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범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범선은 무인 가문 출신으로, 1876년 무과에 급제한 후 별기군에 참여하며 일본을 배후로 둔 개화 세력과 가까워졌다. 갑오개혁에 참여하고 훈련대 대대장을 지냈으며,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에 가담했다. 1896년 고종의 체포령을 피해 일본으로 망명하여 결혼했으나, 1903년 암살당했다. 그의 아들인 우장춘은 저명한 육종학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암살된 사람 - 현익철
현익철은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여러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한국의 암살된 사람 - 현준혁
일제강점기 공산주의 운동가였던 현준혁은 해방 후 조선공산당 평안남도지구위원회 책임비서를 지냈으나, 민족주의자와의 연합을 주장하다 1945년 평양에서 암살당했다. - 무기에 죽은 사람 - 오리온
오리온은 그리스 신화 속의 사냥꾼으로, 뛰어난 사냥 실력, 연인들과의 갈등, 비극적인 죽음, 그리고 별자리로의 변신을 묘사하며, 다양한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다. - 무기에 죽은 사람 - 시아그리우스
시아그리우스는 서로마 제국 말기 갈리아 지역의 지배자로 아버지 아에기디우스의 뒤를 이어 수아송 왕국을 건설했으나 프랑크 왕 클로비스 1세에게 패배하여 암살당했다. - 조선의 불교 신자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조선의 불교 신자 - 김옥균
김옥균은 1851년 충청도 공주에서 태어나 갑신정변을 일으킨 조선의 개화 운동가이며, 일본 망명 후 상하이에서 암살당했고, 사후 복권되어 규장각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우범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우범선 |
한글 표기 | 우범선 |
한자 표기 | 禹範善 |
일본어 표기 (히라가나) | う はんぜん |
일본어 표기 (가타카나) | ウ・ボムソン |
로마자 표기 | Woo Beomseon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857년 5월 24일 |
출생지 | 조선 충청도 단양 |
사망일 | 1903년 11월 24일 |
사망지 |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 |
종교 | 유교(성리학) → 불교 |
배우자 | 사카이 나카(酒井ナカ) |
자녀 | 슬하 2남 장남 우장춘(원예육종학자) 차남 우홍춘(한국계 일본인) |
군사 경력 | |
복무 | 조선 관군 |
복무 기간 | 1876년 ~ 1895년 |
최종 계급 | 조선 육군 참령 |
지휘 | 조선 관군 제2대대장 |
2. 생애
무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7살 때부터 한학을 배웠고, 1876년 과거 무과 시험에 급제한 뒤 황해도 지역에 배치 받아 근무하다가, 1881년 별기군이 창설되었을 때 여기에 참가하였다.[5] 우범선은 일본의 사주로 창설된 신식 군대인 별기군에 참여하면서부터 일본을 배후로 둔 개화 세력과 가깝게 지냈으며 이로 인해 명성황후의 민씨 척족들과는 대립하여 유배당하기도 했다.
1894년 일본군이 민씨 세력을 실각시킨 뒤 개화파가 집권하자 군국기무처에서 갑오경장에 참여했으며, 1895년 일본의 주도로 훈련대가 창설되었을 때 이두황, 이주회 등 친일파 군인들과 함께 대대장을 맡았다.
이 무렵 명성황후의 반일, 친러 노선으로 러시아 세력의 득세가 예상되었고, 이에 반발한 일본 공사인 미우라 고로는 훈련대의 간부들과 함께 명성황후 시해 계획을 세웠다. 우범선은 훈련대 군인 동원의 책임자였으며 명성황후의 소각된 시신을 마지막으로 처리하는 과정에도 가담했다. 1896년 2월 11일 고종이 왕명으로 우범선, 유길준, 조희연, 장박, 권영진(權濚鎭), 이두황, 이범래(李範來), 이진호 등에 대한 체포령을 내렸다. 2월 15일 고종은 우범선 등에 대한 참수명령을 내렸다. 이때 그는 체포를 피해 은신한 상태였다.[5]
그러나 이듬해 아관파천으로 인해 친일 김홍집 내각이 몰락한 이후, 그는 일본으로 피신했다. 원래 진작에 나이가 차도록 미혼 독신이던 그는 도쿄에서 망명 생활을 하다가 일본 여자 사카이 나카(酒井ナカ)를 만나 결혼하였다. 당시 미우라가 우범선에 대해 “사람은 좋지만 언제 피살당할지 모르는 사람”이라고 평하였음에도 청혼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결혼 후 1903년 구레로 이사한 뒤 집들이를 하던 날 다른 사건으로 망명해 있던 고영근에게 위장 접대를 받고 결국 암살되었다. 그의 향년이 47세였다.[5]
대한민국 농학 발전의 기초를 닦은 유명한 육종학자인 우장춘은 우범선이 도쿄에서 사카이 나카와 결혼하여 낳은 아들로서, 우범선과 사카이 나카가 결혼할 때 일본 승려인 회운사 주지승 아라이가 우범선이 피살되면 아들 가운데 한 사람을 키워주기로 했던 약속대로 키워주게 된다.[5]
2. 1. 초기 활동
무인 가문 출신으로 7살 때부터 한학을 배웠고, 1876년 과거 무과 시험에 급제했다.[5] 황해도 지역에 배치 받아 근무하다가 1881년 일본의 지원으로 창설된 별기군에 참여했다.[5] 별기군 참여를 계기로 일본을 배후로 둔 개화 세력과 가까워졌으며, 명성황후의 민씨 척족들과는 대립했다.[5] 1894년 일본군이 민씨 세력을 실각시킨 뒤 개화파가 집권하자 군국기무처에서 갑오경장에 참여했다.[5]2. 2. 갑오개혁과 훈련대
1894년 일본군이 민씨 세력을 실각시킨 뒤 개화파가 집권하자 군국기무처에서 갑오경장에 참여했다.[5] 1895년 일본의 주도로 훈련대가 창설되었을 때 이두황, 이주회 등 친일파 군인들과 함께 대대장을 맡았다.[5] 이 무렵 명성황후의 반일, 친러 노선으로 러시아 세력의 득세가 예상되었고, 이에 반발한 일본 공사인 미우라 고로는 훈련대의 간부들과 함께 명성황후 시해 계획을 세웠다. 우범선은 훈련대 군인 동원의 책임자였으며 명성황후의 소각된 시신을 마지막으로 처리하는 과정에도 가담했다.[5][1]2. 3. 명성황후 시해 가담
1895년 명성황후의 친러 정책으로 러시아 세력 확대가 예상되자 미우라 고로 등과 함께 명성황후 시해를 계획했다.[1]훈련대 군인 동원의 책임자였으며, 명성황후의 소각된 시신을 마지막으로 처리하는 과정에도 가담했다.[1] 순종은 우범선이 을미사변 당시 국모의 원수라고 증언했으며,[1] 우범선 자신도 명성황후 살해를 인정했다.[1] 이 무렵 명성황후의 반일, 친러 노선으로 인해 러시아 세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자, 미우라 고로는 훈련대의 간부들과 함께 명성황후 시해 계획을 세웠다. 우범선은 훈련대 군인 동원의 책임자였으며, 불태워진 명성황후 시신의 마지막 처리에도 관여했다. 살해 현장에 있던 명성황후의 아들인 왕세자 이척(후의 순종)은, 우범선이 "을미사변 때, 지금 내가 목격한 국모의 원수"라고 증언했다.[1]2. 4. 일본 망명과 암살
1896년 아관파천으로 친일 김홍집 내각이 몰락한 후 일본으로 망명했다.[5] 고종은 우범선에게 참수 명령을 내렸지만,[5] 그는 일본으로 도피하여 체포되지 않았다. 도쿄에서 일본 여자 사카이 나카(酒井ナカ)와 결혼하였다.[5] 당시 미우라 고로는 우범선에 대해 “사람은 좋지만 언제 피살당할지 모르는 사람”이라고 평했지만, 사카이 나카는 청혼을 받아들였다고 한다.[5] 1898년에는 훗날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라고 불리게 될 장남 우장춘이 도쿄 아카사카에서 탄생했다. 1903년 구레로 이사한 뒤 집들이를 하던 중 고영근, 노윤명 등에게 암살당했다.[5] 그의 유골은 히로시마현 구레시의 신응원과 도치기현 사노시의 묘현사에 분골되었다.[3][4]3. 가족 관계
4. 평가
5. 기타
참조
[1]
문서
1907年8月31日付・往電第31号
[2]
문서
在本邦韓国亡命者禹範善同国人高永根魯允明等ニ於テ殺害一件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
서적
1991
[4]
뉴스
忘れ得ぬ人々:日韓併合100年:農業の偉人 父は国賊
2010-02-12
[5]
서적
실록 친일파
돌베개
1991-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