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유전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중 유전 이론(DIT)은 유전자와 문화의 진화가 호모 사피엔스의 진화에서 상호 작용했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DIT는 문화적 능력은 적응이며, 문화는 진화하고, 유전자와 문화는 공진화한다는 세 가지 주요 주장을 한다. DIT는 문화적 특성이 유전적 선택이 작용하는 사회적, 육체적 환경을 바꾸며, 농업과 낙농의 채택이 전분과 락토스의 효과적인 소화를 촉진하는 유전적 선택압을 가하는 것과 같은 사례를 제시한다. DIT는 문화가 개인의 두뇌에 저장된 사회적으로 학습된 정보이며, 문화의 진화는 자연 선택, 무작위 변동, 문화적 부동, 유도된 변이, 전달 편향 등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DIT는 사회학, 문화인류학, 인간 사회생물학, 진화 심리학, 인간 행동 생태학, 밈학, 진화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 있으며, 집단 선택이 문화적 진화에서 중요한 힘이 될 수 있다고 예측한다.
이중 유전 이론(DIT)은 인간의 진화가 유전적 진화와 문화적 진화의 상호작용으로 일어난다고 본다. DIT는 자연 선택에 의한 유전적 진화가 인간 행동 진화의 중요한 요소이며, 문화적 특성은 유전적 요인의 제약을 받는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유전적 진화가 인간에게 병행적인 문화 진화를 가져왔다고도 인정한다.[4]
문화는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의 뇌에 저장된 사회적으로 학습된 정보이다.[13] 이러한 문화관은 문화가 생성되고 유지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개체군적 사고를 강조한다. 또한, 문화를 개인이 따라야 하는 초유기체적 실체로 보는 관점과는 대조적으로, 문화를 개인의 역동적인 속성으로 간주한다.[14] 이 관점의 주요 장점은 개인 수준의 과정을 개체군 수준의 결과와 연결한다는 것이다.
유전자는 문화 학습에 대한 심리적 성향을 통해 문화 진화에 영향을 미친다.[102] 유전자는 인간의 뇌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많은 정보를 암호화하며, 뇌 구조를 제한하여 뇌가 문화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또한 유전자는 개인에게 특정 유형의 전달 편향을 부여할 수 있다.[15]
문화는 집단의 유전자 빈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문화적 특성은 유전적 선택이 작동하는 사회적,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농업과 낙농업의 문화적 채택은 인간에게 녹말과 락토스를 각각 소화하는 형질에 대한 유전적 선택을 일으켰다.[96][97][98][99][100][101]
2. 이론적 기반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876년에 "유인원에서 인간으로의 전환에서 노동이 수행한 역할"이라는 원고를 작성했는데, 이는 DIT의 창립 문서로 여겨진다.[56] 스티븐 제이 굴드는 이를 "19세기의 유전자-문화 공진화에 대한 최고의 사례"라고 묘사했다.[57] 인간 문화가 유전적 진화와 유사한 진화 과정을 거친다는 생각은 찰스 다윈에게서도 찾을 수 있다.[58]
1960년대에 도널드 T. 캠벨은 진화 이론의 원리를 문화의 진화에 적용한 최초의 이론적 연구를 발표했다.[59] 1976년,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는 대중에게 문화 진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소개했지만, 수학적 엄격성이 부족하여 DIT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같은 해, 유전학자 마커스 펠드먼과 루이지 루카 카발리-스포르차는 유전자-문화 공진화의 최초의 동적 모델을 발표했다.[60]
1980년대에는 DIT에 대한 후속 연구의 기초를 형성한 세 권의 책이 출판되었다. 찰스 럼스덴과 E. O. 윌슨의 ''유전자, 마음, 그리고 문화''[61]는 유전적 진화와 문화적 특징의 상호작용을 설명했지만, 문화적 메커니즘보다 유전적 메커니즘에 더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았다.[62] 루이지 루카 카발리-스포르차와 펠드먼의 ''문화적 전달과 진화: 정량적 접근''[36]은 수직적 전달, 사선적 전달, 수평적 전달 등 문화적 특징의 확산에 관한 수학적 이론을 구축했다. 로버트 보이드와 피터 리처슨의 ''문화와 진화적 과정''[63]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사회적 학습의 진화, 문화 학습 규칙, 편향된 전달 등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제시했다.
DIT는 세 가지 주요 주장을 제시한다.2. 1. 문화 능력은 적응이다
문화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인간의 능력은 유전적으로 진화한 심리적 기제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인간 종의 진화 과정에서 사회 학습의 한 유형이 축적된 문화 진화를 이끌어, 진화적으로 유리한 시점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95]
2. 2. 문화는 진화한다
사회 학습 과정은 문화 진화를 일으킨다. 문화 형질은 유전적 형질과는 다르게 전달되므로, 집단의 다른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인간 행동의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다.[95]
2. 3. 유전자와 문화는 함께 진화한다
DIT는 문화적 특성이 유전적 선택이 작동하는 환경을 변화시킨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농업과 낙농의 문화적 채택은 인간에게 녹말과 락토스를 소화하는 형질에 대한 유전적 선택을 일으켰다.[96][97][98][99][100][101] 문화가 적응력을 갖게 되면서 유전적 선택은 문화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인지 구조의 개선을 초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개선은 문화가 저장되는 방식과 전파를 지배하는 편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95]
DIT는 또한 특정 상황에서 문화 진화가 유전적으로 부적응적인 특성을 선택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 이러한 예시로 인구 전환이 있는데, 이는 산업화된 사회에서 출생률 감소를 설명한다. DIT는 인구 전환이 권위 편향의 결과일 수 있다고 가정하는데, 산업 사회에서 더 많은 영향력을 얻기 위해 생식을 포기하는 개인들이 문화적 모델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3. 문화에 대한 관점
문화는 개인의 뇌에 보존된 정보이며,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사회적 학습을 통해 타인의 뇌에 도달한다. 이러한 관점은 문화가 생성되고 유지되는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집단이 가진 사고를 강조한다. 또한 이 관점은 문화를 "개인이 따라야 할 초개체적인 실체"로 간주하는 표준적인 사회학의 관점과는 대조적으로, 문화를 개인의 동적인 속성으로 간주하여, 개체 수준의 프로세스와 집단 수준의 소산을 연결하기 쉽게 한다.
4. 문화 진화에 대한 유전적 영향
예를 들어, 단맛이 좋은 맛을 내고 젖은 것은 춥고 불쾌하다고 느끼는 것은 유전적으로 구성된 신경계의 구조가 결혼, 요리, 주거 건설과 같은 행동 습관이나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설명한다.
5. 유전 진화에 대한 문화적 영향
최근, 인간 게놈에 대한 자연 선택 분석 결과, 문명은 지난 10,000년 동안 인간의 유전적 변화를 가속화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5. 1. 락타아제 지속성
소를 기르고 우유를 섭취하는 문화는 락토스 소화 유전자 선택을 이끌었다. 북유럽이나 일부 아프리카 사회처럼 우유를 위해 소를 기른 오랜 역사를 가진 인간 집단에서 성인 젖당 흡수를 위한 유전자형이 널리 퍼졌다. 락테이스 지속성이 있는 지역에서는, 동물을 길들이면서 우유 공급원이 이용 가능하게 되었고, 따라서 스칸디나비아 인구의 락테이스 지속성에 대한 강력한 선택이 일어날 수 있다고 믿으며, 추정된 선택 계수는 0.09-0.19였다.[103] 이는 육류를 위해 소를 먼저 기르고 우유를 위해 나중에 소를 기르는 문화적 관행이 젖당 소화를 위한 유전적 특성을 선택하도록 이끌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반면 동아시아인이나 아메리카 원주민과 같이 낙농 습관이 없었던 다른 집단에서는 다른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이유기 이후에 락타아제의 생산을 중단하는 유전자형이 일반적이다.
5. 2. 음식 가공
음식 가공(빻기, 절이기, 요리)은 인간의 소화 기관 축소와 뇌 크기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요리는 음식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씹는 시간을 줄여주었으며, 그 결과 사냥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음식 가공 기술은 추가적인 문화 혁신을 위한 정신적 능력을 이끌어냈다.[5][6][7][8][9][10]
6. 문화 진화의 메커니즘
이중 유전 이론(DIT)에서 문화의 진화와 유지는 다섯 가지 주요 메커니즘으로 설명된다.
- '''문화적 변이의 자연 선택''': 개인 간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특정 문화적 변이가 더 쉽게 채택되는 현상이다.
- '''무작위 변동''': 문화 정보의 학습, 제시, 회상 과정에서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변이이다.
- '''문화적 부동''': 생물학적 진화에서의 유전적 부동과 유사하게, 문화적 특징이 인간 집단 사이에서 무작위적인 편향으로 인해 빈도가 변동하는 현상이다. 인구가 적을수록 크게 발생한다.
- '''유도된 변이''': 개인의 학습 과정을 통해 집단에 정착되는 문화적 특징으로, 적응적인 기준에 의존한다.
- '''전달 편향''': 문화적 특징이 개인 간에 전달될 때, 개인의 선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1970년대 이후 DIT 연구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보이드와 리처드슨(Boyd and Richerson 1985)은 여러 전달 편향을 정의하고 분석적으로 모델링했다.
전달 편향은 내용 편향과 상황 편향으로 나뉜다.
- '''내용 편향''': 문화적 변이의 내용 자체가 받아들여지기 쉬운가에 따라 발생하는 편향이다. 유전적 선호나 기존의 문화적 선호, 또는 그 둘 모두에 의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음식 선호는 당분이나 지방을 선호하는 유전적 선호와 금기나 습관을 문화적으로 학습함으로써 결정된다. '직접적인 편향'이라고도 한다.
- '''상황 편향''': 개인이 어떤 문화를 받아들일지를 판단할 때, 소속 집단의 사회 구조를 고려하여 발생하는 편향이다. 문화적 변이 내용과는 관계없이 발생하며, 모델 기반 편향과 빈도 의존 편향으로 나뉜다.
- '''모델 기반 편향''': 특정 "문화 모델"을 선택할 때의 편향으로, 명성, 기술, 성공, 유사성 편향이 있다.
- '''명성 편향''': 더 큰 명성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는 문화적 변이가 모방되고 채택된다.
- '''기술 편향''': 다른 문화 모델이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직접 보고, 더 잘 작동할 것 같은 기술을 모방한다.
- '''성공 편향''': 특정 기술뿐 아니라, 더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문화 모델을 모방한다.
- '''유사성 편향''': 현재 자신의 특징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 문화 모델을 모방한다.
- '''빈도 의존 편향''': 집단 내에서 인정되는 빈도를 기반으로 특정 문화적 변이가 선택되는 편향이다. '복종 편향'과 '희소성 편향'이 있다.
- '''복종 편향''': 평균적이거나 평균 이상으로 존재하는 문화적 변이를 선택한다.
- '''희소성 편향''': 드문 문화적 변이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며, '비협조적 편향'이라고도 한다.
6. 1. 문화적 변이에 대한 자연 선택
개인 간의 문화적 변이('''문화적 변이''')는 개인 간의 성공률 차이를 만들어낸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문화적 변이는 다른 사람들에게 채택되기 쉬워진다. 이 선택적 과정은 전달 편향과도 관련이 있으며, 각자의 환경에 적응한 행동, 습관을 만들어낸다.[87]6. 2. 무작위 변동
문화 정보의 학습, 표시, 회상 과정에서 생기는 오류 때문에 무작위 변이가 발생하며, 이는 돌연변이와 비슷하다.[87]6. 3. 문화적 부동
문화적 부동은 진화 생물학의 유전적 부동과 유사한 과정이다.[35][36][37] 집단 내 문화적 특성의 빈도는 어떤 특성이 관찰되고 전파되는지에 대한 우연적 변동으로 인해 무작위적인 변동을 겪을 수 있다.[38] 이러한 변동으로 인해 문화적 변이가 집단에서 사라질 수 있으며, 이 효과는 특히 소규모 집단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Hahn과 Bentley의 모델에 따르면 문화적 부동은 미국 아기 이름의 유행 변화를 잘 보여준다.[38] 부동 과정은 고고학적 도자기 및 기술 특허 출원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도 제시되었으며,[37] 명금류의 노래 변화 역시 부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서로 다른 집단에서 뚜렷한 방언이 발생하는 것은 노래하는 새의 노래와 후대에서 습득하는 과정에서의 오류 때문이다.[39] 문화적 부동은 문화 진화의 초기 컴퓨터 모델에서도 관찰된다.[40]6. 4. 유도된 변이
개인은 학습 과정을 통해 문화적 특성을 획득하고, 획득한 특성은 집단의 다른 구성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유도된 변이는 어떤 문화적 변이가 학습되는지를 결정하는 적응적 기준에 의존한다.[87]6. 5. 편향된 전달
유전자는 문화 학습에 대한 심리적 소인을 통해 문화 진화에 영향을 미친다.[102] 1970년대부터 이중 유전 이론에서는 개인이 문화적 특성을 전달하는 다양한 방식을 이해하는 것을 중요하게 다루었다.[41][42] 전달 편향은 문화적 전파 과정에서 일부 문화 변이가 다른 변이보다 선호될 때 발생한다. 보이드와 리처드슨(Boyd and Richerson 1985)은 여러 가능한 전달 편향을 정의하고 분석적으로 모델링했으며, 이 목록은 헨리치와 맥엘리스에 의해 정교화되었다.[43]전달 편향에는 내용 편향과 맥락 편향 등이 있다.
6. 5. 1. 내용 편향
내용 편향은 문화 변형 내용의 일부 측면으로 인해 채택될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상황에서 발생한다.[44] 내용 편향은 유전적 선호, 기존의 문화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선호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 선호도는 설탕이나 지방이 많은 음식에 대한 유전적 선호와 사회적으로 학습된 식습관 및 금기 사항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44] 내용 편향은 때때로 "직접 편향"이라고도 한다.6. 5. 2. 맥락 편향
맥락 편향은 개인이 어떤 문화적 변이를 채택할지 결정하기 위해 해당 인구의 사회 구조에 대한 단서를 사용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결정은 변이의 내용과 관계없이 이루어진다. 맥락 편향에는 모델 기반 편향과 빈도 의존 편향이라는 두 가지 주요 범주가 있다.7. 사회 학습과 누적 문화 진화
분석 모델에 따르면, 사회 학습은 환경 변화가 빠를 때 진화적으로 유리하다. 누적 문화는 관찰 학습에 의존하며, 인간, 일부 조류, 침팬지에게서만 발견된다.[14]
마이클 토마셀로는 인간이 타인을 정신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기 위한 인지적 구조를 발달시켰을 때 시작된 "래칫 효과"를 통해 누적 문화 진화가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토마셀로는 1980년대에 인간과 대형 유인원 사이에서 발견되는 관찰 학습 메커니즘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대형 유인원의 습관과 인간형 문화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14]
8. 문화적 집단 선택
집단 선택은 유전적 진화에서는 중요하지 않다고 여겨지지만, 이중 유전 이론(DIT)에서는 문화적 유전의 특성 때문에 문화적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이는 순응 편향 때문인데, 순응 편향은 새로운 문화적 특성이 집단 내에 퍼지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집단 간의 문화적 차이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52] 이러한 특성은 유전적 전달에서는 드물지만, 집단 선택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52]
루이지 루카 카발리-스포르차와 마커스 펠드먼의 초기 연구를 바탕으로,[53] 보이드와 피터 리처슨은 사회적 학습을 통해 특성이 확산될 때 순응 편향이 거의 불가피하며, 이는 문화적 진화에서 집단 선택이 흔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뉴기니의 소규모 집단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문화적 집단 선택은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보다는 사회 구조의 천천히 변화하는 측면에 대한 설명에 더 적합하다.[54] 문화적 진화가 집단 간 다양성을 유지하는 능력은 문화 계통학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55]
9. 다른 분야와의 관계
이중 유전 이론(DIT)은 유전적 진화와 문화적 진화가 상호작용하여 호모 사피엔스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DIT는 인간 행동의 진화에서 유전형질의 자연 선택이 중요하며, 문화적 특성이 유전적 필요성에 의해 제한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유전적 진화가 인류에게 문화적 진화라는 별도의 진화 과정을 부여했다고도 주장한다.[95]
리아네 가보라는 DIT를 비판하며, 자기 조립 코드(유전적 진화에서와 같이)로 전달되지 '않는' 특성을 사용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주장한다.[80][81][82][83] 리처드 르원틴,[84] 나일스 엘드리지,[85] 스튜어트 커프먼도 문화와 진화를 함께 구성하려는 노력에 대해 비판을 제기했다.[86]
DIT는 사회학, 문화인류학, 사회생물학, 진화심리학, 인간 행동 생태학, 밈학, 진화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되어 논의되고 있다.
9. 1. 사회학 및 문화인류학
사회학과 문화인류학에서는 인간의 문화와 문화의 다양성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그러나 이중 유전 이론(DIT) 이론가들은 이 두 분야가 문화를 인간 행동을 지시하는 초개체적인 실체로 지나치게 간주한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문화가 집단이 공유하는 특징의 집합으로 규정되고, 개인 수준의 문화적 다양성은 무시된다고 비판한다. 이는 DIT와 명확히 대조된다. DIT는 개인 수준에서 문화를 모델링하며, 더 나아가 집단 수준에서의 역동적인 진화적 과정의 결과로 해석한다.9. 2. 인간 사회생물학 및 진화 심리학
사회생물학자들과 진화심리학자들은 현재 또는 과거 환경에서 유전적 적합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인간 행동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이해하려 한다. 이들은 부적응적으로 보이는 특성에 직면했을 때, 그 특성이 실제로 어떻게 유전적 적합성을 증가시키는지 (혈연 선택을 통해 또는 초기 진화 환경에 대해 추측함으로써) 파악하려 한다. 반면, 이중 유전 이론가들은 유전자에 대한 자연 선택 외에도 다양한 유전적 및 문화적 과정을 고려한다.[95]9. 3. 인간 행동 생태학
인간 행동 생태학(HBE)과 이중 유전 이론은 생물학에서 생태학과 진화생물학이 갖는 관계와 유사하다. 인간 행동 생태학은 생태학적 과정에 더 관심이 있고, 이중 유전 이론은 역사적 과정에 더 집중한다.[78] 인간 행동 생태학자들은 종종 문화가 주어진 환경에서 가장 적응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시스템이라고 가정한다. 이는 유사한 행동 전통이 유사한 환경에서 발견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프리카 문화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문화적 특성을 예측하는 데 있어 지역 생태적 조건보다 문화사가 더 나은 예측 변수였다.[79]9. 4. 밈학
밈학은 리처드 도킨스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 설명된 밈 개념에서 비롯되었으며, 문화를 유전적 전달과는 별개의 진화 과정으로 본다는 점에서 이중 유전 이론과 유사하다. 그러나 밈학과 이중 유전 이론 사이에는 몇 가지 철학적 차이점이 있다.[13]밈학은 개별 복제자(밈)의 선택 잠재력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이중 유전 이론은 비복제자와 비개별 문화적 변이의 전달을 모두 허용한다. 이중 유전 이론은 누적적 적응 진화에 복제자가 필요하다고 가정하지 않으며, 문화적 진화 능력을 형성하는 데 유전적 유전의 역할을 더 강조한다.
가장 큰 차이점은 학문적 계보의 차이이다. 밈학이라는 용어는 학계보다는 대중 문화에서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밈학 비판가들은 밈학이 경험적 지지가 부족하거나 개념적으로 근거가 부족하다고 주장하며 밈학 연구 프로그램의 성공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반면 지지자들은 많은 문화적 특징이 개별적이며, 기존의 많은 문화 유전 모델이 개별 문화 단위를 가정하므로 밈을 포함한다고 지적한다.
9. 5. 진화경제학/진화사회과학
진화경제학 또는 진화사회과학의 일부에서는 이중 상속 이론을 이타적 행동의 기초로 삼으려는 움직임이 보인다[89]。 리처슨(Richerson)과 보이드(Boyd)는 진화 이론과 인간 이외의 영장류에게서 그러한 행동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이타적 행동은 유전자만으로는 진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90]。 그들은 문화 진화가 인간 사회에 공감적 이타성을 진화시키는 환경을 만들었다고 생각한다[91]。10. 비판
이중 상속 이론은 자기 조립 코드(유전적 진화)에 의해 전달되지 '않는' 특성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비판받는다. 리처드 르원틴, 나일스 엘드리지, 스튜어트 카우프만 등이 이러한 비판을 제기했다.[62]
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of Terms
http://anthro.paloma[...]
2012-10-28
[2]
논문
Exploring gene–culture interactions: insights from handedness, sexual selection and niche-construction case studies
2008-11-12
[3]
논문
Variation and selective retention in socio-cultural evolution
1965
[4]
서적
Oxford Handbook of Evolutionary Psychology
2012
[5]
논문
Primary adult lactose intolerance and the milking habit: A problem in biologic and cultural interrelations: I. Review of the medical research
[6]
논문
Primary adult lactose intolerance and the milking habit: A problem in biologic and cultural interrelations: II. A culture historical hypothesis
[7]
서적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human gen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evolution of lactose digestion in adults
[9]
서적
Coevolution: Genes, culture and human divers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0]
논문
Diet and the evolution of human amylase gene copy number variation
2007-10
[11]
서적
Culture; A Critical Review of Concepts and Definitions.
Harvard University
[12]
서적
Anthropology Beyond Culture
Berg
[13]
서적
Darwinizing CultureThe Status of Memetics as a Science
2001
[14]
서적
Science Studies
2001
[15]
논문
Promise and Challenges Surrounding Culture–Gene Coevolution and Gene–Culture Interactions
[16]
논문
The Origins of Lactase Persistence in Europe
2009-08-28
[17]
논문
High frequency of lactose intolerance in a prehistoric hunter-gatherer population in northern Europe
2010-12
[18]
웹사이트
Maps
http://www.ucl.ac.uk[...]
2017-03-27
[19]
논문
How long have adult humans been consuming milk?: Consumption of Milk and Dairy Products
2013-12
[20]
논문
Genetic Signatures of Strong Recent Positive Selection at the Lactase Gene
2004-06
[21]
서적
The 10,000 Year Explosion: How Civilization Accelerated Human Evolution
Basic Books
2009
[22]
논문
The Expensive-Tissue Hypothesis: The Brain and the Digestive System in Human and Primate Evolution
1995-01-01
[23]
논문
Metabolic constraint imposes tradeoff between body size and number of brain neurons in human evolution
2012-11-06
[24]
논문
Cooking Up Bigger Brains
[25]
논문
The effect on digestibility of methods commonly used to increase the tenderness of lean meat
1956-05
[26]
서적
The Secret of Our Success: How Culture Is Driving Human Evolution, Domesticating Our Species, and Making Us Smart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27]
논문
The energetic significance of cooking
http://nrs.harvard.e[...]
2009-10
[28]
논문
Energetic consequences of thermal and nonthermal food processing
2011-11-29
[29]
Youtube
CARTA: The Evolution of Human Nutrition -- Richard Wrangham: Fire Starch Meat and Honey
https://www.youtube.[...]
2013-03-21
[30]
논문
Consequences of a Long-Term Raw Food Diet on Body Weight and Menstruation: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1999
[31]
논문
Human Brain Expansion during Evolution Is Independent of Fire Control and Cooking
2016-04-25
[32]
웹사이트
06.14.99 - Meat-eating was essential for human evolution, says UC Berkeley anthropologist specializing in diet
http://www.berkeley.[...]
2017-03-27
[33]
논문
Impact of meat and Lower Palaeolithic food processing techniques on chewing in humans
2016-03-24
[34]
논문
On the earliest evidence for habitual use of fire in Europe
2011-03-29
[35]
논문
Cultural Drift: A Primary Process of Culture Change
[36]
서적
Cultural Transmission and Evolution: A Quantitative Approach
Princeton University Press
[37]
논문
Random drift and culture change
2004-07-22
[38]
논문
Drift as a mechanism for cultural change: An example from baby names
http://www.duke.edu/[...]
[39]
서적
Encyclopedia of Animal Behavior
2010
[40]
Preprint
Meme and Variations: A Computer Model of Cultural Evolution
2013
[41]
논문
Cultural and biological evolutionary processes, selection for a trait under complex transmission
[42]
논문
The evolution of continuous variation: II, complex transmission and assortive mating
[43]
논문
The evolution of cultural evolution
2003-01
[44]
서적
Oxford Handbook of Evolutionary Psychology
2012
[45]
논문
The evolution of cultural evolution
2003-01
[46]
문서
"Climate, culture, and the evolution of cognition. In C.M. Heyes and L. Huber, (Eds), ''The Evolution of Cognition.'' Massachusetts: MIT Press."
C.M. Heyes and L. Huber
2000
[47]
논문
Carving the Cognitive Niche: Optimal Learning Strategies in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Environments
2003-01
[48]
서적
Perspectives in Ethology
[49]
서적
Adaptation and Natural Selection: A Critique of Some Current Evolutionary Though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2
[50]
서적
Evolution Through Group Selection
Blackwell
1986
[51]
논문
Group selection and kin selection
[52]
논문
Theories of kin and group selection: a population genetics perspective
[53]
논문
Models for cultural inheritance. I. Group mean and within group variation
[54]
논문
Can Group-Functional Behaviors Evolve by Cultural Group Selection?: An Empirical Test
1995-06
[55]
서적
The Evolution of Cultural Diversity
2016
[56]
서적
Marx's Ecology: Materialism and Nature
Monthly Review Press
[57]
서적
An Urchin in the Storm
W.W. Norton
[58]
서적
The descent of man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sex
American Home Library
1874
[59]
문서
Variation and selective retention in socio-cultural evolution
Schenkman Publishing Company
1965
[60]
논문
Cultural and biological evolutionary processes, selection for a trait under complex transmission
[61]
서적
Genes, Mind and Culture: The Coevolutionary Proce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62]
논문
The cultural transmission of acquired variation: effects on genetic fitness
[63]
논문
What Can Archaeology Do With Boyd and Richerson's Cultural Evolutionary Program?
2005
[64]
서적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ultur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65]
논문
The synthesizer
http://seedmagazine.[...]
[66]
문서
Herb Gintis Amazon.com review
https://www.amazon.c[...]
[67]
논문
Applying evolutionary models to the laboratory study of social learning
2005-11
[68]
논문
Conformists and mavericks: the empirics of frequency-dependent cultural transmission
https://www.zora.uzh[...]
2008-01
[69]
논문
Cultural evolution in laboratory microsocieties including traditions of rule giving and rule following
2004-09
[70]
서적
Foundations of Human Sociality
2004
[71]
논문
Social Learning and the Maintenance of Cultural Variation: An Evolutionary Model and Data from East Africa
2004-06
[72]
논문
A framework for the unification of the behavioral sciences
2007-02
[73]
논문
A framework for the unification of the behavioral sciences
2007-02
[74]
서적
The Adapted Mind: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Generation of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75]
서적
Religion Explained: The Evolutionary Origins of Religious Thought
Basic Books
2001
[76]
서적
Explaining Culture: A Naturalistic Approach
Blackwell
1996
[77]
서적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culture
The Adapted Mind
1992
[78]
논문
Three Styles of Darwinian Evolution in the Analysis Of Stone Artefacts: Which One to Use in Mainland Southeast Asia?
2008-12
[79]
논문
Cultural variation in Africa: role of mechanisms of transmission and adaptation.
1995-08
[80]
논문
The cultural evolution of socially situated cognition
2008-03
[81]
논문
Five Clarifications about Cultural Evolution
2011
[82]
웹사이트
How a generation was misled about natural selection
http://www.psycholog[...]
2011-05
[83]
논문
An evolutionary framework for culture: Selectionism versus communal exchange.
2013
[84]
논문
Does culture evolve?
1999
[85]
논문
Phylogenetics and material cultural evolution
2007
[86]
논문
Darwinism, neoDarwinism, and the autocatalytic model of culture: Commentary on Origin of Culture
http://www.cogsci.ec[...]
1999
[87]
서적
Not by Genes Alone: How Culture Transformed Human Evol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88]
서적
ゲーム理論による社会科学の統合
NTT出版
2011
[89]
서적
A Cooperative Species: Human REciprocity and Its Evolution
Princeton Unuversity Press
2011
[90]
서적
Not by Genes Alone: How Culture Transformed Human Evol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91]
문서
Ibid.
[92]
웹인용
Glossary of Terms
http://anthro.paloma[...]
2012-10-28
[93]
서적
Not By Genes Alone: How Culture Transformed Human Evolution
http://www.press.uch[...]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94]
간행물
Variation and selective retention in socio-cultural evolution
1965
[95]
서적
Oxford Handbook of Evolutionary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96]
간행물
Primary adult lactose intolerance and the milking habit: A problem in biologic and cultural interrelations: I. Review of the medical research
1969
[97]
간행물
Primary adult lactose intolerance and the milking habit: A problem in biologic and cultural interrelations: II. A culture historical hypothesis
1970
[98]
서적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human gen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99]
간행물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evolution of lactose digestion in adults
1997
[100]
서적
Coevolution: Genes, culture and human divers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101]
문서
Diet and the evolution of human amylase gene copy number variation
[102]
간행물
Promise and Challenges Surrounding Culture–Gene Coevolution and Gene–Culture Interactions
2013
[103]
간행물
Genetic Signatures of Strong Recent Positive Selection at the Lactase Gene
[106]
서적
Adaptation and Natural Selection: A Critique of Some Current Evolutionary Though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7]
서적
Evolution Through Group Selection
Blackwell
[108]
논문
Group selection and kin selection
[109]
논문
Theories of kin and group selection: a population genetics perspect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