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메 사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메 사미어는 사미어의 일종으로, 스웨덴 북부에 사용되는 언어이다. 서부와 동부 방언으로 나뉘며, 서부 방언은 남부 사미어와, 동부 방언은 피테 사미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우메 사미어는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8개의 격과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1632년 사립 기독교 학교에서 사미 아이들을 위해 우메 사미어를 사용하면서 기록되었으며, 1755년 신약 성경, 1811년 사미어 성경이 출판되었다. 2016년에 공식적인 정자법이 발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언어 - 크벤어
크벤어는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핀란드어 계열의 언어로, 동화 정책으로 인해 사용이 위축되었으나, 2007년 표준 문자 제정 계획이 있었지만 젊은 세대의 화자 부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노르웨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스웨덴의 언어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스웨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사미어파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사미어파 - 룰레 사미어
룰레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와 노르웨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약 650명의 화자를 가진 사미어의 한 방언으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으며, 1983년 표준화되었고, 7개의 격과 특이한 동사 활용 체계를 갖는 우랄어족 언어이다.
우메 사미어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우메 사미어 |
로마자 표기 | ubmejesámiengiälla |
다른 이름 | 우메사미스크 (노르웨이어) 우메사미스카 (스웨덴어) |
사용 지역 | 스웨덴, 노르웨이 |
사용자 수 | 100명 (2000년) |
언어학적 정보 | |
어족 | 우랄어족 |
어파 | 사미어파 |
하위 어파 | 서부 사미어파 |
고유어 코드 (ISO 639-3) | sju |
글롯로그 코드 | umes1235 |
글롯로그 명칭 | Ume Saami |
문자 | 라틴 문자 |
언어 상태 | |
언어 활력도 | 심각한 위기 언어 |
2. 방언
우메 사미어에는 방언 간 차이가 존재한다. 크게 서부(북서쪽) 방언과 동부(남동쪽) 방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서부 방언은 남부 사미어와, 동부 방언은 피테 사미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4] 서부 방언에는 마스카우레(Maskaure), 터르나뷔(Tärnaby), 울리스야우레(Ullisjaure) 등이 있고, 동부 방언에는 말레(Malå), 말메스야우레(Malmesjaure), 마우스야우레(Mausjaure) 등이 있다.[4]
가장 잘 알려진 우메 사미어 방언은 말레(Malå) 근처 세트셀레(Setsele) 출신 라르스 슐손(Lars Sjulsson, 1871년생)의 방언으로, W. 슐락터(Schlachter)가 1958년 사전 및 후속 연구에서 기록했다.[3]
2. 1. 방언 간 차이점 (표)
특징 | 서부 우메 사미어 | 동부 우메 사미어 | 참고 |
---|---|---|---|
원래 *ðː | |||
단수 목적격 어미 | -p | -w | 원시 사미어 *-m에서 유래 |
독수리라는 단어 | (h)àrʰčə | àrtnəs |
f, ʋsme와 θsme는 각각 /v/sme와 /ð/sme의 동소음이다.[1] /h/sme 음이 파열음이나 마찰음+파열음 앞에 올 경우, 유기음으로 발음된다.[1] /l/sme 음이 /j/sme 음 앞에 올 경우, 구개수측음 [ʎ]sme로 발음된다.[1] 서부 방언의 경우 /ð/sme 음소가 없는 경우도 있다.[1]
3. 음운
colspan="2" | 순음 치음/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sme nsme ɲsme ŋsme 파열음 psme tsme ksme 마찰음+파열음 t͡ssme t͡ʃsme 마찰음 무성음 vsme ssme ʃsme hsme 유성음 ðsme 전동음 rsme 유사음 lsme jsme
4개의 이중모음이 있으며, 중설 중모음이 존재할 수 있다.[5]
3. 1. 자음
f, ʋsme와 θsme는 각각 /v/sme와 /ð/sme의 동소음이다.[1] /h/sme 음이 파열음이나 마찰음+파열음 앞에 올 경우, 유기음으로 발음된다.[1] /l/sme 음이 /j/sme 음 앞에 올 경우, 구개수측음 [ʎ]sme로 발음된다.[1] 서부 방언의 경우 /ð/sme 음소가 없는 경우도 있다.[1]
colspan="2" | | 순음 | 치음/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sme | nsme | ɲsme | ŋsme | ||
파열음 | psme | tsme | ksme | |||
마찰음+파열음 | t͡ssme | t͡ʃsme | ||||
마찰음 | 무성음 | vsme | ssme | ʃsme | hsme | |
유성음 | ðsme | |||||
전동음 | rsme | |||||
유사음 | lsme | jsme |
3. 2. 모음
4개의 이중모음 , , , 이 포함된다. 흔히 여러 모음음소의 이음으로 나타나는 중설 중모음 이 존재할 수 있다.[5]4. 문자 체계
2010년까지 우메 사미어는 공식적인 표준 문자가 없었지만, 사미어 중에서는 가장 먼저 광범위하게 기록된 언어였다. 1632년 리크셀레(Lycksele)에 사립 기독교 학교가 사미 아이들을 위해 설립되었고, 그곳에서 우메 사미어가 사용되었기 때문이다.[1] 1755년 우메 사미어로 된 신약 성경이 출판되었고, 1811년에는 사미어로 된 최초의 성경 역시 우메 사미어로 출판되었다.[1]
현재 공식적인 정자법은 우메 사미어 작업반에서 관리하며, 가장 최근 권고안은 2016년에 발표되었다.
4. 1. 문자 및 음소 (표)
문자 | 음소 |
---|---|
A a | |
Á á | |
B b | |
D d | |
Đ đ | |
E e | , |
F f | |
G g | |
H h | |
I i | |
Ï ï | |
J j | |
K k | , |
L l | |
M m | |
N n | |
Ŋ ŋ | |
O o | (이중모음에서만) |
P p | , |
R r | |
S s | |
T t | , |
Ŧ ŧ | |
U u | , |
Ü ü | , |
V v | |
Y y | |
Å å | , |
Ä ä | |
Ö ö | (이중모음에서만) |
몇몇 문자의 모음 길이는 모호하며, 긴 자음과 매우 긴 자음을 구분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5. 문법
우메 사미어는 남부 사미어와 달리 자음 변화를 가지고 있지만, 북부 사미어보다는 제한적이다. 짧은 모음 뒤에 수량 1로 변화할 수 있는 자음(원시 사미어의 단일 자음 또는 겹자음)이 오는 경우에는 자음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수량 3만 나타난다. 자음군은 앞선 모음에 관계없이 자음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우메 사미어에는 8개의 문법적 격이 있다.[6]
- 주격 (Nominative)
- 목적격 (Accusative)
- 소유격 (Genitive)
- 향주격 (Illative)
- 인주격 (Inessive)
- 처소격 (Elative)
- 동반격 (Comitative)
- 동태격 (Essive)
우메 사미어 동사는 1인칭, 2인칭, 3인칭의 세 가지 인칭과 단수, 이중수, 복수의 세 가지 수를 갖는다. 직설법과 명령법의 두 가지 법이 있다.[1] 핀란드어, 다른 사미어, 에스토니아어와 마찬가지로 부정 동사가 있으며, 법(직설법과 명령법),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및 수(단수, 이중수, 복수)에 따라 활용된다.[1]
5. 1. 자음 교체
남부 사미어와 달리, 우메 사미어는 자음 변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자음 변화는 북쪽 사미어들보다 제한적이다. 짧은 모음 뒤에 수량 1로 변화할 수 있는 자음(즉, 원시 사미어의 단일 자음 또는 겹자음)이 오는 경우에는 자음 변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량 3만 나타난다. 자음군은 앞선 모음에 관계없이 자음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5. 2. 격
우메 사미어에는 8개의 문법적 격이 있다.[6]- 주격 (Nominative)
- 목적격 (Accusative)
- 소유격 (Genitive)
- 향주격 (Illative)
- 인주격 (Inessive)
- 처소격 (Elative)
- 동반격 (Comitative)
- 동태격 (Essive)
5. 3. 동사
우메 사미어 동사는 1인칭, 2인칭, 3인칭의 세 가지 인칭과 단수, 이중수, 복수의 세 가지 수를 갖는다. 직설법과 명령법의 두 가지 법이 있다.[1]5. 3. 1. 부정 동사
핀란드어, 다른 사미어, 에스토니아어와 마찬가지로 부정 동사가 있으며, 법(직설법과 명령법),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및 수(단수, 이중수, 복수)에 따라 활용된다.[1]6. 예시
순록 목양견은 목줄을 하고 훈련을 시작해야 한다. 그런 다음 순록 떼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그리고 다른 순록들이 먹는 동안 쉬는 곳까지도 뛰어다녀야 한다. 훈련받는 개를 목줄에 매달고 순록 떼 주위를 뛰어다니면서 사람들이 어떻게 하는지 개가 보도록 해야 한다. 훈련된 개는 순록 떼 주위를 뛰어다니며 어떤 순록도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완전히 훈련되지 않은 개들 중에는 순록 한 마리를 골라 쫓아내는(즉, 죽이는) 개들이 종종 있다. 그럴 경우에는 그 개에게 목줄을 채우고 때려야 한다.
참조
[1]
서적
The Saami: a cultural encyclopaedia
https://books.google[...]
[2]
서적
The Saami languages: an introduction
[3]
서적
Wörterbuch des Waldlappendialekts von Malå und Texte zur Ethnographie
Suomalais-Ugrilainen Seura
[4]
서적
Congressus XI Internationalis Fenno-Ugristarum. Piliscsaba 2010. Pars I. Orationes plenares
[5]
서적
Huvuddrag i umesamisk grammatik
https://ovttas.no/nb[...]
University of Oslo
[6]
서적
Kurs i umesamiska
2010-02-07
[7]
웹사이트
Ume Sami at Ethnologue
http://www.ethnologu[...]
2015
[8]
서적
The Saami: a cultural encyclopaedia
[9]
서적
The Saami languages: an introduc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