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뷔 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뷔 왕은 알프레드 자리가 고교 시절 은사인 에베르 선생을 모티프로 하여 쓴 희곡이다. 셰익스피어의 작품과 라블레의 영향을 받아 욕심 많고 비열한 주인공 위뷔 영감이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악행을 저지르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은 19세기 말 연극 혁신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에 영향을 주었고, 부조리극의 선구로 평가받는다. 위뷔 왕은 여러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6년 희곡 - 갈매기 (희곡)
안톤 체호프가 1895년에 쓴 4막 희곡 《갈매기》는 호숫가의 시골 영지를 배경으로 예술가들의 엇갈린 사랑과 좌절, 인생과 예술에 대한 고뇌를 그린 작품으로, 1898년 모스크바 예술 극장에서 재공연되어 체호프의 대표작이 되었다. - 1896년 희곡 - 욘 가브리엘 보르크만
욘 가브리엘 보르크만은 헨리크 입센의 희곡으로, 몰락한 은행가 욘 가브리엘 보르크만의 삶을 통해 인간의 욕망, 고독, 사회적 갈등을 다루며, 19세기 말 노르웨이 사회를 배경으로 개인의 자유와 구원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위뷔 왕 | |
---|---|
기본 정보 | |
원제 | Ubu Roi |
언어 | 프랑스어 |
장르 | 희극 |
작가 | 알프레드 자리 |
초연 | 1896년 12월 10일 |
초연 장소 | 파리 |
시리즈 | Ubu Cocu Ubu Enchaîné |
등장인물 | |
위뷔 | 탐욕스럽고 잔인한 인물로, 권력을 탐하여 왕이 된다. |
위뷔 부인 | 위뷔의 아내로, 남편을 부추겨 악행을 저지르게 한다. |
벤첼라스 왕 | 폴란드의 왕 |
보렐라스 왕자 | 벤첼라스 왕의 아들 |
라디슬라스 | 벤첼라스 왕의 아들 |
헝가리 왕 | 폴란드를 침공하려는 인물 |
코르디에 | 위뷔에게 살해당하는 인물 |
추가 정보 | |
언어 | 프랑스어 |
프랑스어 발음 | yby ʁwa |
2. 설명
〈위뷔 왕〉은 알프레드 자리가 고등학교 시절 물리 교사였던 에베르 선생을 모티프로 하여 만든 작품이다. 원래는 동급생 샤를 모랭이 '폴란드인들'이라는 제목으로 구상했던 텍스트를 자리가 희곡으로 발전시켜 모랭의 집 헛간에서 인형극으로 공연했다.[12]
''위뷔 왕''(Ubu Roi)은 알프레드 자리가 쓴 희곡으로, 1896년 12월 10일 파리 누보-테아트르(오늘날 파리 극장)에서 오렐리앙 뤼네-포가 이끄는 작업 극단(Théâtre de l'Œuvre)에 의해 초연되었다. 이 공연은 다음 날 단 한 번의 공개 공연을 앞두고 "업계" 리허설을 거쳤다.[1][2]
이 작품은 전통적인 극 형식을 벗어나 새로운 표현의 자유와 실험을 추구한다. 주인공 위뷔 영감은 욕심이 많고 비열한 인물로, 권력을 얻기 위해 온갖 악행을 저지른다. 라블레와 셰익스피어의 영향이 엿보이는데, 특히 여러 면에서 셰익스피어의 맥베스를 떠올리게 한다. 위뷔 어멈이 위뷔 영감을 부추겨 왕위를 빼앗고 동료들을 배신하며, 결국 복수로 인해 희생된다는 전체적인 줄거리가 비슷하다.[13][14]
위뷔에 대한 악의적 묘사는 추함과 저속함으로 전통적인 인물의 품격을 대체하려는 자리의 의도를 보여준다. 어떤 사람들은 위뷔를 '재앙 같은 존재'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여기에 미니멀한 무대와 독특한 음악 효과가 더해져 극의 분위기와 주제를 더욱 강조한다.
이러한 자리의 작업은 19세기 말 연극 혁신 운동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으로, 그 영향력 또한 컸다. 자리가 끼친 직접적인 영향으로는 다다 운동과 초현실주의를 들 수 있다. 트리스탕 차라와 앙드레 브르통은 초현실주의의 선구자로 자리를 꼽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화가 중 한 명인 막스 에른스트는 위뷔를 팽이 모양으로 그린 그림을 남기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자리는 부조리극의 선구자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등장인물에 대한 전통극과는 전혀 다른 의미 부여, 끊임없는 말장난을 통한 언어 파괴, 논리성을 배제한 극의 구조 등은 부조리 연극 작가들에게 전해져 연극을 새롭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3]
''위뷔 왕''은 1896년 12월 10일, 파리 누보-테아트르(오늘날 파리 극장)에서 오렐리앙 뤼네-포가 이끄는 작업 극단(Théâtre de l'Œuvre)에 의해 처음 공연되었다. 이 극은 다음 날 단 한 번의 공개 공연을 앞두고 초청된 "업계" 리허설을 거쳤는데, 관객들에게 격렬한 반응을 불러일으켰고 며칠 후에는 비난하는 평론이 쏟아졌다.[1][2] W. B. 예이츠와 시인이자 에세이스트인 카튈 멩데스를 포함한 초연 관람객 중 일부는 혁명적 중요성을 지닌 사건으로 여겼지만, 많은 이들은 작품의 유치함, 외설스러움, 무례함에 당황하고 분노했다. 현재는 20세기에 문학적 모더니즘으로 알려진 것의 문을 연 작품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제목은 때때로 '왕 똥'(King Turd)으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위뷔"(Ubu)라는 단어는 실제로 "에베르"(Hebert)라는 이름의 프랑스어 발음에서 유래한 의미 없는 단어일 뿐이다.[4] "에베르"는 자리가 쓴 희곡의 초기 버전의 풍자 대상이자 영감의 원천이었던 자리의 스승 중 한 명의 이름이었다.[5]
자리는 자신의 희곡을 어떻게 공연해야 하는지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했다. 그는 위뷔 왕이 특정 장면에서 "옛 영국 극장처럼" 판지 말 머리를 쓰기를 원했는데, 그 이유는 그가 "기뇰"을 쓰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는 "꼭두각시 쇼에서처럼 적절한 의상을 입은 사람이 들어와 다양한 장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판을 세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가능한 한 구체적인 지역적 색채 참고나 역사적 정확성이 없는 의상을 원했다.[6]
''위뷔 왕''의 후속작으로는 ''위뷔 코퀴''(Ubu Cocu, '위뷔는 바람둥이')와 ''위뷔 앙셰네''(Ubu Enchaîné, '사슬에 묶인 위뷔')가 있는데, 이 두 작품은 자리의 34년 생애 동안 공연되지 않았다.[11] 그의 후기 작품 중 하나인 "파타피직스"에 대한 소설/에세이는 ''위뷔 왕''의 근본적인 아이디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자리가 설명했듯이 파타피직스는 "형이상학 너머의 영역의 과학"이다. 파타피직스는 자리가 아카데미 회원들을 비판하기 위해 만든 유사 과학이다. 이는 "예외를 지배하고 이 세상에 보충적인 우주를 설명할" 법칙을 연구한다. 그것은 "상상의 해결책의 과학"이다.[7]
제인 테일러는 "원래 위뷔의 시작은 프랑스 연극 문화 내에서 전설의 지위를 얻었다"라고 적었다.[11] 1888년, 15세의 나이로 렌의 리세에 입학했을 때, 자리는 친구 앙리 모린과 앙리의 형제 샤를이 쓴 짧은 풍자극, ''폴로네''를 접하게 되었다. 이 풍자극은 학생들의 물리 선생님인 펠릭스-프레데릭 에베르(1832–1917)를 조롱하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이었다. ''폴로네''는 그들의 선생님을 상상의 폴란드 왕으로 묘사했으며,[2] 자리가 결국 위뷔 왕으로 발전시킨 페르 에베라는 캐릭터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많은 연극 중 하나였다. ''폴로네''는 학생들이 페르 에베르의 "피낭스"(재정)에 대한 탐욕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인 "피낭스 극장"에서 인형극으로 공연되었다.
자리의 동급생들은 학교를 떠나면서 위뷔 전설에 대한 관심을 잃었지만, 자리는 짧은 생애 동안 이 자료를 계속 추가하고 재작업했다.
3. 상연
자리는 위뷔 왕이 특정 장면에서 "옛 영국 극장처럼" 판지 말 머리를 쓰기를 원했고, "기뇰"을 쓰려고 했기 때문에 "꼭두각시 쇼에서처럼 적절한 의상을 입은 사람이 들어와 다양한 장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판을 세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가능한 한 구체적인 지역적 색채나 역사적 정확성이 없는 의상을 원했다.[6]
''위뷔 왕''의 후속작으로는 ''위뷔 코퀴''(Ubu Cocu, '위뷔는 바람둥이')와 ''위뷔 앙셰네''(Ubu Enchaîné, '사슬에 묶인 위뷔')가 있는데, 이 두 작품은 자리의 생전에 공연되지 않았다.[11] 위뷔 코퀴와 위뷔 왕은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수십 년에 걸쳐 재작업되었고, 전자의 경우에는 자리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종 버전에 도달하지 못했다.[16] 자리가 위뷔 왕을 출판하고 상연하고 싶었을 때, 모랭 부부는 더 이상 학교 놀이에 관심을 두지 않았고, 앙리는 자리에가 그들을 마음대로 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그러나 샤를은 나중에 공을 인정받으려 했지만, 그가 초기 버전과 관련이 있었다는 것은 비밀이 아니었다. 초연에서 음악은 클로드 테라스가 작곡하고 연주했다.[17]
이후 위뷔 왕은 무대에서 금지되었고 자리는 인형극으로 옮겼다. 자리는 파리에서의 첫 공연 직전 커튼 연설에서 "여러분은 M. Ubu에게 원하는 만큼 많은 암시를 보거나, 단순한 인형, 즉 세상의 모든 추악함을 대변하는 그의 선생님 중 한 명에 대한 학교 소년의 캐리커처로 볼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13]
1896년 12월 9일 파리에서 초연되었으며, 연출은 오로르 루니에, 무대 장치는 피에르 보나르(로트렉 등도 협력), 음악은 클로드 테라스(보나르의 의붓 동생)가 맡았다.
3. 1. 초연 당시의 반응
Ubu Roi프랑스어는 1896년 12월 10일, 파리 누보-테아트르(오늘날 파리 극장)에서 오렐리앙 뤼네-포가 이끄는 작업 극단(Théâtre de l'Œuvre)에 의해 처음 공연되었다. 이 극은 다음 날 단 한 번의 공개 공연을 앞두고 "업계" 리허설을 거쳤는데, 관객들에게 격렬한 반응을 불러일으켰고 며칠 후에는 비난조의 평론이 쏟아졌다.[1][2] 이 작품은 문화적 규칙, 규범, 관습을 뒤집는 방식으로 인해 야만적이고 기괴하며 코믹한 극으로 여겨졌다. W. B. 예이츠와 시인이자 에세이스트인 카튈 멩데스를 포함한 초연 관람객 중 일부는 혁명적 중요성을 지닌 사건으로 여겼지만, 많은 이들은 작품의 유치함, 외설스러움, 무례함에 당황하고 분노했다. 현재는 20세기에 문학적 모더니즘으로 알려진 것의 문을 연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3]
극의 첫 단어("merdre", 프랑스어로 "shit", 즉 "젠장"에 "r"이 하나 더 붙음)는 파리에서 이 극에 대한 반응의 이유 중 일부였을 수 있다. 공연이 끝날 때 폭동이 일어났고, 이 사건은 이후 "자리에 전기 작가들의 흔한 소재"가 되었다.[11]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는 프랑스어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그를 위해 내용을 통역해 줄 동반자와 함께 초연에 참석했다. 그는 회고록 ''The Trembling of the Veil''에서 이 극이 그가 옹호하는 상징주의적, 정신적인 주제의 문학에 도전하는 것에 대한 그의 당혹감을 회상했다.[18]
1896년 12월 9일, 파리에서 초연되었을 때 위뷔 왕의 첫 대사인 "젠장!(merdre !)"으로 시작하여, 신랄하고 저속한 대사가 이어지는 연극에 객석은 소란스러워졌고, 큰 스캔들을 일으켰다.[43]
4. 줄거리
Ubu Roi프랑스어는 알프레드 자리가 고교 시절 물리 교사였던 에베르 선생을 모티프로 삼아 만든 작품이다. 원래는 동급생 샤를 모랭이 ‘폴란드인들’이라는 제목으로 구상한 텍스트였으나, 자리가 이를 희곡으로 발전시켜 모랭의 집 헛간에서 인형극으로 공연했다.
이 작품은 전통적인 극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표현의 자유와 실험을 탐구하고 있다. 주인공 위뷔 영감은 욕심 많고 비열한 인물로,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갖은 악행을 서슴지 않는다. 라블레와 셰익스피어의 영향이 엿보이는데, 특히 여러 면에서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와 유사하다. 위뷔 어멈이 위뷔 영감을 부추겨 왕위를 찬탈하고 동료들을 배신하며, 결국 복수에 희생된다는 전체적인 이야기 전개가 맥베스와 비슷하다.[1]
위뷔에 대한 악의적 묘사는 추함과 저속함으로 전통적인 인물의 품위를 대체하려는 자리의 의도를 반영한다. 혹자는 위뷔를 ‘재앙 같은 존재’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미니멀한 무대와 독특한 음악 효과는 극의 분위기와 주제를 더욱 강화한다.
줄거리는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햄릿'', ''리어왕''의 일부를 패러디한 것이다.
극이 시작될 때, 위뷔의 아내는 위뷔를 설득하여 혁명을 일으키고, 폴란드 국왕과 왕족 대부분을 살해한다. 국왕의 아들 부그렐라스와 왕비는 탈출하지만, 왕비는 나중에 죽는다. 죽은 국왕의 유령은 아들에게 나타나 복수를 요구한다. 궁으로 돌아온 위뷔는 국왕이 되어 백성들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고, 귀족들을 재산 때문에 죽이기 시작한다. 위뷔의 심복은 감옥에 갇히고, 이후 러시아로 탈출하여 차르에게 위뷔에게 전쟁을 선포하도록 한다. 위뷔가 침략하는 러시아와 맞서 싸우기 위해 밖으로 나가자, 그의 아내는 궁에 있는 돈과 보물을 훔치려 한다. 그러나 그녀는 위뷔에 대항하여 백성의 반란을 이끄는 부그렐라스에게 쫓겨난다. 아내는 남편 위뷔에게 도망가고, 위뷔는 그동안 러시아에게 패배하고, 추종자들에게 버려지고, 곰에게 공격받는다. 위뷔의 아내는 가브리엘 천사인 척하며 위뷔를 속여 자신을 용서하도록 하려 한다. 그들은 싸우고, 위뷔를 쫓는 부그렐라스가 나타나 아내를 구한다. 위뷔는 죽은 곰의 시체로 공격자들을 쓰러뜨린 후 아내와 함께 프랑스로 도망가면서 극이 끝난다.
이 작품에는 셰익스피어의 희곡에서 발견되는 모티프가 포함되어 있다. ''맥베스''의 국왕 살해와 음모를 꾸미는 아내, ''햄릿''의 유령, ''햄릿''의 포틴브라스의 반란, ''리처드 3세''의 버킹엄의 보상 거부, ''겨울 이야기''의 쫓아오는 곰 등이 그것이다. 또한, 극의 제목에서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Œdipe Roi프랑스어)에 대한 다른 문화적 언급도 포함하고 있다. ''위뷔 왕''은 코믹 그로테스크 프랑스 르네상스 작가 프랑수아 라블레와 그의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소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8][9]
5. 등장인물
등장인물 |
---|
6. 영향
〈위뷔 왕〉은 19세기 말 연극 혁신 운동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 중 하나로, 그 영향력은 매우 컸다. 알프레드 자리는 이 작품을 통해 전통적인 극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표현의 자유와 실험을 탐구했다.
자리의 영향은 다다운동과 초현실주의에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트리스탕 차라와 앙드레 브르통은 자리를 초현실주의의 선구자로 꼽았으며, 막스 에른스트는 위뷔를 팽이 모양으로 그린 그림을 남기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자리는 부조리극의 선구자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등장인물에 대한 전통극과는 전혀 다른 접근, 끊임없는 말장난을 통한 언어 파괴, 논리성을 배제한 극의 구조 등은 부조리 연극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위뷔 왕〉은 초연 당시 관객들에게 격렬한 반응을 불러일으켰고, 비난조의 평론이 쏟아졌다.[1][2] W. B. 예이츠를 포함한 일부 관람객은 이 작품을 혁명적 사건으로 여겼지만, 많은 이들은 유치함, 외설스러움, 무례함에 당황하고 분노했다. 그러나 현재는 20세기 문학적 모더니즘의 문을 연 작품이자, 다다, 초현실주의, 부조리극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3]
제인 테일러는 "위뷔의 등장은 프랑스 연극 문화 내에서 전설이 되었다"라고 언급했다.[11] 극의 첫 단어("merdre", "젠장"에 "r"이 하나 더 붙은 형태)는 파리에서 이 극에 대한 격렬한 반응을 일으킨 원인 중 하나였을 수 있다. 공연이 끝날 때 폭동이 일어났고, 이는 이후 자리 전기 작가들의 단골 소재가 되었다.[11] 이후, 〈위뷔 왕〉은 무대에서 금지되었고 자리는 인형극으로 공연했다.
1896년 12월 9일 파리 초연 당시, 첫 대사인 "젠장!(merdre !)"으로 시작하여 신랄하고 저속한 대사가 이어지자 객석은 소란스러워졌고, 큰 스캔들을 일으켰다.[43] 이 공연으로 자리의 명성은 높아졌고, "위뷔"는 일종의 사회 현상이 되었다.[43]
- 막스 에른스트, 호안 미로 등은 위뷔 왕을 주제로 한 회화를 남겼다.
- 베른트 알로이스 침머만은 관현악곡 "위뷔 왕의 만찬을 위한 음악"을 작곡했다.
- 프란츠 훔멜,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는 위뷔 왕을 소재로 오페라를 작곡했다.
6. 1. 파타피직스
자리는 아카데미 회원들을 비판하기 위해 유사 과학인 "파타피직스"를 만들었다. 파타피직스는 "형이상학 너머의 영역의 과학"으로, "예외를 지배하고 이 세상에 보충적인 우주를 설명할" 법칙을 연구하며, "상상의 해결책의 과학"이다.[7] 이 개념은 이후 지안니나 브라스키의 푸에르토리코 부조리극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바나나''(2011)에서 아메리카 제국의 몰락과 푸에르토리코 해방을 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25][26]7. 각색
1936년, 폴란드의 작가 타데우시 보이-젤렌스키는 "우뷔 왕, 또는 폴란드인"(''Ubu Król czyli Polacy'')을 폴란드어로 창작했다.[19] 1990년,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는 오페라 부파 ''우뷔 렉스''를 작곡하여 1991년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에서 초연되었고, 2003년 폴란드에서도 공연되었다.[19]
바바라 라이트가 번역한 최초의 영어 번역본은 1951년에 출판되었다.[20] 1964년, 스톡홀름 인형 극장은 ''우뷔 왕''을 공연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21] 같은 해 세르비아어로 번역되어 20년 동안 공연되었고, 1973년에는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이르지 보스코베츠와 얀 베리히는 ''우뷔 왕''을 체코어로 번역하여 1928년에 초연했으나, 1968년 소련의 침공 이후 상연이 금지되었다. 1976년에는 얀 레니차의 애니메이션 영화 ''우뷔 에 라 그랑드 기두이''(1976)가 만들어졌다.
1976-1977년 오클리 홀 3세는 ''우뷔 왕''(''Ubu Rex''로 제목 변경)과 그 속편을 번역 및 각색하여 뉴욕 등지에서 연출했다.[22] 리투아니아에서는 1983년 요나스 바이트쿠스 감독에 의해 ''카라우스 으바스''로 각색되었다.
마이클 피니시와 앤드루 투비는 ''위뷔 왕''을 오페라로 각색하여 1992년에 초연했다. 러스티 매기가 작곡하고 안드레이 벨그레이더와 셸리 버크가 대본을 쓴 뮤지컬 ''우뷔 록''은 1995년에 초연되었다. 1996년에는 체코 영화 ''크랄 우부''로 각색되어 체코 사자상을 수상했다.
제인 테일러는 ''우뷔 왕''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진실 및 화해 위원회를 다룬 연극 ''우뷔와 진실 위원회''(1998)로 각색했다.
피오트르 슐킨에 의해 영화 ''Ubu Król''(2003)로 각색되었다.[24]
지안니나 브라스키의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바나나''(2011)는 ''위뷔 왕''에서 영감을 얻은 부조리극이다.[25][26] 2013년에는 호주 브리즈번에서 ''위뷔 왕'' 각색 공연이 있었으며, 퀸즐랜드 주지사 캠벨 뉴먼을 언급했다.[27]
2013년, 치크 바이 자울 극단은 프랑스어 버전의 ''위뷔 왕''을 제작하여 여러 국가에서 공연했다.[28] 2014년 토론토의 원 리틀 고트 극단은 ''Ubu Mayor: A Harmful Bit of Fun''을 제작하여 ''위뷔 왕''과 토론토 시장 롭 포드를 결합했다.
2016년, ''UBU ROY: An American Tale''로 각색되어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관점을 통해 원작을 업데이트했다.[31][32] 2020년에는 태즈메이니아와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각각 ''위뷔 왕'' 각색 공연이 있었다. 2021년에는 젠 실버만이 ''Ubu Anew (A Play for Strange People)''라는 제목으로 각색했다.[33]
8. 대중문화 속 위뷔 왕
알프레드 자리의 ''위뷔 왕''(Ubu Roi)은 1896년 파리에서 초연되었을 때, 격렬한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비난과 찬사를 동시에 받았다.[1][2] 이 작품은 문화적 규범을 뒤집는 야만적이고 기괴한 코믹극으로, W. B. 예이츠와 같은 일부 관객은 혁명적인 중요성을 지닌 사건으로 여겼지만, 많은 이들은 유치함, 외설스러움, 무례함에 분노했다.[3] 오늘날 ''위뷔 왕''은 다다, 초현실주의, 부조리극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문학적 모더니즘의 문을 연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3]
''위뷔 왕''은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막스 에른스트는 1923년에 ''Ubu Imperator''라는 그림을 그렸다.[34]
막스 에른스트, ''Ubu Imperator'', 1923. (국립 현대 미술관, 파리) - 호안 미로는 1940년 바르셀로나 시리즈 석판화에서 ''위뷔 왕''을 주제로 삼았는데, 이는 프랑코 장군과 그의 장군들을 풍자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37]
- 베른트 알로이스 침머만은 관현악곡 "위뷔 왕의 만찬을 위한 음악"을 작곡했는데, 이는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에 대한 비판으로 쓰였다.
- 프란츠 훔멜과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는 ''위뷔 왕''을 주제로 오페라를 작곡했다. 펜데레츠키의 오페라 부파 ''우뷔 렉스''는 1991년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에서 초연되었다.[19]
- 얀 레니차는 애니메이션 영화 ''우뷔 에 라 그랑드 기두이''(1976)를 제작했다.
- 1964년, 스톡홀름 인형 극장은 미하엘 메슈케가 연출하고 프란치스카 테메르손이 무대 미술을 담당한 ''위뷔 왕''을 매우 인기 있는 버전으로 제작했다.[21]
- 제인 테일러는 ''위뷔 왕''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진실 및 화해 위원회 과정을 다룬 연극 ''우뷔와 진실 위원회''(1998)로 각색했다.
- F. A. 브라베크가 감독한 체코 영화 ''크랄 우부''(1996)는 세 개의 체코 사자상을 수상했다.
- 데드 캔 댄스의 브렌든 페리는 "The Bogus Man"에서 페레 위뷔를 언급한다.
-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에 나오는 우기 부기 캐릭터는 위뷔 왕의 모습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40]
''위뷔 왕''은 현대 문화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Our Dramatic Heritage. Vol. 6
Fairleigh Dickenson
1995
[2]
간행물
The King of Charisma
2012-05-10
[3]
논문
UBU-ing a Theatre-Translation: Defense and Illustration
https://web.archive.[...]
2006
[4]
서적
Alfred Jarry, an Imagination in Revolt
Rosemont Publishing & Printing Corp.
[5]
서적
Ubu Roi
Dover
2003
[6]
서적
Modern French Theatre
Dutton
1966
[7]
서적
Our Dramatic Heritage. Vol. 6
Fairleigh Dickenson
1995
[8]
서적
Pataphysica 2: Pataphysica E Alchimia, Volume 2
iUniverse
2004
[9]
서적
Francophone Literatures: A Literary and Linguistic Companion
Psychology Press
2001
[10]
서적
The Ubu Plays
Nick Hearn Books, Ltd.
1997
[11]
서적
Ubu and the Truth Commission
University of Cape Town Press
2007
[12]
간행물
Merrrrdrrrre! Alfred Jarry and Pere Ubu
2013-04-17
[13]
서적
Ubu Roi
Dover
2003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웹사이트
Alfred Jarry/Claude Terrasse, Ubu Roi : round revue
https://www.jamesjos[...]
[18]
서적
Autobiographies: Reveries Over Childhood and Youth and The Trembling of the Veil
Macmillan
[19]
웹사이트
Kings with No Nation: Polish Adaptations of Ubu Roi
https://culture.pl/e[...]
[20]
서적
Ubu Roi. Drama in Five acts followed by the Song of Disembraining.
Gaberbocchus Press
1951
[21]
웹사이트
Meschke website with photograph of his Ubu
http://www.michaelme[...]
[22]
서적
Jarry and Me: The Autobiography of Alfred Jarry
https://books.google[...]
Absintheur Press
2010
[23]
웹사이트
"UBU ROI by Alfred Jarry; Translated by Oakley Hall III"
http://firlefanz-gal[...]
2017-12-23
[24]
웹사이트
Ubu król (2003) – IMDb
https://www.imdb.com[...]
[25]
간행물
What to Read Now: Mixed-Genre Literature
https://www.worldlit[...]
2018-03-25
[26]
간행물
War and Peace and Ubu: Colonialism, the Exception, and Jarry's Legacy
2015
[27]
웹사이트
Vena Cava Productions presents UBU ROI
http://www.wherevent[...]
2014-05-25
[28]
웹사이트
Cheek by Jowl - Ubu Roi (2013-2015)
https://www.cheekbyj[...]
[29]
웹사이트
Playbill - How You Can Watch Live-Streamed Lincoln Center Fest Ubu Roi
https://www.playbill[...]
[30]
뉴스
Review: 'Ubu Roi,' Mom and Dad's Party of Grown-Up Grotesques
https://www.nytimes.[...]
2015-07-23
[31]
뉴스
LCT After Dark debuts Thursday
http://www.kcbd.com/[...]
2016-11-03
[32]
뉴스
Looking to Find Humor in this Election? Lubbock Community Theatre Has You Covered
http://www.everythin[...]
2016-11-03
[33]
웹사이트
Real American Dinner Party & Other Short Plays
https://www.concordt[...]
2024-12-14
[34]
웹사이트
Arcimboldo Face to Face
https://tlmagazine.c[...]
2021-12-11
[35]
서적
Beat Galleries and Beyond
John Natsoulas Press
[36]
서적
The Counterfeiters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1973
[37]
뉴스
Joan Miró: A fine line
https://www.theguard[...]
2011-09-28
[38]
서적
Linda McCartney's Sixties: Portrait of an Era
Bullfinch Press
1992
[39]
웹사이트
Long Live Père Ubu!
http://www.ubuprojex[...]
[40]
블로그
Atomic Caravan Blog
http://atomiccaravan[...]
[41]
잡지
The 80s and 90s Magazine: "Sit Ubu. Sit."
https://the80sand90s[...]
[42]
웹사이트
Methyl Ethel – Ubu
http://diymag.com/20[...]
2018-07-28
[43]
서적
미시아 벨・에포크의 뮤즈라고 불린 여자
草思社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