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창조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창조 신화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세계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다양한 신화들을 포괄한다. 이 신화들은 공통적으로 생명이 없는 혼돈의 물인 누에서 세계가 시작되었고, 피라미드 형태의 언덕인 벤벤이 물에서 처음 나타났다고 묘사한다. 태양신 라 또는 케프리가 언덕에서 처음 떠올랐으며, 우주 알이 등장하는 변형도 존재한다. 헬리오폴리스, 헤르모폴리스, 멤피스, 테베 등 지역별로 창조 신화가 존재하며, 각 도시의 주요 신을 중심으로 세계 창조 과정을 다르게 설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신화 - 앙크
앙크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유래한 '생명'을 의미하는 상징으로, 기원전 30세기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기원 해석이 존재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생명의 순환을 상징하며 종교와 예술에 널리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장신구 등으로 활용된다. - 이집트 신화 - 피라미드 텍스트
피라미드 텍스트는 고대 이집트 피라미드 내부 벽면에 새겨진 상형 문구 모음으로, 파라오의 사후 세계로의 안전한 여행과 영생을 기원하는 주문, 의례, 신화 등을 담고 있으며, 가스통 마스페로에 의해 최초 발견되어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 창조 신화 - 몽환시
몽환시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세계관, 창조 신화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세상과 만물이 창조된 시대를 의미하며 조상들의 행적과 그들이 남긴 법과 관습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시간 개념을 가진다. - 창조 신화 -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인간에게 불을 선물하고 제우스에게 반항한 티탄 신으로, 문명 발전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고난을 겪었으며, 다양한 예술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치고 현대 사회에서 저항과 진보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이집트 창조 신화 | |
---|---|
개요 | |
유형 | 창조 신화 |
지역 | 고대 이집트 |
관련 항목 | 이집트 신화, 창조주의 |
주요 신 | |
창조의 신 | 아툼, 프타, 네이트, 아문 |
그 외 주요 신 | 라, 누, 토트, 마아트 |
신화 내용 | |
주요 내용 | 혼돈에서 질서의 창조 태양신 라의 탄생 인간과 동물의 창조 나일강의 중요성 파라오의 역할 |
아툼 신화 | 스스로 존재하게 된 아툼이 자신의 정액 또는 눈물에서 최초의 신들을 창조 |
프타 신화 | 프타의 마음(지성)과 말(창조력)을 통해 세계가 창조 |
네이트 신화 | 모든 것의 어머니, 스스로 존재하며 세계를 창조 |
아문 신화 | 숨겨진 존재 아문이 자신의 의지로 세계를 창조 |
특징 | |
다신교 | 여러 창조 신화 존재 |
인간 중심적 | 인간의 역할 강조 |
자연 숭배 | 자연 현상을 신성시 |
중요성 | |
문화적 영향 | 이집트인의 세계관 형성 예술과 건축에 영감 제공 종교 의례의 근간 |
현대적 의의 | 인간과 세계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
2. 공통 요소
아툼은 기침을 하여 공기와 공간의 신인 슈와 습기의 여신인 테프누트를 낳았다. 슈와 테프누트는 결혼하여 대지의 신인 게브와 하늘의 여신인 누트를 낳았다. 게브와 누트는 결혼하였는데, 토트로부터 누트의 자식이 하늘의 주인이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들은 라는 이를 시기하여 게브(땅)와 누트(하늘) 사이에 슈(공기)를 두어 1년 360일 동안 서로 만나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나 누트의 부탁을 받은 토트가 달의 신 콘수와 내기를 하여 달의 빛을 얻었고, 그 빛으로 5일 동안 세상을 비추어 그 5일 동안 게브와 누트는 5명의 자식을 낳았다. 이후 1년은 365일이 되었으며, 항상 보름달이었던 달은 달의 빛을 잃어 주기적으로 변하게 되었다. 그 5명의 자식들이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 대(大)호루스(''후대의 신 호루스와 구별하기 위하여 붙은 이름이다.'')이다.[1][2][3][4][5][6][7]
이집트 우주론의 또 다른 공통 요소는 우주 알이며, 태고의 물이나 태고의 언덕을 대신하기도 한다. 우주 알 버전의 한 변형은 태양신이 태고의 힘으로서 태고의 바다의 혼돈 속에 서 있는 태고의 언덕에서 나타났다고 설명한다.
2. 1. 혼돈의 물, 누
태초에 혼돈의 암흑 바다(무저갱(Abyss), 혹은 나일강) 누가 있었다. 어느 날 바다로부터 벤벤이라는 언덕이 솟아 올랐고, 그 언덕에서 아툼이 스스로 존재하여 최초의 신이 되었다. 아툼이 태어난 후 최초로 누 위에 빛을 만들었으며, 이는 태양신 라가 되었다.[1]
여러 신화들은 몇 가지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모두 세계가 누라고 불리는 생명이 없는 혼돈의 물에서 생겨났다고 믿었다. 또한 물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것인 벤벤이라고 불리는 피라미드 모양의 언덕을 포함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매년 나일강의 범람에 의해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물이 빠지면 비옥한 토양이 생겨났고, 이집트인들은 이것을 태고의 혼돈에서 생명이 나타나는 것과 동일시했을 것이다. 피라미드 모양의 언덕의 이미지는 강이 물러가면서 나타나는 가장 높은 흙 언덕에서 유래되었다.
2. 2. 최초의 언덕, 벤벤
태초에 혼돈의 암흑 바다(무저갱, 혹은 나일강) 누가 있었다. 어느 날 바다로부터 벤벤이라는 언덕이 솟아 올랐고, 그 언덕에서 아툼이 스스로 존재하여 최초의 신이 되었다. 아툼은 누위에 최초로 빛을 만들었으며, 이는 태양신 라가 되었다.[1]이집트 신화들은 몇 가지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다. 모든 신화에서 세계는 누라고 불리는 생명이 없는 혼돈의 물에서 생겨났다고 믿었다. 또한, 물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벤벤''이라고 불리는 피라미드 모양의 언덕이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매년 나일강의 범람에 의해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물이 빠지면 비옥한 토양이 생겨났고, 이집트인들은 이것을 태고의 혼돈에서 생명이 나타나는 것과 동일시했을 것이다. 피라미드 모양의 언덕 이미지는 강물이 물러가면서 나타나는 가장 높은 흙 언덕에서 유래되었다.
태양 또한 창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고, 일반적인 태양신 라 또는 새로 떠오르는 태양을 나타내는 신 케프리로서 언덕에서 처음 떠올랐다고 한다. 태양이 나타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버전이 있었는데, 언덕에서 직접 나타났거나, 언덕에서 자란 연꽃에서 왜가리, 매, 풍뎅이 또는 인간 아이의 형태로 나타났다고 한다.
2. 3. 태양신의 탄생
태초에 혼돈의 암흑 바다(무저갱, 혹은 나일강) 누가 있었다. 어느 날 바다로부터 벤벤이라는 언덕이 솟아 올랐고, 그 언덕에서 아툼이 스스로 존재하여 최초의 신이 되었다. 그가 태어난 후 최초로 누 위에 빛을 만들었으며, 이는 태양신 라가 되었다. 라는 혼자 법과 정의, 조화, 지혜의 여신 마트를 낳았으며, 마트 그녀 자신이 우주 창조 법칙이 되었다. 이로써 창조신인 '''아툼'''과 최초의 빛이자 태양의 신 '''라''' 그리고 우주 창조 법칙인 '''마트'''는 삼위일체를 이루었으며, 이집트인들의 창세 신화의 기반이 된다.다양한 신화는 몇 가지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모두 세계가 누라고 불리는 생명이 없는 혼돈의 물에서 생겨났다고 믿었다. 또한 그들은 물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것인 벤벤이라고 불리는 피라미드 모양의 언덕을 포함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매년 나일강의 범람에 의해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물이 빠지면 비옥한 토양이 생겨났고, 이집트인들은 이것을 태고의 혼돈에서 생명이 나타나는 것과 동일시했을 것이다. 피라미드 모양의 언덕의 이미지는 강이 물러가면서 나타나는 가장 높은 흙 언덕에서 유래되었다.
태양 또한 창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고, 일반적인 태양신 라 또는 새로 떠오르는 태양을 나타내는 신 케프리로서 언덕에서 처음 떠올랐다고 한다. 태양이 나타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버전이 있었고, 언덕에서 직접 나타났거나, 언덕에서 자란 연꽃에서 왜가리, 매, 풍뎅이 또는 인간 아이의 형태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집트 우주론의 또 다른 공통 요소는 우주 알의 친숙한 모습으로, 태고의 물이나 태고의 언덕을 대신한다. 우주 알 버전의 한 변형은 태양신이 태고의 힘으로서 태고의 바다의 혼돈 속에 서 있는 태고의 언덕에서 나타났다고 가르친다.
3. 지역별 창조 신화
이집트의 주요 도시인 헤르모폴리스, 헬리오폴리스, 멤피스, 테베는 각 도시의 신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창조 신화를 가지고 있었다. 이 신화들은 경쟁적인 측면도 있지만, 창조 과정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기도 한다.[1]
도시 | 주요 신 | 창조 신화 특징 |
---|---|---|
헤르모폴리스 | 옥도아드 (여덟 신) | 혼돈의 물에서 세상을 창조 |
헬리오폴리스 | 아툼 | 스스로 태어나 여러 신을 낳고 세상을 창조 |
멤피스 | 프타 | 말씀과 마음으로 세상을 창조 (지적인 창조) |
테베 | 아문 | 만물의 근원, 다른 신들은 아문의 일부분 |
3. 1. 헬리오폴리스 창조 신화
태초에 혼돈의 암흑 바다(무저갱, 혹은 나일강) 누가 있었다. 어느 날 바다로부터 벤벤이라는 언덕이 솟아 올랐고, 그 언덕에서 아툼이 스스로 존재하여 최초의 신이 되었다. 그는 태양신 라가 되어 누 위에 빛을 만들었다. 라는 법과 정의, 조화, 지혜의 여신 마트를 낳았으며, 마트는 우주 창조 법칙이 되었다. 이로써 창조신 '''아툼''', 태양의 신 '''라''', 우주창조법칙 '''마트'''는 삼위일체를 이루었다.[1][2][3][4][5][6][7]아툼은 기침을 하여 공기와 공간의 신인 슈와 습기의 여신인 테프누트를 낳았다. 슈와 테프누트는 결혼하여 대지의 신 게브와 하늘의 여신 누트를 낳았다. 게브와 누트는 결혼하여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를 낳았다. 이 아홉 신들은 엔네아드로 묶였다.[1][2][3][4][5][6][7]
헬리오폴리스에서 창조는 아툼에게 기인하며, 그는 누의 물에서 잠재적인 존재로 있었다고 한다. 아툼은 스스로 태어난 신으로, 세상의 모든 요소와 힘의 근원이었다. 헬리오폴리스 신화는 그가 단일 존재에서 다수의 요소로 "진화"하는 과정을 묘사했다. 이 과정은 아툼이 언덕에 나타나 슈와 테프누트를 낳으면서 시작되었으며, 그들의 존재는 물 속에서 공간이 나타나는 것을 나타냈다. 아툼은 자위를 통해 이들을 낳았다고 하며, 이때 사용한 손은 그 안에 내재된 여성 원리를 나타낸다. 그는 또한 슈와 테프누트를 낳기 위해 "재채기"하고 "뱉었다"고도 한다. 슈와 테프누트는 결합하여 게브와 누트를 낳았다. 게브와 누트는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를 낳았다.
3. 2. 헤르모폴리스 창조 신화

헤르모폴리스에서 유포된 창조 신화는 세상이 창조되기 전 우주의 본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원시 물의 본질적인 특성은 옥도아드라고 불리는 여덟 신의 집합으로 표현되었다. 여신 나오네트와 그녀의 남성 대응신 누는 정체된 원시 물 자체를 나타냈고, 후와 그의 대응신 하우헤트는 물의 무한한 범위를 나타냈으며, 케크와 카우케트는 그 안에 존재하는 어둠을 의인화했고, 아문과 아마우네트는 살아있는 유형의 세계와는 대조적으로 숨겨지고 알 수 없는 본성을 나타냈다.[1] 원시의 물 자체가 창조 과정의 일부였기 때문에 그것들을 대표하는 신들은 창조신으로 간주될 수 있었다. 신화에 따르면, 여덟 신은 원래 남성과 여성 그룹으로 나뉘었다.[2] 그들은 물 안에 살았기 때문에 수생 생물로 상징적으로 묘사되었다. 남성은 개구리로, 여성은 뱀으로 표현되었다.[3] 이 두 그룹은 결국 수렴되어 거대한 격변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피라미드 형태의 언덕이 생겨났다. 그곳에서 태양이 솟아올라 하늘로 올라가 세상을 비추었다.[4]
3. 3. 멤피스 창조 신화
멤피스 창조 신화는 장인들의 수호신인 프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프타는 완성된 제품을 구상하고, 원자재를 가공하여 그 제품을 만들어내는 장인의 능력을 상징했다. 멤피스 신학은 프타가 이와 유사하게 세상을 창조했다고 말한다.[1] 이는 다른 이집트 창조 신화와 달리, 물리적인 창조가 아닌 신의 '말씀'과 '마음'에 의한 지적인 창조였다.[2] 이집트인들이 인간 사고의 자리로 여겼던 프타의 마음속에서 발전된 아이디어는 그가 혀로 그것들의 이름을 지을 때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프타는 이러한 이름들을 말함으로써 신들과 다른 모든 것들을 만들어냈다.[3]멤피스 창조 신화는 헬리오폴리스의 창조 신화와 공존했는데, 프타의 창조적인 생각과 말이 아툼과 엔네아드의 형성을 일으켰다고 믿었기 때문이다.[4] 프타는 또한 피라미드 언덕을 의인화한 신인 타트제넨과도 연관되었다.[5]
3. 4. 테베 창조 신화
테베 신학은 아문이 단순히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일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의 숨겨진 힘이라고 주장했다. 모든 창조 개념이 아문의 인격으로 융합되었고, 이는 아문이 "하늘 너머, 지하 세계보다 더 깊은" 존재로 다른 모든 신들을 초월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종합이다.[1] 한 테베 신화는 아문의 창조 행위를 거위의 울음소리에 비유했는데, 이는 태초의 물의 고요함을 깨뜨리고 오그도아드와 엔네아드를 형성하게 했다.[2] 아문은 세상과 분리되어 있었고, 그의 진정한 본성은 다른 신들에게조차 감춰져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궁극적인 창조의 근원이기 때문에 다른 창조신을 포함한 모든 신들은 단순히 아문의 측면이었다. 이러한 믿음 때문에 아문은 결국 이집트 다신교의 최고 신이 되었다.[3]아문은 테베가 주요 종교 수도로 성장하는 것과 동의어이다. 그러나 아문의 우월성에 대한 진정한 인상을 얻기 위해서는 테베 신전의 기둥이 늘어선 홀, 오벨리스크, 거대한 조각상, 벽 부조, 상형 문자 비문을 살펴보아야 한다. 테베는 시간의 시작에 태초의 언덕이 나타난 장소로 여겨졌다.[4]
참조
[1]
서적
Myth and Symbol in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1993
[2]
서적
Egyptian Myths
British Museum Press
1997
[3]
서적
Conceptions of God in Ancient Egypt
Cornell Paperbacks
1996
[4]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6
[5]
서적
The Gods and Symbol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1995
[6]
서적
Religion in Ancient Egypt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7]
서적
Ancient Egyptian Religion
British Museum Press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