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송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송무역은 10세기부터 14세기 초까지 일본과 중국 송나라 사이에서 이루어진 무역을 의미한다. 960년 북송 건국 이후, 일본은 사무역을 통해 송나라 상인들과 교류했다. 헤이안 시대에는 다자이후의 권력 약화와 송나라의 경제적 변화가 일송무역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교역품은 일본의 목재, 사금, 유황 등과 송나라의 의약품, 도자기 등이었다. 헤이시 정권은 무역을 독점하여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으며, 가마쿠라 시대에는 민간 무역이 지속되었다. 일송무역은 일본 사회에 화폐 경제 발달, 불교의 발전 등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며, 주변 국가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894년 견당사가 중단되고, 926년 발해가 멸망하여 견발해사가 폐지된 이후, 일본과 주변 국가 간의 국교는 공식적으로 단절되었다. 공식적으로는 불교 승려 외에는 인적 왕래가 금지되었다. 그러나 다자이후로의 무역 통제 권한 이관을 포함하여, 민간 해상 상인에게 많은 부분이 위임되었고, 중앙 조정에서의 거래에 대한 통제는 크게 완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일본은 송나라로부터 송전(동전), 도자기, 견직물, 서적, 문구, 약품, 회화 등 미술품, 향료 등을 수입하였다. 일본에서는 구리, 금, 은, 스오(周防) 등 서국(西國) 일대 목재, 일본도 등 공예품, 유황 등을 수출하였다. 헤이시 정권은 세력 기반이었던 이세에서 생산되는 수은 등을 수출품으로 하여 무역을 진행했다.[5] 일본에 수입된 송전은 일본 사회에서 화폐 이용을 진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고, 불교경전 수입은 가마쿠라 불교(鎌倉仏教)에도 영향을 주었다.[5]
2. 역사
960년 북송이 건국되면서 무역 진흥을 위해 각지에 시박사(市舶司)를 설치하여 고려나 일본과의 무역, 동남아 방향의 남해무역(南海貿易)을 추진하였다. 일본은 견당사 폐지 이후 다자이후(大宰府) 통제 하에 일당무역(日唐貿易)이나 고로칸무역(鴻臚館貿易)을 진행하였다. 1019년 도이의 입구(刀伊の入寇) 이후 다자이후의 권력이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송과 일본 간 정식 외교 무역은 없었고 일반인의 도항은 표면적으로 금지되었으나, 송 상인들은 하카타(博多), 쓰루가(敦賀), 사쓰마 보즈(坊津) 등지로 와서 사무역을 활발히 하였다.
1126년 정강의 변과 남송 건립은 일송무역에 영향을 주었다. 화중(華中)과 화남(華南)의 경제 발전, 금(金) 지배 하의 화북(華北)과 중원(中原)에서 온 사람들의 유입으로 남송 지역 인구가 급증하여 산림 채벌에 따른 자원 고갈, 역병 다발 등의 현상이 발생하였다. 남송은 사원 건립, 조선, 관 제작에 필요한 목재를 일본 스오 등지에서 대량 수입하였다.
다이라노 다다모리는 일송무역에 주목하여 히젠 가미사키조를 지행하며 독자적으로 교역했고, 외래 물품을 원(院)에 진상하여 근신으로 인정받았다. 헤이시 정권은 이세에서 산출되는 수은 등을 수출하며 무역을 기반으로 강화되었다. 1158년 다이라노 기요모리는 다자이 다이니에 취임하였지만 실제 부임하지는 않았다. 1166년 다이라노 요리모리가 다자이후에 부임하여 무역을 본격적으로 장악하였다. 하카타에 일본 최초의 인공항을 건설하고, 세토내해 항로를 장악하였으며, 이쓰쿠시마 참배를 지원하였다. 1173년 오와다노토마리(고베항 일부)를 확장하여 후쿠하라까지 교역선이 직항하게 하였다.
헤이시 정권이 멸망한 후 가마쿠라 시대에는 송과 일본 사이에 정식 국교는 없었지만, 가마쿠라 막부는 민간 무역을 인정했다. 친사이부교(鎮西奉行)가 하카타를 통치하여 막부로부터 오와케가라부네(御分唐船)를 파견하게 되었다.
주변 국가와의 정식 국교가 재개된 것은 1401년 (오에이 8년)에 일명 무역이 재개되면서부터이다.
2. 1. 헤이안 시대: 견당사 폐지와 사무역의 활성화
960년 북송이 건국되면서 무역 진흥을 위해 각지에 시박사(市舶司)를 설치하여 고려나 일본과의 무역, 동남아 방향의 남해무역(南海貿易)을 추진하였다. 일본은 894년 견당사 폐지 이후 다자이후(大宰府) 통제 하에 일당무역(日唐貿易)이나 고로칸무역(鴻臚館貿易)을 진행하였다. 1019년 도이의 입구(刀伊の入寇) 이후 다자이후의 권력이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송과 일본 간 정식 외교 무역은 없었고 일반인의 도항은 표면적으로 금지되었으나, 송 상인들은 하카타(博多), 쓰루가(敦賀), 사쓰마 보즈(坊津) 등지로 와서 사무역을 활발히 하였다.
송사(宋史)』 권49 「외국전(外國傳)·일본국(日本國)」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천성 4년 12월 명주(明州)가 말하길, 일본국 대재부(다자이후)에서 사람을 보내어 방물을 납공하였으나 본국의 표문(表文)은 가져오지 않았다. 이들에게 조서를 내렸다. 이후에도 조공을 통하지 않았으나 남고(南賈, 남방 상인) 중에 물자를 싣고 중국에 온 자가 더러 있었다."'''
1126년 정강의 변과 남송 건립은 일송무역에 영향을 주었다. 화중(華中)과 화남(華南)의 경제 발전, 금(金) 지배 하의 화북(華北)과 중원(中原)에서 온 사람들의 유입으로 남송 지역 인구가 급증하여 산림 채벌에 따른 자원 고갈, 역병 다발 등의 현상이 발생하였다. 남송은 사원 건립, 조선, 관 제작에 필요한 목재를 일본 스오 등지에서 대량 수입하였는데, 아육왕사(阿育王寺) 사리전(舎利殿) 조영에는 도다이지(東大寺) 재건으로 알려진 주겐(重源)이, 덴도지(天童寺) 천불각(千仏閣) 재건에는 임제종(臨済宗)을 일본에 전한 메이안 에사이(明菴栄西)가 목재를 제공하였다. 또한 남송의 한의학 발전으로 최신 의학 지식과 약품이 일본에 전해졌으며, 요시다 겐코(吉田兼好)는 『쓰레즈레구사(徒然草)』(120단)에서 '당(唐, 여기서는 '중국'이라는 의미)의 물건은 약 이외에는 없어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라고 언급하였는데, 이는 일송무역 없이는 일본 의료업이 성립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4]
2. 2. 헤이시 정권: 무역 독점과 경제적 번영
다이라노 다다모리는 일송무역에 주목하여 히젠 가미사키조를 지행하며 독자적으로 교역했고, 외래 물품을 원(院)에 진상하여 근신으로 인정받았다. 헤이시 정권은 이세에서 산출되는 수은 등을 수출하며 무역을 기반으로 강화되었다. 1158년 다이라노 기요모리는 다자이 다이니에 취임하였지만 실제 부임하지는 않았다. 1166년 다이라노 요리모리가 다자이후에 부임하여 무역을 본격적으로 장악하였다. 하카타에 일본 최초의 인공항을 건설하고, 세토내해 항로를 장악하였으며, 이쓰쿠시마 참배를 지원하였다. 1173년 오와다노토마리(고베항 일부)를 확장하여 후쿠하라까지 교역선이 직항하게 하였다.
송 명주 지주의 방서와 첩서가 고시라카와 법황과 기요모리에게 전달되어 공식 무역이 진흥되었다. 송전이 대량 유입되어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으나, 물가 변동이 심해져 사회 불안을 야기하기도 하였다. 1199년 고려와 일본 상인 간 동전 교역이 금지되었다.[6]
2. 3. 가마쿠라 시대: 민간 무역 지속과 몽골의 영향
헤이시 정권이 멸망한 후 가마쿠라 시대에는 송과 일본 사이에 정식 국교는 없었지만, 가마쿠라 막부는 민간 무역을 인정했다. 친사이부교(鎮西奉行)가 하카타를 통치하여 막부로부터 오와케가라부네(御分唐船)를 파견하게 되었다. 무역은 남송 말기까지 행해졌고, 무사 계층이 신앙한 선종은 호조도쿠소 가문도 보호하고 있었기 때문에, 민간의 도래 승려는 무역선에 편승하여 일본에 왔으며, 몽골에 의한 남송 공격이 본격화된 후에도 왕래는 계속되었다.
남송과의 경제 교류는 몽골의 침략(원나라의 침략)에도 영향을 미쳐, 남송의 멸망 후에도 연장선상에서 원과의 일원 무역이 행해졌지만, 일송 무역과 비교하여 사료가 부족하고, 중국 상인의 일본 거주가 어려워졌다고 생각된다.
1401년에 일명 무역이 본격적으로 재개될 때까지 사적인 무역이 중심이 되었으며, 공식적인 교류는 남조 측의 가네나가 친왕이 조공하여, "일본 국왕"으로 책봉된 기록이 있다.
2. 4. 외교사와의 관계
894년에 견당사가 중단되고, 926년에 발해가 멸망하여 견발해사가 폐지된 이후, 일본과 주변 국가 간의 국교는 공식적으로 단절되었다. 공식적으로는 불교 승려 외에는 인적 왕래가 금지되었다. 그러나 다자이후로의 무역 통제 권한 이관을 포함하여, 민간 해상 상인에게 많은 부분이 위임되었고, 중앙 조정에서의 거래에 대한 통제는 크게 완화되었다고 여겨진다. 또한, 일본-송나라 무역, 일본-고려 무역과 함께 류큐의 남도 무역도 번성하여 아마미·오키나와 열도의 사회에 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여겨진다 (구스크 시대의 도래).
주변 국가와의 정식 국교가 재개된 것은 1401년 (오에이 8년)에 일명 무역이 재개되면서부터이다.
3. 주요 교역품
당시 선박은 전복되기 쉬웠기 때문에, 송에서 일본으로 올 때에 선저에 무게추의 일종으로 송전을 잔뜩 깔았다.
3. 1. 수입품 (일본 → 송)
송나라에서는 송전(동전), 도자기, 견직물, 서적, 문구, 약품, 회화 등 미술품, 향료 등을 일본에 수출하였다.[5][2]
3. 2. 수출품 (송 → 일본)
일본도 등 공예품, 구리, 금, 은 등 광물, 스오(周防) 등 서국(西國) 일대 목재, 유황 등이 일본에서 송으로 수출되었다.[5] 당시 선박은 전복되기 쉬웠기 때문에, 송에서 일본으로 향하는 배는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해 송전을 선저에 깔았고, 이는 일본에서 송전이 유통되는 계기가 되었다.
4. 일송무역과 고려
고려는 일송무역의 주요 중개지 역할을 수행했다. 고려는 송과 일본 사이에서 중개 무역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무역은 고려를 포함한 삼국 간에 이루어졌으며, 일본에서는 에치젠 국쓰루가와 지쿠젠 국하카타가 거점이 되었다. 하카타에는 가마쿠라 시대에 많은 송나라 사람들이 살았고, 국제 도시가 되었다.[1]
5. 일송무역의 의의와 영향
일송무역은 일본 사회에 여러 방면으로 영향을 미쳤다. 일본은 송나라로부터 송전(宋錢), 도자기, 견직물, 서적, 문구, 약품, 회화, 미술품, 향료 등을 수입하고, 구리, 금, 은, 스오(周防) 등 서국(西國) 지역의 목재, 일본도 등의 공예품, 유황 등을 수출했다. 특히 송전의 수입은 일본 내 화폐 사용을 촉진시켰고, 불교 경전의 수입은 가마쿠라 불교(鎌倉仏教)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4]
송나라 선박은 전복되기 쉬워 일본으로 올 때 배 밑바닥에 무게 추 역할을 하는 송전을 가득 싣고 왔다. 이를 통해 일본인들은 화폐의 개념과 편리함을 인식하고 송전이 유통되기 시작했다.
가지와라 세이젠(梶原性全)은 송나라 의학서를 바탕으로 『돈의초(頓医抄)』를 편찬했다. 요시다 겐코(吉田兼好)는 『쓰레즈레구사(徒然草)』에서 "당나라 물건은 약 외에는 없어도 괜찮다"라고 했는데, 이는 일송 무역 없이는 일본의 의료가 성립될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1]
5. 1. 일본 사회에 미친 영향
일본에서는 송나라로부터 송전(宋錢), 도자기, 견직물, 서적, 문구, 약품, 회화, 미술품, 향료 등을 수입했다. 일본은 구리, 금, 은, 스오(周防) 등 서국(西國) 지역의 목재, 일본도 등의 공예품, 유황 등을 수출했다. 일본에 수입된 송전은 화폐 사용을 촉진시켰고, 불교 경전의 수입은 가마쿠라 불교(鎌倉仏教)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4]당시 송나라 선박은 전복되기 쉬웠기 때문에, 일본으로 올 때 배 밑바닥에 무게 추 역할을 하는 송전을 가득 싣고 왔다. 이를 본 일본인들은 화폐의 개념과 편리함을 인식했고, 송전이 수입되어 유통되기 시작했다.
가지와라 세이젠(梶原性全)은 송나라 의학서를 바탕으로 『돈의초(頓医抄)』를 편찬했다. 요시다 겐코(吉田兼好)는 『쓰레즈레구사(徒然草)』(120단)에서 "당나라 물건은 약 외에는 없어도 괜찮다"라고 했는데, 이는 반대로 말하면 일송 무역 없이는 일본의 의료가 성립될 수 없었음을 의미한다.[1]
참조
[1]
서적
宋代沿海地域社会史研究
汲古書院
2012
[2]
논문
2007
[3]
서적
宋史
[4]
서적
宋代沿海地域社会史研究
汲古書院
2012
[5]
논문
2007
[6]
서적
宋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