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스만 셈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스만 셈벤은 세네갈의 작가이자 영화 감독으로, 아프리카 영화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어부의 아들로 태어나 세레르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프랑스에서 노동 운동에 참여하며 프랑스어와 문학을 익혔다. 셈벤은 소설과 영화를 통해 식민주의, 종교, 부르주아 계급, 여성 할례 등 아프리카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다루었으며, 대표작으로는 소설 《신의 나무 조각들》, 영화 《흑인 소녀》, 《만다비》, 《물라데》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아프리카의 현실과 목소리를 담아내며,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 셈벤은 2007년 사망했으며, 그의 작품은 아프리카 문학과 영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사람 - 블레즈 디아뉴
블레즈 디아뉴는 세네갈 출신으로 프랑스 하원에 진출한 최초의 서아프리카 정치인이자, 프랑스군 징병을 주선하고 세네갈 4대 코뮌 주민의 프랑스 시민권을 보장하는 '블레즈 디아뉴법' 제정에 기여했으며, 프랑스 식민지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활약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사람 - 수루 미강 아피티
수루 미강 아피티는 베냉의 정치인으로, 다호메이의 총리와 대통령 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프랑스 유학 후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다호메이 공화당을 창당하고 쿠데타로 실각한 인물이다. - 1920년대 출생 - 페이스 도머그
페이스 도머그는 1941년 데뷔하여 하워드 휴즈의 후원을 받았고, 1950년대에는 SF, 괴수, 공포 영화에 출연하며 초기 스크림 퀸으로 알려진 미국의 배우이다. - 1920년대 출생 - 리 그랜트
리 그랜트는 미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으로, 《형사 이야기》로 데뷔해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샴푸》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미국에서의 몰락》으로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으나, 할리우드 블랙리스트에 오르기도 했다. - 영화 선구자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영화 선구자 - 토머스 에디슨
토머스 에디슨은 1,093개 이상의 미국 특허를 보유한 미국의 발명가이자 사업가로, 축음기, 백열전구, 영화 촬영 및 상영 장치 등 수많은 발명품을 개발하고 멘로파크 연구소를 설립하여 현대 산업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했지만, 전류 전쟁과 표절 논란 등도 함께 평가받는 인물이다.
우스만 셈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23년 1월 1일 |
출생지 | 지갱쇼르, 카자망스,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사망일 | 2007년 6월 9일 |
사망지 | 다카르, 세네갈 |
국적 | 세네갈 |
직업 | 영화 감독, 제작자, 각본가, 배우, 작가 |
활동 기간 | 1956년–2003년 |
언어 | 월로프어, 프랑스어 |
배우자 | 알려진 정보 없음 |
자녀 | 알려진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영화 작품 | |
주요 작품 | 보롬 사레 (1963년) 검은 소녀 (1966년) 만다비 (1968년) 하라 (1974년) 모자들의 마을 (2004년) |
수상 | |
칸 영화제 | 주목할 만한 시선상 2004년 모자들의 마을 공로상 2005년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심사위원 특별상 1988년 Camp de Thiaroye 상원 의회 금메달 1992년 Guelwaar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알려진 정보 없음 |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외국어 영화상 2004년 모자들의 마을 |
기타 수상 | 장 비고상 1966년 검은 소녀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명예상 1979년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 구로사와 아키라상 1993년 BFI 펠로우십상 2005년 |
2. 생애
우스만 셈벤은 카사망스 지갱쇼르 출신의 어부 아들이자 레부족 가문 출신이다. 어린 시절 세레르교의 "투르 축제"에서 "숭배 봉사자"를 맡았으나, 종교적 의무보다 조상에게 바치는 공물을 마시는 것을 즐겼다.[4] 외할머니 슬하에서 성장하며 큰 영향을 받았고, 그의 작품에서 여성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4]
월로프어 외에 프랑스어와 아랍어를 배웠으나, 마드라사와 프랑스 학교를 다니다 1936년 교장과의 갈등으로 퇴학당했다. 1938년까지 아버지와 어업에 종사했으나, 배멀미로 인해 다카르로 이주하여 여러 육체 노동을 했다.[5]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세네갈 티레일러(프랑스군의 군단)에 징집되어 자유 프랑스군에서 복무했다.[6] 1947년 귀국 후 다카르-니제르 철도 파업에 참여했는데, 이는 훗날 소설 ''신의 조각들''(1960)의 모티브가 된다.
1947년 말 프랑스로 밀항하여 시트로엥 공장과 마르세유 부두에서 일하며 노동운동에 가담했다. 노동총동맹과 프랑스 공산당에 가입,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반대 파업을 주도했다.[5] 이 시기 클로드 맥케이와 자크 루맹의 작품을 접했다.
1956년 자전적 소설 『흑인 부두 노동자』를 발표, 아프리카인 노동자의 현실을 알렸다. 1962년부터 1963년까지 고리키 영화 스튜디오에서 영화 제작을 배우고, 1963년 첫 단편 ''바롬 사레''를 만들었다. 1966년 첫 장편 ''라 누아르 드...''로 장 비고 상을 수상하며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2] 1968년 월로프어 영화 ''만다비''를 통해 아프리카 영화의 새 지평을 열었다.
이후 ''살라''(1975), ''세도''(1977), ''티아로예 수용소''(1987), ''겔루와르''(1992) 등 월로프어 영화를 통해 식민주의 역사, 종교의 실패, 아프리카 사회 부패, 여성의 강인함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특히 ''세도''는 이슬람 비판적 내용으로 세네갈에서 검열되기도 했다.[10][11][12] 1971년 프랑스어와 디오라어로 제작된 ''에미타이''는 제7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은상을 수상했으나, 프랑스 서아프리카 전역에서 상영 금지되었다.[10][13][14]
2004년 마지막 영화 ''물라데''는 여성 할례라는 민감한 주제를 다루며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했다.
1973년 소설 ''할라''와 1981년 소설 ''Le Dernier de l’empire''에서 독립 이후 아프리카 사회의 부패와 권력 문제를 비판했다. 1987년 단편 ''니이와므와 타우''는 세네갈 도시의 사회적, 도덕적 붕괴를 그렸다.
셈벤은 2007년 다카르에서 사망했으며, 아프리카 영화와 탈식민주의 문학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로 평가받는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카사망스 지갱쇼르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난 우스만 셈벤은 레부족 가문 출신이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어머니의 종족을 통해 세레르교에 노출되었으며, 특히 "투르 축제"에서 "숭배 봉사자"가 되었다. '투르'는 조상령(팡골)에게 응유를 바치는 것을 요구했지만, 셈벤은 숭배 봉사자로서의 책임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고 조상에게 바치는 공물을 마시는 것으로 알려졌다.[4] 그는 외할머니의 손에서 자랐으며, 외할머니는 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4]셈벤은 모국어인 월로프어 외에 프랑스어와 기본적인 아랍어 지식을 갖추게 되었는데, 이는 많은 무슬림 소년들처럼 마드라사에 다녔고 1936년까지 프랑스 학교에 다닌 결과였다. 그는 교장과 충돌하여 퇴학당했다. 1938년까지 아버지와 함께 일했지만, 멀미를 잘했다. 15세에 다카르로 이주하여 다양한 육체 노동 직업을 가졌다.[5]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과 프랑스 이주
1923년 세네갈이 프랑스 식민지였던 시절, 지간쇼르의 월로프족 가정에서 태어났다. 학교에서 프랑스어와 아랍어를 배웠지만, 1936년 퇴학당했다. 19세에 프랑스군 저격병으로 소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948년 25세 때 프랑스로 건너가 마르세유에서 일하며 독학으로 프랑스어를 익혔고, 로제 마르탱 뒤 가르 등의 소설을 읽었다.2. 3. 문학 및 영화 활동
우스만 셈벤은 스스로 프랑스어를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 그는 자신의 데뷔 소설인 프랑스어로 쓰인 ''검은 부두 노동자''(1956, 나중에 영어로 ''The Black Docker''로 출판됨)에서 자신의 삶의 많은 경험을 활용했다.[2] 이 소설은 마르세유 부두에서 인종차별과 학대에 직면한 아프리카 부두 노동자 디아우의 이야기였다. 디아우는 소설을 쓰고, 나중에 백인 여성에게 도난당해 그녀의 이름으로 출판된다. 그가 그녀에게 맞서자, 그는 실수로 그녀를 죽인다. 그는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1942, ''The Outsider''로도 번역됨)의 장면을 연상시키는 재판을 받고 처형된다.셈벤은 특히 아프리카 이민자들의 학대에 초점을 맞추지만, 아랍인과 스페인 노동자들의 억압에 대해서도 자세히 묘사한다. 그는 이 문제가 인종차별만큼이나 인종 문제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그의 이후 소설의 많은 부분과 마찬가지로 사회 현실주의 방식으로 쓰여졌다. 그의 데뷔작은 셈벤의 문학적 명성의 시작을 알렸다. 이 소설의 성공은 그가 글을 계속 쓸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재정적 수익을 제공했다.
셈벤의 두 번째 소설인 ''오 페이, 몽 보 푀플!''(1957, "오 나라, 나의 아름다운 사람들!")은 오마르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는 야심 찬 흑인 세네갈 농부로, 새로운 백인 아내와 함께 고향인 카사망스로 돌아와 이 지역의 농업 관행을 현대화하려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 오마르는 프랑스 식민 정부와 마을의 사회 질서 모두와 싸우고, 결국 살해당한다. ''오 페이, 몽 보 푀플!''은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셈벤은 특히 중국, 쿠바, 소련과 같은 공산주의 국가에서 전 세계의 초청을 받았다.
셈벤의 세 번째이자 가장 유명한 소설은 ''레 부 드 부아 드 디유''(1960, ''신의 나무 조각들'')이다.[2] 대부분의 비평가들은 이 작품을 그의 걸작으로 여기며, ''잘라''만이 유일한 경쟁작이다. 이 소설은 1947년부터 1948년까지 지속된 다카르-니제르 철도 파업을 허구적으로 다룬 것이다. 카리스마 있고 훌륭한 노동조합 대변인 이브라히마 바카요코가 가장 중심적인 인물이지만, 이 소설에는 공동체 자체를 제외하고 진정한 영웅은 없다. 사람들은 고난과 억압에 맞서 그들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함께 뭉친다. 따라서 이 소설에는 세네갈과 이웃 말리의 약 50명의 등장인물이 등장하며, 모든 가능한 각도에서 파업을 보여준다. 이 점에서 이 소설은 종종 에밀 졸라의 ''제르미날''과 비교된다.
셈벤은 ''레 부 드 부아 드 디유''에 이어 단편 소설 모음집인 ''볼타이크''(1962, "부족의 흉터")를 출판했다. 이 컬렉션에는 "''라 노르 드...''"을 포함한 단편, 이야기, 우화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는 나중에 이 작품을 그의 첫 번째 영화로 각색할 것이다. 1964년, 그는 아프리카 수도에서 일어나는 독립 국민투표에 관한 서사 소설인 ''l'Harmattan''(''하르마탄'')을 발표했다.
1962년부터 1963년까지 셈벤은 소련의 감독 마르크 돈스코이 아래 모스크바의 고리키 영화 스튜디오에서 1년 동안 영화 제작을 공부했다. 그곳에서 공부한 또 다른 학생은 아프리카에서 장편 영화를 만든 최초의 여성이 된 프랑스-과들루프 출신의 예술가 사라 말도로르였다.[7] 1965년 단편 소설 ''송금 전표, Vehi-Ciosane에 앞서''(''송금 전표와 백색 기원'')를 출간하면서 셈벤의 초점은 바뀌기 시작했다. 한때 프랑스 식민 정부가 자행했던 인종 차별과 경제적 억압을 비판했던 것처럼, 그는 이 작품들을 통해 독립 이후 부패한 아프리카 엘리트들에게 관심을 돌렸다.
그는 1968년 카이로에서 시작되어 이집트와 소련의 자금 지원을 받은 잡지 ''로터스''의 기고가 중 한 명이었다.[8]
셈벤은 부유한 사업가 엘 하지 압두 카데르 베예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 ''할라''(1973)로 이 주제를 이어갔다. 엘 하지는 아름답고 젊은 세 번째 아내와 결혼하는 바로 그날 밤에 발기 부전("할라"는 월로프어로)을 겪고, 그것이 저주로 인해 발생했다고 믿는다. 엘 하지는 마라부를 방문하여 저주를 풀기 위해 집착한다. 그는 자신의 재산을 얻는 과정에서 잘못을 저질렀던 사무실 밖에 사는 거지에게 저주를 받았다는 사실을, 대부분의 돈과 평판을 잃은 후에야 깨닫게 된다.
셈벤의 마지막 소설인 ''Le Dernier de l’empire''(1981)은 새롭게 독립한 아프리카 국가의 부패와 결국 일어나는 군사 쿠데타를 묘사한다. 그의 1987년 연작 단편 소설 ''니이와므와 타우''(''Niiwam et Taaw'')는 도시 세네갈의 사회적, 도덕적 붕괴를 계속 탐구한다.
''신의 나무 조각들''과 ''할라''를 바탕으로 셈벤은 아프리카 탈식민주의 문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삼바 가지고는 그의 영향력이 아프리카를 넘어 독자들에게 미쳤다고 언급하며, "셈벤의 출판된 문학 작품 10편 중 7편이 영어로 번역되었다"고 말했다.[9] 반면에 나이지리아의 선구적인 작가인 치누아 아체베와 워레 소잉카는 영어로 작품을 써서 나이지리아 밖에서도 인정을 받기 쉬웠다. 사회 변화에 관심을 가진 작가로서 셈벤은 폭넓은 관객에게 다가가고 싶어했다. 그는 자신의 저작물이 문화 엘리트층에게만 도달할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지만, 영화는 "국민 야간학교"[2]이며 훨씬 더 광범위한 아프리카 관객에게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1963년, 셈벤은 첫 번째 영화인 단편 영화 ''바롬 사레''(마부)를 제작했다. 1964년에는 ''니아예''라는 또 다른 단편 영화를 만들었다. 1966년에는 자신의 단편 소설을 바탕으로 첫 장편 영화인 ''라 누아르 드...''를 제작했는데, 이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감독이 제작한 최초의 장편 영화였다. 60분 밖에 안 되는 프랑스어 영화였지만, 장 비고 상을 수상하며[2] 아프리카 영화 전반과 셈벤 개인에게 즉각적인 국제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셈벤은 1968년 ''만다비''를 통해 이 성공을 이어가면서, 자신의 모국어인 월로프어로 영화를 제작하겠다는 꿈을 이루었다.[2]
그의 후기 월로프어 영화로는 ''살라''(1975, 자신의 소설을 바탕으로 함), ''세도''(1977), ''티아로예 수용소''(1987), ''겔루와르''(1992)가 있다. 세네갈에서 개봉된 ''세도''는 셈벤의 서류 문제로 인해 강력하게 검열되었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이러한 검열이 영화 속에서 이슬람 비판적인 내용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정부의 해석과 더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10][11][12] 셈벤은 검열된 장면을 설명하는 전단지를 극장에 배포하고, 국제 시장을 위해 영화를 무삭제로 개봉함으로써 이러한 조치에 저항했다.
1971년, 셈벤은 또한 프랑스어와 디오라어로 영화 ''에미타이''를 제작했다. 이 영화는 제7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 출품되어 은상을 수상했다. 프랑스 서아프리카 전역의 정부에 의해 상영 금지되었다.[10][13][14] 그의 1975년 영화 ''살라''는 제9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 출품되었다.[15]
1977년 그의 영화 ''세도''는 제10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 출품되었다.[16] 같은 해 셈벤은 제2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심사위원으로 초청받았다.[17] 1979년 제11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그는 영화에 대한 공헌으로 명예상을 수상했다.[18]
셈벤 영화의 반복적인 주제는 식민주의 역사, 종교의 실패, 새로운 아프리카 부르주아 계급 비판, 그리고 아프리카 여성의 강인함이다.
그의 마지막 영화인 2004년 장편 ''물라데''는 2004년 칸 영화제[19]와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에서 열린 FESPACO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 부르키나파소의 작은 아프리카 마을을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여성 할례라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를 탐구했다.
셈벤은 종종 자신의 영화에 카메오 출연을 한다. 예를 들어, ''만다비''에서 그는 우체국의 편지 쓰는 사람 역할을 한다.[20]
2. 4. 말년
셈벤은 1973년 소설 ''할라''에서 부유한 사업가 엘 하지 압두 카데르 베예의 이야기를 통해 아프리카 사회의 부패 문제를 다루었다. 엘 하지는 세 번째 아내와 결혼하는 날 밤 발기 부전("할라")을 겪고 저주 때문이라고 믿는다. 그는 저주를 풀기 위해 마라부를 찾아다니지만, 결국 대부분의 재산과 평판을 잃고 나서야 자신이 저지른 잘못 때문에 거지에게 저주를 받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9]셈벤의 마지막 소설인 ''Le Dernier de l’empire''(1981)은 새롭게 독립한 아프리카 국가의 부패와 군사 쿠데타를 묘사한다. 1987년 연작 단편 소설 ''니이와므와 타우''(''Niiwam et Taaw'')에서는 도시 세네갈의 사회적, 도덕적 붕괴를 계속 탐구했다.[9]
''신의 나무 조각들''과 ''할라''를 통해 셈벤은 아프리카 탈식민주의 문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삼바 가지고는 그의 영향력이 아프리카를 넘어 독자들에게 미쳤다고 언급하며, "셈벤의 출판된 문학 작품 10편 중 7편이 영어로 번역되었다"고 말했다.[9]
우스만 셈벤은 2007년 6월 9일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006년 12월부터 병을 앓았으며, 세네갈 다카르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고, 꾸란 구절로 장식된 수의에 묻혔다.[21] 그는 두 번의 결혼을 통해 세 아들을 두었다.[22]
범아프리카 영화 제작자 연맹(FEPACI)의 사무총장인 세이파티 불라네 호파는 셈벤을 "평범한 사람들이 빛의 길을 걷도록 횃불을 밝힌 빛나는 사람... 주저 없이 말하는 목소리, 흔들림 없이 그의 예술적 원칙을 굳건히 지킨 흠 잡을 데 없는 재능을 가진 사람이자 위대한 숭고함과 존엄성을 지닌 사람"이라고 묘사했다.[23]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팔로 조던 문화부 장관은 셈벤을 "원숙한 지식인이자 뛰어난 문화적 인본주의자... 아프리카에 대한 대안적 지식을 세계에 제공한 박식한 사회 비평가"라고 칭송했다.[23]
3. 작품 세계
우스만 셈벤은 소설과 영화를 통해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아프리카 사회와 문화,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보여주었다. 그의 작품은 사회 현실주의 방식으로 쓰였으며,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사회 변화와 근대화, 억압에 대한 저항, 여성의 강인함, 종교적 갈등, 아프리카 엘리트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셈벤은 자신의 데뷔 소설인 ''Le Docker noir프랑스어''(1956, 검은 부두 노동자)에서 마르세유 부두에서 인종차별과 학대에 직면한 아프리카 부두 노동자 디아우의 이야기를 다루었다.[2] 이 소설은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연상시키는 재판 장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셈벤의 문학적 명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두 번째 소설 ''O Pays, mon beau peuple!프랑스어''(1957, 오 나라, 나의 아름다운 사람들!)은 고향 카사망스로 돌아와 농업 관행을 현대화하려는 흑인 세네갈 농부 오마르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오마르는 프랑스 식민 정부와 마을의 사회 질서에 맞서 싸우다 결국 살해당한다. 이 소설은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셈벤은 여러 공산주의 국가로부터 초청을 받았다.
셈벤의 세 번째 소설 ''Les Bouts de bois de Dieu프랑스어''(1960, 신의 나무 조각들)은 1947년부터 1948년까지 지속된 다카르-니제르 철도 파업을 허구적으로 다룬 작품이다.[2] 이 소설은 카리스마 있는 노동조합 대변인 이브라히마 바카요코를 중심으로, 세네갈과 말리의 약 50명의 등장인물을 통해 파업을 다각도로 보여준다. 이 작품은 에밀 졸라의 ''제르미날''과 비교되기도 한다.
셈벤은 1962년부터 1963년까지 모스크바의 고리키 영화 스튜디오에서 영화 제작을 공부했으며, 1963년 첫 영화 ''바롬 사레''(마부)를 제작했다. 1966년에는 자신의 단편 소설을 바탕으로 첫 장편 영화 ''라 누아르 드...''를 제작했는데, 이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감독이 제작한 최초의 장편 영화였다.[2] 이 영화는 장 비고 상을 수상하며 아프리카 영화와 셈벤에게 국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2]
셈벤은 이후에도 ''만다비''(1968), ''에미타이''(1971), ''잘라''(1975), ''세도''(1977), ''티아로예 수용소''(1987), ''겔루와르''(1992), ''물라데''(2004) 등 다양한 영화를 제작하며, 식민주의 역사, 종교의 실패, 아프리카 부르주아 계급 비판, 아프리카 여성의 강인함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특히 ''물라데''는 여성 할례라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를 다루어 2004년 칸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19]
3. 1. 주요 주제
우스만 셈벤의 작품들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아프리카 사회와 문화,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들은 다음과 같은 주요 주제들로 요약될 수 있다.-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셈벤은 작품에서 프랑스 식민 지배의 잔혹함과 그로 인한 아프리카 사회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묘사한다. 특히, ''검은 부두 노동자''에서는 마르세유 부두 노동자들의 인종차별과 학대를 다루며, ''오 나라, 나의 아름다운 사람들!''에서는 프랑스 식민 정부에 맞서 싸우는 세네갈 농부의 이야기를 그린다. ''신의 나무 조각들''에서는 1947-48년 다카르-니제르 철도 파업을 통해 식민지 시대의 억압에 저항하는 아프리카인들의 모습을 보여준다.[2] 독립 이후에는 ''송금 전표, Vehi-Ciosane에 앞서'', ''할라'' 등을 통해 부패한 아프리카 엘리트들을 비판하며 탈식민주의 시대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 사회 변화와 근대화: 셈벤은 전통적인 아프리카 사회와 근대화 사이의 갈등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오 나라, 나의 아름다운 사람들!''에서는 농업 관행을 현대화하려는 주인공의 노력을 통해 전통과 근대화의 충돌을 보여준다.
- 억압에 대한 저항: 셈벤의 작품들은 다양한 형태의 억압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신의 나무 조각들''에서는 철도 노동자들의 파업을 통해, ''에미타이''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 징집에 저항하는 졸라족의 모습을 통해 억압에 대한 저항을 그린다.[2]
- 여성의 강인함: 셈벤은 작품에서 아프리카 여성들의 강인함과 주체성을 강조한다. ''물라데''에서는 여성 할례에 반대하는 여성들의 용기를 보여주며, ''파트 키네''에서는 미혼모의 성공적인 삶을 그려낸다.
- 종교적 갈등: 셈벤은 ''귈와르''에서 무슬림과 기독교도의 갈등을 통해 종교적 대립과 화해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체도''에서는 이슬람과 노예 무역으로 인한 전통 사회의 붕괴를 다룬다.
- 아프리카 엘리트 비판: 셈벤은 독립 이후 부패한 아프리카 엘리트들의 문제점을 비판한다. ''할라''에서는 부패한 사업가의 몰락을 통해, ''Le Dernier de l’empire''에서는 군사 쿠데타를 통해 아프리카 정치의 현실을 고발한다.
셈벤은 소설뿐만 아니라 영화를 통해서도 이러한 주제들을 다루었다. 그는 영화를 "국민 야간학교"[2]라고 부르며, 더 많은 아프리카 관객들에게 다가가고자 했다. 그의 영화 ''라 누아르 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감독이 제작한 최초의 장편 영화로, 장 비고 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2]
3. 2. 작품 목록
Le Docker Noir프랑스어 ''검은 부두 노동자'', 1956.O Pays, mon beau peuple!프랑스어 ''오, 조국, 나의 아름다운 민중이여!'', 1957. 한국어 번역본: ''세네갈의 아들'' 후지이 잇코 역, 신일본출판사, 단행본 1963년, 문고본 1975년.
Les Bouts de Bois de Dieu프랑스어 ''신의 나무토막'', 1960. 한국어 번역본: 신의 숲의 나무들 후지이 잇코 역, 신일본출판사, 1965년
Voltaïque프랑스어 ''Voltaïque'', 1962. (단편집)
Le mandat, précédé de Vehi-Ciosane프랑스어 ''위임, Vehi-Ciosane 선행'', 1966. 한국어 번역본: 사라진 우편환 카타오카 사치히코 역, 아오야마사, 1983년.
Xala프랑스어 ''잘라'', 1973. 잘라(불능자)
Le dernier de l'Empire프랑스어 ''제국의 마지막 남자'', 1981. 한국어 번역본: ''제국의 마지막 남자'' 카타오카 사치히코・시모다 후미코 역, 신평론, 1988년.
Niiwam suivi de Taaw프랑스어 ''니이왐 다음에 타우'', 1987. 한국어 번역본: ''니이왐'' 야마모토 레이코・야마모토 마야코 역, 사이마루출판회, 1990년. (원서에 인터뷰를 더함)
- Niiwam프랑스어 ''니이왐'' (1977)
- Taaw프랑스어 ''타우'' (1986)
- 셈벤의 세계 - 인터뷰 (역자)
- ''아프리카에서 일본으로의 메시지'' 오구리 코헤이 공저, 이와나미 쇼텐, 1989년.
- Borom Sarret프랑스어 ''보롬 사레'', (1963)
- ''니에''(1964)
- La Noire de…프랑스어 ''흑인 여자'',(1966)
- ''만다비''(1968)
- Taaw프랑스어 ''타우''(1970) (소설판 '타우'의 원형이 된 단편 영화)
- Emitaï프랑스어 ''에미타이''(1971)
- Xala프랑스어 ''할라''(1974)
- Ceddo (film)프랑스어 ''체도''(1977)
- ''티아로예 수용소''(1988)
- ''겔와르''(1992)
- ''파트 키네''(2000)
- ''어머니들의 마을''(Moolaadé) (2004) (제57회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그랑프리, 2004년 마라케시 국제 영화제 특별 심사위원상, 2005년 범아프리카 영화제 심사위원상)
4. 유산과 영향
우스만 셈벤은 2007년 6월 9일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006년 12월부터 병을 앓았으며, 세네갈 다카르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고, 꾸란 구절로 장식된 수의에 묻혔다.[21] 셈벤은 두 번의 결혼을 통해 세 아들을 두었다.[22]
세이파티 불라네 호파 범아프리카 영화 제작자 연맹(FEPACI) 사무총장은 셈벤을 "평범한 사람들이 빛의 길을 걷도록 횃불을 밝힌 빛나는 사람... 주저 없이 말하는 목소리, 흔들림 없이 그의 예술적 원칙을 굳건히 지킨 흠 잡을 데 없는 재능을 가진 사람이자 위대한 숭고함과 존엄성을 지닌 사람"이라고 묘사했다.[23]
팔로 조던 남아프리카 공화국 문화부 장관은 셈벤을 "원숙한 지식인이자 뛰어난 문화적 인본주의자... 아프리카에 대한 대안적 지식을 세계에 제공한 박식한 사회 비평가"라고 칭송했다.[23]
참조
[1]
서적
Ousmane Sembène: The Making of a Militant Artis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0-05-06
[2]
웹사이트
Ousmane Sembene, 84; Senegalese hailed as 'the father of African film'
http://www.latimes.c[...]
2007-06-14
[3]
간행물
Le cinéma de Sembène Ousmane, une (double) contre-ethnographie : (Notes pour une recherche)
https://www.erudit.o[...]
2010
[4]
서적
Ousmane Sembène: The Making of a Militant Artis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0
[5]
웹사이트
Ousmane Sembene: The Life of a Revolutionary Artist
http://www.newsreel.[...]
2016-10-04
[6]
서적
Ousmane Sembène: Interview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08
[7]
간행물
"I am only interested in women who struggle"
2024-05-23
[8]
뉴스
The Rise and Significance of Lotus
https://codesria.org[...]
2014-03-03
[9]
뉴스
"OUSMANE SEMBENE: THE LIFE OF A REVOLUTIONARY ARTIST"
http://www.newsreel.[...]
California Newsreel, San Francisco
[10]
웹사이트
Emitai Ceddo
http://www.ejumpcut.[...]
2013-10-17
[11]
서적
Manu Dibango and Ceddo's "Transatlantic Soundscap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4
[12]
서적
Ousmane Sembène: Interview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08
[13]
웹사이트
Ceddo Emitai Ousmane Sembene
https://www.baltimor[...]
1998-02-02
[14]
웹사이트
7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71)
http://www.moscowfil[...]
[15]
웹사이트
9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75)
http://www.moscowfil[...]
[16]
웹사이트
10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77)
http://www.moscowfil[...]
[17]
웹사이트
Berlinale 1977: Juries
http://www.berlinale[...]
2010-07-19
[18]
웹사이트
11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79)
http://www.moscowfil[...]
[19]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Moolaadé
http://www.festival-[...]
2009-12-02
[20]
간행물
The Uniqueness of Ousmane Sembene's Cinema
https://scholarworks[...]
1993
[21]
뉴스
"Father of African cinema buried in Senegal"
http://www.iol.co.za[...]
2007-06-12
[22]
뉴스
Obituaries – 'Ousmane Sembene'
https://www.independ[...]
2007-06-13
[23]
웹사이트
Tributes to Ousmane Sembene: 1923 – 2007
http://www.screenafr[...]
[24]
웹사이트
Ousmane Sembène. Réalisateur/trice, Ecrivain/ne, Acteur/trice, Producteur/trice, Scénariste, Personne concernée. Sénégal
https://africultures[...]
Africultures. Les mondes en relation
2023
[25]
웹사이트
Ousmane Sembène Film director, Writer, Actor, Producer, Screenwriter, Person concerned
http://www.africine.[...]
Fédération africaine de la critique cinématographique (FACC)
2020
[26]
웹사이트
Ousmane Sembène
https://www.imdb.com[...]
[27]
웹사이트
Ousmane Sembène Director
https://africanfilmn[...]
African Film Festival, Inc. (AFF)
[28]
웹인용
Ousmane Sembene, 84; Senegalese hailed as 'the father of African film'
http://www.latimes.c[...]
2007-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