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크라이나의 국가는 우크라이나의 국가이다. 1862년 파울로 추빈스키가 쓴 시에 미하일로 베르비츠키가 곡을 붙여 만들어졌으며, 1917년부터 1921년까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국가로 사용되었다. 1992년 최고 라다가 이 곡을 국가로 지정했고, 2003년에는 가사가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이 곡은 2004년 오렌지 혁명과 2013년 유로마이단 이후 인기가 높아졌으며, 특히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인의 저항 정신을 상징하는 노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노래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9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우크라이나가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행복을 찾았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고, 1992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효력을 잃었으며, 2015년부터는 우크라이나에서 공연이 금지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노래 - Carol of the Bells
Carol of the Bells는 미콜라 레온토비치가 우크라이나 민속 음악에 기초하여 작곡하고 피터 윌하우스키가 영어 가사를 붙여 편곡한 캐럴로, 영화 사운드트랙 사용과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편곡을 통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 우크라이나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우크라이나의 국가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로마자: Deržavnyj himn Ukraïny) |
비공식 명칭 | (로마자: Šče ne vmerla Ukraina) (우크라이나는 아직 죽지 않았다) |
영어 명칭 | 'The Glory and Will of Ukraine Have Not Yet Perished' (우크라이나의 영광과 의지는 아직 사라지지 않았다) |
작사/작곡 | |
작사가 | 파울로 チュブィーシクィイ |
작사 년도 | 1862년 |
작곡가 | 미하이로 ヴェルビツキー |
작곡 년도 | 1863년 |
채택 정보 | |
음악 채택일 | 1992년 1월 15일 |
가사 채택일 | 2003년 3월 6일 |
이전 국가 | |
이전 국가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2. 역사
1862년 파울로 추빈스키가 작사하고, 1863년 미하일로 베르비츠키가 작곡한 노래가 우크라이나 국가의 기원이다.[43] 그러나 당시 러시아 제국은 발루예프 칙령을 통해 우크라이나 문화 운동을 탄압했고, 추빈스키는 아르한겔스크로 추방되었다.[43]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우크라이나는 독립을 선언하고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및 서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을 세워 이 노래를 국가로 채택했다.[44] 1939년에는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에서도 잠시 국가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1920년 소련에 병합되면서 노래는 금지되었고,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다른 노래가 국가로 지정되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1992년 우크라이나 의회는 이 노래를 다시 국가로 지정했다. 1996년 우크라이나 헌법 제20조는 베르비츠키의 음악을 국가의 기준으로 명시했다.[55] 2003년 3월 6일에는 최고 라다에서 국가 가사를 제정하여, 추빈스키의 시 첫 연과 후렴구를 포함시켰다.[55]
2004년 오렌지 혁명과 2013년 유로마이단을 거치며 국가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긍정적 태도가 확산되었다.[20][21]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여러 국가에서 연대의 의미로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했다.[22]
2. 1. 배경 (19세기)
1862년 가을, 우크라이나의 민속학자이자 시인인 파울로 추빈스키가 키예프 대학교에서 세르비아 학생들이 중세 세르비아 왕국의 군주인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을 찬양하는 노래를 부르는 것을 보고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를 찬양하는 시를 지었다고 전해진다.[47][48][49][50][51][52] 추빈스키의 시는 1863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던 르비우에서 발간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잡지인 《메타》에 게재되어 우크라이나 서부를 중심으로 널리 퍼졌다. 이 때문에 러시아 제국 당국은 1862년 10월 20일 추빈스키를 일반인들에게 위험한 사상을 퍼뜨린다는 이유로 아르한겔스크현으로 추방했다.[47]1863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 신부였던 미하일로 베르비츠키는 추빈스키의 시에 맞는 노래를 작곡했다. 1864년 르비우에서 이 곡이 처음 상연되었으며, 1865년 추빈스키의 시에 베르비츠키가 작곡한 노래를 붙인 악보가 발간되었다.[52]


2. 2. 초기 사용 (1917-1921)
1917년부터 1921년까지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과 1918년부터 1919년까지 서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1939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독립했다가 헝가리에 점령된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에서 국가로 사용되었다.[53][54]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독립을 선언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및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국가로 채택되었고,[44] 1920년 소련에 병합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카르파토-우크라이나에서도 짧은 기간 동안 국가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1917년과 1921년 사이에는 다른 국가들과 함께 사용되었기 때문에 법적으로 독점적인 국가로 채택되지는 않았다.2. 3. 소련 시대 (1922-1991)
1922년 우크라이나가 소련을 구성하던 공화국 가운데 하나인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이 노래는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소련을 구성하던 공화국들은 자신만의 국가를 소유할 수 있었지만 소련 당국은 이 노래가 우크라이나 분리주의를 고취시킨다는 이유로 금지곡으로 지정했다.[53][54]이오시프 스탈린이 1944년 "인터내셔널가"를 소련 국가로 대체하라고 명령한 후, 연방의 모든 구성 공화국은 각 지역 대표 국가도 제작해야 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1944년 2월 23일 국가 위원회를 설립했다. 소비에트 당국은 오랜 고심 끝에, 공공 지식인들을 설득하여 그들의 정치적 이해에 맞는 가사와 어떤 우크라이나 민족적 요소도 없는 음악을 가진 국가를 만들게 했다.
1944년 2월 23일, 우크라이나 의장 미하일로 흐레추하는 음악가와 문인들 앞에서 앞으로 만들어질 국가의 개요를 읽는 것으로 회의를 시작했다.
- 첫 번째 연에서는 소련과의 우크라이나 민족의 결합을,
- 두 번째 연에서는 레닌과 스탈린 하에서의 우크라이나 국민, 그들의 투쟁, 그리고 "자유"를,
- 세 번째 연에서는 연방 내에서의 우크라이나의 경제적, 정치적 "번영"을 구상했다.
- 후렴구는 각 절 뒤에 사용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이는 송가로 여겨져 동부 갈리치아 및 볼히니아의 소련 병합 이후 소련 인민의 연합과 재결합된 우크라이나를 찬양했다.
작곡가들은 가사에 대한 결정 전에 악보 작업을 했다. 1945년 2월까지 11명의 작곡가가 결선 진출자로 선정되었다. 안톤 레베디네츠의 악보가 압도적인 다수결로 승리했고, 그 악보는 1949년 11월에 새로운 소련 국가의 음악으로 채택되었다. 앞서 1948년 1월에는 파블로 티치나와 공동 저자 미콜라 바잔의 가사가 승리했다. 1949년 11월 21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새로운 국가가 채택되었다.
2. 4. 독립 이후 (1991-)
1992년 1월 15일, 우크라이나의 입법부인 최고 라다는 이 곡을 우크라이나의 국가로 다시 지정하였다.[55] 1996년 6월 28일에 제정된 《우크라이나 헌법》 제20조에서는 "우크라이나의 국가는 미하일로 베르비츠키가 작곡한 음악을 기준으로 하며 최고 라다 재적 의원 3분의 2(2/3) 이상이 채택한 헌법에 따라 승인한다."라는 조항이 명시되어 있다.[55]2003년 3월 6일, 최고 라다는 우크라이나 국가 가사를 제정하였다. 이 법률은 미하일로 베르비츠키의 음악과 파울로 추빈스키의 시 "우크라이나의 영광과 자유는 아직 사라지지 않았도다"(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и і слава, і воляuk)의 첫 연과 후렴구를 국가로 정했다. 다만, 가사의 첫 줄은 원래의 "우크라이나의 영광, 자유는 아직 사라지지 않았도다"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а, і слава, і воляuk)에서 현재와 같이 바뀌었다. 이 법안은 전체 450표 중 334표의 압도적인 찬성을 얻었으며, 반대는 46표에 불과했다. 우크라이나 사회당과 우크라이나 공산당 의원들만이 투표를 기권했다. 이로써 이전까지 미하일로 베르비츠키의 곡으로만 구성되었던 우크라이나 국가는 파울로 추빈스키의 수정된 가사를 포함하게 되었다.
2004년 오렌지 혁명과 2013년 유로마이단 이후 우크라이나 국가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 특히, 유로마이단 시위 동안 이 국가는 시위대의 혁명적인 노래가 되었다. 시위 초기 몇 주 동안 시위대는 가수 루슬라나의 선창에 맞춰 매시간 국가를 불렀다.[20]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후에는 우크라이나 국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더욱 확산되었다.[21]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후, 유럽과 북미의 여러 오케스트라가 우크라이나와의 연대를 표시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했다.[22]
3. 가사
2003년 3월 6일부터 현재까지 1절만 가창하고 있으며 후렴은 2번 반복한다.[56][57][58][59]
;우크라이나어 가사
로마자 | 키릴 문자 | 독음 | 국제 음성 기호 |
---|---|---|---|
{{lang|uk-Latn|Šče ne vmerla Ukraïny, i slava, i volia, |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и і слава, і воля, | 스쳬 네 우메를라 우크라이늬 이 슬라와, 니 월랴, | {{lang|uk-ipa|[ʃt͡ʃɛ nɛ‿w.ˈmɛɾ.ɫʌ ʊ.kɾʌ.ˈi.nɪ ǀ i ˈsɫɑ.wʌ i ˈwɔ.ʎʌ ‖] |
;한국어 번역
:우크라이나의 영광과 자유는, 아직 사라지지 않았도다.
:아직 우리에게 있어, 젊은 형제들이여, 운명이 미소 지을 것이라네.
:우리의 적들은 태양의 이슬처럼 사라질 것이라네.
:형제들이여, 우리도 우리의 나라를 다스리게 되리라.
:𝄆 우리의 자유를 위해 마음과 몸을 내려놓고, 그리고 형제들이여,
:우리가코자크 민족임을 보여주리라. 𝄇
;크림 타타르어 가사
로마자 | 키릴 문자 |
---|---|
Ukrainanıñ şan-şüreti yaşay, iradesile. | Украинанынъ шан-шурети яшай, ирадесиле. |
;가가우즈어 가사
:{{lang|gag|italic=no|Taa ölmedi Ukrainada şan hem serbestlik.crh
:italic=no|Taa bizä kardaşlarım gülecek kısmet.gag
:italic=no|Yok olcek duşmannarımız nasın çii güneştä,gag
:italic=no|Biz da saabi olacez bizim memlekettä.gag
:𝄆 italic=no|Canımızı hem güüdemizi serbestlää verecez,gag
:italic=no|Hem kozak soyundan geldiimizi gösterecez.gag 𝄇
;루마니아어 가사
로마자 | 키릴 문자 | 독음 |
---|---|---|
{{lang|ro|Încă nu a murit Ucraina, nici gloria, nici libertatea, | Ынкэ ну а мурит Украина, ничь глория, ничь либертатя, | 읜커 누 아 무릿 우크라이나, 니치 글로리아, 니치 리베르타톄, |
3. 1. 1992년~2003년 제안된 가사
1992년부터 2003년까지 우크라이나의 국가로 제안되었던 가사는 다음과 같다.[60]우크라이나어 | 라틴 문자화 | 일본어 번역 |
---|---|---|
3. 2. 원곡 가사 (1862)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а, і слава, і воля|슈체 네 우메를라 우크라이나, 이 슬라바, 이 볼랴uk는 파울로 추빈스키(Pavlo Chubynskyi)가 1862년에 작성한 시로, 우크라이나인들에게 국가적 정체성과 독립 투쟁을 상기시키는 중요한 작품이다.[2]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사실상의 국가로 불렸으며, 2003년 3월 6일 우크라이나 의회에서 공식 국가 가사로 채택되었다.[2]원곡은 총 4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절은 우크라이나의 역사와 투쟁,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다. 후렴구는 우크라이나의 자유를 위해 헌신하고 코사크의 후예임을 잊지 말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4. 각색
우크라이나에 영광을!|italic=nouk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저항의 노래"로 작곡되었으며, 우크라이나 국가의 시작 모티프에서 영감을 받았다.[30]
5. 주목할 만한 편곡 및 공연
- 미하일로 자줄략은 1915년 미국의 컬럼비아 레코드 스튜디오에서 〈우크라이나는 멸망하지 않았다!〉를, 1926년에는 〈우크라이나는 이미 부활했다!〉를 녹음했다.[31][32]
- 니키 릅첸코는 우크라이나 국가의 록 버전을 제작했다.[33]
- 우크라이나의 14개 민족이 부른 우크라이나 국가가 있다.[34]
- 아나톨리 아브디예프스키는 우크라이나 국가를 관현악 및 기악으로 편곡했다.[35]
- 아포칼립티카가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했다.[36]
- 드지드지오가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했다.[37]
- 티나 카롤이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했다.[38][39]
- 자말라가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했다.[40]
- 올렉산드르 포노마료프가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했다.[41]
- 보플리 비도플리아소바가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했다.[42]
참조
[1]
웹사이트
Про Державний гімн України | від 15.01.1992 № 2042-XII
https://zakon.rada.g[...]
2023-06-13
[2]
웹사이트
Про Державний Гімн України | від 06.03.2003 № 602-IV
https://zakon.rada.g[...]
2023-04-10
[3]
웹사이트
Знак твоєї свободи. Затвердження Тризуба гербом УНР. Державні символи й атрибути України
https://uinp.gov.ua/[...]
2018-02-22
[4]
간행물
Колекція пам’яток до пам’ятних дат Української революції 1917—1921 років. Збірка методичних рекомендацій
https://web.archive.[...]
Український інститут національної пам’яті
2020
[5]
간행물
Символ національної і державної величі : До 25-річчя від дня затвердження Державного гімну України : бібліографічний покажчик
https://web.archive.[...]
Запорізький національний університет
2017
[6]
간행물
Державний гімн України: історико-правові аспекти (збірник документів і матеріалів)
https://web.archive.[...]
НДІІП НАПрН України
2020
[7]
웹사이트
[8]
웹사이트
[9]
뉴스
Павло Чубинський писав вірші «під Шевченка»
http://gazeta.ua/art[...]
Gazeta.ua
2009-01-22
[10]
논문
The Evolution of Polish National Symbols on the Example of the Flag and Anthem
Wydawnictwo Adam Marszałek
2016
[11]
웹사이트
Dąbrowski Mazurka
https://web.archive.[...]
Polish Music Center, [[USC Thornton School of Music]]
2000
[12]
웹사이트
српски народни покрет Светозар Милетић
http://snp-miletic.n[...]
[13]
웹사이트
Павло Платонович Чубинський. Андрусов Микола Іванович
https://geoknigi.com[...]
[14]
웹사이트
Українська: Копія 1991 р. репринтного видання Львівського журналу "Мета" 1863 р., перша публікація вірша.
https://commons.wiki[...]
2014-08-24
[15]
웹사이트
Pavlo Platonovich Chubynsky
https://kpi.ua/en/ch[...]
[[National Technical University of Ukraine]]
[16]
뉴스
у інтернеті набирає популярність аудіозапис гімну україни 1916 року
http://www.5.ua/ukra[...]
2014-10-20
[17]
뉴스
Маловідомі сторінки із життя Михайла Зазуляка
http://meest-online.[...]
Meest
2013-11-07
[18]
Youtube
Карпатська Україна (1939)
https://www.youtube.[...]
2011-03-05
[19]
뉴스
Валентин Сильвестров: «Читайте Шевченка, доки не пізно…»
http://www.day.kiev.[...]
2013-12-29
[20]
뉴스
Євромайдан уночі забарикадувався ялинкою і щогодини співав гімн із Русланою] fakty.ictv.ua
http://fakty.ictv.ua[...]
[[ICTV (Ukraine)]]
2013-12-02
[21]
웹사이트
The End of Illusions
https://www.national[...]
2022-04-04
[22]
웹사이트
Video of the Day: orchestras across Europe perform Ukrainian national anthem
https://www.gramopho[...]
[2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Ukraine, Chapter 1, General Principles
http://gska2.rada.go[...]
Verkhovna Rada of Ukraine
[24]
웹사이트
On the National Anthem of Ukraine
http://zakon2.rada.g[...]
[[Verkhovna Rada|The Verkhovna Rada of Ukraine]]
[25]
웹사이트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а — Павло Чубинський, повний текст твору
https://www.ukrlib.c[...]
[26]
웹사이트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а
https://nashe.com.ua[...]
[27]
웹사이트
State Anthem of Ukraine
https://good-time-in[...]
2022-08-11
[28]
웹사이트
Текст офіційного Державного Гімну України
https://web.archive.[...]
[29]
서적
Poezii. (Gedichte.) ruth. - Lemberg, Skuszewicz 1866-
https://books.google[...]
Skuszewicz
1866
[30]
뉴스
Marcus Paus om sitt nye verk: – Jeg skrev «Slava Ukraini!» fordi jeg ikke kunne la være
https://web.archive.[...]
2022-03-04
[31]
Youtube
Перший в історії запис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а!"
https://www.youtube.[...]
2013-10-18
[32]
웹사이트
Михайло Зазуляк – Вже воскресла Україна / Марселєза
http://www.ukrmusic.[...]
2015-04-18
[33]
Youtube
Nicky Rubchenko/ Микита Рубченко - Державний Гімн України/ National Anthem of Ukraine (Rock Version)
https://www.youtube.[...]
2014-03-24
[34]
Youtube
Гимн Украины в исполнении 14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проживающих на территории Украины
https://www.youtube.[...]
2016-04-06
[35]
Youtube
Flag raising ceremony at the Ukrainian Independence Day parade
https://www.youtube.[...]
2014-08-24
[36]
Citation
Flag raising ceremony at the Ukrainian Independence Day parade
https://www.youtube.[...]
2014-08-24
[37]
Citation
DZIDZIO - Гімн України (Official Audio)
https://www.youtube.[...]
2020-08-20
[38]
Citation
National Anthem of Ukraine
[39]
Citation
ТІНА КАРОЛЬ / TINA KAROL - ГІМН УКРАЇНИ
https://www.youtube.[...]
2022-11-11
[40]
Citation
Jamala – Гімн України
[41]
웹사이트
Гімн України/ Anthem of Ukraine. Олександр Пономарьов/ Oleksandr Ponomaryov
https://www.youtube.[...]
2019-10-13
[42]
웹사이트
Воплі Відоплясова: Гімн-Славень України
http://vopli.com.ua/[...]
2024-04-26
[43]
citation
Pavlo Platonovich Chubynsky
https://kpi.ua/en/ch[...]
National Technical University of Ukraine
[44]
서적
ウクライナを知るための65章
明石書店
[45]
문서
"[Українські народні пісні] Народна творчість (фольклор). 2018."
[46]
웹인용
Constitution of Ukraine, Chapter 1, General Principles
http://gska2.rada.go[...]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2022-03-02
[47]
뉴스
Павло Чубинський писав вірші "під Шевченка
https://m.gazeta.ua/[...]
Gazeta.ua
2009-01-22
[48]
간행물
'On Sails and Gales, and Ships Driving in Various Directions: Post-Soviet Ukraine as a Test Case for the Meso-Area Concept'
Hokkaido University
2005
[49]
간행물
The Evolution of Polish National Symbols on the Example of the Flag and Anthem
Wydawnictwo Adam Marszałek
2016
[50]
간행물
Songwriting and Singing: Ukrainian Revolutionary and Not So Revolutionary Activities in the 1860s
2008
[51]
문서
Павло Платонович Чубинський. Андрусов Микола Іванович.
https://geoknigi.com[...]
[52]
뉴스
Anthem Passions
https://web.archive.[...]
Ukraine Observer
[53]
논문
When Stalin's Nations Sang: Writing the Soviet Ukrainian Anthem (1944–1949)
2003
[54]
논문
When Stalin's Nations Sang: Writing the Soviet Ukrainian Anthem (1944–1949)
2003
[55]
서적
National Anthems of the World
Weidenfeld & Nicolson
2006
[56]
문서
Constitution of Ukraine, Article 20
[57]
웹사이트
Ukraine
http://www.nationala[...]
[58]
웹사이트
Ukraine – Shche ne Vmerla Ukraina
http://nationalanthe[...]
[59]
문서
Law of Ukraine "About National Anthem of Ukraine"
http://zakon2.rada.g[...]
[60]
문서
З першої репринтної публікації у львівському журналу «Мета», 1863, № 4, с. 271—272, що є літературною канонічною пам'яткою, яка лягла в основу пізніших модифікацій тексту.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