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담은 중국어 '류탄'의 음독에서 유래한 한국어 명칭으로, 뿌리가 매우 써서 약용으로 사용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산지, 구릉지, 습한 산야, 초원에서 자생한다. 가을에 청자색 꽃이 피며, 뿌리는 고미건위제, 소염제로 사용되고 한의학 및 티베트 전통 의학에서도 활용된다. 꺾꽂이, 포기나누기, 파종으로 번식하며, 쓴맛은 소화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민간요법으로도 사용된다. 나가노현과 구마모토현의 현화이며, 일본의 여러 지역에서 시정촌화로 지정되었고, 겐지 가문의 문장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노현의 상징 - 흑요석
흑요석은 빠르게 냉각된 용암에서 형성되는 자연 발생 유리로, 석기 시대부터 도구 제작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외과 수술용 메스로도 활용된다. - 나가노현의 상징 - 뇌조
뇌조는 꿩과에 속하며 깃털 색깔이 계절에 따라 변하고, 북극 및 아북극 지역에 서식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구마모토현의 상징 - 아소산
아소산은 세계 최대급 칼데라와 활발한 화산 활동을 보이는 나카다케를 포함하며, 규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자 다양한 전설이 전해지는 활화산이다. - 구마모토현의 상징 - 녹나무
녹나무는 장뇌 향이 나는 잎을 가진 높이 20~30m의 상록 교목으로,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자라며 장뇌 채취, 목재 활용, 신목 숭배, 천연기념물 지정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용담과 - 용담속
용담속은 전 세계 고산 지역에 분포하며 짙은 파란색 나팔 모양의 꽃이 특징이고, 약용 및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한국에는 여러 종이 자생한다. - 용담과 - 쓴풀
쓴풀은 중국, 한반도, 일본에 분포하며 가을에 흰색 꽃을 피우는 두해살이 초본으로, 특유의 쓴맛 때문에 건위제로 사용된 민간약이자 일본의 여러 지역에서 보호받는 식물이다.
| 용담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학명 | Gentiana scabra Bunge var. buergeri () |
| 국명 | 리ンドウ (竜胆) |
| 영명 | Japanese gentian |
| 변종 | 리ンドウ |
| 이명 | var. (Miq.) Maxim. |
| 분류 | 계: 식물계 문: 피자식물문 강: 쌍떡잎식물강 목: 용담목 과: 용담과 속: 용담속 종: 토우린도우 |
| 이미지 | |
![]() | |
![]() | |
| 참고 자료 | |
2. 명칭
한국어 명칭인 '''용담'''은 중국 식물명인 竜胆(류탄)을 소리나는 대로 읽은 것에서 유래하며,[4] 중국에서는 웅담(곰쓸개)보다 더 쓰다는 의미에서 '竜胆'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용담은 전체적으로 쓴 맛이 나며, 특히 뿌리는 매우 써서 약으로 쓰인다.
한국, 일본(본주, 시코쿠, 큐슈) 등지에 분포한다. 산지, 구릉지, 습한 산야, 초원에 자생한다.[1]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황백색의 수염뿌리 모양으로 여러 갈래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위로 자라며, 높이는 20cm~100cm이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대나무 잎과 비슷한 달걀 모양의 피침형이다. 잎자루는 없고 줄기를 감싼다. 잎몸은 가늘고 길며, 3개의 잎맥이 있고, 손가락으로 문지르면 거친 느낌이 있다. 잎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지만, 돋보기로 보면 작은 돌기가 있다.
실내외 모두 재배 가능하다. 실내에서 키울 때는 6월경까지 가지를 계속 잘라 짧게 만들어주어야 하고, 7월부터 올라오는 가지는 그대로 두어야 그곳에서 꽃을 피운다. 외부에서 키울 때는 흙속에 유기질을 많이 넣어두면 꽃봉오리가 많아지고 튼튼하게 자란다. 직접적인 광을 받는 곳에서는 잎끝이 타는 현상이 발생한다.[10]
뿌리는 고미건위, 소염약으로 쓰인다.[11] 한의학에서 용담(Gentiana scabra) 뿌리는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간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고미건위제(苦味健胃劑)로 사용된다.[1][2] 또한 티베트 전통 의학에서도 사용된다.[3]
지역에 따라 이야미구사, 케로리구사 등으로도 불리는데, 이야미구사는 '위병(胃病)이 나는 풀'이라는 뜻이다.
3. 분포 및 서식지
4. 형태 및 생태
꽃은 가을(9~11월경)에 피며 줄기 끝이나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굵은 꽃봉오리를 낸다. 꽃은 맑은 날에만 피며 다소 크고 범종 모양의 아름다운 청자색으로, 위를 향해 여러 송이가 핀다. 열매는 삭과이며, 시든 꽃받침과 꽃부리에 싸인 채로 밖으로 나오고, 익으면 세로로 2갈래로 갈라진다. 종자는 길이 1.5mm~2mm 정도로 매우 작고, 종피에는 세로로 그물 무늬가 있다. 또한 종자에는 날개가 있어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성숙한 꽃잎은 광합성을 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용담의 꽃잎에 있는 녹색 반점은 잎과 같은 수준의 광합성 활성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5]
5. 관리 및 번식법
번식은 꺾꽂이, 포기나누기, 파종으로 한다. 꺾꽂이는 봄에 올라오는 줄기를 5~6월경에 잘라 꺾꽂이를 한다. 포기나누기는 이른 봄에 한다. 종자는 먼지처럼 씨방에 들어있기 때문에 꽃 한 송이에서 얻는 종자는 상당히 많다. 하지만 종자 발아율이 너무 낮기 때문에 가능한 한 많은 종자를 이른 봄 화분에 뿌리는 것이 좋다.[10]
6. 약효 및 이용
뿌리에는 배당체인 겐티오피크린, 알칼로이드의 일종인 겐티아닌, 삼당류인 겐티아노스 등이 포함되어 있다.
뿌리는 생약인 용담(竜胆/龍胆)의 원료 중 하나로 사용된다. 용담속 식물로 일본약국방에 수재되어 있는 생약 겐티아나의 대용품이다. 옛날에는 뿌리를 민간약으로 사용하였다.[7][8] 용담은 지상부가 시드는 10~11월에 뿌리를 자르지 않도록 뿌리줄기를 캐어, 줄기를 잘라내고 물로 씻은 다음 햇볕에 말려 조제한다. 용담은 한방 전문 약국에서도 취급하고 있다.
쓴맛 성분은 일반적으로 구강의 미각 신경 종말을 자극하여 타액과 위액의 분비를 높여 소화 기능 개선, 식욕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용담의 쓴맛은 쓴맛 건위, 소화불량으로 인한 위부 불쾌감, 식욕부진, 위산과다에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자액, 담즙 분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방에서는 소염 해독 작용이 있다고 생각되어 처방에 배합되고 있다. 민간요법에서는 용담 1일 복용량 2g~3g을 물 300~400cc로 3분의 2 정도가 될 때까지 달여 식후 3회에 나누어 복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식욕부진 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용담을 가능한 한 잘게 썰어 절구 등으로 분말로 만든 것을 1회에 0.1~0.2그램씩 식후에 물이나 미지근한 물로 복용한다. 환부의 열감을 없애는 약초로, 배뇨통, 배뇨곤란으로 배뇨 시 열감을 느낄 때나 눈의 충혈이나 통증으로 차갑게 하면 통증이 완화되는 사람에게 좋다고 하며, 환부에 열이 쌓이고 목이 말라 차가운 것을 원하는 사람에게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장기 복용은 피해야 하고 임산부나 환부가 차가운 사람에게는 금기이다.
중국산 당용담은 시베리아, 조선반도 등에 야생하며, 중국에서는 용담으로 약용되지만 쓴맛은 용담보다 떨어진다.
7. 품종
: 잎이 가늘고 긴 것이 특징이다.
: 흰 꽃이 피는 형태이다.
: 키가 약간 작고 잎이 비교적 가늘다. 원예 품종의 교잡종 부모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잎이 약간 가늘고 꽃 색깔이 약간 진하다.
8. 근연종
- 에조리ンドウ(エゾリンドウ) (학명: ''Gentiana triflora var. japonica'') - 호소바에조리ンドウ의 변종이다. 홋카이도부터 혼슈 킨키 이북에 분포한다.
- 오야마리ンドウ(オヤマリンドウ) (학명: ''Gentiana makinoi'') - 기야마리ンドウ라고도 불린다. 산중에 자라는 것에서 이름이 유래했다[1].혼슈 중부 이북의 아고산대에 분포한다.
- 타테야마리ンドウ(タテヤマリンドウ) (학명: ''Gentiana thunbergii var. minor'') - 하루리ンドウ의 일종으로, 타테야마에 자라는 것에서 이름이 유래했다[1].홋카이도·혼슈 중부 이북의 일본해 쪽 아고산대에 분포한다.
- 후데리ンドウ(フデリンドウ) (학명: ''Gentiana zollingeri'') - 이년생으로, 햇볕이 들면 꽃이 피고, 그늘지면 꽃을 닫는다[2].일본·조선 반도·중국·사할린에 분포한다.
9. 용담 관련 일화
고대 일리리아의 왕 겐티우스는 백성들이 페스트로 고통받자, 신에게 특효약을 알려달라고 기도하며 화살을 쏘았다. 화살이 용담 뿌리에 박히자, 겐티우스는 이를 약으로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용담의 영어 이름 "GENTIANA"는 겐티우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일본에서는 용담을 "竜胆(りゅうたん)"이라고 쓰는데, 이는 잎의 모양이 용규(竜葵)와 비슷하고 간처럼 쓰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9]
10. 상징
나가노현과 구마모토현은 용담을 현화(県花)로 지정하고 있다.[1][2]
용담은 가문으로도 사용되는데, 겐지(源氏)의 가문으로 알려진 삿갓 용담 문장(笹龍胆紋) 외에도 용담차(竜胆車), 이엽 용담(二葉竜胆) 등이 있다. 가마쿠라의 시장 문장은 삿갓 용담 문장이다.
10. 1. 현화(県花)
나가노현과 구마모토현의 현화(県花)이다.[1][2]10. 2. 시정촌화(市町村花)
| 현 | 시정촌 |
|---|---|
| 아오모리현 | (미나미쓰가루군 나미오카정) |
| 이와테현 | 하치만타이시, 이와테군 이와테정, 와가군 니시와가정, (이와테군 안다이정, 단자와군 기누가와무라, 구노헤군 오노촌) |
| 아키타현 | (센보쿠군 교와정) |
| 미야기현 | 가쿠다시, (다마즈쿠리군 나루코정) |
| 야마가타현 | 히가시무라야마군 야마노베정, 모가미군 모가미정, 오쿠라촌 |
| 후쿠시마현 | 이와세군 덴에이촌, (다테군 료젠정, 이와세군 이와세촌, 다무라군 다키네정) |
| 도치기현 | 나스군 나스정 |
| 군마현 | 아가쓰마군 쓰마고이촌, 다카야마촌 |
| 지바현 | 인바군 사카에정 |
| 가나가와현 | 가마쿠라시, 미나미아시가라시 |
| 도야마현 | 나카니카와군 가미이치정 |
| 야마나시현 | 우에노하라시, (니시야쓰시로군 이치카와다이몬정, 기타쓰루군 우에노하라정) |
| 나가노현 | 고모로시, 기소군 기소촌, (사라시나군 오카촌) |
| 미에현 | 도인군 도인정 |
| 효고현 | 가와니시시, (아사고군 이쿠노정) |
| 오카야마현 | (도마타군 가미사이바라촌) |
| 야마구치현 | (미네군 아키요시정) |
| 도쿠시마현 | 가쓰우라군 가미카쓰정 |
| 에히메현 | (가미우케나군 오모고촌) |
| 구마모토현 | 아소시, 아소군 미나미오구니정, (아소군 소요정) |
| 미야자키현 | (기타모로카타군 야마다정) |
10. 3. 용담 문장(龍胆紋)
용담을 도안화한 가문. 겐지(源氏)의 가문으로 알려진 삿갓 용담 문장(笹龍胆紋) 외에도, 용담차(竜胆車), 이엽 용담(二葉竜胆) 등이 있다. 가마쿠라시(鎌倉市)의 시장은 삿갓 용담 문장이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 Molecular Structures, Pharmacological Activities, Natural Sources and Applications: Vol. 5: Isolated Compounds T—Z, References, TCM Plants and Congen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02-21
[2]
서적
The Chinese Medicinal Herb Farm: A Cultivator's Guide to Small-scale Organic Herb Production
https://books.google[...]
Chelsea Green Publishing
2011
[3]
학술지
Gentiana scabra Restrains Hepatic Pro-Inflammatory Macrophages to Ameliorat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2022
[4]
서적
ワイド図鑑 里山・山地の身近な山野草
主婦の友社
2010-10-10
[5]
학술지
Morphological and cytological observation of corolla green spots reveal the presence of functional chloroplasts in Japanese gentian
2020
[6]
웹사이트
リュウタン(竜胆)
http://www.tokyo-sho[...]
東京生薬協会
[7]
학술지
リンドウ科植物を基源とする生薬の研究-1-ゲンチアナ,リュウタン中の苦味成分Gentiopicrosideの定量
https://search.jamas[...]
日本薬学会
1976-03
[8]
학위논문
リンドウ科植物を基源とする生薬の苦味成分の定量と確認の研究
https://hdl.handle.n[...]
大阪大学
1976
[9]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10]
서적
야생화도감[가을편]
푸른행복
2009
[11]
서적
사계절 우리 야생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