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폴리토 데시데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폴리토 데시데리(1684-1733)는 이탈리아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이자 티베트학 연구의 선구자이다. 그는 1712년 티베트 선교를 위해 파견되어 라싸에 정착, 티베트어와 티베트 불교를 배우며 기록을 남겼다. 데시데리는 《티베트에 대한 기록사》를 저술하여 티베트의 지리, 사회, 문화를 상세히 기록했으나, 그의 사후 오랫동안 출판되지 못했다. 그의 저작들은 티베트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었으며, 종교 간 대화와 문화 다양성 존중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스토이아 출신 - 교황 클레멘스 9세
    클레멘스 9세는 외교관, 추기경, 극작가, 오페라 대본 작가로 활동하다 1667년부터 1669년까지 제238대 교황으로 재임하면서 족벌주의 폐지, 프랑스와의 관계 개선, 얀센주의 논쟁 종식에 노력했으며 잔 로렌초 베르니니에게 산탄젤로 다리 장식을 의뢰하는 등 문화 예술 분야에도 기여했다.
  • 피스토이아 출신 - 아모스 마리아니
    아모스 마리아니는 유벤투스, AC 밀란, 나폴리 등 이탈리아 명문 클럽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유벤투스 소속으로 세리에 A 우승, AC 밀란 소속으로 세리에 A 우승과 라틴컵 우승, 나폴리 소속으로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달성했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선교사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선교사 -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화가)
    주세페 카스틸리오네는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화가이자 건축가로, 청나라 궁정에서 3대에 걸쳐 활동하며 서양 회화 기법을 중국에 소개하고 바로크 화풍과 중국 전통 회화 요소를 결합한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하여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원명원 건설에도 참여하는 등 궁정의 신임을 얻었다.
이폴리토 데시데리
기본 정보
이폴리토 데시데리의 이미지 스탬프
이폴리토 데시데리의 이미지 스탬프
존칭신부
종교가톨릭
소속 수도회예수회
출생1684년 12월 21일
출생지피스토이아
사망1733년 4월 14일
사망지로마
국적이탈리아
학문 분야
연구 분야티베트학

2. 생애

토스카나 대공국 피스토이아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예수회 학교에서 교육받았다. 1700년 로마 대학교에 입학, 1706년부터 1710년까지 오르비에토아레초 등지에서 문학을 가르쳤다. 1712년 예수회 총장 미켈란젤로 탐부리니의 요청으로 티베트 선교에 합류, 리스본을 출발해 1713년 인도 고아 주를 거쳐 1716년 라싸에 도착했다.

라싸에서 몽골 라장 칸에게 거주 허가와 기독교 포교 권한을 부여받고, 세라 사원에서 티베트어티베트 불교를 공부했다. 1717년 중가르 칸국 침략으로 라싸를 떠나 1721년까지 카푸친 작은형제회 수도원에 머물며 기독교 관련 책을 저술했다.

1721년 인류복음화성 결정으로 티베트를 떠나 1722년 아그라를 거쳐 푸두체리 등지에서 선교 활동을 하다 1727년 프랑스를 경유, 1728년 로마로 귀환했다.

2. 1. 초기 생애

토스카나 대공국 피스토이아의 비교적 부유한 집안에서 1684년에 태어났다.[1] 어린 시절 피스토이아의 예수회 학교에서 교육받았으며, 1700년 로마 대학교(Collegio Romano)에 입학하였다. 1706년부터 1710년까지 오르비에토아레초의 예수회 대학, 그리고 로마 대학교에서 문학을 가르쳤다.[1]

2. 2. 티베트 선교

예수회에서 교육받은 데시데리는 1712년 예수회 총장 미켈란젤로 탐부리니의 요청으로 티베트 선교사로 합류했다. 고아 관할 하에 있던 티베트 예수회 선교는 오랫동안 중단된 상태였다.[1] 데시데리는 1712년 9월 27일 로마를 떠나 리스본에서 포르투갈령 인도로 가는 배에 승선하여 1년 후 고아 항구에 도착했다.[1]

인도 고아 주에 도착한 데시데리는 수라트, 아마다바드, 라자스탄 주, 델리를 거쳐 1714년 아그라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델리로 돌아가 상관이자 여행 동반자인 포르투갈 예수회 신부 마노엘 프레이레를 만났다.[1] 그들은 함께 델리에서 카슈미르스리나가르로 이동했고, 카슈미르에서 라다크의 수도인 로 이동하여 1715년 6월 말에 도착했다.[1] 데시데리는 라다크에 남아 선교부를 설립하고 싶어했지만, 프레이레의 명령에 따라 중앙 티베트와 라싸로 이동했다.[1]

그들은 티베트 고원을 가로지르는 7개월의 겨울 여정을 거쳐 1716년 3월 18일 라싸에 도착했다.[1] 프레이르는 카트만두파트나를 거쳐 인도로 돌아갔고, 데시데리는 라싸에 남아 선교를 맡게 되었다.

2. 3. 라싸 정착과 활동

라싸에 정착한 뒤 당시 티베트를 지배하고 있던 몽골의 라장 칸에게 거주할 집을 하사받고 기독교 포교 권한을 부여받았다.[1] 티베트어티베트 불교를 배우기 위해 세라 사원에 들어가 거루파 승려들과 함께 공부하며 여러 주제로 토론하기도 했다. 그는 고전 티베트어 문학 언어를 배우고 티베트 문학, 철학 및 문화를 열심히 공부하였다.[1]

1717년 중가르 칸국의 침략으로 정세가 불안해지자 라싸를 떠났으며, 1721년까지 티베트 중남부 지방에 있는 카푸친 작은형제회 수도원에 머무르면서 기독교 포교를 위한 책 다섯 권을 저술하였다.[1] 이 책들에서 데시데리는 윤회허무주의 또는 '공'(Wylie: ''stong pa nyid''; 산스크리트어: ''Śūnyatā'')의 철학적 개념을 반박하고자 했다. 그는 티베트 불교에서 티베트 가톨릭 교회로의 개종을 막는 가장 큰 걸림돌이 이러한 개념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달마와 계율에서 여러 인용문을 사용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콜라 철학을 나가르주나의 허무주의적인 중관파 철학과 논쟁하여 "기독교 신학의 우월성"을 주장했다.[1]

2. 4. 카푸친회와의 갈등

1721년 인류복음화성에서 카푸친 작은형제회티베트 선교 권한을 넘겨주면서, 이폴리토 데시데리는 티베트를 떠나야 했다. 그는 1722년 아그라로 돌아온 뒤 푸두체리 등지에서 선교 사업을 했다.

2. 5. 유럽 귀환과 사망

1727년 프랑스에 도착해 루이 15세를 알현했으며, 1728년 로마로 돌아왔다. 귀국 후 예수회카푸친 작은형제회 간 티베트 선교 관할권 논쟁이 벌어졌으나, 1732년 인류복음화성에서 카푸친 작은형제회에 티베트 선교 전권을 부여하는 것을 확정하고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논의를 금지하였다.

유럽으로 돌아온 이후 <티베트에 대한 기록사(Notizie Istoriche del Tibet)>를 편찬해 당시 유럽에서 접할 수 있었던 유일한 티베트 역사에 대한 기록물을 남겼으나, 인류복음화성에서 서적의 출판을 금지하여 예수회 기록 보관소에 방치되어 있었다가 개인 소장품으로 넘겨진 뒤 20세기에 완전판이 출간되었다. 1733년 로마에서 사망하였다.

3. 주요 저작 및 연구

데시데리는 티베트에서 기독교 전파를 위해 티베트어로 다섯 권의 책을 저술했다. 또한, 유럽으로 돌아온 후에는 <티베트에 대한 기록사(Notizie Istoriche del Tibet)>를 썼는데, 이는 당시 유럽에서 티베트 역사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자료였다. 그러나 인류복음화성의 출판 금지로 오랫동안 공개되지 못하다가 20세기에 들어서야 완전판이 출간되었다.

3. 1. 티베트어 저술

데시데리는 1718년부터 1721년까지 고전 티베트 문학 언어로 5권의 책을 저술했다. 이 책들에서 윤회(그는 "영혼전이"라고 언급함)와 (Wylie: ''stong pa nyid''; 산스크리트어: ''Śūnyatā'')의 철학적 개념을 반박하고자 했다. 그는 이것이 티베트 불교에서 가톨릭 교회로 개종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생각했다.[1]

데시데리는 자신의 저서에서 티베트 문학의 여러 철학적 기법을 채택하여 학술적 논증에 활용했다. 또한 달마와 계율에서 여러 인용문을 사용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콜라 철학을 나가르주나중관파 철학과 논쟁하여 "기독교 신학의 우월성"을 주장했다.[1]

3. 2. 티베트에 대한 기록사 (Notizie Istoriche del Tibet)

유럽으로 돌아온 이후 이폴리토 데시데리는 <티베트에 대한 기록사(Notizie Istoriche del Tibet)>를 편찬하였다. 이 책은 당시 유럽에서 접할 수 있었던 유일한 티베트 역사에 대한 기록물이었으나, 인류복음화성에서 서적의 출판을 금지하여 예수회 기록 보관소에 방치되어 있었다가 나중에 개인 소장품으로 넘겨진 뒤 20세기에 완전판이 출간되었다.

4. 유산 및 평가

이폴리토 데시데리는 티베트에 대한 정확한 기록을 남긴 인물로, 그의 저작은 오랫동안 묻혀 있다가 뒤늦게 빛을 보게 되었다. 그는 유럽으로 돌아온 후 <티베트에 대한 기록사(Notizie Istoriche del Tibet)>를 편찬하여 당시 유럽에서 접할 수 있었던 유일한 티베트 역사에 대한 기록물을 남겼으나, 인류복음화성에서 서적 출판을 금지하여 예수회 기록 보관소에 방치되었다. 이후 개인 소장품으로 넘겨진 뒤 20세기에 완전판이 출간되었다.

4. 1. 티베트학 선구자

데시데리는 서구 세계에 티베트를 본격적으로 소개한 선구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기념비적인 저작들은 티베트의 지리, 정부, 농업, 관습, 티베트 불교 철학과 종교적 신념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기록을 담고 있었지만, 예수회 문서 보관소와 개인 소장품에 묻혀 있다가 19세기 말에야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의 저서 ''Relation''은 루치아노 페테크에 의해 1950년대에 완전판으로 출판되었으며, 요약된 영어 번역본은 1937년에, 완전한 번역본은 2010년에 출판되었다.

4. 2. 동서양 사상 및 종교 교류

데시데리의 활동은 18세기 동서양의 만남과 종교적 갈등, 그리고 학문적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그는 예수회 선교사로서 티베트에 파견되어 티베트어티베트 불교를 배우고, 기독교를 전파하고자 노력했다. 특히 세라 사원에서 거루파 승려들과 함께 공부하며 토론한 것은 당시 동서양 종교 간의 지적 교류를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사건이다.

하지만 인류복음화성카푸친 작은형제회에게 티베트 선교에 대한 권리를 넘겨주면서 데시데리의 활동은 제약을 받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시데리는 티베트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티베트에 대한 기록사(Notizie Istoriche del Tibet)>를 편찬하여 유럽에 티베트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 책은 오랫동안 출판되지 못하고 묻혀 있다가 20세기에 들어서야 완전판이 출간되었고, 영어 번역본도 출판되었다.

4. 3. 현대적 의의

데시데리의 저작은 티베트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종교 간 대화와 문화 다양성 존중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 그의 저서는 티베트의 지리, 정부, 농업, 관습, 티베트 불교 철학과 종교적 신념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기록을 담고 있었지만, 오랫동안 묻혀 있다가 19세기 말에야 세상에 알려졌다. 1950년대에 완전판이 출판되었고, 1937년에 영어 요약본, 2010년에 완전 번역본도 출판되었다. 특히, 대한민국의 관점에서는 종교적 관용과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역사적 사례로 이폴리토 데시데리를 조명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Mission to Tibet: The Extraordinary Eighteenth-Century Account of Father Ippolito Desideri S.J." Wisdom Publications 2010
[2] 서적 "Mission to Tibet: The Extraordinary Eighteenth-Century Account of Father Ippolito Desideri S.J." Wisdom Publication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