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협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협화어는 만주국의 국가 모토인 '민족 협화'에서 유래된 혼성어로,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는 일본 관리와 군인, 그리고 한족과 만주족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일본인에 의해 고안되었다. 일본어를 기반으로 중국어 어휘와 문법이 혼합된 형태이며, 용언의 어미 변화와 조사가 생략되는 특징을 보인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만주국이 멸망하면서 소멸되었으며, 오늘날에는 관련 기록이 드물다. 일본에서는 중국인 억양을 나타내는 역할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한문 (일본)
    한문 (일본)은 5세기 한자 전래 이후 일본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반영하여 발전해 온, 한자를 사용하여 일본어로 작성된 문서이자 일본어 읽기 방식 및 역사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훈독 방식을 통해 일본어 어순에 맞춰 한자를 배열하고 조사, 조동사를 붙여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만드는 특징을 가진다.
  • 중국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일본군 피진 중국어
    일본군 피진 중국어는 일본군이 중국과의 소통을 위해 사용한 피진 언어로, 중국어에서 유래된 단어와 일본군의 잘못된 이해로 구성되었으며, 같은 용언을 반복하는 특징을 보인다.
  • 일본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오가사와라 방언
    오가사와라 방언은 19세기 초 필 섬 식민지에서 형성된 피진 영어에 하치조 방언, 영어, 하와이어, 미크로네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 요소가 혼합되어 나타난 언어 변종이다.
  • 일본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이란 크리올 일본어
    이란 크리올 일본어는 대만 이란 현에서 사용되며 일본어와 주변 언어의 접촉으로 형성된 언어로, 크리올 언어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타얄어의 영향이 적어 다른 견해도 존재하며, 소멸 위기에 있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만주국 - 관동군
    관동군은 일본 제국이 만주 지역 침략과 지배를 위해 설치한 군대로,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만주국을 세우는 등 중국 침략의 선봉 역할을 했으며, 731 부대를 운영하며 전쟁 범죄를 저질렀고,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패망했다.
  • 만주국 - 만주국 황제
    만주국 황제는 1934년 푸이가 즉위하며 시작된 만주국의 국가 원수 칭호로, 푸이는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며 만주국 멸망까지 황제 지위를 유지했고, 일본의 괴뢰국 이미지를 희석하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황제의 권한이 강조되었으며, 청나라 황실과 단절된 푸이만의 왕조임을 명시했다.
협화어
개요
명칭협화어 (協和語), 흥아어 (興亜語), 일만어 (日満語), 대동아어 (大東亜語)
기본 정보
사용 국가만주국
사용 지역동아시아 등
화자 수불명
언어 유형피진어
어족일본어중국어(관화) 기반 피진어
SIL 코드없음

2. 역사

"협화어"(Kyowa-go/Xieheyu)라는 용어는 만주국의 국가 모토인 "민족협화"( ''mínzú xiéhe'')에서 유래되었다.[1] 이 혼성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는 일본 관리와 군인, 그리고 한족과 만주족 간의 의사소통 필요에 의해 생겨났다. 만주국 관료들은 나중에 이 혼성어를 "화합의 언어"를 의미하는 "협화어"라고 칭했다. 그러나 일본은 만주국에 자국어 보급을 시도했고, 일본어는 언령(言靈)이 깃든 언어이므로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화어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만주국이 소련 붉은 군대에 함락되면서 소멸되었다. 오늘날 이 혼성어에 대한 기록은 희귀하다.[2]

만화애니메이션에서 중국인 등장인물이 사용하는 말투(예: aru)는 일본어를 기반으로 한 협화어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 마찬가지로, 중일 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 일본인 등장인물의 말투(예: )는 만다린어를 기반으로 한 셰허위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

일본은 19세기와 20세기 동안 요코하마 혼성 일본어와 같은 혼성어를 일본 자체 내에서 사용하기도 했다.

2. 1. 만주국 성립과 범아시아주의

"협화어"라는 명칭은 만주국의 국가 모토였던 "민족협화(民族協和)"에서 유래되었다.[1] 이는 범아시아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만주국 내 다양한 민족 간의 화합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협화어는 주로 일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한족이나 만주족과 같은 중국인들이 사용했다.[1]

2. 2. 협화어의 형성과 발전

"협화어"라는 용어는 만주국의 국가 모토인 "민족 협화"( ''mínzú xiéhe'')에서 유래되었다.[1] 이 혼성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는 일본 관리와 군인, 그리고 한족과 만주족 간의 의사소통 필요에 의해 생겨났다. 만주국 관료들은 나중에 이 혼성어를 "화합의 언어"를 의미하는 "협화어"라고 칭했다.

러일 전쟁 후, 신도시 지역에서 러시아어 대신 일본어 교육이 시작되었다.[3] 하지만, 러일 전쟁 당시 일본 군인들이 사용하던 "카이로카이로(帰らう帰らう。돌아갈 때에도 갈 때에도 사용됨)"나 "메시메시(飯飯。드십시오의 뜻으로 사용됨)" 등의 첩어는 일본어가 모두 첩어인 듯한 오해를 불러일으켰다.[3] 또한, 재류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와타시 카우카우, 이쿠라 이쿠라, 우루우루 아루카?"(나는 사고 사고, 얼마 얼마, 팔고 팔고 있습니까?)나 "타카이타카이, 마케루마케루, 요로시이"(비싸다 비싸다, 깎아 깎아, 좋습니다)와 같이 첩어를 활용한 표현이 사용되었다.[3]

2. 3. 협화어의 쇠퇴와 소멸

일본은 만주국에 자국어 보급을 시도했고, 일본어는 언령(言靈)이 깃든 언어이므로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협화어 사용을 부정적으로 인식했다.[3]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전하고 만주국이 붕괴하면서 관련 자료가 흩어졌고, 체계적인 연구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현재도 밝혀지지 않았다.

협화어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만주국이 소련 붉은 군대에 함락되면서 소멸되었다. 오늘날 이 혼성어에 대한 기록은 희귀하다.[2]

3. 특징

협화어는 일본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 구조가 단순화된 형태를 보인다. 용언의 어미 변화와 조사의 일부가 생략되는 경향이 있으며, 중국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일본어의 일반적인 어순(주어-목적어-동사)과 다른 어순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본에서 중국인 억양을 나타내는 역할어의 기원이 협화어라고 말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비슷한 "피진 일본어"는 메이지 초부터 문헌에서 확인되었으며, 요코하마의 외국인 거류지에서 사용되던 "요코하마 다이알렉트"(요코하마 피진 일본어)가 그 기원으로 여겨진다.[4]

3. 1. 언어학적 특징

협화어는 일본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 구조가 단순화된 형태를 보인다. 용언의 어미 변화와 조사의 일부가 생략되는 경향이 있다. 중국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일본어의 일반적인 어순(주어-목적어-동사)과 다른 어순이 나타나기도 한다.

  • 私 日本人 アル ヨ (Watashi nipponjin aru yo): "나는 일본인입니다"라는 뜻이다.
  • 姑娘 (クーニャン) 綺麗 アル ネ ({Kūnyan (gūnyan)} kirei aru ne): "아가씨는 예쁘네요"라는 뜻이다.
  • 貴方 座る の 椅子 ない アル ヨ (Anata suwaru no isu nai aru yo): "당신이 앉을 의자는 없습니다"라는 뜻으로, 부정 표현과 긍정 표현이 혼재되어 오해를 낳기도 한다.
  • 哎呀 (Aiyaa!): 놀람을 나타내는 감탄사로, 중국어에서 왔다.


다음은 중국어 원문과 함께 제시된 예시이다.

  • 你的 幫我, 我的 錢的 大大的 給。(nǐde bāngwǒ, wǒde qiánde dàdàde gěi.): "만약 네가 나를 돕는다면, 내가 너에게 많은 돈을 주겠다."[1]
  • 高橋 歐庫桑, 豬的 看見 沒有? 那邊的 跑了的 有。(Gāoqiáo okusan, zhūde kànjiàn méiyǒu? nàbiānde pǎolede yǒu.): "다카하시 부인, 저 돼지 보셨어요? 저쪽으로 달려갔어요." (歐庫桑, 발음은 'okusan' , 일본어 奥さん|오쿠상일본어의 음역으로, "자기 부인"을 의미한다.)[1]


코니카 미놀타(Konica Minolta)의 잡지 광고(『아사히 그래프』쇼와 12년 7월 21일호)

3. 2. 역할어로서의 협화어

일본에서 중국인 억양을 나타내는 역할어는 협화어가 기원이라고 말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만화 등에서 중국인이 어눌한 일본어를 말할 때(『란마 1/2』의 샴푸나 『BLACK LAGOON』의 쉔화 등)나, 외국어 작품에서의 중국어 억양이 강한 대사를 일본어로 더빙할 때, 젠지 베이징의 연예처럼 중국인을 흉내낼 때 등에는, "아르요" 등 협화어와 비슷한 표현이 사용되며, 중국인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비슷한 "피진 일본어"는 메이지 초부터 존재했음이 문헌에서 확인되었으며, 요코하마의 외국인 거류지에서 사용되던 "요코하마 다이알렉트"(요코하마 피진 일본어)가 그 기원으로 여겨진다.[4] 당초에는 "외국인 일반이 사용하는 언어"로 일본인에게 인식되었지만, 그 후 "중국인이 사용하는 언어"로 이행했다.[5]

협화어가 그것들을 기반으로 탄생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추측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4. 용례


  • ワタシ日本人アルヨ|와타시 니혼진아루요|나는 일본인입니다.일본어
  • 姑娘キレイアルネ|구냥 기레이아루네|따님은 예쁘군요.일본어
  • アナタ座ルノ椅子ナイアルヨ|아나타 스와루노 이스 나이아루요|당신이 앉을 의자가 없습니다.일본어

4. 1. 일본어 기반 협화어

일본어 기반 협화어는 일본어를 기반으로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피진 언어이다. 기본적인 어순은 일본어와 유사하지만, 조사가 생략되거나 중국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사용되는 등 문법적으로 단순화된 특징을 보인다.

다음은 일본어 기반 협화어의 예시이다.

  • 私日本人アルヨ|와타시 니혼진아루요일본어 (와타시 니혼진아루요): "나는 일본인입니다"라는 뜻이다.
  • 姑娘キレイアルネ|구냥 기레이아루네일본어 (구냥 기레이아루네): "아가씨는 예쁘네요"라는 뜻이다.
  • アナタ座ルノ椅子ナイアルヨ|아나타 스와루노 이스 나이아루요일본어 (아나타 스와루노 이스 나이아루요): "당신이 앉을 의자는 없습니다"라는 뜻이다.
  • (아이야): 놀랐을 때 사용하는 감탄사로, 중국어에서 차용되었다.


4. 2. 중국어 기반 협화어

표준어 기반 혼성어인 협화어는 때때로 표준어와는 다른 일본어의 일반적인 어순인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사용한다.

a)

: 중국어 원문:

b)

: 중국어 원문:

  • 私日本人アルヨ
  • : "나는 일본인입니다"의 의미.
  • 姑娘(|gūniang)きれいアルネ
  • : "아가씨는 예쁘네요"의 의미.
  • あなた座るの椅子ないアルヨ
  • : "당신이 앉을 의자는 없습니다". 부정사 "ない(없다)" + 긍정어 "ある(있다)"가 되어, 종종 오해를 낳는다.

  • : 놀랐을 때 등의 감탄사. 중국어에서 차용되었다.

참조

[1] 서적 明木茂夫『オタク的翻訳論 巻一』
[2] 간행물 「満洲国」における言語接触 : 新資料に見られる言語接触の実態 https://hdl.handle.n[...] 2012-03-28
[3] 서적 満洲読本 南満洲鉄道株式会社 https://books.google[...] 1927
[4] 서적 Exercises in the Yokohama Dialect https://web.archive.[...] Charles E. Tuttle Co. 1953
[5] 웹사이트 蜂矢真郷他「文献に現れた述語形式と国語史の不整合性について」 https://www.ne.jp/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