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피진 중국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군 피진 중국어는 일본군이 중국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한 피진 언어이다. 청일 전쟁 시기에도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병영 내에서 고참병들이 군 경력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중국인들은 이 언어를 일본어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일부 표현은 중국에서 일반 어휘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 언어는 중국어에서 유래된 단어와 일본군이 잘못 이해한 단어들로 구성되었으며, 같은 용언을 반복하는 특징을 보인다. 주요 단어로는 '쓰라'(죽다), '밍바이'(알아들었다), '찐샹'(주다), '타이징'(장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협화어
협화어는 범아시아주의의 영향으로 만주국에서 사용된 혼성어로, 일본어와 중국어의 특징이 혼합되어 나타났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만주국 붕괴와 함께 소멸되어 현재는 관련 기록이 희귀하다. - 중국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한문 (일본)
한문 (일본)은 5세기 한자 전래 이후 일본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반영하여 발전해 온, 한자를 사용하여 일본어로 작성된 문서이자 일본어 읽기 방식 및 역사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훈독 방식을 통해 일본어 어순에 맞춰 한자를 배열하고 조사, 조동사를 붙여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만드는 특징을 가진다. - 일본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협화어
협화어는 범아시아주의의 영향으로 만주국에서 사용된 혼성어로, 일본어와 중국어의 특징이 혼합되어 나타났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만주국 붕괴와 함께 소멸되어 현재는 관련 기록이 희귀하다. - 일본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오가사와라 방언
오가사와라 방언은 19세기 초 필 섬 식민지에서 형성된 피진 영어에 하치조 방언, 영어, 하와이어, 미크로네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 요소가 혼합되어 나타난 언어 변종이다.
일본군 피진 중국어 |
---|
2. 역사
병대 중국어의 역사는 오래되어 청일 전쟁 시기에도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의 구체적인 형태는 명확하지 않다. 이와 유사하게 시베리아 출병 당시 사용된 "병대 러시아어"처럼 다양한 피진 언어의 초기 형태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하다.
일본군 피진 중국어의 단어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유래했지만, 일부는 중국어와 전혀 관련 없는 단어도 있다. 이는 일본군 병사들이 잘못 듣거나 오해하여 단어를 옮긴 경우 등으로 추측된다.
일본군 피진 중국어는 같은 용언을 두 번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죽음'을 뜻하는 死了|스-라일본어는 死了死了|스-라 스-라일본어와 같이, '주다/달라'는 의미의 進上|신죠일본어는 進上進上|신죠 신죠일본어와 같이 사용되었다. 단어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유래되었지만, 중국어와 관련 없는 단어도 일부 존재했다. (※ 특별한 지역명 언급이 없는 단어는 베이징어 발음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중일 전쟁 시기 병대 중국어는 중국 현지인과의 소통을 위해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 본토의 병영에서도 사용되었다. 병영 내에서는 주로 중국 전선에서 복무한 경험이 있는 고참병들이 자신의 군 경력을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했다. 중국 전선에 참전한 경험이 없는 병사는 병대 중국어를 사용할 수 없었다. 다만, 하사관의 경우 굳이 병대 중국어를 사용하여 경력을 과시할 필요가 적었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병대 중국어를 들은 중국인들은 이를 일본어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전해진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국에서는 항일 전쟁을 다룬 영화 등에서 일본군의 대사로 병대 중국어가 자주 사용되었다. "개로(開路, 길을 비켜라)"와 같은 일부 표현은 일반 어휘로 중국 사회에 스며들기도 했다. 현재 중국에서 외국인 특유의 어색한 말투를 창작하거나 더빙할 때, 또는 상성 등에서 외국인을 흉내 낼 때 사용되는 표현의 기원이 병대 중국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3. 형식
문법적으로는 같은 용언을 두 번 반복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死了死了|쓸라쓸라중국어(죽다), 進上進上|신저신저중국어(물건을 주다·주세요) 등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원본 소스에서 '병대 중국어'의 특징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이 피진어는 주로 중국인과의 의사소통에 사용되었으나, 때로는 일본군 내부에서 선임병이 "내가 중국 전선에서 잔뼈가 굵었다"는 식으로 자신의 경험을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4. 주요 단어 및 용례
이 피진어의 역사는 오래되어 청일 전쟁 때에도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나, 당시의 정확한 형태는 불분명하다. 시베리아 출병 당시의 "병대 러시아어"처럼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피진 언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일본군 피진 중국어는 중국 현지에서 중국인과의 의사소통 수단이었을 뿐 아니라, 일본 내지의 병영 안에서도 사용되었다. 병영 내에서는 자신이 중국 전선에서 복무한 고참병임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주로 고참병들이 자신의 군 경력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했다. 물론 중국 전선 경험이 없는 병사는 사용할 수 없었다. 다만, 하사관의 경우 굳이 병대 시나어를 사용하여 경력을 과시할 필요가 적었기에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었던 것으로 보인다.
흥미롭게도, 병대 시나어를 들은 중국인들은 이를 일본어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전후 중국에서는 중일 전쟁을 다룬 전쟁 영화 등에서 일본군 병사의 대사로 병대 시나어가 자주 사용되었고, 일부 표현은 중국 내에서 일반 어휘로 흡수되기도 했다. 현대 중국에서 외국인의 어색한 말투를 흉내 내거나 상성(만담) 등에서 외국인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표현 중 일부는 병대 시나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는 설도 있다.
주요 단어와 구체적인 용례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중국어 기원 단어
단어(한자) | 발음 (일본어 / 한국어) | 의미 | 사용 지역 | 비고 / 예시 |
---|---|---|---|---|
死了 | すーら|스-라일본어 | 죽음, 죽었다. | 화북~동북 | 보통 死了死了|스-라 스-라일본어와 같이 반복 사용. 협박("죽여버리겠다")의 의미로도 사용됨.[1] 중국 아이들이 일본인을 흉내낼 때 사용하기도 함. 예: "스라 스라가 안 되도록 해라" |
明白 | みんぱい|밈빠이일본어 | 알았다, 승낙했다. | 화북~동북 | 예: "오, 밈빠이, 밈빠이" |
進上 | しんじょ|신죠일본어 | 물건을 주다, 또는 물건을 달라는 의미. | 進上進上|신죠 신죠일본어 형태로 반복 사용. 예: "その鶏、進上進上|しんじょ しんじょ일본어せえ (소노토리 신죠 신죠 세요, 그 닭 좀 줘)." | |
大人 | たいじん|타이징일본어 | 일본군 장교에 대한 호칭. | ||
先生 | しーさん|시-상일본어 | 부사관 및 병에 대한 호칭. | 상하이 | |
謝々 | しぇえしぇえ|시에시에일본어 | 고맙다, 감사하다. | 화북~동북 | |
多々的 | たーたーでー|타-타-데일본어 | 많음, 많은 것.[2] | 예: "이 강행군은 辛苦|신쿠일본어多々的|타타데일본어 (싱쿠 타타데)" | |
少々的 | しょーしょーで|쇼-쇼-데일본어 | 적은 것. | 상하이~후켄 지역 | |
辛苦 | しんく|신쿠일본어 | 힘든 일, 괴로운 것, 피로함. | 화북~동북 | |
快々的 | かいかいでー|카이카이데-일본어 | 쾌적한 일, 즐거운 일. 또는 빨리 하라고 재촉하는 것. | 예: "もっと かいかいでー|카이카이데-일본어に歩け (못토 카이카이데-니 아루케, 좀 더 빨리/즐겁게 가자)." | |
慢々的 | まんまんでー|맘만데일본어 | 느긋한 것, 일이 잘 진척되지 않는 모양. 또는 천천히 기다리라고 명령하는 것. | ||
頂好 | てんほ|텐호일본어 | 최고로 좋은 것. | 상하이 또는 광둥 | |
頂好の甲 | てんほのこう|텐호노코오일본어 | 끝내주게 좋은 것. | 예: "ここの部隊の給与は頂好の甲|てんほのこう일본어だ (고노 부타이노 큐요와 텐호노코오다, 이 부대 급여는 끝내주게 좋군)." | |
姑娘 | くーにゃん|쿠-냥일본어 | 젊은 여자, 아가씨. | 화북~동북 | |
没法子 | めーふぁおずー / めいふぁーず|메-화-즈 / 메이화-즈일본어 | 아무래도 안 됨, 방법 없음, 어쩔 수 없음. | 예: "애써 지은 밥이 설익었군. 没法子|메이파오즈일본어" | |
要 | やお|야오일본어 | 필요함. | 화북~동북 | 예: "タバコは やおか? ぷやお?|다바코와 야오까? 뿌야오?일본어 (담배 필요해? 필요없어?)" |
不要 | ぷやお|뿌야오일본어 | 필요 없음. | 화북~동북 | 예: "班長殿、週番下士殿に連絡しますか? いや、ぷやお、ぷやおだろう|반쬬도노, 슈한카시도노니 렌라쿠시마스까? 이야 뿌야오, 뿌야오다로.일본어 (반장님, 주번하사에게 연락할까요? 아니 됐어. 필요없을걸.)" |
再見 | さいちぇん|사이찌엥일본어 | 안녕 (작별 인사). | 화북~동북 | |
請座 | ちんざ|찐자일본어 | 앉으세요. | ||
知道 | ちど|찌도일본어 | 알고 있다. | 둥베이 지방 또는 상하이 이남 | |
不知道 | ぷちど|뿌찌도일본어 | 모른다. | 둥베이 지방 또는 상하이 이남 | |
没有 | めいよー|메이요일본어 | 없음. | 화북~동북 | 예: "이상은 없나?" "예, 이상 没有|메이요일본어" |
酒 | ちゅー|쮸일본어 | 술. | 둥베이 | 특히 중국의 지방술을 쨩쮸-|쨩쮸-일본어라고 했음. |
儞 | にい|니이일본어 | 중국인을 가리킴. | 화북~동북 | 公|코오일본어를 붙여 儞公|니-코-일본어라고 하거나, 호칭접미사 やん|양일본어을 붙여 ニヤン|니-양일본어이라고 하기도 했다. 현지 중국인에게 말을 걸 때도 사용. |
憂愁的 | ゆうつうで|유-쯔-데일본어 | 의기소침, 침울해짐, 우울함. | 상하이~후켄 | |
睡覚 | すいじょう|스이죠-일본어 | 잠, 잠자는 것. | 둥베이 지방 | |
老頭児 | ろーとーる|로-토-루일본어 | 노인 또는 노병. | 둥베이 | |
不好 | ぷーはお|푸-하오일본어 | 안됨, 좋지 않음, 고장났다. | 화북~동북 | 예: "この靴はもう、ぷーはお|푸-하오일본어 だ。 (고노 구쯔와 모 푸-하오다, 이 구두는 이미 글렀어.)" |
労駕・老駕 | ろーじゃ|로-쟈일본어 | 수고했음, 죄송합니다. | 둥베이 | |
苦力 | くーりー|쿠-리-일본어 | 중국인 육체 노동자, 노역자. | 화북~동북 | |
完了 | わんら|완라일본어 | 끝남, 완료됨, 죽음. | 화북~동북 | 예: "この戦争は早く、わんら|완라일본어にならんかなあ (고노 센소와 하야쿠 완라니 나란카나아, 이 전쟁 빨리 안 끝나나)." |
很好 | へんはお|헨하오일본어 | 최고로 좋음. | 화북~동북 | |
小孩 | しょうはい / しゃおはい|쇼-하이 / 샤오하이일본어 | 어린이, 아이들. | 둥베이 | 예: "うちの子と同じ年くらいの、可愛い、しょうはい|쇼-하이일본어じゃ (우치노 코토 오나지토시쿠라이노 가와이 쇼-하이쟈, 우리집 애하고 비슷한 나이의 귀여운 아이군)." |
好々的 | はおはおでー / ハオハオデー|하오하오데-일본어 | 그거 좋네, 괜찮네. | 예: "ハオハオデー|하오하오데-일본어 な クーニャン|쿠냥일본어 がいるぜ。 (하오하오데-나 쿠냥가 이루제, 야아 괜찮은 아가씨가 있군.)" | |
不够本중국어 / 不殼本중국어 | ぽこぺん / ポコペン|포코펜일본어 | 모자라, 시시해, 안 돼, 쓸모없는 것. | ||
(산핀니케) | 세 번 뺨을 때려주겠다는 의미. | "핀(삥, 뺨)" + "니케(니게이, 你給중국어, ~해주겠다)"의 일본식 발음.[1] | ||
壊了 | パイラ|파이라일본어 | 고장났다. | 예: ノーテンパイラ|노-텐파이라일본어 (뇌가 고장났다, 즉 바보) | |
一様 | いやん|이야일본어 | 같다. | 화북~동북 | |
屄 | ぴー|피일본어 | 여성기, 매춘부. | 화북 | |
公司 | こんす|콘스일본어 | 경칭, 회사. | 예: "어서 오십시오, 곤도 コンス|콘스일본어" | |
嗎 | ま|마일본어 | ~입니까? (의문형 종결 어미) | 예: "わんらま?|완라마?일본어" "わんら|완라일본어." (끝났어? - 끝났어.) |
일본군 피진 중국어는 같은 용언을 두 번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死了死了|스라 스라일본어(죽다), 進上進上|신죠 신죠일본어(물건을 주다/달라) 등이 있다. 특별한 지역명이 없는 단어는 베이징어 발음이 표준으로 여겨진다.
4. 2. 기타 단어
- サイコサイコ|사이코사이코일본어: 성교를 의미한다. 일본어 最高|사이코일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カエロカエロデー|가에로가에로데-일본어: 일본으로 귀국하는 것을 의미한다.
- * 예: "아, 빨리 カエロカエロデー|가에로가에로데-일본어가 되면 좋겠다." (원문: ああ、早くカエロカエロデーにならんかなあ。|아아, 하야쿠 카에로카에로데-니 나란카나아.일본어 - 아 빨리 일본에 갈 수 없나.)
- * 이는 중국어로 "개로(開路|카이루중국어)"로 바뀌어 "가다"라는 의미의 일반적인 어휘가 되기도 했다.
- 진상(しんじょ|신조일본어): 물건을 주거나 받는다는 의미이다.
- * 예: "이 닭, 진상, 진상해서 받았다." 또는 "그 닭, 진상, 진상해."
- 메시메시(めしめし|메시메시일본어): 밥 또는 여보세요를 의미한다.
- * 예: "메시메시, 진상" (밥을 달라는 의미)
- * 반일 영화 등에서 일본군의 특징적인 말투로 자주 등장하여 중국인에게 익숙한 "일본어" 중 하나이다. 다만, 중국인 배우가 일본군을 연기할 때 발음이 "미시미시"가 되는 경우가 많다. 2011년, 일본의 위조 여권으로 미국에 입국하려던 중국인이 입국 심사관의 "Can you speak Japanese?" (일본어 할 줄 아세요?)라는 질문에 "Yes. 미시미시, 포아구냥"이라고 대답하여 중국인임이 발각된 사건이 있었다.[3] 花姑娘|화고낭중국어은 아름다운 여성이나 소녀를 가리키는 말로, 항일 전쟁 시기 일본군이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서적
中国語と近代日本
[2]
정보
[3]
뉴스
日本語話せるか? 「YES、ミシミシ」→不正入国バレる=米国
https://www.excite.c[...]
サーチナ
2011-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