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둔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둔군은 고조선 근방에 존재했던 독립 국가였다가 위만조선에 복속되었고, 위만조선 멸망 후 전한에 의해 설치된 군이다. 기원전 108년 유주자사부 아래에 설치되었으며, 현재의 강원도 지역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임둔군은 토착민의 저항으로 기원전 82년에 진번군과 함께 폐지되었으며, 이후 낙랑군에 편입되었다. 임둔군의 위치에 대해서는 강릉, 함경남도 남부 및 강원도 북부, 요동반도 등 다양한 주장이 존재하며, 학계에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사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사군 - 낙랑국
    낙랑국은 고대 한반도에 존재했던 국가로, 그 성격과 위치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신라와 고구려와의 관계 속에서 멸망했다.
  • 삼국 시대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 삼국 시대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나라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나라 - 초한전쟁
    초한전쟁은 진나라 멸망 후 항우와 유방 세력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유방의 승리로 끝나 한나라가 건국되었으며, 신분 질서의 변화와 민본주의 정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임둔군
개요
유형
존속 기간기원전 108년 ~ 기원후 82년
국가한나라
위치
위치한반도 북동부
역사
설치전한 무제 원봉 3년 (기원전 108년)
폐지후한 건무 중 6년 (82년)
원인예맥의 강성으로 군을 유지하기 어려움
행정 구역
속현함자현
창려현
염차현
수성현
혼미현
불이현

2. 역사

임둔은 원래 고조선 근방에 있던 독립 국가였으나, 기원전 2세기위만준왕을 몰아내고 집권한 이후 위만조선에 복속되었다. 기원전 108년, 전한위만조선을 멸망시킨 후 임둔 지역에 임둔군을 설치하였다. 임둔군은 15개 현을 관할하였으나, 명칭이 전해지는 현은 후에 동부도위 관할로 편입된 영동7현뿐이다.

임둔군은 설치 이후 토착민들의 저항에 부딪혀 기원전 82년진번군과 함께 폐지되었다. 임둔군의 영역은 현도군에 편입되었다가, 기원전 75년에 현도군이 북쪽으로 옮겨지면서 7개 현이 낙랑군에 편입되었다. 낙랑군은 이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동부도위를 설치하였으나, 동부도위는 30년에 철폐되었다.

수나라 양제 시기, 배구고구려 정벌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한사군을 언급하였다.[5][6]

2. 1. 고조선 및 위만조선 시기

임둔은 원래 고조선 근방에 있던 독립 국가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2세기에 위만준왕을 몰아내고 집권한 이후 임둔은 위만조선에 복속되었다. 위만조선은 복속한 임둔 지역을 그대로 행정구역으로 편입하였다.

2. 2. 한사군 설치와 폐지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전한위만조선의 행정구역을 그대로 계승하여 유주자사부 아래에 '''임둔군'''을 설치했다.[3] 임둔군은 15개 현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경계는 현재의 강원도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군의 치소(중심지)는 동이현(현재의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4]이었으며, 장안에서 6,138리 떨어져 있었다.

임둔군은 설치된 이후 토착민들의 저항에 부딪혀 기원전 82년진번군과 함께 폐지되었다. 임둔군의 영역은 현도군에 편입되었는데, 기원전 75년에 현도군이 토착민들의 저항 때문에 북쪽의 신고구려현(新高句麗縣)으로 옮겨지자 15개 현 가운데 7개 현이 낙랑군에 편입되었다.

낙랑군에 편입된 현은 단단대령(單單大嶺)으로 막혀 있었고 거리가 너무 멀어 낙랑군이 직접 관할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이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동부도위(東部都尉)가 설치되었다. 동부도위의 7현은 30년에 철폐되었다.

임둔군이 폐지될 당시, 15개 현 중 9개 현이 폐지되고 남은 6개 현과 현도군의 부조현을 합한 7개 현은 낙랑군에 편입되었다.[7]

'''임둔군의 하부 행정 구역'''[7]
현(県) 명칭현성(県城) 소재 비정지비고
동이현 (구)강원도 강릉시임둔군의 군(郡) 치소
동이현 (신)원산시낙랑군에 편입 후[7]의 이전지
불이현안변군낙랑군에 편입 후의 동부도위 치소
잠대현위치 불명기원전 82년, 낙랑군에 편입
화려현함경남도 김야군기원전 82년, 낙랑군에 편입
사두매현문천시기원전 82년, 낙랑군에 편입
전막현고성군기원전 82년, 낙랑군에 편입
기타 9현강원도 일대 각지?낙랑군에 편입되지 않고 기원전 82년 소멸


2. 3. 낙랑군 동부도위

기원전 82년, 임둔군이 폐지되면서 임둔군 소속 15개 현 가운데 7개 현이 낙랑군에 편입되었다. 낙랑군에 편입된 현은 단단대령(單單大嶺)으로 막혀 있었고 거리가 너무 멀어 낙랑군이 직접 관할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이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동부도위(東部都尉)가 설치되었다. 동부도위의 7현은 30년에 철폐되었다.[7]

현(県) 명칭현성(県城) 소재 비정지비고
동이현 (신)원산시낙랑군 편입 후[7]
불이현안변군낙랑군 편입 후 동부도위 치소
잠대현위치 불명기원전 82년, 낙랑군에 편입
화려현함경남도 김야군기원전 82년, 낙랑군에 편입
사두매현문천시기원전 82년, 낙랑군에 편입
전막현고성군기원전 82년, 낙랑군에 편입


3. 위치 논란

임둔군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있다. 강릉을 비롯한 강원도 일대, 경기도 서부 지역, 함경남도 남부 및 강원도 북부 일대, 랴오닝성 서부 지역, 요동반도 남부 등 다양한 지역이 임둔군의 위치로 거론된다.

수나라 배구수 양제에게 한반도 영유의 필요성을 설파하며, 한나라가 한반도에 한사군(낙랑군, 현도군, 임둔군 또는 대방군)을 설치했다고 언급했다.[5][6]

3. 1. 한반도 내부설

고려 및 조선시대에는 대체로 강릉에 임둔이 위치해 있었다고 보았으며,[10] 강원도 일대라는 주장, 경기도 서부 지역이라는 주장 등이 제기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낙랑군을 발굴 조사하면서 한사군에 대한 비정이 이루어졌을 때, 임둔군은 함경도 남부 및 강원도 일대로 비정되었다.[11] 역사학계 및 고고학계에서는 영흥 소라리 유적 및 부조예군 인장 등의 발굴 결과를 토대로 함경남도 남부와 강원도 북부 일대가 임둔군이라 보고 있다.[9] 그러나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발굴 결과가 조작된 것이라 주장하며 임둔태수장(臨屯太守章)이 랴오닝성 서부 지역에서 발굴되었다는 사실을 토대로 임둔군이 요서 지방에 설치되었다고 주장한다.[1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학계와 일부 대한민국 학계에서는 한나라의 한반도 병합을 부정한다. 이러한 수정주의 이론의 지지자들은 한사군이 실제로는 한반도 외부에 존재했으며, 요동군 중국 어딘가에 위치했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임둔군은 특히 금주만을 포함한 요동반도 남부에 위치했다고 한다.

이러한 가설은 북한 학계에서는 "독재적"이며, 대한민국 아마추어 역사 애호가들의 지지를 받지만, 미국, 중국일본 학계에서는 전혀 인정되지 않는다.[1]

3. 2. 요동반도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한국 일부 학계에서는 전한의 한반도 병합을 부정하며, 한사군이 한반도 외부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한사군이 통설에서 요동군으로 비정되는 지역에 있었다고 보며, 그중 임둔군은 금주반도를 중심으로 한 요동반도 남부에 있었다고 주장한다.[8]

이러한 주장은 북한 학계에서는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한국의 재야 역사학계에서도 지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미국, 중국, 일본 학계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다.[1]

4. 행정 구역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전한유주자사부 아래에 임둔군을 설치했다.[3] 임둔군은 15개 현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영역은 현재의 강원도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군 치소가 위치한 동이현(현재의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4])은 장안에서 6,138리 떨어져 있었다.

기원전 82년 임둔군의 15개 현 중 9개 현이 폐지되고, 남은 6개 현과 현도군의 부조현을 합쳐 7개 현이 낙랑군에 편입되면서 임둔군은 소멸되었다.

4. 1. 임둔군 소속 현 (기원전 108년 ~ 기원전 82년)

임둔군의 행정 구역
이름한자현재 위치비고
동이현(구)東暆강릉시, 강원도임둔군의 주요 행정 구역
동이현(신)東暆원산시, 강원도낙랑군에 편입된 후, 주요 행정 구역이 구 동이현에서 이전
불이현不而안변군, 강원도낙랑군에 편입된 후 주요 행정 구역
잠대현蠶台속초시, 강원도기원전 82년에 낙랑군에 편입
화려현華麗금야군, 함경남도기원전 82년에 낙랑군에 편입
사두매현邪頭昧문천시, 강원도기원전 82년에 낙랑군에 편입
전막현前莫고성군, 강원도기원전 82년에 낙랑군에 편입
기타 9개 현현재의 강원도 어딘가기원전 82년에 낙랑군에 편입되지 않고 소멸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전한은 유주자사부 아래에 임둔군을 설치했다.[3] 임둔군은 15개 현으로 구성되었으며, 현재의 강원도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군 치소가 위치한 동이현(현재의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4])은 장안에서 6138리 떨어져 있었다.

기원전 82년 15개 현 중 9개 현이 폐지되고, 남은 6개 현과 현도군의 부조현을 합한 7개 현은 낙랑군에 편입되어 임둔군은 소멸되었다.

4. 2. 낙랑군 동부도위 소속 현 (기원전 82년 ~ 30년)

기원전 82년, 임둔군이 폐지되면서 기존 임둔군 소속 15개 현 중 7개 현이 낙랑군에 편입되었다. 이 지역은 단단대령(單單大嶺)으로 막혀 있고 거리가 멀어 낙랑군이 직접 관할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이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동부도위(東部都尉)가 설치되었다. 동부도위는 30년에 철폐되었다.[7]

낙랑군 동부도위 소속 현 (기원전 82년 ~ 30년)
이름비고
동이현(신)낙랑군 편입 후 주요 행정 구역[7]
불이현낙랑군 편입 후 동부도위 치소
잠대현기원전 82년에 낙랑군에 편입
화려현기원전 82년에 낙랑군에 편입
사두매현기원전 82년에 낙랑군에 편입
전막현기원전 82년에 낙랑군에 편입


참조

[1]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Nova Science Publishers
[1] 서적 Korea: Current Issues and Historical Background Nova Science Publishers
[1]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 서적 Sourcebook of Korea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 서적 State Formation in Kore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 간행물 Reinterpreting Traditional History in North Korea 1981-05
[1] 서적 North Korea and the World: Human Rights, Arms Control, and Strategies for Negoti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Kore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Kore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 서적 Early Korea 2: The Samhan Period in Korean History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1] 서적 Contemporary Archaeology in Theory: The New Pragmatism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Routledge
[1] 서적 A Historical Geography of China https://books.google[...] Aldine Transaction
[1] 서적 The Land of Scholars: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Confucianism https://books.google[...] Homa & Seka Books
[1] 간행물 Centering the Periphery: Manchurian Exile(s) and the North Korean State http://academiccommo[...]
[1] 서적 Everlasting Flower: A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1] 서적 The Archaeology of Kore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 서적 The Far East: A Concise History https://books.google[...] Pergamon Press
[1] 서적 Sino-Japanese Relations: The Need for Conflict Prevention 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 서적 Asia: A Concise Hist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 서적 Korea, the Divided Nation https://books.google[...] Praeger
[1] 서적 A History of Korea: An Episodic Narrative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1] 서적 Korea Old and New: A History https://archive.org/[...] Ilchokak Publishers
[2] 서적 人物 大修館書店
[2] 뉴스 紀元前1世紀の楽浪郡木簡発見 http://www.asahi.com[...] 2009-03-19
[2] 뉴스 最古級の論語、北朝鮮から 古代墓から出土の竹簡に記述(1/2ページ) http://www.asahi.com[...] 2010-05-29
[2] 뉴스 最古級の論語、北朝鮮から 古代墓から出土の竹簡に記述(2/2ページ) http://www.asahi.com[...] 2010-05-29
[2] 서적 中国史 山川出版社 1998-06-01
[2] 뉴스 4世紀の日韓関係 http://www.jkcf.or.j[...] 日韓歴史共同研究 2005-06
[2] 서적 日本語の歴史〈2〉文字とのめぐりあい 平凡社 1976-01-01
[2] 서적 古代の日本〈第3〉九州 角川書店 1970-01-01
[2] 서적 古代の日本 9 研究資料 角川書店 1971-10
[2] 서적 古代史の謎は「鉄」で解ける 前方後円墳や「倭国大乱」の実像 PHP研究所 2015-10-15
[2] 뉴스 古代史最大の謎「邪馬台国」の21世紀的課題 講談社 2008-06
[2] 서적 朝鮮の民俗文化と源流 同成社 1981-01-01
[2] 서적 古代史にみる朝鮮観 朝鮮青年社 1996-02-01
[2] 서적 国語学論集―築島裕博士還暦記念 明治書院 1986-03-01
[2] 서적 日本の植民地の真実 扶桑社 2003-10-31
[2] 서적 武雄市史 国書刊行会 1981
[2] 서적 日本民族 至文堂 1963-01-01
[2] 서적 しまぬゆ 1 ―1609年、奄美・琉球侵略 南方新社 2007-04-15
[2] 서적 早わかり日本史 日本実業出版社 2008-09-30
[2] 서적 「地形」で読み解く世界史の謎 PHP研究所 2015-08-05
[2] 서적 日本国の夜明け―邪馬台国・神武東征・出雲 文芸社 2003-01-01
[2] 뉴스 楽浪・帯方二群の興亡と漢人遺民の行方 財団法人古代学協会 1989
[2] 서적 日本近代漁業経済史 下卷 岩波書店 1957-09-05
[2] 서적 漢の武帝 教育社 1986-01-01
[2] 서적 日本の考古学〈第3〉弥生時代 河出書房新社 1966-01-01
[2] 서적 日本史の新研究 : 資料対照 洛陽社 1958
[2] 서적 世界の歴史〈7〉大唐帝国 河出書房新社 1989-09-01
[2] 서적 最後の東洋的社会 中央公論新社 1961-08-01
[3] 문서 紀元전128년
[4] 문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 서적 帝国としての中国 東洋経済新報社 2013-07-26
[6] Wikisource 隋书/卷67#裴矩
[7] 문서 李丙燾
[8] 문서 遼東郡
[9] 웹사이트 임둔군-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100.nate.com/[...] 네이트 제공
[10] 문서 《고려사》〈지리지〉 / 《세종실록》〈지리지〉 등
[11]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임둔군 항목 https://terms.naver.[...] 네이버 제공
[12] 문서 복기대, 〈'임둔태수장'(臨屯太守章) 봉니를 통해 본 한사군의 위치〉, 《백산학보》 61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