
요한 에우데스는 예수 성심과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의 신비로운 일치를 옹호했다.[19] 그는 마리아 성심에서 시작하여 예수 성심으로 확장하는 가르침을 통해 두 성심을 연관시켰다.[72]
1985년 9월 1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삼종기도에서 예수 성심과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에 대한 신심이 "분명히 다르지만, 서로 연관되어 있다"라고 언급했다.[70]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이 개념에 대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71]
18세기와 19세기에는 두 신심이 모두 성장했으며, 특히 가시 면류관을 쓴 예수 성심과 칼에 찔린 마리아 성심을 묘사한 기적의 메달의 인기를 통해 더욱 성장했다.[73]
6. 예수 성심의 상징
예수 성심은 기독교 미술에서 종종 불타는 심장으로 묘사된다.[4] 신성한 빛을 발하며, 창에 찔린 상처가 있고, 가시면류관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십자가 위에 놓여 있고, 피를 흘린다. 때때로 이 이미지는 그리스도의 품 안에서 빛나며, 상처 입은 손으로 심장을 가리키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상처와 가시면류관은 예수의 수난을 암시하며, 불꽃은 열렬한 사랑의 용광로를 나타낸다.[5]
예수 성심을 묘사한 종교 이미지는 가정에서 자주 등장한다. 1873년 수난 주일에 아일랜드 주교들에 의해 아일랜드가 예수 성심에 봉헌되었으며, 이로 인해 예수 성심 램프가 아일랜드 가정에서 흔한 묵상 물건이 되었다.[76]
가시 면류관을 쓴 예수 성심은 기적의 메달 뒷면에 묘사되어 있다.[75]
7. 관련 단체
'예수 성심'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가톨릭 관련 기관의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학교, 대학, 병원, 본당, 수도회 등 다양한 기관에서 이 명칭을 찾아볼 수 있다.[78][79]
1800년 12월 24일, 프랑스의 마리 조세프 쿠드랭은 예수와 마리아의 성심회를 설립했다. 이 수도회는 하와이에서의 선교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같은 해인 1800년에 예수의 성심회가 여자 수도회로 설립되었다. 포를리의 클레리아 메를로니는 1894년 5월 이탈리아 비아레조에서 예수 성심 사도 수녀회를 설립했다.
8. 동방 가톨릭 교회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를 비롯한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도 예수 성심 신심을 찾아볼 수 있다.[80] 다른 동방 교회에서는 이를 전례 라틴화의 한 예시로 보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Opening for the Year of Priest on the 150th Anniversary of John Mary Vianney
https://w2.vatican.v[...]
2009-06-19
[2]
웹사이트
Solemnity of the Sacred Heart of Jesus
https://www.romancat[...]
[3]
서적
Marguerite–Marie, La sainte de Paray
Éditions Resiac
[4]
논문
The Enflamed Heart: Architecture and Iconology
http://www.iconocraz[...]
Universita di Bari Aldo Moro
2014
[5]
문서
The sacred heart of Jesus
[6]
서적
Modern Catholic Dictionary
https://web.archive.[...]
[7]
백과사전
The Five Sacred Wound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2
[8]
웹사이트
Heart of Jesus, Symbol of Love
https://www.sisterso[...]
[9]
웹사이트
The Franciscans in Nebraska
http://www.usgennet.[...]
[10]
웹사이트
Devotion to the Sacred Heart of Jesus
http://www.nafra-sfo[...]
[11]
웹사이트
Call Includes Consecration to the Sacred Heart of Jesus
https://fscc-calledt[...]
2022-06-23
[12]
서적
What are These Wounds? the Life of a Cistercian Mystic, Saint Lutgarde of Aywieres
http://nunraw.blogsp[...]
Clonmore and Reynolds Ltd.
[13]
블로그
Draw Me to Thy Piercèd Side
http://vultus.stblog[...]
2008-06-15
[14]
웹사이트
Carmelites and the Sacred Heart
https://web.archive.[...]
[15]
서적
The Devotion to the Sacred Heart
http://catholictradi[...]
[16]
웹사이트
St. Gertrude The Great
https://web.archive.[...]
[17]
논문
St Gertrude's Synecdoche: The Problem of Writing the Sacred Heart
http://www.illinoism[...]
[18]
웹사이트
General Audience of 19 August 2009: Saint John Eudes and the formation of the diocesan clergy
https://www.vatican.[...]
[19]
웹사이트
Why John Eudes is Doctor of the Church?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Vie et Œuvres de Marguerite-Marie Alacoque, T.II, 3ème édition - Mgr Gauthey
https://archive.org/[...]
[21]
웹사이트
Vie et Œuvres de Marguerite-Marie Alacoque, T.II, 3éme édition - Mgr Gauthey
https://archive.org/[...]
[22]
웹사이트
Vie et Œuvres de Marguerite-Marie Alacoque, T.II, 3ème édition - Mgr Gauthey
https://archive.org/[...]
[23]
웹사이트
Saint Margaret Mary Alacoque and First Friday Devotions: The Year of the Eucharist
https://catholicrevi[...]
2021-06-03
[24]
웹사이트
Vie et Œuvres de Marguerite-Marie Alacoque, T.II, 3ème édition - Mgr Gauthey
https://archive.org/[...]
[25]
웹사이트
The Revelation of the Sacred Heart of Jesus Paral-le-Monial, France
https://www.ewtn.com[...]
[26]
웹사이트
Vie et Révélations de Marguerite-Marie Alacoque écrites par elle-même
https://archive.org/[...]
[27]
서적
Autobiography of Blessed Mary of the Divine Heart, Religious of the Good Shepherd
Edition of the Congregation of Our Lady of Charity of the Good Shepherd
[28]
뉴스
The Sacred Heart of Jesus
1994-10-13
[29]
서적
Encyclopedia of Catholic Devotions and Practices
[30]
웹사이트
Miserentissimus Redemptor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28-05-08
[31]
웹사이트
Acta Apostolicæ Sedis 1920
https://www.vatican.[...]
The Holy See
[32]
뉴스
'Dilexit nos': The experience of a loving heart
https://www.vaticann[...]
2024-10-24
[33]
뉴스
'Dilexit nos': A brief guide for busy readers
https://www.pillarca[...]
2024-10-24
[34]
서적
Le Sacré-Cœur de Montmartre, Un vœu national
Délégation à l'action artistique de la ville de Paris
[35]
서적
Gabriel Garcia Moreno, Regenerator of Ecuador
[36]
웹사이트
Ecuador conmemora 150 años de la Consagración al Sagrado Corazón de Jesús
https://adn.celam.or[...]
2024-08-16
[37]
웹사이트
Iglesia católica de Ecuador celebra 150 años de la consagración al Sagrado Corazón de Jesús
https://www.eluniver[...]
2024-08-16
[38]
웹사이트
‘Everything is Yours!’: Ecuador Renews its Consecration to the Sacred Heart of Jesus
https://www.ncregist[...]
2024-08-16
[39]
웹사이트
At Fatima, 24 countries consecrated to Jesus and Mary amid the coronavirus pandemic
https://www.catholic[...]
2024-08-16
[40]
웹사이트
Churches consecrate 24 nations to Mary
https://www.thetable[...]
2024-08-16
[41]
웹사이트
Iglesia Católica colombiana renovó consagración del país al Sagrado Corazón de Jesús
https://www.eltiempo[...]
2024-08-16
[42]
웹사이트
La Iglesia de Colombia renovará consagración al Sagrado Corazón de Jesús - Vatican News
https://www.vaticann[...]
2024-08-16
[43]
웹사이트
AMÉRICA/COLOMBIA - 24 de junio: Colombia renueva desde hace 120 años la consagración al Sagrado Corazón de Jesús - Agenzia Fides
https://www.fides.or[...]
2024-08-16
[44]
웹사이트
La Iglesia renueva la Consagración de España al Sagrado Corazón de Jesús 100 años después
https://www.europapr[...]
Europa Press
2024-08-16
[45]
웹사이트
101 años de la consagración de España al Sagrado Corazón de Jesús
https://www.elcorreo[...]
2024-08-16
[46]
웹사이트
Así fue la consagración de España al Sagrado Corazón de Jesús, con Alfonso XIII
https://www.cope.es/[...]
2024-08-16
[47]
웹사이트
Historia de la Consagración al Sagrado Corazón de Jesús
https://librerias.pa[...]
2024-08-16
[48]
웹사이트
Pope Pius XII, ''Miserentissimus Redemptor''
https://www.vatican.[...]
[49]
웹사이트
Feast of the Sacred Heart or Divine Compassion
https://www.churchti[...]
[50]
문서
John Paul II, Angelus address, 27 June 1982
[51]
뉴스
June Is the Month of the Sacred Heart-a Perfect Time for Enthronement
https://www.ncregist[...]
2021-06-04
[52]
웹사이트
June is the Month of the Sacred Heart
https://www.rapidcit[...]
[53]
웹사이트
Prayers to the Sacred Heart of Jesus
https://traditionalc[...]
2024-07-10
[54]
웹사이트
Vie et Révélations de Marguerite-Marie Alacoque écrites par elle-même
https://archive.org/[...]
[55]
웹사이트
Annum Sacrum (May 25, 1899) LEO XIII
https://www.vatican.[...]
2024-07-10
[56]
웹사이트
Act of Consecration of the Family to the Sacred Heart of Jesus The Catholic Company®
https://www.catholic[...]
2024-07-10
[57]
웹사이트
Consecration of the Family to the Sacred Heart of Jesus EWTN
https://www.ewtn.com[...]
2024-07-10
[58]
웹사이트
The Nine First Friday Devotion
https://americaneeds[...]
2024-06-05
[59]
웹사이트
St. Margaret Mary and The Sacred Heart
https://www.thedivin[...]
[60]
서적
Enthronement of the Sacred Heart
National Sacred Heart Enthronement Center
1999
[61]
서적
Larkin 1999, p. 135
[62]
웹사이트
Blessing of a New Home
https://www.catholic[...]
2019-12-05
[63]
서적
Larkin 1999, p. 63
[6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Sacred Heart Devotion
https://welcomehishe[...]
Sacred Heart Enthronement Network
2019-11-26
[65]
웹사이트
Enthronement of the Sacred Heart in the Home
http://www.catholict[...]
National Enthronement Center
2019-11-27
[66]
웹사이트
Welcome to Sacred Heart Columbus!
https://www.sacredhe[...]
Sacred Heart Columbus
2019-11-28
[67]
웹사이트
Sacred Heart Enthronement
https://enthronement[...]
Sacred Heart Enthronement Network
2019-11-29
[68]
웹사이트
Scapular
http://www.newadvent[...]
[69]
서적
Pellevoisin: Estelle nous parle …: autobiographie et récit des quinze apparitions par la voyante
https://books.google[...]
Monastère des dominicaines
[70]
웹사이트
Address, To the Participant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Alliance of the Hearts of Jesus and Mary
https://www.vatican.[...]
1986-09-26
[71]
간행물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Two Hearts Alliance
https://ecommons.uda[...]
[72]
서적
Life Of The Venerable John Eudes
Cousens Press
[73]
서적
In Prayer With Mary the Mother of Jesus
[74]
서적
The children of Fatima: Blessed Francisco & Blessed Jacinta Marto
OSV Press
[75]
웹사이트
Miraculous Medal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76]
웹사이트
Devotion to the Sacred Heart and the Irish experience
https://www.jesuit.i[...]
2008-05-21
[77]
웹사이트
Dilexit nos
https://www.vatican.[...]
Vatican
2024-10-24
[78]
웹사이트
Los Misioneros del Sagrado Corazón presentes en muchos países del mundo entero
http://www.mscperu.o[...]
[79]
웹사이트
Servant of God Clelia Merloni
http://www.santiebea[...]
Santi e Beati
[80]
뉴스
Feast Christ, Lover of Mankind or Sacred Heart of Jesus
https://www.archepar[...]
Ukrainian Catholic Archeparchy of Winnipeg
2019-06-28
[81]
웹사이트
Devotion to the Sacred Heart of Jesus II. Historical Ideas on the Development of the Devotion, para (3-4)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06-07-11
[82]
웹사이트
Miserentissimus Redemptor
http://www.vatican.v[...]
Vatican
[83]
웹사이트
Devotion to the Sacred Heart of Jesus II. Historical Ideas on the Development of the Devotion, para (1)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06-07-11
[84]
웹사이트
Haurietis Aquas
http://www.vatican.v[...]
Vatican Archives
2006-11-17
[8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86]
웹사이트
Photos of Sacred Heart tattoos
http://www.religious[...]
Religious Tattoos
2006-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