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성 구상적혈구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은 적혈구 세포막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적혈구가 둥근 모양을 띠는 질환이다. 이는 스펙트린, 안키린, 밴드 3 단백질, 단백질 4.2 등의 결함으로 발생하며, 상염색체 우성 또는 열성 유전 형태로 나타난다. 비장에서 구상 적혈구가 파괴되어 빈혈, 황달, 비장 비대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한 경우 담석, 용혈성 위기, 무형성 위기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은 혈액 검사, 말초 혈액 도말 검사, 삼투압 취약성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비장 절제술, 엽산 보충, 수혈 등이 시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염색체 우성 질환 - 헌팅턴병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 내 CAG 삼염기 반복 서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 인지, 정신 기능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된다. - 상염색체 우성 질환 - 결절성 경화증
결절성 경화증은 뇌, 피부, 신장, 심장, 폐 등 여러 장기에 양성 종양 및 과오종을 유발하며 발작, 지적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신장 혈관근종, 림프관평활근종증 등의 증상을 보이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임상적 특징과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증상 완화 및 합병증 관리를 위한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하다.
유전성 구상적혈구증 | |
---|---|
질병 개요 | |
![]() | |
분야 | 혈액학 |
증상 | 알려지지 않음 |
합병증 | 알려지지 않음 |
발병 시기 | 알려지지 않음 |
지속 기간 | 알려지지 않음 |
유형 | 알려지지 않음 |
원인 | 알려지지 않음 |
위험 요소 | 알려지지 않음 |
진단 | 알려지지 않음 |
감별 진단 | 알려지지 않음 |
예방 | 알려지지 않음 |
치료 | 알려지지 않음 |
약물 | 알려지지 않음 |
예후 | 알려지지 않음 |
빈도 | 알려지지 않음 |
사망 | 알려지지 않음 |
명칭 | |
영어 | Hereditary spherocytosis |
기타 명칭 | Minkowski–Chauffard syndrome (민코프스키-쇼파드 증후군) |
추가 정보 | |
설명 | 적혈구가 구형이 되는 유전 질환 |
2. 원인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은 적혈구의 세포 골격과 관련된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세포 골격에 문제가 생기면 적혈구가 둥근 모양이 되고, 삼투압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져 나트륨이온이 쉽게 들어온다. 세포는 나트륨 이온을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Na-K ATPase를 활성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막의 인지질이 손실되어 작고 둥근 형태의 이상 적혈구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유전자 돌연변이는 골수 내의 적혈구 전구 세포에서 작용하여 적혈구를 생성한다. (병리적인 골수 외 혈액 생성은 골수 외 혈액 생성 참조)
2. 1. 유전자 유형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은 선천적으로 적혈구 세포막 단백질에 영향을 미치는 적혈구 질환이다. 관련 단백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스펙트린 (알파 및 베타)
- 안키린
- 밴드 3 단백질
- 단백질 4.2
- 덜 중요한 단백질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은 상염색체 열성 또는 상염색체 우성 형질일 수 있다. 상염색체 열성 유전은 임상 사례의 약 25%를, 상염색체 우성 유전은 75% 이상을 차지한다. 많은 양성 개체가 임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원인 데이터가 우성 형태로 인위적으로 왜곡될 수 있다. 이러한 우성 형태는 가족력을 남기는 경향이 있으며, 세대별 비장 절제술 및 흑색 담석증 담석증을 유발한다. 사례의 약 25%는 자발적인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한다.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은 적혈구 단백질 스펙트린(알파 및 베타), 안키린,[8] 밴드 3 단백질, 단백질 4.2,[9] 및 기타 적혈구 막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내의 다양한 분자 결함에 의해 발생한다.[6]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유형 | OMIM* | 유전자 | 위치 | 영향을 받는 적혈구 막 단백질 |
---|---|---|---|---|
HS-1 | ANK1 | 8p11.2 | 안키린 | |
HS-2 | SPTB | 14q22-q23 | 스펙트린 (베타)* | |
HS-3 | SPTA | 1q21 | 스펙트린 (알파-1)* | |
HS-4 | SLC4A1 | 17q21-q22 | 밴드-3 단백질 | |
HS-5 | EPB42 | 15q15 | 단백질-4.2 |
적혈구의 정상적인 형태는 원반형이며, 이러한 형태를 유지하는 데에는 여러 단백질들이 필요하다. 이 단백질들에 문제가 생기면 적혈구 모양이 변형되어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이 발생한다. 가장 흔하게 결함이 발견되는 단백질은 스펙트린으로, 이는 스펙트린과 액틴 세포 골격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스펙트린에 이상이 생기면 세포 골격이 불안정해지고, 세포막의 지지력이 약해진다.[6]
''
이러한 유전자 돌연변이는 골수 내의 적혈구 전구 세포에서 작용하여 적혈구를 생성한다. (골수 외 혈액 생성에 대한 병리학적 생산은 골수 외 혈액 생성 참조). 상염색체 우성 유전이다.
적혈구의 세포 골격과 관련된 유전자가 원인인 경우가 많으며, 스펙트린, 안키린, Band 3, Protein 4.2 등이 포함된다. 세포 골격에 이상이 생겨 둥근 모양이 된다. 삼투압에 저항하는 힘이 약해져 적혈구 내로 나트륨이온이 들어가기 쉬워진다. 나트륨 이온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Na-K ATPase가 활성화되고, 그 결과 막의 인지질이 손실되어 소구형의 구형을 띠는 이상 적혈구로 변화한다.
3. 병리생리학
유형 OMIM 유전자 위치 HS1 182900 ANK1 8p11.2 HS2 182870 SPTB 14q22-q23 HS3 270970 SPTA 1q21 HS4 109270 SLC4A1 17q21-q22 HS5 612690 EPB42 15q15
구형으로 변형된 적혈구(구상 적혈구)는 비장을 통과할 때 어려움을 겪고, 결국 파괴된다. 이를 혈관 외 용혈이라고 한다. 용혈은 빈혈을 유발하며, 그 정도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용혈 과정에서 헤모글로빈이 파괴되면서 간접 빌리루빈이 생성되어 혈중 농도가 상승한다.
3. 1. 세포막 단백질 결함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은 선천적으로 적혈구 세포막 단백질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단백질들이 관련되어 있다.
이 질환은 상염색체 열성 또는 상염색체 우성 형질로 유전될 수 있다. 상염색체 열성 유전은 전체 사례의 약 25%를, 상염색체 우성 유전은 75% 이상을 차지한다. 하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보인자가 많아 실제로는 우성 유전 형태가 더 많을 수 있다. 우성 유전 형태는 가족력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세대를 거쳐 비장 절제술이나 담석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약 25%의 사례는 자발적인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은 적혈구 단백질인 스펙트린(알파 및 베타), 안키린,[8] 밴드 3 단백질, 단백질 4.2,[9] 및 기타 적혈구 막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의 다양한 결함 때문에 발생한다.[6]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유형 | 유전형 원인 | 표현형 발현 | ||
---|---|---|---|---|
OMIM | 유전자 | 위치 | 영향을 받는 적혈구 막 단백질 | |
HS-1 | 182900 | ANK1 | 8p11.2 | 안키린 |
HS-2 | 182870 | SPTB | 14q22-q23 | 스펙트린 (베타) |
HS-3 | 270970 | SPTA | 1q21 | 스펙트린 (알파-1) |
HS-4 | 612653 | SLC4A1 | 17q21-q22 | 밴드-3 단백질 |
HS-5 | 612690 | EPB42 | 15q15 | 단백질-4.2 |
이러한 유전자 돌연변이는 골수 내의 적혈구 전구 세포에서 작용하여 적혈구의 형태를 변화시킨다. (병리적으로 골수 외에서 혈액이 생성되는 경우는 골수 외 혈액 생성을 참조)
정상적인 적혈구는 원반형인데, 이러한 형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다. 가장 흔하게 결함이 생기는 단백질은 스펙트린인데, 이는 스펙트린과 액틴 세포 골격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세포 골격이 불안정해지고 세포막의 지지력이 약해진다.
단백질 | 손상된 기능 | 작용 효과 | 발생 가능성 |
---|---|---|---|
스펙트린(알파-1) | 알파-1 소단위 액틴 결합 | rowspan="5" | | 가장 흔함 |
스펙트린(베타) | 소수성 상호작용과 앙키린 및 액틴에 대한 정전기적 인력 | ||
안키린 | 베타 소단위에 대한 소수성 상호작용 및 정전기적 인력 | 세포막 통합 단백질을 스펙트린에 고정하는 데 실패. | 흔함 |
밴드-3 |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염소(Cl−)와 중탄산염(HCO3−)의 교환 중재 실패. | 세포막에서 지질 안정성을 감소시킴. | 덜 흔함 |
단백질-4.2 | 앙키린과 밴드-3의 결합을 조절하는 ATP 결합 실패. | 세포막 골격의 밀도 감소로 세포질 이중층이 불안정해져 밴드-3 단백질이 포함된 미세 소포가 방출됨. | 가장 드묾 |
결과적으로 막 표면적이 부족해지는 이차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표면적이 감소하면 폐의 폐포와 순환계 전체에서 적혈구의 가스 교환 효율이 떨어진다. 이러한 표면적 감소는 두 가지 기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1. 스펙트린, 앙키린(가장 흔함), 또는 단백질 4.2의 결함은 세포막의 구조를 약화시켜 밴드 3을 포함하는 미세 소포를 방출하게 한다. 밴드 3은 가스 교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밴드 3의 결함은 세포막 내 지질 안정성을 떨어뜨려 밴드 3이 없는 미세 소포를 방출하게 한다.
두 가지 경로 모두 세포막을 손상시키고 표면적을 감소시켜, 결국 기계적 순응성이 낮은 구상적혈구를 형성한다.
이렇게 변형된 적혈구(구상 적혈구)는 비장을 통과하기 어렵고, 결국 파괴된다. 이를 혈관 외 용혈이라고 한다. 용혈은 빈혈을 일으키지만, 그 정도는 다양하다. 또한, 용혈로 인해 헤모글로빈이 파괴되어 간접 빌리루빈이 증가하고, 혈중 간접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진다.
3. 2. 비장에서의 파괴
구상 적혈구는 혈장막 순응도와 유동성이 낮아 신체 내 전체 순환에 영향을 미친다. 순응도와 유동성 부족은 혈액 점도 증가로 이어져 크고 작은 혈관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적혈구가 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을 통과할 때 변형되지 못해 혈관이 막히거나 완전히 막힐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은 심부 정맥 혈전증(DVT) 및 동맥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다.[10]비장은 혈액의 필터 역할을 하며, 순환계 내 병원체 및 손상된 세포를 표적으로 한다. 비장은 세포의 나이나 기능적 상태에 관계없이 구상 적혈구를 잘못 필터링한다. 비장의 해부학적 구조에서 빌로트 삭에서 동굴로의 통로는 적혈구가 통과하기 위해 유연해야 하는 "병목 현상"이다.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에서 적혈구는 창을 통과하지 못하며, 비장 대식세포가 갇힌 구상 적혈구의 혈장막 일부를 "물어뜯는다". 대식세포는 구상 적혈구를 식세포 작용하여 혈관 외 용혈을 일으킨다.[10] 이는 비장 비대와 빈혈을 모두 유발하며, 만성적으로 억제되지 않으면 골수 외 조혈로 이어진다.[10]
구상 적혈구는 변형 능력이 부족하여 물리적으로 비장을 통과하지 못하고 파괴된다. 적혈구가 비장에서 파괴되는 것을 혈관 외 용혈이라고 한다. 용혈로 인해 빈혈이 발생하며, 헤모글로빈이 파괴되어 간접 빌리루빈이 되고, 혈중 간접 빌리루빈 농도가 상승한다.
4. 임상 양상
유전성 구상적혈구증(HS) 환자는 증상이 없는 경우부터 비장 파열, 용혈성 위기, 또는 자궁 내 사망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 무증상 HS (경증): 환자의 20–30%.
- 영아 발병 HS (중등도): 환자의 60–75%.
- 신생아 또는 자궁 내 발병 HS (중증): 환자의 5% 미만.
가장 흔한 임상 양상은 황달(증가된 비포합 빌리루빈으로 인해), 빈혈(이차적인 창백함 동반), 촉진되는 비장, 때로는 동반된 압통(비장 울혈 및 비장 비대)이다. HS 환자의 일부에서는 혈관 외 용혈의 결과로 칼슘 빌리루빈으로 구성된 우연한 흑색 색소성 담석이 나타나며, 일부 환자는 담낭염, 총담관 결석증 등 이 질환의 잠재적인 복잡한 후유증이나 담석증이 발생할 수 있다.
5. 진단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은 말초 혈액 도말 검사에서 구상 적혈구를 확인하고, 평균 적혈구 용적(MCV), 평균 혈구 혈색소 농도(MCHC), 적혈구 분포 폭(RDW), 적혈구 수(RBC), 망상 적혈구, 비결합 빌리루빈, 합토글로빈, 젖산 탈수소 효소(LDH) 수치 등의 보조 혈액 검사 결과와 쿰스 검사(음성), 삼투압 취약성 검사[11], 산성화 글리세롤 용해 검사, 에오신-5-말레이미드 결합 검사(양성) 결과를 종합하여 진단한다.
5. 1. 검사
유전성 구상적혈구증(HS) 진단에 사용되는 검사는 다음과 같다.검사 종류 | 검사 항목 | 검사 결과 및 설명 |
---|---|---|
말초 혈액 도말 검사 | 현미경으로 구상적혈구 확인 | 구상적혈구 관찰 |
[12] (표준 검사로 간주되지 않으며, 약 25% 사례 놓침) | ||
산성화 글리세롤 용해 검사 | 양성: 전통 식염수 버전보다 빠른 용해 | |
에오신-5-말레이미드 결합 검사 | 양성(평균 형광 감소): 유세포 분석법 이용, 표준 검사 |
만성적인 경우, 철분 보충제 복용, 헤모크로마토시스 이형 접합자, 여러 차례 수혈을 받은 환자는 철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철분 저장량 측정은 원인 불명의 심장 근육 손상 또는 간 질환이 있는 노령 환자의 유전성 구상적혈구증 진단에 고려된다.
- 혈액 검사
- * 혈청 생화학 검사
- ** 간접 빌리루빈 증가
- ** 간 기능은 담석 영향 없으면 정상
- ** 합토글로빈 감소
- * 말초 혈액 도말 염색 표본 검사
- ** 가운데가 얇아져 있지 않은 구상 적혈구 관찰
- ** 망상 적혈구 증가
- 직접 쿰스 검사 음성
말초 혈액 도말 염색 표본 검사에서 구상 적혈구를 확인하여 진단한다. 가족력도 중요하지만, 부모에게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6. 역학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은 유전성 용혈성 질환으로, 북유럽 조상을 둔 사람에게서 2,000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5] 해리슨 내과학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발병 빈도는 최소 5,000명 중 1명이다.[6] 북유럽 및 일본 가문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지만, 사례의 약 25%는 자연 발생적인 돌연변이로 인한 것이다.
일본의 유전성 용혈성 빈혈 중 가장 흔한 질환이다.
7. 치료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은 현재 유전자 수준의 치료법은 연구 중이지만, 아직 뚜렷한 치료법은 없다.[6] 현재는 골수 내 적혈구 전구 세포에서 생성된 기능성 구상적혈구를 신체가 부적절하게 파괴하는 것을 막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일반적인 치료 방법으로는 비장 절제술이 있다. 비장 절제술 외에도 담낭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14] 골수 이식은 실험적인 치료 방법으로, 표준 치료법은 아니다.
증상 완화를 위해 엽산 보충을 하거나, 빈혈이 심한 경우 수혈을 시행한다.
7. 1. 비장 절제술
비장 절제술은 외과 의사가 비장을 전부 제거하는 수술로, 혈관 외 용혈을 멈추지만 비장이 신체에 자연스럽게 제공하는 면역 기능도 제거한다. 비장 전체가 아닌 일부만 제거하는 부분 비장 절제술도 가능하다. 부분 비장 절제술의 목표는 비장의 면역 기능을 유지하면서 환자의 항상성에 적합한 수준으로 혈관 외 용혈을 낮추는 것이다.[2] 부분 비장 절제술의 결과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며,[2] 미국 내 어린이 병원에서 일상적으로 시행된다.[13] 비수술적 방법으로는 중재적 방사선과 의사가 방사선 기술을 사용하여 비장 순환 내 혈관을 코일하거나 지혈하는 방법이 있다.모든 수술적 및 중재적 치료는 유전성 구상적혈구증 환자에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SARS-CoV-2 및 ''폐렴구균'' 및 수막구균과 같은 피막 세균에 대한 예방 접종을 필요로 한다. 항생제는 비장 절제술 후 유전성 구상적혈구증 환자에게 유지 요법으로 더 이상 권장되지 않는다. 비장은 피막 유기체로부터 보호하는 데 중요하므로 피막 유기체에 의한 패혈증은 비장 절제술의 가능한 합병증이다.[2]
7. 2. 기타 치료
일반적인 치료 옵션은 다음과 같다.- '''비장 절제술 (수술적)''': 외과 의사가 비장을 전부 제거하는 수술로, 혈관 외 용혈을 멈추지만 비장이 신체에 자연스럽게 제공하는 면역 기능도 제거한다.
- '''부분 비장 절제술 (수술적)''': 비장 전체가 아닌 일부만 제거하는 경우이다. 목표는 비장의 면역 기능을 유지하면서 환자의 항상성에 적합한 수준으로 혈관 외 용혈을 낮추는 것이다.[2] 결과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며,[2] 미국 내 어린이 병원에서 일상적으로 시행된다.[13]
- '''비장 절제술 (중재적 방사선학)''': 이 옵션은 비수술적이며, 중재적 방사선과 의사(외과 의사 대신)가 방사선 기술을 사용하여 비장 순환 내 혈관을 코일하거나 지혈하는 것이다. 순환 경로에는 치료를 적용하여 비장의 다양한 생존력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지점이 있어 비장의 면역 기능을 보존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
모든 수술적 및 중재적 치료는 유전성 구상적혈구증 환자에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SARS-CoV-2 및 ''폐렴구균'' 및 수막구균과 같은 피막 세균에 대한 예방 접종을 필요로 한다. 항생제는 비장 절제술 후 유전성 구상적혈구증 환자에게도 유지 요법으로 더 이상 권장되지 않는다. 비장은 피막 유기체로부터 보호하는 데 중요하므로 피막 유기체에 의한 패혈증은 비장 절제술의 가능한 합병증이다.[2]
추가적인 선택적 치료는 다음과 같다.
실험적 치료는 다음과 같다.
- '''골수 이식 (혈액 종양 중재)''': 구상적혈구증이 없는 개인의 골수로 골수를 교체한다. 이식된 전구 세포는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이 있는 개인에게서 발견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구상적혈구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것은 양쪽이 볼록한 원반 모양의 적혈구를 가진 개인을 초래한다. 이 치료법은 표준 치료법이 아니며, 골수형성이상 증후군과 같은 다른 질병의 치료 중에 우연히 문서화되었기 때문에 제공되지 않는다.
증상 치료는 다음과 같다.
8. 합병증
구상 적혈구는 혈장막 순응도와 유동성이 낮아 신체 내 전체 순환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혈액의 점도 증가로 이어져 크고 작은 혈관 모두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적혈구가 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을 통과할 때 변형되지 못해 혈관이 막히거나 완전히 막힐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은 심부 정맥 혈전증(DVT) 및 동맥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다.[10]
비장은 혈액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데,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환자의 경우 비장이 구상 적혈구를 정상 세포와 구별하지 못하고 파괴한다. 빌로트 삭에서 동굴로의 통로는 적혈구가 유연하게 통과해야 하는 "병목 현상"과 같다. 하지만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에서 적혈구는 창을 통과하지 못하고, 비장 대식세포가 구상 적혈구의 혈장막 일부를 제거한다. 대식세포는 구상 적혈구를 비정상으로 인식하고 파괴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어, 식세포 작용을 통해 혈관 외 용혈을 일으킨다.[10] 이는 비장 비대와 빈혈을 유발하며,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골수 외 조혈로 이어진다.[10]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의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 용혈성 위기: 감염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가속화된 용혈로 인해 황달이 더욱 두드러진다.
- 무형성 위기: 파보바이러스 B19 감염과 같은 감염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헤모글로빈 수치와 망상 적혈구 수치가 급격히 감소한다.
- 엽산 결핍: 증가된 골수 요구로 인해 발생한다.
- 색소 담석: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약 절반에서 발생한다. 적혈구 용혈 증가로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져 칼슘 빌리루빈산염으로 구성된 색소 담석이 형성될 수 있다.
- 고혈당증과 낮은 헤모글로빈 A1C 수치 동반: 헤모글로빈 A1C는 장기간의 평균 혈당 수치를 나타내는 검사인데, 적혈구 수명 감소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 철 과부하
- 다리 궤양
- 심부 정맥 혈전증(DVT)
- 심혈관 질환
- 용혈성 빈혈: 골수의 적혈구 조혈 능력으로 보상되어 정상 수치를 보이기도 한다.
- 경도에서 중등도의 비대: 혈관 외 용혈로 인해 발생한다.
- 간접 빌리루빈 증가: 가족성으로 소아기부터 황달이나 담석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 담석 동반: 담석수술 시 처음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 빈혈 지속 시 발육 지연: 고도의 빈혈이 성장기에 지속되면 키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9. 예후
기본적으로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예후는 좋다. 감염증 등의 경우 일시적으로 골수의 적혈구 조혈 능력이 저하되어 빈혈이 급속히 악화될 수 있다. 담석의 합병증으로 담낭이나 담관의 염증이 심해지면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
10. 연구 동향
- 실험적인 유전자 치료가 실험 쥐의 유전성 구상적혈구증을 치료하기 위해 존재하지만, 인간 유전자 치료와 관련된 모든 위험으로 인해 아직 인간에게 시도되지 않았다.
- 골수 이식.
- 유전성 구상적혈구증과 관련된 역설적인 지구력 기반의 운동 능력.
- 북유럽 및 일본계 사람들의 구상적혈구 적혈구 적응의 진화.
- 유전성 구상적혈구증 환자의 바이러스 감염 방어 능력 증가.
참조
[1]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 Saunders
[2]
학술지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ereditary spherocytosis
[3]
웹사이트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of insertion element IS4351 from Bacteroides fragilis. - UKPMC Article - UK PubMed Central
http://ukpmc.ac.uk/c[...]
UKPMC Article
2012-07-03
[4]
웹사이트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ereditary Spherocytosis
http://www.bcshguide[...]
The British Committee for Standards in Haematology
2012-07-02
[5]
웹사이트
Hereditary spherocytosis: MedlinePlus Genetics
https://ghr.nlm.nih.[...]
[6]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ttp://www.accessmed[...]
McGraw-Hill Medical
[7]
학술지
Hereditary spherocytosis--defects in proteins that connect the membrane skeleton to the lipid bilayer
2004-04
[8]
학술지
Hematologically important mutations: spectrin and ankyrin variants in hereditary spherocytosis
1998-12
[9]
학술지
Hereditary spherocytosis
2008-10
[10]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11]
학술지
Flow cytometric detection of erythrocyte osmotic fragility
2009-03
[12]
문서
Goljan. Rapid Review Pathology. 2010. Page 213.
[13]
학술지
Partial splenectomy for hereditary spherocytosis: A multi-institutional review
[14]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ttp://www.accessmed[...]
McGraw-Hill Medic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