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와이자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와이자어족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들의 어족으로, 이와이자어, 가리그어, 일가르어, 마낭카리어, 마웅어, 아무르다그어를 포함한다. 가리그어와 일가르어는 방언 관계이며, 마낭카리어는 마웅어의 방언일 가능성이 있다. 현재 이와이자어는 크로커섬의 민질랑 마을에서 약 150명이 사용하며, 마웅어는 골번 제도의 와루위 마을에서 약 150명이 사용한다. 나머지 언어들은 모두 사멸 위기에 놓여 있다. 이와이자어족 언어들은 세 가지 모음 /i/, /u/, /a/를 기본적으로 가지며, 자음 체계는 다양한 조음 위치와 방식을 포함한다. 어휘적으로는 인도네시아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와 군위뉴구어에서 차용어를 많이 받아들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와이자어족 - 마웅어
    마웅어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로서 이와이자어족에 속하며, 6개의 명사 부류, 접두사 및 접미사 사용, 명사 부류에 따른 관사 및 대명사의 형태 변화, 그리고 자음 이화 및 첩어 현상에서의 음운 변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 변자음
    변자음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의 자음 체계 일부로 양순음과 연구개음을 포함하며, 단어나 음절의 시작 위치에 오는 것을 선호하고 끝 위치에는 오는 것을 꺼리는 경향을 보인다.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 가라와어족
    가라와어족은 가라와어와 와니어를 포함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어족이며, 아서 카펠은 두 언어의 기본 어휘를 비교했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이와이자어족
개요
어족아넘랜드어족?
사용 지역노던 준주 코버그 반도 지역
이와이자어족 언어 (보라색) 및 기타 비(非)파마늉아어족 언어 (회색)
이와이자어족 언어 (보라색) 및 기타 비(非)파마늉아어족 언어 (회색)
코버그 반도 상세 지도. 아무르다그어는 남쪽 구역 (황갈색), 우루구어는 반도 끝 (녹색), 나머지는 이와이자어파 (보라색)이다. 해안에서 떨어진 회색 섬에는 한때 이와이자어족으로 여겨졌던 [[마르구어]]가 있다.
코버그 반도 상세 지도. 아무르다그어는 남쪽 구역 (황갈색), 우루구어는 반도 끝 (녹색), 나머지는 이와이자어파 (보라색)이다. 해안에서 떨어진 회색 섬에는 한때 이와이자어족으로 여겨졌던 마르구어가 있다.
분류
하위 어파이와이자어파
아무르다그어
언어 코드
GlottoCodeiwai1246
GlottoCode 이름Iwaidjan Proper

2. 분류

이와이자어족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의 소규모 어족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어군언어
이와이자어파와르크비어군이와이자어
가리그어 †, 일가르어 †
마웅어, 마낭카리어 †
아무르다그어 †



가리그어와 일가르어는 사실상 동일한 방언으로 간주되며[14], 마낭카리어는 마웅어의 방언일 가능성이 있다.[15] 딕슨(Dixon, 2002)은 와르크비어군의 존재는 확실하지만, 이와이자어파와 이와이자어족은 아직 추측의 영역이라고 보았다. 과거에 마르구어와 우루구어는 이와이자어족으로 묶였지만, 이와이자어족과 공통점이 많지 않아 독립된 어족을 이룰 가능성이 있다.

2. 1. 이와이자어족

이와이자어족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노던 준주의 코버그 반도에서 사용되는 소멸 위기에 처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들의 소규모 어족이다.

이와이자어족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어군언어
이와이자어파와르크비어군이와이자어
가리그어 †, 일가르어 †
마웅어, 마낭카리어 †
아무르다그어 †



가리그어와 일가르어는 사실상 동일한 방언으로 간주되며[14], 마낭카리어는 마웅어의 방언일 가능성이 있다.[15]

2. 1. 1. 이와이자어파

딕슨(Dixon, 2002)은 와르크비어군의 존재는 확실하지만, 이와이자어파(와르크비·마웅어파)와 이와이자어족은 아직 추측의 영역이라고 본다. 그는 이와이자어족이라 불리는 언어들이 실제로 어족을 이루는지, 아니면 언어 지역을 이루는지와 관계없이, 이들 언어의 역사를 밝혀내는 일은 “심대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과거에 마르구어와 우루구어는 이와이자어족으로 묶였지만, 이와이자어족과 공통점이 많지 않아 독립된 어족을 이룰 가능성이 있다.

가리그어와 일가르어는 한 언어의 거의 동일한 방언이다.[14] 마낭카리어는 마웅어의 방언일 가능성이 있다.[15]

2. 1. 2. 아무르다그어 (†)

가리그어와 일가르어는 한 언어의 거의 동일한 방언이다.[14] 마낭카리어는 마웅어의 방언일 가능성이 있다.[15] 과거에 마르구어와 우루구어는 이와이자어족으로 묶였지만, 이와이자어족과 공통점이 많지 않으며 독립된 어족을 이룰 가능성이 있다.

3. 현재 상태

크로커섬의 민질랑 마을에서 약 150명이 이와이자어를 사용하며[16] 섬에서는 영어, 군위뉴구어, 마웅어도 함께 쓰인다. 마웅어는 주로 골번 제도의 와루위 마을에서 쓰이며 역시 약 150명이 사용한다.[16] 두 언어 모두 아직까지 어린이들이 습득하고 있다.[16] 이와이자어와 마웅어의 최근 현황 평가에 따르면 두 언어 모두 약 200명의 화자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고 있다.[6]

나머지 이와이자어족 언어는 모두 사멸 위기에 놓여 있다. 1998년 기준으로 아무르다그어 화자 수는 3명이었고 가리그어와 일가르어의 화자 수는 합쳐서 3명이었다.[16] 그러나 이 언어들 중 일부는 유창하지는 않지만, 오래된 기록을 번역하여 언어를 보존하거나 부활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젊은 사람들이 있다.[6]

4. 음운론

이와이자어족 언어들은 대체로 비슷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4. 1. 모음

이와이자어족은 기본적으로 /i/, /u/, /a/ 세 가지 모음을 가진다.



마웅어에는 추가로 /e/와 /o/ 모음이 있는데, 이들은 주로 군위뉴구어와 군발랑어에서 차용한 단어에서 나타난다.[17][7]

4. 2. 자음

양순음, 연구개음, 경구개음, 치경음, 권설음의 다섯 가지 조음 위치를 가진다. 파열음, 비음, 접근음, 전동음, 탄음, 설측음 등의 다양한 조음 방식을 가진다. 마웅어에는 설측 탄음이 없으며,[19] 연구개 접근음 /ɰ/|/ɰ/und티위어나 군발랑어 등 주변 언어와의 지역적 특징을 공유한다.[20]

rowspan=2|변자음설단음설첨음
양순음연구개음경구개음치경음권설음
파열음p|pundk|kundc|cundt|tundʈ|ʈund
비음m|mundŋ|ŋundɲ|ɲundn|nundɳ|ɳund
접근음w|wundɰ|ɰundj|jundɻ|ɻund
전동음colspan=2|r|rund
탄음colspan=2|ɽ|ɽund
설측 접근음colspan=2|ʎ|ʎundl|lundɭ|ɭund
설측 탄음colspan=2|ɺ|ɺundɺ˞|ɺ˞und[18]


5. 다른 언어와의 관계

모든 이와이자어족 언어의 어휘에는 인도네시아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언어인 마카사르어말레이어에서 가져온 차용어가 있다.[21][10] 이와이자어와 마웅어는 군위뉴구어족에 속하는 군위뉴구어(쿤윈주어)에서도 많은 어휘를 차용했다.[21][10]

이와이자어족은 다른 비(非)파마늉아 어족들과 여러 특징을 공유하지만, 어느 어족과 가장 가까운 관계인지는 불확실하다. 맬컴 로스는 이와이자어족이 아넘랜드어족이라는 보다 큰 어족의 일부분이라고 주장하였다.

6. 어휘

카펠은 1940년에 이와이자어족의 기본적인 어휘 항목을 나열했고,[11][12] 1940년과 1942년, 그리고 에반스(2000년)의 자료를 통해 기본 어휘 용어를 비교하였다.[13]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기본 어휘 비교"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기본 어휘 비교

카펠 (1940년)[11]은 이와이자어족 언어들의 기본적인 어휘 항목을 다음과 같이 나열하였다(아마라그 단어는 카펠 1942년[12] 자료).

카펠(1940년),[11] 카펠(1942년),[12] 에반스(2000년)[13]에서 수집된 기본 어휘 용어는 다음과 같다.

마웅어이와이저어아마라그어
남자arargbi|아라르그비mphwaːrgbi|와르그비ibdawuɭaɭu|아우룰라룰amg
여자waramuŋbig|와라뭉비그mphworaidjba|워라이드즈바ibdwuraidbaru|우라이드바루amg
머리wandji|완드지mphbagal|바갈ibdiwulja|이울자amg
won|원mphjaɽ|자르ibdwaliwu|왈리우amg
mulu|물루mphmul|물ibdwiːl|윌amg
ilagbiridj|일라그비리드mphɽagbiridj|르아그비리드ibdwiiŋara|윙아라amg
ŋaɽalg|응아르알그mphgaralg|가르알그ibdwiŋaril|윙아릴amg
gɔːrag|고라그mphgalal|갈랄ibdaɖigu|아디구amg
ijaɣig|이야이그mphgilir|길리르ibdigada|이가다amg
maniŋog|마닝오그mphmaniŋul|마닝울ibdmaniŋul|마닝울amg
캥거루aijaŋ|아이장mphjilbuwi|질부위ibdmalaijuwar|말라이주와르amg
주머니쥐wundäru|운다루mphmuŋarg|뭉아르그ibdwaŋguwu|왕구우amg
에뮤waramundubu|와라문두부mphganguɽg|강구르그amg
까마귀gɔragag|고라가그mphgumbulag|굼불라그ibdgubula|구불라amg
파리molg|몰그mphmoɭg|몰그ibdmulgulg|물굴그amg
mowan|모완mphmuwar|무와르ibdmänjidj|만지드amg
gorana|고라나mphguɽana|구르아나ibdgurana|구라나amg
juŋgu|중구mphgudjäli|구드잘리ibdgudjäli|구드잘리amg
연기wuŋain|웅아인mphguŋain|궁아인ibdguŋaṉ|궁안amg
wobaidj|워바이드mphwobaidj|워바이드ibdaɖawud|아다우드amg


참조

[1] 웹사이트 How Many Languages Were Spoken in Australia? http://anggarrgoon.f[...] 2011
[2] 서적 1998
[3] 서적 1998
[4] 서적 1998
[5] 웹사이트 Iwaidja People & Culture https://dobes.mpi.nl[...] 2021-07-08
[6] 웹사이트 Iwaidja https://dobes.mpi.nl[...] 2021-07-08
[7] 서적 1998
[8] 서적 1998
[9] 서적 1998
[10] 서적 1998
[11] 간행물 The Classification of Languages in North and North-West Australia https://glottolog.or[...] 1940
[12] 간행물 Languages of Arnhem Land, North Australia https://glottolog.or[...] 1941-1943
[13] 논문 Family Portrait - Iwaidjan a very un-Australian language family https://www.degruyte[...] 2000-01-01
[14] 서적 1998
[15] 서적 1998
[16] 서적 1998
[17] 서적 1998
[18] 문서
[19] 서적 1998
[20] 서적 1998
[21] 서적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