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모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모작은 한 해 동안 같은 토지에서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재배하는 농법이다. 이모작은 식량 생산량 증대, 비용 절감, 작물 간 상호 작용을 통한 농약 사용 최소화 등의 장점을 가진다. 한국에서는 벼와 보리 이모작이 전통적으로 널리 행해졌으며, 고려시대에 보급되어 조선시대를 거쳐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중국에서는 남부 벼농사 지역에서 인디카 쌀 이모작이, 북부 지역에서는 옥수수나 콩과 작물 이모작이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 - 비료
    비료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토양을 개선하여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물질로, 질소, 인, 칼륨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며 유기질 비료와 무기질 비료로 나뉘지만 과도한 사용은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농업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이모작
다모작
정의같은 토지에서 1년에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수확하는 농업 방식
목적작물 생산성 향상, 토지 이용 효율성 증대, 농가 소득 증대
유형
이모작한 해에 같은 땅에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
삼모작한 해에 같은 땅에서 세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
주작물 사이짓기주 작물 사이에 다른 작물을 심는 방식
이점
토지 이용 효율성 증대제한된 토지 자원을 최대한 활용
작물 다양성 증진다양한 작물 재배를 통해 영양 불균형 해소 및 병충해 확산 방지
농가 소득 증대작물 생산량 증가를 통해 농가 소득 증대
토양 비옥도 유지다양한 작물 재배를 통해 토양 내 양분 균형 유지 및 지력 유지
고려 사항
작물 선택토양, 기후 조건, 재배 기간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작물 선택
작부 체계작물 간의 상호 작용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작부 체계 수립
시비 및 관리작물 생육에 필요한 적절한 시비 및 관리 필요
같이 보기
관련 항목농업
윤작
간작
혼작

2. 이모작의 장점

대규모로 이모작을 채택하면 국가의 식량 위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같은 에서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비료, 관개, 노동력 등에 드는 비용이 줄어들어 전체 투입 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작물 간의 상호 작용 덕분에 잡초의 성장이나 해충, 질병 발생 위험이 줄어들어 농약 사용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더 나은 농장 관리와 농부의 소득 증가로 이어진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볼 때, 우량 농지의 5%와 관개 농지의 40%만이 이모작을 시행하고 있다.[3]

3. 한국의 이모작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보리를 번갈아 재배하는 이모작이 널리 이루어졌다. 이는 여름철 를 심어 수확하고, 그 땅에 가을부터 겨울 동안 보리를 키우는 방식이다. 이러한 농사 방식은 한국의 기후 조건에 잘 맞았으며, 부족한 농경지에서 최대한의 식량을 생산하여 식량 자급률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1. 역사

일본에서는 여름에는 , 겨울에는 보리를 재배하는 것이 기후에 적합하여 이를 이모작이라 불렀다.[5] 본래는 논에서 벼와 보리를 번갈아 키우는 것을 의미했지만, 점차 벼나 밀 외의 작물에도 적용되어 1년에 같은 장소에서 두 가지 작물을 연속으로 재배하는 방식 전반을 가리키게 되었다.[5]

이모작에서 주로 재배하는 작물을 표작(表作), 그 작물을 수확한 뒤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이작(裏作)이라고 한다.[6]

일본에서 이모작이 널리 퍼진 것은 가마쿠라 시대로, 기나이서일본 지역을 중심으로 벼를 표작으로, 보리를 이작으로 하는 방식이 보급되었다. 이후 남북조 시대에는 간토 지방에서도 이모작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1년에 두 가지 작물을 재배하는 이모작은 한 가지 작물만 재배하는 단작(單作)에 비해 두 배의 비료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이모작이 보급된 중세 이후에는 땅의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해 구비(厩肥)나 하비(下肥) 사용이 확산되었다. 그러나 충분한 비료를 확보하기 어려운 시골 지역에서는 이작으로 보리를 재배하기 어려웠다.[7] 또한 습기에 약한 보리는 물이 잘 빠지지 않는 습전(濕田)에서는 재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모작의 보급은 논의 배수 시설 설치나 토양 개량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3. 2. 현대의 이모작

현대에 들어 이모작은 단순히 보리를 번갈아 재배하는 것을 넘어, 이나 에서 1년에 두 가지 작물을 연속해서 재배하는 농법을 의미하게 되었다.[5] 이때 주로 재배하는 작물을 표작(表作), 그 작물을 수확한 뒤 다음으로 재배하는 작물을 이작(裏作)이라고 부른다.[6]

농림축산식품부와 같은 정부 기관에서는 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식량 자급률을 높이고 농가 소득 안정을 돕기 위해 이모작을 장려하고 관련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8][9]

이모작의 형태도 다양해져, 1년에 두 작물을 재배하는 기본적인 방식 외에 경작지를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2년 3모작, 3년 5모작 같은 방식도 활용된다.[10]

'''집약적 이모작 방식 예시'''[10]
방식연차별 재배 작물비고
2년 3모작 (예: 벼-보리-콩)1년차봄: 파종 → 가을: 벼 수확 후 보리 파종
2년차여름: 보리 수확 후 파종 → 늦가을/초겨울: 콩 수확 → 겨울: 휴경
3년 5모작 (예: 콩-보리-콩-보리-콩)1년차 재배 → 보리 재배
2년차 재배 → 보리 재배 (1년차보다 파종/수확 시기 늦어짐)
3년차 재배 → 겨울: 휴경 (1, 2년차보다 파종/수확 시기 더 늦어짐)



이러한 다년 주기 방식은 매년 두 작물을 재배하는 것보다 경지 이용 효율은 다소 낮을 수 있지만, 중간에 휴경기를 두어 포장을 정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0]

기후 조건이 서늘한 북부 지역 등에서는 보리 수확과 파종 시기가 겹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모간파종(立毛間播種)이라는 기술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보리를 수확하기 전에 보리 이랑 사이에 미리 콩을 파종하고, 이후 보리를 수확하는 방식이다.[11] 반대로 콩을 수확하기 전에 콩 이랑 사이에 보리를 파종하기도 한다. 이처럼 경작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농업 기술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11]

4. 중국의 이모작

중국에서는 토지 개혁 운동과 집단 농업 정책이 시행되면서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이모작이 크게 확산되었고, 이는 농업 생산량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4]

지역별로 보면, 남부의 벼농사 지역에서는 주로 인디카 쌀 품종(때로는 인디카 쌀과 자포니카 쌀을 함께)을 이용한 이모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북부 벼농사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자포니카 쌀의 일모작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옥수수과 같은 다른 작물과의 이모작을 통해 생산 면적을 늘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MULTIPLE CROPPING- Definition, Benefits and Selection of Crops https://agriculturer[...] 2020-09-19
[2] 서적 Interactive TMKC bsdk4 SNP Pan Pacific Publishing
[3] 웹사이트 Multiple cropping could help feed the world https://www.cgiar.or[...] 2020-12-14
[4] 서적 An Ecological History of Modern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3
[5] 웹사이트 二期作(にきさく)や二毛作(にもうさく)は全国どこでもできるかおしえてください。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1-09-05
[6] 웹사이트 植物Q&A 表作と裏作の要因 https://jspp.org/hir[...] 一般社団法人日本植物生理学会 2021-09-05
[7] 서적 都市と職能民の活動 中央公論新社
[8] 문서 農業者戸別所得補償制度実施要綱 https://www.maff.go.[...]
[9] 문서 水田利活用自給力向上事業 https://www.maff.go.[...]
[10] 문서 水稲・ムギ・ダイズの2年3作水田輪作体型 https://www.naro.aff[...]
[11] 문서 寒冷地における大豆・麦二毛作のための立毛間播種作業体系の開発 https://www.naro.go.[...]
[12] 웹사이트 平成25年度海外農業・貿易事情調査分析事業 (アジア・大洋州)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1-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